프리드리히 쿨라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쿨라우는 1786년 독일에서 태어난 덴마크의 작곡가이다. 1810년 징집을 피해 덴마크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얻었으며, 플루트 작품과 피아노 소품, 징슈필, 오페라 등을 작곡했다. 쿨라우는 베토벤의 영향을 받았으며, 1814년 징슈필 《도적의 성》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1828년에는 《엘버호이》의 음악을 작곡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그는 생전에 "플루트의 베토벤"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여러 피아노 소나티네와 다수의 플루트 작품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서 덴마크로 이민간 사람 -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독일 천문학자로, 해왕성 발견에 기여하고 혜성 및 유성 연구에 힘썼으며, 요한 갈레의 조수로서 해왕성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다레스트 혜성 발견, 혜성 궤도 계산, 성운 연구 등 다양한 천문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겨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을 수상하고 달, 화성,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 덴마크의 장애인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덴마크의 알렉산드라는 덴마크 크리스티안 9세의 딸로 태어나 웨일스 공 알베르트 에드워드와 결혼하여 웨일스 공녀가 되었고, 이후 영국 왕비로서 자선 활동과 사회 공헌에 헌신하며 패션 아이콘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 덴마크의 장애인 - 루이제 폰 헤센카셀
루이제 폰 헤센카셀은 덴마크 왕족으로 크리스티안 9세와 결혼하여 덴마크 왕비가 되었으며, 자녀들의 혼인을 통해 "유럽의 시어머니"라는 별칭을 얻었고, 자선 활동과 사회 복지 향상에 기여하며 덴마크 왕가의 위상을 높였다. - 덴마크의 클래식 작곡가 - 쇠렌 닐스 아이히베르크
쇠렌 닐스 아이히베르크는 독일 출신의 덴마크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 덴마크 방송 교향악단 상주 작곡가 활동, 그래미상 수상 등을 통해 국제적으로 활동하며 교향곡, 협주곡,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 덴마크의 클래식 작곡가 - 닐스 가데
닐스 빌헬름 가데는 멘델스존의 지지 아래 라이프치히에서 활동하며 명성을 얻고 덴마크 음악계 발전에 기여한 19세기 덴마크의 대표적인 작곡가, 지휘자, 오르가니스트, 교육자이다.
프리드리히 쿨라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리드리히 쿨라우 |
출생 | 1786년 9월 11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위르첸 |
사망 | 1832년 3월 12일 |
사망지 | 덴마크, 코펜하겐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
장르 | 클래식 음악 |
작품 목록 | |
오페라 | 《도적의 성》 (Der Räuberwald, 1807) 《엘리사》 (Elisa, 1808) 《마술 하프》 (Die Zauberharfe, 1813) 《룰라》 (Lulu, 1824) 《요정의 언덕》 (Elverhøj, 1828) |
발레 | 《보물의 샘》 (Trylleharpen, 1817) |
관현악 | 피아노 협주곡 C장조, Op. 7 (1810) 피아노 협주곡 C단조, Op. 36 (1823) 플루트 협주곡 E단조, Op. 102 (1832) |
실내악 | 플루트 4중주 G장조, Op. 103 플루트 5중주 A장조, Op. 107 피아노 4중주 C단조, Op. 32 현악 4중주 A단조, Op. 64 플루트 3중주 G장조, Op. 13 3개의 플루트 3중주, Op. 86 3개의 플루트 3중주, Op. 90 |
피아노 | 3개의 소나티네, Op. 20 3개의 소나티네, Op. 55 7개의 론도 |
플루트와 피아노 | 서주와 론도, Op. 98 3개의 화려한 론도, Op. 10 서주와 변주, Op. 51 로망스, Op. 54 3개의 론도, Op. 57 서주와 알레그로, Op. 102 3개의 소나타, Op. 69 3개의 소나타, Op. 71 브릴란테 변주곡, Op. 79 서주와 론도, Op. 85 론도, Op. 99 |
기타 | |
위키프로젝트 | 클래식 음악 [[파일:Viola d'amore.png|35px|위키프로젝트 클래식 음악]] |
2. 생애
쿨라우는 1786년 하노버(현재 독일) 위르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외출 중 넘어지면서 가지고 있던 병 조각에 한쪽 눈을 실명하였다. 1810년 코펜하겐으로 이주하였고, 1825년 빈에서 베토벤을 만났다. 1832년 코펜하겐에서 사망하였다.
2. 1. 유년기
쿨라우는 1786년 9월 11일 현 독일 니더작센주 뤼네부르크 남부 뵐첸에서 태어났다.[6][7] 7살 때 얼음 위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오른쪽 눈을 잃었다.[6][7] 아버지, 할아버지, 삼촌은 모두 오보에 연주자로 군악대에서 복무했다.[6][7]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부모님의 지원 하에 피아노 레슨을 받았다.[6][7] 1802년 함부르크로 이주하여 음악학자 C.F.슈벤케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였다.[6][7]2. 2. 덴마크 정착과 활동
1804년에 첫 연주회를 가지며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이 무렵 돈을 벌기 위해 노래와 실내악을 작곡하기 시작했다. 쿨라우는 평생 플루트를 위한 곡을 많이 작곡했지만, 정작 본인은 그 악기를 연주하지 않았다. 1810년 나폴레옹군에 징집되는 것을 피해 코펜하겐으로 피신했으며, 같은 해에 첫 피아노와 플루트 작품들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1811년 코펜하겐에서 피아노를 가르치고 곡을 출판하며 생계를 꾸려나갔다. 1812년에는 덴마크 궁정에서 비급여 음악가로 임명되었으며, 1813년에는 덴마크 시민이 되었다.1816년 징슈필 《강도의 성》의 흥행 덕분에 왕립극장의 성악 교사로 취임해 높은 보수를 받았다. 1817년에는 오페라 《마법의 하프》를 출품했으나, 이 오페라는 민주주의적 사상이 반영되었다는 이유로 프레데리크 6세에 의해 상영이 금지되었다.[8] 1820년까지 쿨라우의 작품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2. 3. 베토벤과의 만남과 말년
1821년과 1825년에 쿨라우는 빈으로 여행을 가서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친구가 되었다. 베토벤의 영향은 쿨라우의 말기 작품들에서 명백히 드러난다.[8] 1830년에 양친이 모두 사망하고, 1831년에는 집이 화재로 불타버렸다. 1832년에는 흉부 질환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했다.[9]3. 음악
쿨라우는 여러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플루트와 피아노 작품으로 유명하다. 덴마크와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은 피아노 소품과 소나티네가 대표적이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쿨라우의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쿨라우는 피아노 협주곡 외에도 현악 사중주, 소나타, 왈츠, 론도, 변주곡, 피아노가 포함된 현악 작품(세 개의 피아노 사중주와 두 개의 피아노 오중주, 그리고 여러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등을 작곡했다.
쿨라우는 생전에 "플루트의 베토벤"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플루트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다.[8][9]
3. 1. 오페라와 징슈필
쿨라우는 1814년 왕립 덴마크 극장에서 아담 고틀로프 외렌슐레예르가 대본을 쓴 징슈필 《도적의 성》(Røverborgen)으로 성공을 거두었다.[4]이후 드라마 작품인 《트릴레하르펜》(1817), 《엘리사》(1820), 《휴고 오그 아델하이드》(1827)는 드라마적 요소가 부족하여 실패했다. 1824년 《룰루》를 통해 징슈필 작곡가로 다시 한번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공연을 위한 음악도 작곡했다.[5]
1828년, 《엘버호이》의 음악을 작곡하면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서곡과 마지막 왕실 찬가, 즉 콩 크리스티안 스토드 비 호이엔 마스트(탑 높은 곳에 섰던 크리스티안 왕)가 즉각적인 인기를 얻었다. 쿨라우는 이 음악에서 덴마크와 스웨덴 민요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3. 2. 기타 작품
쿨라우는 극작품 외에도 여러 곡의 플루트 작품과 다수의 피아노 작품을 작곡했다. 특히 그의 피아노 소품, 소나티네는 덴마크와 해외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쿨라우가 개인적으로 알고 지냈던 베토벤은 그의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피아노 협주곡 외에도 현악 사중주와 당시 유행하던 모든 장르의 피아노 작품(소나타, 소나티네, 왈츠, 론도, 변주곡 등)이 있었다. 그는 또한 피아노가 포함된 현악 작품(세 개의 피아노 사중주와 두 개의 피아노 오중주, 그리고 여러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부수 음악 작품, 그리고 여러 오페라를 제작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녹음되고 연주되는 그의 작품은 여러 피아노 소나티네와 다수의 플루트 작품이다. 이 플루트 작품들 때문에 그는 생전에 "플루트의 베토벤"이라는 별명을 얻었다.[8][9]
참조
[1]
웹사이트
Friedrich Daniel Rudolf Kuhlau
https://www.kennedy-[...]
2020-05-25
[2]
웹사이트
Denmark - Culture - Music
http://www.um.dk/pub[...]
Foreign Ministry of Denmark
2010-08-23
[3]
웹사이트
Friedrich Kuhlau, Biography by Robert Cummings
https://www.allmusic[...]
2020-05-25
[4]
웹사이트
Frederik Daniel Rudolph Kuhlau
http://www.guldalder[...]
Golden Days
2010-08-23
[5]
웹사이트
Frederik Kuhlau
http://www.denstored[...]
Gyldendal
2010-08-23
[6]
웹인용
Friedrich Daniel Rudolf Kuhlau
https://www.kennedy-[...]
2020-05-25
[7]
웹인용
Denmark - Culture - Music
http://www.um.dk/pub[...]
Foreign Ministry of Denmark
2010-08-23
[8]
웹인용
Friedrich Kuhlau, Biography by Robert Cummings
https://www.allmusic[...]
2020-05-25
[9]
웹인용
Friedrich Kuhlau {{!}} Kennedy Center
https://www.kennedy-[...]
2022-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