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츠 대 미국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츠 대 미국 사건은 1997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로, 브래디 법의 일부 조항이 위헌이라고 판결한 사건이다. 브래디 법은 총기 판매 시 신원 조회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연방 정부가 주 정부의 수석 법 집행관(CLEO)에게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연방주의의 원칙에 따라 연방 정부가 주 공무원을 직접적으로 동원하는 것은 제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판결은 주 권리와 신연방주의를 옹호하는 중요한 선례가 되었으며, 미국의 총기 규제 관련 법률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대법원 판례 - 부시 대 고어 사건
- 미국 대법원 판례 - 매카들 사건
매카들 사건은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에 재건 법률 반대 기사를 게재한 신문 발행인 윌리엄 매카들이 체포되어 인신 보호 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되었고, 대법원 상고마저 의회의 관할권 정지로 심리 불가능해지면서 의회의 사법부 견제 기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헌법 - 프랑스 헌법
프랑스 헌법은 국민주권, 권력분립, 인권 보장 등의 원칙을 명시하며, 강력한 대통령 중심의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958년 헌법을 기준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헌법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프린츠 대 미국 사건 | |
---|---|
사건 개요 | |
사건명 | 프린츠 대 미국 사건 |
원어 사건명 | Printz v. United States |
사건 번호 | 95-1478, 95-1503 |
구두 변론 일자 | 1996년 12월 3일 |
결정 일자 | 1997년 6월 27일 |
전체 제목 | Jay Printz, Sheriff/Coroner, Ravalli County, Montana, Petitioner 95-1478 v. United States; Richard Mack, Petitioner 95-1503 v. United States |
미국 법원 판례집 | 521 U.S. 898 |
병렬 인용 | 117 S. Ct. 2365; 138 L. Ed. 2d 914; 1997 U.S. LEXIS 4044; 97 Cal. Daily Op. Service 5096; 97 Daily Journal DAR 8213; 11 Fla. L. Weekly Fed. S 224 |
이전 판결 | 위헌 선언, https://scholar.google.com/scholar_case?case=9683318148026459805&hl=en&as_sdt=2006 854 F. Supp. 1503 (D. Mont. 1994), 동일, https://scholar.google.com/scholar_case?case=13069692890870873260&hl=en&as_sdt=2006 856 F. Supp. 1372 (D. Ariz. 1994), 번복, https://scholar.google.com/scholar_case?case=15296139267650416552&hl=en&as_sdt=2006 66 F.3d 1025 (9th Cir. 1995). |
적용 법률 | U.S. Const. amend. X; U.S. Const. amend. II; 브래디 총기 폭력 방지법, Pub. L. 103-159, 107 Stat. 1536 |
판결 | |
판결 내용 | 브래디 총기 폭력 방지법의 임시 조항인 §922(s)(2)는 각 지방 관할 구역의 "최고 법 집행 책임자"(CLEO)에게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것은 위헌이다. |
다수 의견 | 스칼리아 |
다수 의견 합류 | 렌퀴스트, 오코너, 케네디, 토마스 |
동의 의견 | 오코너 |
동의 의견2 | 토마스 |
반대 의견 | 스티븐스 |
반대 의견 합류 | 소터, 긴즈버그, 브레이어 |
반대 의견2 | 소터 |
반대 의견3 | 브레이어 |
반대 의견3 합류 | 스티븐스 |
2. 배경
1993년 11월 30일,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68년 총기 규제법을 개정하는 브래디 권총 폭력 방지법(Brady Handgun Violence Prevention Act, 공법 103-159)에 서명했다. 이 법은 미국 법무부 장관에게 총기 소유가 이미 금지된 사람에게 총기 판매를 막기 위해 전자 또는 전화 기반의 신원 조회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요구했다. 이 조회 시스템은 전국 즉시 범죄 신원 조회 시스템(NICS)으로 명명되었으며, 1998년 11월 30일에 발효되었다.
2. 1. 1968년 총기 규제법 (The Gun Control Act of 1968)
1968년 총기 규제법(GCA)은 공법 90-618호와 그 이후의 수정안을 통해 총기 유통을 규제하는 상세한 연방 프로그램이다. GCA는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지는 광범위한 범주의 개인, 즉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 유죄 판결을 받은 경범죄 가정 폭력 또는 스토킹 범죄자, 미결 중범죄 영장이 있는 자, 도주자, 불법 외국인, 자신을 상대로 법원이 보호 명령을 내린 자, 정신 건강 시설에 강제로 입원한 자, 법원에서 정신 질환자로 판결받은 자 등의 총기 소지를 금지했다.정신 건강상의 이유로 총기 소지 자격이 박탈된 사람은 이 자격 상실을 해제해 달라고 신청할 수 있다. 정신 건강상의 이유로 총기 소지가 금지된 사람이 금지령으로부터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청 절차를 유지하지 않는 주(州)는 법무 지원 보조금 벌칙에 직면한다. NICS 개선 수정 법안 2007년([http://www.uscis.gov/ilink/docView/PUBLAW/HTML/PUBLAW/0-0-0-38245.html NICS 개선 수정 법안 2007년]) 제105조(NIAA)는 공법 110-180, § 105조로 인용되며, 정신 건강 관련 사건에서 총기 소지 권리 회복을 규정한다. NIAA에 따라 각 미국 주(州)는 자체적인 신청 절차를 마련해야 하며, 따라서 권리를 회복하는 절차는 주마다 다르다.
2. 2. 브래디 법 (The Brady Act)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93년 11월 30일에 1968년 총기 규제법을 개정하는 브래디 권총 폭력 방지법(Brady Handgun Violence Prevention Act, 공법 103-159)에 서명했다. 이 "브래디 법안"은 미국 법무부 장관에게 총기 소유가 이미 금지된 사람에게 총기 판매를 막기 위해 전자 또는 전화 기반의 신원 조회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요구했다. 이 조회 시스템은 전국 즉시 범죄 신원 조회 시스템(NICS)으로 명명되었으며, 1998년 11월 30일에 발효되었다.해당 법은 이 시스템이 작동할 때까지 특정 임시 조항을 즉시 시행했다. 임시 조항에 따르면, 총기 판매상은 총기 구매자로부터 구매자의 이름, 주소, 총기 양도 예정일 등이 포함된 진술서(브래디 양식)를 받고, 구매자가 총기 구매 금지 대상이 아니라는 진술서에 서명하고 신분증을 제시하도록 해야 했다. 또한 총기 판매상은 구매자의 거주 지역 "수석 법 집행관"(CLEO)에게 브래디 양식의 내용과 사본을 통지해야 했다.
CLEO는 총기 양도 통지를 받으면 5 영업일 이내에 구매자의 총기 소지/수령이 법에 위반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 및 지방 기록 시스템과 법무부 장관이 지정한 전국 시스템을 조사해야 했다.
3. 사건의 전개
몬태나주 라발리 카운티와 애리조나주 그레이엄 카운티의 수석 법 집행관이었던 제이 프린츠(Jay Printz)와 리처드 맥(Richard Mack)은 스티븐 할브룩(Stephen Halbrook)과 데이비드 T. 하디(David T. Hardy)의 변호를 받아 브래디 법(Brady Act)의 임시 조항에 대해 위헌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연방 법 집행을 위해 주 공무원을 강제하는 의회의 행위에 반대했다.
3. 1. 하급 법원 판결
찰스 C. 러벨 미국 지방 법원 판사는 1994년 5월 16일 보안관에게 선언적 판결을 내리고, CLEO가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이 미국 헌법 수정 제10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지만, 해당 조항이 법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 가능하다고 결론내려 사실상 자발적인 신원 조회 시스템이 유지되었다.[1] 1994년 6월 29일, 존 롤 미국 지방 법원 판사도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2] 1995년 9월 8일,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의 윌리엄 C. 캔비 주니어 판사는 허버트 초이 판사와 함께 이 판결을 뒤집었고, 페르디난드 프란시스 페르난데스 판사는 이에 반대했다.[3]미국 제2 순회 항소 법원 또한 보안관의 명령에 대한 이의를 기각했지만,[4] 미국 제5 순회 항소 법원은 해당 명령이 위헌이라고 판결하여,[5] 순회 법원 간의 의견 불일치가 발생했다.[6]
4. 대법원 판결
연방 대법원은 1997년에 제9 순회 항소 법원의 판결을 뒤집고 브래디 법의 신원 조회 강제 조항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7] 몬태나주와 애리조나주 보안관들의 상고 허가 청원이 받아들여졌고, 1996년 12월 3일에는 1시간 동안 구두 변론이 진행되었다. 이 자리에서 핼브룩은 보안관들을 대리했고, 월터 E. 델린저 3세(Acting 미국 법무 차관)는 정부를 대리했다.[7]
4. 1. 다수 의견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은 윌리엄 렌퀴스트 대법원장, 샌드라 데이 오코너, 앤서니 케네디, 클래런스 토머스 대법관과 함께 브래디 법이 보안관에게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미국 헌법 수정 제10조에 위반된다고 판시했다.[7] 스칼리아 대법관은 이 문제에 대한 명확한 헌법 조항은 없지만, "역사적 이해와 관행, 헌법의 구조, 그리고 이 법원의 판례"를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대법원은 초기 의회가 주 판사에게 의무를 부과한 법률은 주 공무원에 대한 연방 권한의 증거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 이유는 매디슨 타협안에 따라 하급 연방 법원의 설립이 선택 사항으로 남겨졌기 때문이다.[8] 또한, 연방주의자 36번, 연방주의자 45번, 연방주의자 27번에서 의회가 주 공무원을 "이용"할 것이라는 주장을 기각하고,[9] "거의 2세기에 걸친 의회의 이러한 관행 회피"를 의원들이 주 공무원에게 명령할 권한이 없다고 생각했다는 강력한 증거로 보았다.[6]
법원은 미국 연방주의가 이중 주권에 기반하며, 연방주의자 논집 39번에서 주(州)가 "잔존하고 불가침의 주권"을 유지한다고 강조한 점을 언급했다.[6] 연방 정부는 국제 및 주간 문제에 대해 규제하도록 설계되었고, 주 의회에 유보된 내부 문제는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법원은 지방 공무원에게 재정적, 행정적 부담과 책임을 떠넘기는 정책을 우려했다.[10] 연방주의자 논집 51번을 인용하여, 이중 주권 정부에 대한 통제권을 유권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국민의 권리에 대한 이중의 안전이 발생한다. 서로 다른 정부는 서로를 통제하는 동시에 각자 스스로 통제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1][12] 50개 주 경찰관을 징발하여 연방 정부 업무를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헌법이 의도하는 범위를 넘어 연방 정부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또한, 보안관 징발은 헌법상의 권력 분립을 위반하고 미국 대통령의 법 집행 권한을 박탈하며, "단일 행정부 이론"에 모순된다는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법원은 ''뉴욕 대 미국 사건''(1992)에서 확립된 반강제 교리가 주 공무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정부의 주장을 기각하고, 수정 헌법 제10조가 연방 정부가 주 공무원에게 직접 명령하는 것을 범주적으로 금지한다고 판결했다.[6] 따라서 브래디 법이 보안관에게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한 것은 위헌이었다.[6]
4. 2. 반대 의견 (존 폴 스티븐스, 데이비드 수터,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스티븐 브레이어 대법관)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데이비드 수터,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스티븐 브레이어 대법관의 지지를 받아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7] 스티븐스 대법관은 연방 정부에 권총 판매를 규제할 권한을 부여하는 헌법의 통상 조항과, 이전에 열거된 권한을 수행하는 데 필요하고 적절한 모든 법률을 통과시킬 수 있는 권한을 의회에 부여하는 필요 충분 조항이 결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제10차 수정헌법은 연방 정부의 권한에 대한 추가적인 제한을 포함하지 않으며, 정부가 헌법에 의해 부여된 권한만 갖는다는 점을 명확히 할 뿐이라고 설명했다.[6]스티븐스 대법관은 협력적 연방주의의 이점을 칭찬하며,[6] 주 공무원에게 연방 정부가 지시하는 것은 전염병 예방을 위해 어린이에게 대규모 예방 접종을 명령하거나, 테러 위협에 대응하도록 지시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그는 연방 정부가 국가적 비상사태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매우 우려했으며, "역사적 이해와 관행, 헌법의 구조, 또는 이 법원의 판례"에서 주 공무원을 동원하여 그러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을 금지하는 어떠한 내용도 제10차 수정헌법에 없다고 믿었다. 또한, 헌법의 문구는 "지방 경찰관이 제1조에 열거된 명시적인 권한 위임에 따라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 포함된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는 다수 의견의 명백한 제안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수터 대법관은 단독으로 반대 의견을 제출하며, 연방주의자 논집 27번을 인용하여 헌법 제정자들의 원래 의도가 주가 연방 정부의 보조 역할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이었음을 입증하는 충분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6]
브레이어 대법관은 스티븐스 대법관의 지지를 받아 반대 의견을 제출했으며, 국제 비교법을 사용하여 많은 외국의 연방주의에서 중앙 정부가 하위 국가 관할권에 대한 어느 정도의 권한을 갖는다는 점을 지적했다.[6]
5. 판결의 영향 및 후속 논의
''프린츠 대 미국 사건'' 판결은 브래디 법에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미치지 않았다. 대부분의 지방 및 주 법 집행 관리들은 임시 조항을 지지했고 신원 조회를 기꺼이 준수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연방 신원 조회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되면서 해결되었다. 그러나 이 판결은 주 권리와 신연방주의를 지지하는 중요한 판례가 되었다.[13]
앤 알트하우스 교수는 "주 및 지방 정부의 자율성이 연방 정부에 압력을 가하여 노력을 완화하고 헌법적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며, ''프린츠'' 판결이 9.11 테러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컬럼비아 특별구 대 헬러''(2008)에서, 대법원은 헌법이 개인에게 총기 소유에 대한 개인적 권리를 부여한다는 토머스 대법관의 의견에 동의했다. ''헬러'' 판결은 대법원 사건 ''뉴욕주 총기 협회 대 브루엔''(2022)으로 이어졌으며, 이 사건에서 공공 장소에서 권총을 소지할 수 있는 능력은 수정 헌법 제2조에 의해 보장된 헌법적 권리라고 판결했다.
참조
[1]
판례
Printz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2]
판례
Mack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3]
판례
Mack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4]
판례
Frank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5]
판례
Koog v. United States
https://scholar.goog[...]
[6]
논문
The Supreme Court, 1996 Term — Leading Cases
http://brooklynworks[...]
111 Harv. L. Rev. 207 (1997)
[7]
웹사이트
"Printz v. United States"
https://www.oyez.org[...]
Chicago-Kent College of Law at Illinois Tech
2017-02-07
[8]
서적
Printz v. United States
Warren
1997
[9]
판례
Printz
[10]
판례
Printz
[11]
판례
Printz
[12]
웹사이트
Federalist No 51
http://avalon.law.ya[...]
[13]
논문
"The Vigor of the Anti-Commandeering Doctrine in Times of Terror"
https://media.law.wi[...]
Althouse (2004), 69 Brooklyn Law Review 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