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타호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타호텝은 이집트 제5왕조 파라오 제드카레 이세시 치세에 활동한 고위 관료이다. 그는 도시 행정관이자 재상(국무총리)을 역임했으며, 아들 아케테테프 역시 재상이었다. 프타호텝은 자신이 저술한 《프타호텝의 잠언》으로 유명하다. 이 잠언은 부부생활, 정치관료의 처신, 진리에 대한 탐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한 조언을 담고 있다. 프타호텝의 마스타바는 사카라에 위치해 있으며, 그의 손자 프타호텝 테피가 잠언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의 정치인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고대 이집트의 철학자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이집트의 철학자 - 플로티노스
플로티노스는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계승하여 일자로부터 세계가 유출된다는 일원론적 사상을 주장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철학과 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타호텝 | |
---|---|
인물 정보 | |
![]() | |
직위 | 재상 |
왕조 | 제5왕조 |
파라오 | 제드카레 이세시 |
배우자 | 카메레르네브티 |
자녀 | 아케테테프 |
매장지 | 사카라의 마스타바 |
이름 (로마자 표기) | Ptḥ-ḥtp |
2. 생애
프타호텝은 이집트 5왕조의 파라오 제드카레 치세에 재상(국무총리)이자 도시 행정관이었던 고관이다. 그는 '''<프타호텝의 잠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아케테테프라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역시 재상이었다. 프타호텝과 그의 후손들은 사카라에 묻혔다.
프타호텝은 재상 직함 외에도 '재무부 감독관', '국왕 문서 서기 감독관', '이중 곡물 창고 감독관', '모든 왕실 사업 감독관' 등 여러 다른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1]
2. 1. 마스타바
프타호텝의 무덤은 북 사카라에 있는 마스타바에 위치해 있다 (마스타바 D62).[1] 그의 손자 프타호텝 테피는 우나스 통치 기간에 살았으며 그의 아버지의 마스타바 (마스타바 64)에 묻혔다.[1] 그들의 무덤은 뛰어난 묘사로 유명하다.[2]프타호텝의 마스타바는 사카라에 위치해 있다. 입구는 남동쪽에 있으며 두 개의 기둥으로 장식되어 있다. 그 뒤에는 양쪽에 방이 두 개씩 있는 방이 있다. 단지 중앙에는 열 개의 기둥이 있는 뜰이 있다. 북쪽으로 더 가면, 프타호텝의 가짜 문과 그 앞에 제물을 바치는 탁자가 있는 방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다른 방들이 있다. 마스타바의 대부분의 벽은 부조로 장식되어 있지만, 주로 장면의 하단 부분만 보존되어 있다. 부조들은 주로 제물을 바치는 사람들을 보여준다. 무덤 장식에서 보존된 유일한 가족 구성원은 아들 아크호텝이다. 아내의 이름은 보존되어 있지 않다.
3. 《프타호텝의 잠언》
프타호텝은 이집트 제5왕조의 7번째 통치자인 파라오 제드카레 치세에 재상을 지냈으며, '''《프타호텝의 잠언》'''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자들은 이 책이 프타호텝의 첫 저술이라고 믿는다. 그는 이집트 '''지혜 문학'''의 중심 개념을 여신 마아트로부터 도입하였다. 《프타호텝의 잠언》에는 부부생활, 정치 관료들의 처신, 진리 탐구 등 광범위한 주제가 제시되어 있다.[3]
프타호텝의 손자인 프타호텝 테피가 《프타호텝의 잠언》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4300년 전에 집필된 것으로 판단된다.[4] 책의 시작 부분에는 저자를 재상 프타호텝으로 밝히며, "도시의 시장, 재상 프타호텝의 가르침, 이세시 왕의 통치 아래서"라고 적혀 있다.[5] 이 격언들은 아버지에서 아들에게 주는 조언과 지침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고왕국 시대 말기에 집필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본들은 제1중간기 말기 중왕국 시대의 중기 이집트어로 쓰여 있어, 중왕국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7]
이 책은 1906년 배티스콤 군에 의해 "동방의 지혜" 시리즈의 일부로 출판되었으며, 사본이 아닌 파리의 프리스 파피루스에서 직접 번역되었다.[8] 프리스 파피루스 사본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Grimal
[2]
서적
The Encyclopaedia of Ancient Egyptian Architecture
I.B.Tauris
2003
[3]
논문
A Modern Look at Ancient Wisdom: The Instruction of Ptahhotep Revisited
[4]
서적
Grimal
[5]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6]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서적
[8]
서적
The Instruction of Ptah-Hotep and the Instruction of Ke'Gemni The Oldest Books in the World
https://www.gutenber[...]
London, John Murray
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