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브는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 기슭에 위치한 도시로, 림강 수원과 인접해 있다. 플라브 호를 비롯한 여러 호수가 있으며, 카르스트 지형으로 구시예의 알리 파샤 샘과 오코 스카카비차가 유명하다. 1330년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스쿠타리 산자크에 속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몬테네그로에 편입될 예정이었으나 저항으로 무산되었고,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 1912-13년, 1919년 몬테네그로 군대의 탄압으로 많은 알바니아인이 사망하거나 이주했다. 2023년 기준 인구는 9,050명이며,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몬테네그로인이 거주하고, 이슬람교가 지배적이다. 플라브는 슬라브어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며, 13개의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코소보 데차니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플라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플라브 전경
플라브 전경
공식 명칭몬테네그로어: Плав (플라브)
알바니아어: Plavë (플라버)
위치몬테네그로 북부
지방북부 몬테네그로
기초 자치체플라브
행정
정치 체제시장-의회
시장니하드 차노비치 (SD)
하위 구역14개 정착지
지리
면적328 km²
기후Cfb
인구 통계
총 인구 (2011년)9,081명 (지방 자치체)
도시 인구3,717명
농촌 인구5,364명
인구 밀도28명/km²
일반 정보
시간대CET (UTC+1)
여름 시간 (DST)CEST (UTC+2)
우편 번호84325
지역 번호+382 51
차량 번호판PL
ISO 3166-2 코드ME-13

2. 지리

플라브는 알바니아 알프스 산맥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림강의 수원과 인접해 있다.[3]

이 지역에는 많은 호수가 있으며 가장 유명한 곳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호수 중 하나인 플라브 호이다.[3] 흐리드 호와 비지터 호는 산악 호수이며, 비지터 호는 부상 섬으로 유명하다.

플라브는 또한 카르스트 우물로도 유명하며, 그중에는 구시예의 알리 파샤 샘과 오코 스카카비차가 있다.

3. 역사

플라브의 역사는 여러 세력의 지배와 저항, 그리고 민족 갈등으로 점철된 복잡한 과정을 거쳐왔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플라브는 오스만 제국에서 몬테네그로로 양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알바니아 지도자들은 플라브를 알바니아 영토로 간주했고, 프리즈렌 동맹 군대의 무장 저항과 노브시체 전투(1879)에서의 승리로 인해 베를린 조약의 이행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9] 결국 오스만 제국은 1881년 열강의 압력으로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해야 했다. 플라브 지역은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에야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9]

몬테네그로와 유고슬라비아 군대는 플라브-구시예 지역을 점령하면서 지역 주민, 특히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을 탄압했다. 1913년 3월까지 1,800명 이상의 무슬림 알바니아인이 학살당하고 12,000명이 강제 개종당하는 등 가혹한 군정이 이어졌다.[10] 1919년에는 산자크 지역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포함되는 것에 반대하는 알바니아인들의 반란("플라브 반란")이 일어났다.[11][12] 세르비아 군대는 봉기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플라브와 구시예의 알바니아인들을 공격하여 약 45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고,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이주하게 되었다.[13][14]

3. 1. 초기 역사

1330년, 플라브와 구시예 지역의 림강 유역에 있는 "호티 고라"(Hoti 산)라는 지명이 데차니의 황금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4][5] 슈플레이는 이 지역을 호티 부족의 기원 지역으로 보고 있으며, 그들이 남쪽으로 이동했다고 본다.[4][5]

1582-83년 오스만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플라브 나히예는 스쿠타리 산자크에 속해 있으며 18개의 마을이 있었다. 역사가 밀란 바시치에 따르면 모든 주민의 이름은 슬라브어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슬림 이름은 없었다.[6]

16세기에 안토니오 브루니 (상인)가 기록한 여행기에 따르면 플라브 지역 주민들은 일부는 알바니아인이고 일부는 세르비아인이며, 피페리 부족, 쿠치 부족, 켈멘디 부족, 벨로파블리치와 같은 역사적인 알바니아 및 몬테네그로 부족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7]

1614년, 베네치아 귀족 마리아노 볼리차는 코토르(카타로)에서 "스쿠타리 산자크의 관계 및 설명"을 작성한 후 플라브는 대부분 포드고리차의 셈 자우스(Cem Çaushi)의 지휘를 받는 알바니아인들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다.[8]

플라브-구시예 지역(그루에미르에서 북동쪽으로 약 90 km)의 두 가장 강력한 봉건 가문은 그루에미리에서 기원한다. 몬테네그로 플라브의 렉제파가이(현재, 레제파기치-레제파기치)는 1650년대 초에 플라브로 이주했으며, 그들의 조상은 개종하면서 무슬림 이름 "벨리"를 사용했다. 가문의 이름을 부여한 레제프 아가는 벨리의 증손자였다. 샤바나그아이(현재 샤바나기치라고도 불림)는 슈코드라의 부샤티 가문과 결혼을 통해 연관되었다. 그들의 시조인 샤반 아가는 술레이만 파샤 부샤티 (슈코드라의 산자크베이)의 사위였다. 그는 1690년경 요새의 지휘관으로 구시예에 파견되었다. 샤바나그아이 가문은 베라네에 대규모 영지를 소유했다. 구시예의 알리 파샤, 프리즈렌 동맹의 지휘관은 샤바나그아이였고, 코소보의 교육자 야샤르 레제파기치는 레제파가이였다.

1675년, 에블리야 첼레비는 플라브를 "활기찬 알바니아 마을"로 묘사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플라브시는 알바니아 지도자들이 알바니아 영토로 간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에서 몬테네그로로 양도되었다. 그러나 프리즈렌 동맹 군대의 무장 저항과 노브시체 전투 (1879)에서 몬테네그로 군대에 대한 승리로 인해 이 조약의 이행이 저지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881년 열강의 압력으로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해야 했다. 플라브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에야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9]

1912-13년 몬테네그로 군대와 1919년 유고슬라비아 군대가 플라브-구시예에 진입한 것은 지역 주민들에 대한 탄압적인 정책을 동반했다. 몬테네그로 군대는 이 지역을 점령하고 10월 19일과 20일에 플라브에 진입했다. 그들의 진입 이후 가혹한 군정 시대가 이어졌으며, 1913년 3월까지 주로 지역 무슬림 알바니아인 1,800명 이상이 살해당하고 12,000명이 기독교 정교로 강제 개종당했다.[10]

1919년, 플라브, 구시예, 로자예 지역에서 알바니아 반란이 일어났으며, 이는 나중에 "플라브 반란"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산자크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포함되는 것에 반대했다. 그 결과, 1919년 세르비아 군대가 플라브를 두 번째 점령하는 동안, 세르비아군은 영국의 보호를 요청했던 플라브와 구시예의 알바니아인들을 공격했다. 봉기가 진압된 후 약 450명의 지역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대거 이주하게 되었다.[13][14]

3. 2. 오스만 제국 시대

1582-83년에 조직된 오스만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플라브 나히예는 스쿠타리 산자크에 속해 있었으며 18개의 마을이 있었다. 역사가 밀란 바시치에 따르면 모든 주민의 이름은 슬라브어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슬림 이름은 없었다.[6]

16세기에 안토니오 브루니 (상인)가 기록한 여행기에 따르면 플라브 지역의 주민들은 일부는 알바니아인이고 일부는 세르비아인이었으며, 피페리 부족, 쿠치 부족, 켈멘디 부족, 벨로파블리치와 같은 역사적인 알바니아 및 몬테네그로 부족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7]

1614년, 베네치아 귀족 마리아노 볼리차가 코토르(카타로)에서 "스쿠타리 산자크의 관계 및 설명"을 작성한 후, 플라브는 대부분 포드고리차의 셈 자우스(Cem Çaushi)의 지휘를 받는 알바니아인들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다.[8]

플라브-구시예 지역(그루에미르에서 북동쪽으로 약 90km)의 두 가장 강력한 봉건 가문은 그루에미리에서 기원한다. 몬테네그로 플라브의 렉제파가이(현재, 레제파기치-레제파기치)는 1650년대 초에 플라브로 이주했으며, 그들의 조상은 개종하면서 무슬림 이름 "벨리"를 사용했다. 가문의 이름을 부여한 레제프 아가는 벨리의 증손자였다. 샤바나그아이(현재 샤바나기치라고도 불림)는 슈코드라의 부샤티 가문과 결혼을 통해 연관되었다. 그들의 시조인 샤반 아가는 술레이만 파샤 부샤티(슈코드라의 산자크베이)의 사위였다. 그는 1690년경 요새의 지휘관으로 구시예에 파견되었다. 샤바나그아이 가문은 베라네에 대규모 영지를 소유했다. 구시예의 알리 파샤(프리즈렌 동맹의 지휘관)는 샤바나그아이였고, 코소보의 교육자 야샤르 레제파기치는 레제파가이였다.

플라브의 다른 많은 가문들도 이 지역으로 이주한 다양한 역사적 부족에서 기원한다.

가문부족
페리(페로비치), 케르차이(크르치치), 쿠치(쿠치), 메두나이(메두난닌), 샤바지(샤보비치), 토스카이(토스키치)쿠치 부족
카나이(차노비치), 무사지트(무시치), 레카이(레코비치), 메쿨리(메쿨로비치), 루고바(루고바크)켈멘디 부족
샤흐마나이(샤흐마노비치)트리에프시 부족
베가니(베가노비치), 카수미(카수모비치), 샬루나이(샬주노비치)샬라 부족
바샤(바시치), 혹샤이(호지치)베리샤 부족
카스트라트, 호티 가문각각 카스트라티 부족, 호티 부족



1675년, 이 시기에 플라브를 방문한 에블리야 첼레비는 이곳을 "활기찬 알바니아 마을"로 묘사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플라브는 알바니아 지도자들이 알바니아 영토로 간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에서 몬테네그로로 양도되었다. 그러나 곧 프리즈렌 동맹 군대의 무장 저항과 노브시체 전투(1879)에서 몬테네그로 군대에 대한 승리로 인해 이 조약의 이행이 저지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881년 열강의 압력으로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해야 했다. 플라브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에야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9]

3. 3. 몬테네그로 편입과 저항

1330년, 림강 유역의 "호티 고라"(Hoti 산)라는 지명이 데차니의 황금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 슈플레이는 이 지역을 호티 부족의 기원지로 보았다.[4][5]

1582-83년 오스만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플라브 나히예는 스쿠타리 산자크에 속했으며 18개 마을이 있었다. 모든 주민은 슬라브어 특징의 이름을 가졌고, 무슬림 이름은 없었다.[6] 16세기 안토니오 브루니 (상인)의 여행기에 따르면, 플라브 주민들은 일부는 알바니아인, 일부는 세르비아인이었으며, 피페리 부족, 쿠치 부족, 켈멘디 부족, 벨로파블리치 등 알바니아 및 몬테네그로 부족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7] 1614년 마리아노 볼리차는 플라브가 대부분 포드고리차의 셈 자우스(Cem Çaushi) 지휘 하의 알바니아인들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다.[8]

플라브-구시예 지역의 유력 가문들은 그루에미리에서 기원한다. 몬테네그로 플라브의 렉제파가이(레제파기치-레제파기치)는 1650년대 초 플라브로 이주했고, 조상은 개종 후 무슬림 이름 "벨리"를 사용했다. 샤바나그아이(샤바나기치)는 슈코드라의 부샤티 가문과 혼인 관계였으며, 시조 샤반 아가는 술레이만 파샤 부샤티의 사위였다. 그는 1690년경 구시예 요새 지휘관으로 파견되었다. 샤바나그아이 가문은 베라네에 대규모 영지를 소유했다. 구시예의 알리 파샤, 프리즈렌 동맹 지휘관은 샤바나그아이였고, 코소보 교육자 야샤르 레제파기치는 레제파가이였다.

플라브의 다른 많은 가문들도 다양한 부족에서 이주해 왔다. 페리(페로비치), 케르차이(크르치치), 쿠치(쿠치), 메두나이(메두난닌), 샤바지(샤보비치), 토스카이(토스키치)는 쿠치 부족에서 유래한다. 카나이(차노비치), 무사지트(무시치), 레카이(레코비치), 메쿨리(메쿨로비치) 및 루고바(루고바크)는 켈멘디 부족에서 유래한다. 샤흐마나이(샤흐마노비치)는 트리에프시 부족에서, 베가니(베가노비치), 카수미(카수모비치), 샬루나이(샬주노비치)는 샬라 부족에서, 바샤(바시치)와 혹샤이(호지치)는 베리샤 부족에서, 카스트라트와 호티 가문은 각각 카스트라티 부족과 호티 부족에서 유래한다.

1675년, 에블리야 첼레비는 플라브를 "활기찬 알바니아 마을"로 묘사했다.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플라브는 몬테네그로에 양도되었으나,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이를 알바니아 영토로 간주했다. 프리즈렌 동맹 군대의 무장 저항과 노브시체 전투 (1879) 승리로 인해 조약 이행이 저지되었다. 1881년 오스만 제국은 열강의 압력으로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했다. 플라브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9]

1912-13년 몬테네그로 군대와 1919년 유고슬라비아 군대의 플라브-구시예 진입은 지역 주민에 대한 탄압을 동반했다. 1913년 3월까지 1,800명 이상의 무슬림 알바니아인이 살해당하고 12,000명이 기독교(정교회)로 강제 개종당했다.[10] 1919년 플라브, 구시예, 로자예 지역에서 알바니아 반란(플라브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산자크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포함되는 것에 반대하는 봉기였다.[11][12] 1919년 세르비아 군대의 2차 점령 동안, 봉기 진압 후 약 45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대거 이주하게 되었다.[13][14]

3. 4. 20세기 초의 탄압

1878년 베를린 조약에 따라 플라브는 오스만 제국에서 몬테네그로로 양도될 예정이었으나, 프리즈렌 동맹 군대의 무장 저항과 노브시체 전투 (1879)에서의 승리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9] 오스만 제국은 1881년 열강의 압력으로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해야 했다.[9] 플라브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에야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9]

1912-13년 몬테네그로 군대와 1919년 유고슬라비아 군대가 플라브-구시예에 진입하면서 지역 주민들에 대한 탄압이 자행되었다. 몬테네그로 군대는 1912년 10월 19일과 20일에 플라브를 점령하고, 가혹한 군정을 실시했다.[10] 1913년 3월까지 주로 지역 무슬림 알바니아인 1,800명 이상이 살해당하고 12,000명이 정교회로 강제 개종당했다.[10]

1919년, 플라브, 구시예, 로자예 지역에서 알바니아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산자크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포함되는 것에 반대한 "플라브 반란"으로 알려져 있다.[11][12] 1919년 세르비아 군대가 플라브를 두 번째 점령하면서, 영국의 보호를 요청했던 플라브와 구시예의 알바니아인들을 공격하여 약 45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13][14] 이 사건으로 인해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이주하게 되었다.[13][14]

4. 인구

플라브는 2023년 인구 9,050명의

2003년 인구 조사 기준 민족 분포는 다음과 같다.

민족비율
보스니아인72.78%
알바니아인9.04%
세르비아인7.13%
무슬림6.08%
몬테네그로인3.84%


4. 1. 인구 변화 (도시)

플라브 인구 (도시)
연도인구
1981년3,348명
1991년4,073명
2003년3,165명
2011년3,717명


4. 2. 인구 변화 (지방 자치체)

연도인구
1948년15,764명
1953년17,330명
1961년18,913명
1971년19,542명
1981년19,560명
1991년19,305명
2003년13,805명


4. 3. 민족 구성 (2023년)

20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플라브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비율
보스니아인65.64%
세르비아인17.08%
알바니아인9.43%
몬테네그로인4.11%
무슬림2.61%
기타1.13%


4. 4. 종교 (2023년)

2023년 플라브의 종교는 이슬람교가 79.16%로 가장 많으며, 주로 보스니아인과 알바니아인들이 믿는다. 동방 정교회는 19.89%로,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들이 주로 신봉한다. 기타 종교는 0.95%이다.[17]

5. 언어

플라브는 거의 전적으로 무슬림이며 슬라브어를 사용하거나 알바니아어를 사용한다. 구시네와 플라브의 슬라브어 방언은 알바니아어의 구조적 영향을 매우 많이 받았다. 알바니아어와 슬라브어 간의 언어 접촉 측면에서 그 독특성은 오늘날 플라브의 슬라브어 사용자들이 대부분 알바니아계 출신이라는 사실로 설명되는데, 이는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던 인구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플라브에서 사용되는 알바니아어 방언은 플라브 서쪽에서는 북서부 게그어이고, 플라브 동쪽에서는 북동부 게그어이다.[15]

6. 스포츠

플라브 시 지역에는 13개의 스포츠 클럽과 협회가 있으며, 이들은 스포츠와 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 일부는 몬테네그로 2부 리그에 속해 있다.

스포츠 클럽
FK 예제로
FK 구시녜
FK 폴림례
핸드볼 클럽 플라브
체스 클럽 예제로
가라테 클럽 예제로
카약 클럽 플라브스코 예제로
스포츠 낚시 협회 플라브스코 예제로
등산 스키 협회 코필자차
스키-산악 협회 카란필
등산 협회 비지터
사냥 협회 로크스 플라브
사냥 스포츠 협회 5월 카네이션
농구 클럽 발칸스키 리스


7. 문화 유산

플라브는 프로클레티예 산맥 기슭, 림 강 수원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 '플라브'라는 이름은 오래된 알바니아인의 가톨릭 신자 성씨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브 주변은 아름답고 다양한 산악 경관을 자랑한다. 호수가 많으며, 그중 플라브 호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호수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프리드 호와 비지토르 호는 산간 호수이며, 비지토르 호에는 부유 섬이 있다. 플라브는 카르스트 지형으로도 유명하며, 아리 파샤 샘과 오코 스카카비차(Oko Skakavice)가 있다. 오래된 도서관, 모스크, 브레조예비치(Brezojevići)의 삼위일체 교회, 레제파기치(Redžepagići)의 탑 등은 이 도시의 문화 유산이다.

축구 클럽 FK 예제로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8. 저명한 출신 인물


  • 야쿠프 페리, 알바니아 반군
  • 에사드 메쿨리, 알바니아 시인 겸 학자
  • 미오드라그 주도비치, 축구 선수
  • 미르사드 후세이노비치, 축구 선수
  • 메르심 베스코비치, 축구 선수
  • 에크렘 예브리치, 가수
  • 야샤르 레제파기크, 교육학자, 코소보 과학 아카데미 회원
  • 라도반 조고비치, 작가
  • 스마일 툴자, 뉴요커 메리 빌 살인 유죄 판결을 받은 살인자, 몬스 도살자로 의심받는 인물

9. 국제 관계

플라브는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는 다음과 같다.


  • 데차니, 코소보[18]

참조

[1] 서적 Contributions onomatologiques https://books.google[...] Akademija
[2] 서적 LA TOPONYMIE DE LA CHARTE DE FONDATION DE BANJSKA: Vers la conception d'un dictionnaire des noms de lieux de la Serbie medievale et une meilleure connaissance des structures onomastiques du slave commun https://books.google[...]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
[4] 간행물 TOPONYMY OF HOTI https://www.ceeol.co[...] 2020-01-27
[5] 서적 Srbi i Arbanasi: njihova simbioza u srednjem vijeku https://archive.org/[...] Izdanje seminara za arbanasku filologiju 2020-01-28
[6] Citation Stanovništvo slovenskog porijekla u Albaniji : zbornik radova sa međunarodnog naučnog skupa održanog u Cetinju 21, 22. i 23. juna 1990
[7] 서적 Rebels, Believers, Survivors: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Albani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7-10
[8] Citation Relations and Description of the Sanjak of Scutari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9] harvnb
[10] harvnb
[11] 문서 Less than Nations: Central-Eastern European Minorities after WWI, Volume 1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2] 문서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Part 1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3] 서적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Nation-State Building and Provision of In/Security in Twentieth-Century Balk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8-02-22
[14]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6-09
[15] 서적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16]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17]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18] 웹사이트 Deçani dhe Ulqini binjakëzohen https://kk.rks-gov.n[...] Deçan 2015-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