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즈렌 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즈렌 동맹은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발칸 반도 내 슬라브 국가들의 팽창에 대응하여 알바니아인들이 결성한 정치 조직이다.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이 주변국에 할양될 위기에 처하자, 민족적 권익 보호를 위해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동맹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알바니아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 알바니아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설립된 단체 - 미국 변호사 협회
미국 변호사 협회는 법학 발전과 사법 행정 증진 등을 목표로 하는 미국의 변호사 단체로, 로스쿨 인가 및 변호사 윤리 기준 제시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공정성 및 정책적 편향성 문제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코소보의 역사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코소보의 역사 -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는 복잡한 민족 구성,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위기, 민족주의 부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여러 국가로 분리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진 20세기 후반의 해체 과정이다.
프리즈렌 동맹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프리즈렌 연맹 |
현지 명칭 (알바니아어) | 베셀리드흐야 에 프리즈레니트 (Besëlidhja e Prizrenit) 리드흐야 페르 음브로트죈 에 테 드레타베 테 콤비트 쉬치프타르 (Lidhja për mbrojtjen e të drejtave te kombit Shqiptar) |
결성 | |
결성일 | 1878년 6월 10일 |
설립자 | 47명의 알바니아 베이 |
위치 | 프리즈렌, 코소보 빌라예트 (현재의 코소보) |
해산 | |
해산일 | 1881년 4월 |
주요 인물 | |
지도자 | 압뒬 프라셰리 |
분쟁 및 전투 | |
관련 전투 | 플라프와 구시니예 전투 (벨리카 전투노브시체 전투무르노 전투) 울친 전투 자코바 전투 슬리보바 전투 |
2. 프리즈렌 동맹 이전의 정세
러시아-튀르크 전쟁(1877-1878)은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세력을 크게 약화시켜, 알바니아와 동부 발칸 지역에 대한 지배력만 간신히 유지하게 만들었다.[2][3]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땅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에게 분할될 것을 우려하여 저항을 확대했다.[2][3] 1878년 3월 3일 체결된 최초의 종전 조약인 산 스테파노 조약은 프리즈렌 동맹이 주장하는 지역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에 할당했다.[3]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영국은 이 조약이 러시아에게 발칸 반도에서 우위를 점하게 하여 유럽 세력 균형을 깨뜨릴 것을 우려하여 조약을 막았다.[29][4]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평화 회담이 그 해 말 베를린에서 열렸다.[11][52]
1878년, 오스만 제국 각지의 알바니아인 대표들이 코소보 프리즈렌에 모여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했다.[36]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으며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의 영토 보전을 목표로 했으나,[49][50] 점차 알바니아인의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24]
이러한 상황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국민 구원 지방 의회를 조직하도록 만들었다.[5][10] 1877년 12월 13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러시아 군대의 지원을 받아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하고, 알바니아 북부 지역을 공격했다.[6] 알바니아인들은 북동부와 북서부의 여러 지역과 도시를 방어할 수 없었다.[7] 점령 지역에서 오스만 행정관들은 도망치거나 추방되었고, 세르비아군은 토플리카와 니시 지역의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을 추방하여 코소보로 몰아냈다.[16][17][8]
이러한 사건들의 영향으로, 국민 구원 지방 의회는 1877년 12월 12일 이스탄불에 알바니아 민족의 권리 옹호를 위한 중앙위원회를 설립하여 단일 조정 기구로 통합되었다.[9][13][10]
산 스테파노 조약은 알바니아인과 보스니아인들 사이에 깊은 불안감을 불러일으켰고, 1877년 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영향력 있는 알바니아인들은 압딜 프라셰리를 포함하여 알바니아인들의 저항을 지휘하기 위한 위원회를 조직했다.[13] 5월에 이 단체는 알바니아 공동체가 존재했던 모든 지역의 대표자들의 일반 회의를 소집했다.[13][14] 위원회 구성원은 알리 이브라, 지야 프리슈티나, 사미 프라셰리, 야니 브레토, 바소 파샤, 바차 쿠르티 지오카이, 압딜 프라셰리였다.
3. 프리즈렌 동맹의 결성
1877-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이 약화되자,[2][3]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땅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에 분할될 것을 우려하여 저항 운동을 시작했다.[2][3] 산 스테파노 조약은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에 할양하려 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었고,[29][4] 이후 베를린 회의가 열렸다.[11][52]
이러한 상황에서 알바니아인들은 1877년 12월 이스탄불에 알바니아 민족의 권리 옹호를 위한 중앙위원회를 설립했다.[9][13][10] 1878년 봄, 압뒬 프라셰리를 포함한 알바니아 지도자들은 알바니아인들의 저항을 조직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고,[13] 5월에는 알바니아 각 지역 대표들의 총회가 소집되었다.[13][14]
1878년 6월 10일, 코소보, 모나스티르, 야니나의 오스만 ''빌라예트''에서 온 약 80명의 대표들이 프리즈렌에서 회의를 가졌다.[36] 이들은 대부분 무슬림 종교 지도자, 씨족장, 그리고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었으며,[36] 약 300명의 무슬림이 회의에 참여했다. 스쿠타리 빌라예트에서는 대표가 없었다.[37] 이들은 중앙위원회의 지시를 받는 상설 기구인 프리즈렌 동맹을 설립하고, 세금 부과와 군대 소집 권한을 부여했다.[38]
프리즈렌 동맹은 프리즈렌 지부와 남부 지부로 구성되었다.[39] 프리즈렌 지부는 일리아스 디브라가 이끌었고, 남부 지부는 압뒬 프라셰리가 이끌었다.[40] 남부 지역에서는 정교회 인구 대부분이 그리스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주로 무슬림들이 운동을 주도했다.[41] 반면 북부 지역에서는 무슬림과 가톨릭 인구가 모두 프리즈렌 동맹을 지지했다.[42]
초기에 오스만 당국은 프리즈렌 동맹을 지지했으나, 대표들에게 알바니아인보다는 오스만인임을 강조하도록 압박했다.[43][44] 일부 대표들은 무슬림 연대를 강조하며 이 입장을 지지했다.[46] 그러나 압뒬 프라셰리를 중심으로 한 다른 대표들은 알바니아 자치와 국가 건설을 목표로 알바니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집중했다.[47][48]
3. 1. 주요 인물
4. 프리즈렌 동맹의 활동
1877-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은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세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는 땅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사이에 분할될 것을 우려하여 저항을 시작했다.[2][3] 산 스테파노 조약에서는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에 할양하기로 했으나,[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영국이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여 조약을 막았다.[29][4] 이후 베를린 회의가 열려 이 문제를 다시 논의했다.[11][52]
이러한 상황에서 알바니아인들은 1877년 12월 12일 이스탄불에 알바니아 민족의 권리 옹호를 위한 중앙위원회를 설립했다.[9][13][10] 1878년6월 10일, 코소보의 프리즈렌에서 알바니아 각지의 대표 약 80명이 모여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했다.[36] 이들은 압뒬 프라셰리를 중심으로 알바니아인의 자치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초기에 오스만 당국은 프리즈렌 동맹을 지지했으나,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강화되면서 탄압으로 돌아섰다.[43][44]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베를린 회의에서 "알바니아 민족은 존재하지 않으며 알바니아는 단지 지리적 개념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동맹의 각서를 무시했다.[31] 회의 결과 바르와 포드고리차, 구시예, 플라브 등이 몬테네그로에 할양되었고, 세르비아도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 일부를 차지했다.[33][34][54]
프리즈렌 동맹은 베를린 회의의 결정에 반발하여 무장 저항을 조직했다.
4. 1. 군사적 저항
프리즈렌 동맹은 외교적 노력의 실패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 등 발칸 반도의 이웃 국가들과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51][52] 동맹은 3만 명의 무장 세력을 통제하며 오스만 제국에 대한 혁명을 시작했다.[53] 첫 군사 작전은 플라브와 구시예 지역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하는 것을 감독할 오스만 원수 메흐메드 알리 파샤에 대한 공격이었다.[54][55] 1879년 12월 4일, 동맹 회원들은 노브시체 전투에서 몬테네그로군을 격파했다.[63][56][57] 이후 동맹은 브슈트리, 페야, 미트로비차, 프리즈렌, 자코바 등 코소보의 여러 도시에서 오스만 제국의 통제권을 빼앗았다.[58]1881년 1월, 술레이만 복시는 동맹 군대를 이끌고 스코페와 프리슈티나를 점령했다. 2월에는 디브라를 점령하고 오스만 행정부를 철수시켰다. 동맹은 오스만 당국의 권위를 거부하고 완전한 분리를 추구했다.[59]
1878년 8월, 베를린 회의는 오스만 제국과 몬테네그로, 그리스 사이의 국경 획정을 명령했다.[60][61][62] 알바니아인들의 저항으로 열강들은 구시예와 플라브를 오스만 제국에 반환하고,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양도하도록 했다.[63][64] 알바니아인들은 울친 양도를 거부했고, 열강들은 해상 봉쇄와 오스만 당국에 대한 압력을 통해 이를 강제했다.[65][66] 알바니아의 노력으로 에피루스의 통제권을 되찾았지만, 일부 토지는 1881년 그리스에 양도되었다.[67][68] 열강들은 1881년에 그리스에 테살리아와 아르타 지역을 양도하기로 결정했다.[69][70]
카스토리아, 프릴레프, 비톨라, 벨레스 등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무장한 불가리아 단체가 프리즈렌 동맹에 의해 격퇴되었다.[71]
오스만 제국은 동맹을 진압하기 위해 데르비시 파샤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1881년 4월 프리즈렌을 점령하고 울친 전투에서 저항을 분쇄했다.[72][74] 동맹 지도자들과 그 가족들은 살해되거나 체포되어 추방되었다.[80][75]
국제적 압력으로 술탄은 데르비쉬 투르구트 파샤 휘하의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프리즈렌 동맹을 진압하고 울친을 몬테네그로에 넘겼다.[73][74] 슬리보바 전투에서 알바니아 저항군은 오스만 군대에 패배했지만, 오스만 측도 큰 피해를 입었다. 1881년 4월, 데르비쉬 파샤의 군대는 프리즈렌을 점령하고 울친에서의 저항을 분쇄했다.[72][74] 프리즈렌 동맹 지도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은 체포되어 추방되었다.[80][75]
5. 오스만 제국의 탄압과 동맹의 해체
오스만 제국은 프리즈렌 동맹을 진압하려 했고, 1881년 4월 데르비시 파샤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프리즈렌을 점령하고 울친 전투에서 저항을 분쇄했다.[72][74] 동맹 지도자들과 그 가족들은 살해되거나 체포되어 추방되었다.[80][75]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은 계속 붕괴되었고, 술탄 압뒬하미드 2세는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탄압에 의존했다.[79] 당국은 제국 내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정치적 상황을 통제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민족주의 활동 혐의자들을 체포했다.[80] 술탄이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4개 빌라예트(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의 통일을 요구하는 알바니아의 요구를 거부하자, 알바니아 지도자들은 프리즈렌 동맹을 재조직하고 봉기를 일으켜 특히 코소보 지역을 무정부 상태로 몰아넣었다. 동맹 해산 후 25년 동안 여러 봉기가 지역적으로 발생했으며, 대부분 북부 지역, 특히 코소보 빌라예트에서 발생했다.[81] 제국 당국은 1897년에 설립된 후속 조직인 페야 동맹을 해산하고, 1902년에 그 대표인 하지 제카를 처형했으며, 알바니아어 서적과 서신을 금지했다.[82][83]
6. 프리즈렌 동맹의 유산
프리즈렌 동맹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알바니아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이후 알바니아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알바니아 독립 이후, 프리즈렌 동맹은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 정신은 알바니아인들에게 계승되고 있다.[87]
1878년 7월, 압뒬 프라셰리(Abdyl Bey Frasheri)가 이끄는 프리즈렌 동맹의 60명으로 구성된 이사회는 베를린 회의에서 열강에게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발생한 알바니아 문제 해결에 대해 질문하는 서한을 보냈지만,[35] 회의에서 무시되었다.[26]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알바니아 민족은 존재하지 않으며 알바니아는 "단지 지리적 개념"이라고 선언하면서 동맹의 각서를 무시했다.[31]
프리즈렌 동맹은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에서 철수한 것에 대한 가장 분명한 알바니아인의 반응이었다.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여파로 산 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은 계속 붕괴되었고, 술탄 압뒬하미드 2세는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탄압에 의존했다.[79]
동맹은 활동 기간 동안 알바니아 민족의 이익을 열강에 알리는 데 성공했고,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더 많은 외국의 지원을 받은 페야 동맹의 길을 열었다. 궁극적인 실패에도 불구하고 프리즈렌 동맹은 몬테네그로와 그리스가 조직적인 항의가 없었다면 받았을 알바니아 주장의 영토보다 적은 영토를 획득하는데 기여했다. 이것은 국가 조직을 향한 첫 번째 단계였다.[87]
7.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발전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에서 크게 세력이 약화되었고, 마케도니아와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만을 간신히 유지했다.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땅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에 분할될 것을 우려하여 저항 운동을 펼쳤다. 전쟁 직후 체결된 산 스테파노 조약은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에 할양하기로 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베를린 회의에서 이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다.
산 스테파노 조약은 알바니아인과 보스니아인 사이에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1878년 봄 콘스탄티노플에서 압둘 프라셰리(Abdyl Frashëri) 등 알바니아 민족 운동 지도자들은 저항을 위한 위원회를 조직했다. 같은 해 5월,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 대표들이 모여 총회를 열었고, 6월 10일 코소보 주 프리즈렌에서 약 80명의 대표가 회합하여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했다. 이들은 징세권과 군대 설립 권한을 가진 중앙 위원회의 지도 아래 정치 기구로서 활동하기로 결정했다.
초기 오스만 제국 당국은 프리즈렌 동맹을 지원했지만, 대재상부는 대표들에게 '오스만 제국 국민'임을 선언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일부 대표는 이슬람교도의 단결을, 다른 대표들은 알바니아의 자율성 확보와 민족 정체성 확립을 주장했다.
베를린 회의는 동맹의 각서를 무시했고, 독일 제국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알바니아 민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까지 선언했다. 회의는 바르, 포드고리차, 구시네, 플라바 등을 몬테네그로에 할양하고, 세르비아에도 알바니아인 거주지를 넘겨주기로 했다. 알바니아인들은 이에 반발하며 이피로스 지역의 그리스 편입 가능성에도 우려를 표했다. 프리즈렌 동맹은 무장 저항을 조직했고, 국경 지대는 "피에 젖는다"라고 표현될 정도로 격렬한 충돌이 벌어졌다.
1878년 8월, 베를린 회의는 오스만 제국과 몬테네그로 간 국경 책정을 촉구했고, 그리스와 오스만 제국의 국경 문제 해결도 요구했다. 알바니아인들의 저항으로 구시네와 플라바는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지만, 울친은 몬테네그로에 할양되었다. 알바니아인들은 울친 할양을 거부했고, 열강은 해상 봉쇄와 압력을 통해 진압했다. 1881년 열강은 오스만 제국령 테살리아와 알타 현 지역을 그리스에 할양하기로 결정했다.
압둘 하미드 2세는 군대를 파견하여 프리즈렌 동맹을 억제하고 울친 할양을 강행했다. 1881년 4월, 오스만 제국군은 프리즈렌을 점령하고 저항 세력을 진압했으며, 지도자들은 체포, 강제 송환되었다. 프라셰리는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으나 7년 후 사망했다. 프리즈렌 동맹은 3년간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알바니아인의 존재를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성공했다.
알바니아인 지도자들은 민족 정체성 확립에 어려움을 겪었다. 알바니아어 사용 지역은 4개 주로 분할되어 있었고, 종교적 차이로 인해 민족주의 지도자들은 종교를 배제하고 세속적 특징을 강조해야 했다. 알바니아어는 표준 문자와 정서법이 없어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90]가 사용되었고, 각 문자 지지자들은 정치, 종교적 성향에 따라 대립했다. 1878년 당시 기로카스트라, 베라트, 블로러에는 알바니아어 학교가 없었다.
19세기 말 알바니아 지식인들은 알바니아 표준어를 고안하고 학교 교육에 사용하고자 했다. 1879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사미 프라셰리(Sami Frasheri)는 알바니아어 출판 협회를 설립했고, 나임 프라셰리는 교과서 집필, 편찬에 참여했다. 알바니아계 이민자들은 협회 활동을 지원했다.
7. 1. 마나스티르 회의 (1908)
1908년 알바니아 지식인들은 마나스티르에서 회합을 갖고, 알바니아어 표준 문자를 라틴 문자로 결정했다. (마나스티르 회의)[77] 이때까지는 라틴 문자 외에도 키릴 문자, 아랍 문자가 사용되고 있었다.[77]8. 알바니아 독립 (1912)
1912년 10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알바니아인 영토를 침공하여 주민들을 학살하기 시작했다. 제1차 발칸 전쟁이 발발하자, 알바니아 지도자들은 독립 국가로서의 알바니아를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1]
1912년 11월, 알바니아 대표들은 블로러에서 알바니아의 독립을 선언하고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1]
1912년 12월, 런던에서 외교관 회의가 열려 알바니아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1]
1913년 5월, 런던 조약이 체결되면서 제1차 발칸 전쟁은 끝났지만, 곧바로 제2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다. 같은 해 11월, 부쿠레슈티 조약이 체결되면서 제2차 발칸 전쟁이 종결되었고, 열강들은 알바니아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영역의 절반(코소보, 차메리아 등)은 인구 통계에서 무시되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스 등에 분할되었다. 현재 코소보 북쪽에 인접한 토플리차 구 (Toplica)와 현재 세르비아에 포함된 야바니차 구 (Jabanica)의 메드베자, 푸치냐 구의 부야노바츠, 프레셰보는 여러 자치시로 분할되었다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두 자치시는 코소보에 포함되지 않는 중앙 세르비아에서 알바니아인 거주 비율이 가장 높으며, 프레셰보 계곡으로 알려져 있다).[1]
9. 코소보 문제
프리즈렌 동맹의 주요 활동 지역이었던 코소보는 세르비아에 편입된 후에도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지로 남아있었다. 20세기 후반 코소보 전쟁을 거쳐 2008년 코소보 공화국으로 독립했지만, 세르비아는 여전히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분쟁의 불씨가 남아있다.[1]
제1차 발칸 전쟁은 런던 조약으로 끝났지만, 곧이어 제2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다. 제2차 발칸 전쟁은 부쿠레슈티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열강들은 알바니아인 국가의 독립을 승인했다. 그러나 인구 통계에서는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영역의 절반(코소보나 차메리아와 같은 지역)이 무시되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그리스 등으로 분할되었다.[1]
현재 코소보 북쪽에 인접한 토플리차 구 (Toplica)와 현재 세르비아에 포함된 야바니차 구 (Jabanica)의 메드베자, 푸치냐 구의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각 자치시로 분할되었다. 부야노바츠, 프레셰보 양 자치시는 코소보에는 포함되지 않는 중앙 세르비아에서 가장 알바니아인의 거주 비율이 높으며, 프레셰보 계곡으로 알려져 있다.[1]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논문
Violence and its Impact on Loyalty and Identity Formation in Late Ottoman Kosovo: Muslims and Christians in a Period of Reform and Transformation
[9]
웹사이트
Albanian League of Prizren
http://prizren360.co[...]
2014-11-23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서적
Coercive Diplomacy of NATO in Kosovo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6]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7]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19]
웹사이트
1878 The Resolutions of the League of Prizren
http://www.albanianh[...]
2011-02-20
[20]
간행물
[21]
간행물
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in association with the Centre for Albanian Studies
2011-01-18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1-01-18
[25]
서적
Only the nails remain: Scenes from the Balkan Wars
https://books.google[...]
Lanham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서적
Albania and the European Union: the tumultuous journey towards integration and accession
https://books.google[...]
IB Tauris
[32]
서적
Bismark: the Story of a Fighter
Little
[33]
간행물
[34]
간행물
[35]
간행물
[36]
서적
[37]
서적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1-01-18
[38]
서적
[39]
서적
[40]
간행물
Beginnings of Albanian Nationalist and Autonomous Trends: The Albanian League, 1878–1881Author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문서
Nuray Bozbora, The Policy of Abdulhamid II Regarding The Prizren League
[46]
서적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1770–1945)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1-01-18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Mediterranean Diasporas: Politics and Ideas in the Long 19th Century
Bloomsbury Publishing
[50]
서적
Mediterranean Modernism: Intercultural Exchange and Aesthetic Development
Springer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Volumes 19–20
https://books.google[...]
R. Trofenik
[58]
서적
[59]
간행물
Nineteenth-Century Albanian History
http://www.albanianh[...]
1916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Nation Failure, Ethnic Elites, and Balance of Power: The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of Kosova
https://books.google[...]
Springer
[72]
간행물
[73]
간행물
[74]
간행물
[75]
서적
Kosovo: The politics of delus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76]
간행물
[77]
간행물
[78]
간행물
[79]
간행물
[80]
간행물
[81]
간행물
[82]
간행물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서적
The Albanian national awaken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6]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https://books.google[...]
IB Tauris
[87]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문서
"Ulcinj'' / アルバニア語でウルチニ ''Ulqini"
[89]
문서
これは[[希土戦争]]の発端となった。
[90]
문서
[[アルバニア語#文字]]を参照
[91]
문서
バスティナード(en)(すなわち杖で打つこと)
[92]
웹사이트
http://www.illyrians[...]
[93]
문서
(オスマン帝国の不正規兵、bashi-bazouk/akindjias)
[94]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