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자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남동부에서 코소보와 알바니아 국경까지 걸쳐 있는 지역으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걸쳐 있다. 이 지역은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알바니아어로 '산자크'로 불리며, 오스만 제국의 'sancak'(주)에서 유래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인에 의해 '라슈카'로 불리기도 한다. 산자크는 노비 파자르 산자크 또는 단순히 산자크로 불리며,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민족적 무슬림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은 지리적으로 6개의 세르비아 자치구와 7개의 몬테네그로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와 제1차 발칸 전쟁을 거치며 민족 구성과 정치적 지위가 변화했다. 1991년 자치 국민투표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자치권 획득 전망은 불투명하다. 산자크의 인구는 보스니아인이 가장 많으며,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민족 무슬림,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며, 종교적으로는 이슬람교와 정교회가 우세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산자크 | |
---|---|
지리 | |
위치 |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사이 |
최대 도시 | 노비파자르 |
면적 | 8,686 km² |
역사적 배경 | |
명칭 | 어원 - 튀르크어 "산자크" (노비 파자르 산자크) |
역사 | 오스만 제국의 산자크 행정 구역에서 유래 라슈카(Raska) 지역과 관련 |
행정 구역 | |
국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내 행정 구역 | 즐라티보르 구 라슈카 구 |
몬테네그로 내 행정 구역 | 플레블랴 시 비옐로폴예 시 베라네 시 로자예 시 플라브 시 구시네 시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2년) | 372,159명 |
세르비아 산자크 | 233,091명 |
몬테네그로 산자크 | 139,068명 |
기타 | |
차량 번호판 | 세르비아: NP, TT, SJ, PP, PB, NV 몬테네그로: PV, BP, BA, AN, RO, GS, PT |
2. 명칭
세르보크로아트어 용어인 '산자크'(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Санџак)는 오스만 튀르크어의 ''sancak''(산자크, "주")를 음차한 것이다.[8] 세르보크로아트어로는 ''노보파자르스키 산자크''(Novopazarski sandžak)로 알려진 노비 파자르 산자크를 가리킨다.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인들은 이곳을 라슈카라고 불렀다. 이 지역은 알바니아어로 ''산자크''(Sanxhak)로 알려져 있다.[9]
산자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남동부 국경에서 코소보[11][12][13] 및 알바니아[13] 국경까지 약 8500km2 면적에 걸쳐 있다.
산자크 지역에 알려진 가장 오래된 거주자는 트라키아인이었다. 기원 1세기에 이 지역은 로마 제국에 정복되었고, 6세기부터 7세기에 걸쳐 슬라브인, 세르비아인 부족이 살게 되었다.
이 지역의 명칭은 '''노비 파자르 산자크'''(Novopazarski Sandžak|노보파자르스키 산자크sr) 또는 단순히 '''산자크'''로 불리며, 이 지역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민족적 무슬림 (무슬림인)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때로는 세르비아인은 '''라슈카 주'''(Рашка Област/Raška Oblast|라슈카 오블라스트sr)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제적으로는 '''노비 파자르 산자크'''로 알려져 있으며, 산자크는 터키어로 현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3. 지리
산자크 지역의 자치구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걸쳐있다.국가 자치구 세르비아 노비 파자르, 세니차(Sjenica), 투틴(Tutin), 프리예폴레(Prijepolje), 노바 바로시(Nova Varoš), 프리보이(Priboj)[14] 몬테네그로 플레블랴, 비옐로 폴레, 베라네(Berane), 페트니차, 로자예, 구시네, 플라브(Plav)[15]
때때로 몬테네그로의 안드리예비차(Andrijevica) 자치구도 산자크의 일부로 간주된다.
이 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자치구는 노비 파자르(100,410명)[16]이며, 다른 큰 자치구로는 플레블랴(31,060명)[17]와 프리보이(27,133명)[16]가 있다. 세르비아에서 노비 파자르와 투틴 자치구는 라슈카 구에 속하며[18], 세니차, 프리예폴레, 노바 바로시, 프리보이 자치구는 즈라티보르 구에 속한다.[18]
4. 역사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세르비아인의 국가인 라슈카(Raška)의 일부가 되었다. 라슈카의 수도는 라스였으며, 현재 노비 파자르의 위치에 있었다. 이 지역은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세르비아인의 영토였다.
1912년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군에 의해 산자크 지역이 점령되었고,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의해 분할되었다. 많은 보스니아인 및 알바니아인 이슬람교도 주민들은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당국의 탄압을 피해 난민(Muhajir)으로서 터키로 탈출했다. 이들의 터키로의 탈출은 1912년부터 1970년경까지 이어졌다. 현재 터키에 거주하는 100만 명 이상의 주민이 산자크 출신이거나 그 자손이며, 에디르네, 이스탄불, 아다파자르, 부르사, 삼순 등과 그 주변에 여러 산자크 출신 보스니아인의 정착지가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14년부터 1918년까지 산자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점령하에 있었다. 1918년, 세르브-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이 성립(1922년)되기 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통합되었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 산자크는 유고슬라비아의 제타 바노비나(Zeta Banovina) 주에 편입되었으며, 주도는 체티네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산자크의 대부분은 이탈리아의 점령하에 놓였고, 그 대부분은 이탈리아가 지배하는 몬테네그로 행정구에 편입되었다 (노비 파자르는 세르비아령으로 남았고, 플라브와 로자예는 이탈리아 지배하의 알바니아에 편입되었다). 1943년 이탈리아가 패전한 이후에는 나치 독일의 점령하에 놓였다. 종전 후, 산자크는 1913년의 분할 협정에 따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 의해 다시 분할되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에서 산자크는 비교적 피해가 적었으나,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주민들 사이에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었고, 코소보 전쟁에서는 NATO의 공습이 있었다. 산자크의 보스니아인 정당에 따르면, 압박과 경찰의 폭력을 피해 약 6만 명에서 8만 명의 보스니아인이 분쟁 기간 동안 이 지역을 떠났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프리보이 근처의 세베린(Sjeverin), 플리예블랴 근처의 부코비차(Bukovica), 프리예폴레 근처의 슈트르프치(Štrpci) 등에서 보스니아인에 대한 집단 학살이 발생했다.
2000년 세르비아의 민주화 이후, 보스니아인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이 개발 도상 지역에서는 전 민족에서 공통된 인구 유출이 나타나고 있다.
4. 1.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 (15세기 ~ 20세기 초)
세르비아 전제 공국은 1455년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서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피지배 인구는 주기적으로 강제 이슬람교로 개종되었다.[19][20] 이는 잠재적인 베네치아 공화국의 침략에 대항하여 인구의 충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다. 또한, 이슬람교는 데브시르메 시스템, 즉 아동 징발 노예화[19][21]를 통해 강제로 퍼져나갔다. 이 시스템은 발칸 반도에서 온 토착 유럽 기독교 소년들 (주로 알바니아인, 불가리아인, 크로아티아인, 그리스인,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 우크라이나인)을 징발하여 강제 할례를 시키고 이슬람교로 강제 개종시켜 오스만 군대에 편입시켰으며,[19][21] 지즈야세를 부과했다.[19][20][22]
산자크의 이슬람화는 경제적인 요인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했는데, 주로 무슬림은 데브시르메 조공과 지즈야세를 내지 않았다. 또한 무슬림은 기독교인에 비해 특권을 누렸는데, 기독교인은 행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무슬림에 대한 법정 증언을 할 수 없었고, 짐미로 취급받았다. 이슬람화에 기여한 두 번째 요인은 이주였다. 대터키 전쟁 (1683–1699) 이후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다.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정교회 기독교인 인구의 일부는 북쪽으로 추방되었고, 다른 기독교인과 무슬림은 오스만 영토로 쫓겨났다. 동방 정교회 세르비아인이 버린 땅에는 산자크에서 무슬림이 되었거나 된 인접 지역의 인구가 정착했다. 18세기와 19세기 동안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다. 이슬람화의 세 번째 요인은 산자크의 지리적 위치였으며, 이는 상인들 사이에서 개종을 촉진하는 무역 중심지가 되도록 했다. 산자크로의 부족 이동은 문화와 함께 그 역사와 정체성에 큰 역할을 했다.[23][24]
19세기 후반은 산자크의 현재 민족 및 정치 상황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산자크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적어도 그 안에서 자치를 누리는 것을 지지했다. 그 이유는 몬테네그로 왕국과 세르비아 왕국이 통일되는 것을 막고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발칸 반도로 더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이 계획에 따라 산자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콘도미니엄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며, 그 무슬림 인구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동방 정교회 세르비아인으로부터 무슬림 소수민족을 보호한다는 구실을 제공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산자크는 1790년까지 보스니아 산자크의 행정 구역이었고, 그 후 분리된 노비 파자르 산자크가 되었다.[25] 그러나 1867년에는 노비 파자르 산자크를 포함한 7개의 산자크로 구성된 보스니아 빌라예트의 일부가 되었다.[26] 이로 인해 산자크 무슬림들은 다른 보스니아의 슬라브계 무슬림과 동일시하게 되었다.
알바니아어 사용자는 점차적으로 코소보와 북마케도니아의 오스만 지방으로 이주하거나 이주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는 주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남았다 (산자크의 남동쪽 구석은 코소보의 일부로 편입됨).[27]
알바니아 부족인 슈크렐리와 켈멘디의 일부 구성원은 1700년경에 페슈테르와 산자크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켈멘디 추장은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자신의 백성을 개종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총 251가구 (1,987명)의 켈멘디가 이 기회에 페슈테르 지역으로 재정착했지만, 5년 후 추방된 켈멘디의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가는 데 성공했고, 1711년에는 페슈테르에서 다른 사람들을 데려오기 위해 대규모 습격 부대를 보냈다. 남은 켈멘디와 슈크렐리는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20세기까지 슬라브어 사용자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스스로 보스니아 민족의 일부로 정체성을 인식하지만, 페슈테르 고원에서는 알바니아어를 20세기 중반까지, 특히 우가오, 보로슈티차, 돌리체, 그라다츠 마을에서 사용했다.[28] 18세기부터 호티 부족에서 온 많은 사람들이 산자크로 이주하여 현재 튜틴 지역을 중심으로 세니차에도 거주하고 있다.[29]
1912년 10월, 제1차 발칸 전쟁 중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군대는 산자크를 점령했으며, 이후 두 국가에 의해 분할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슬라브계 무슬림과 알바니아인이 오스만 터키로 이주하여 무하지르가 되었다.
전쟁 후, 산자크는 새롭게 형성된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의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서쪽에 있는 무슬림과 코소보 및 북마케도니아의 동쪽에 있는 무슬림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산자크의 슬라브계 무슬림은 오스만 제국의 패배와 붕괴로 인해 경제적 쇠퇴를 겪었는데, 이는 그들의 주요 경제적 안정의 원천이었다. 또한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시행된 농지 개혁은 그들의 경제 상황을 악화시켜 산자크에서 오스만 제국으로의 무슬림 이주를 초래했다.
4. 2.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1912년 ~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산자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의해 점령되었다.[30][31] 1919년 로자예, 구시네, 플라브 지역에서 알바니아 반란이 일어나 산자크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편입되는 것에 반대하며 싸웠는데, 이는 나중에 ''플라브 반란''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세르비아 군이 1918-1919년에 로자예를 두 번째로 점령하면서 700명의 알바니아 시민들이 학살되었다. 1919년 세르비아군은 영국 정부에 보호를 요청했던 플라브와 구시네의 알바니아인들을 공격했고, 봉기가 진압된 후 약 450명의 지역 민간인이 사망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 공국으로 이주했다.[32][33]
4.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산자크는 여러 세력의 격전지였다. 1941년, 이 지역은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총독부, 알바니아 왕국에 대한 이탈리아 보호령, 세르비아 군사 사령부 영토로 분할되었다.[34] 무슬림 인구는 일반적으로 반(反)파르티잔 성향을 보였으며,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를 조직했다. 이 부대는 지역에 따라 알바니아 민족주의 단체 또는 무슬림 우스타샤 단체와 연계되었다. 많은 정교회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민족주의 체트니크를 조직했다.
1943년 이후 정교회 세르비아인과 무슬림의 소규모 그룹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산자크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평의회에서 조직되었다. 알바니아 민병대는 대(大)알바니아에 포함되도록 싸웠고, 우스타샤 부대는 산자크의 적어도 일부를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보스니아 무슬림에 합류시키려 했다. 유고슬라비아인, 슬라브 무슬림,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들은 서로 다른 전략을 채택했다. 무슬림은 연방 유고슬라비아 아래 보스니아와의 통일을 원하거나 자치 산자크 지역의 설립을 원했다.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은 이 지역이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에 완전히 편입되기를 원했다.[34]
몬테네그로의 이탈리아 통치 지역에 공식적으로 속했던 프리에폴레는 실제로 NDH와 연계된 술레이만 파차리즈의 지배를 받았고, 독일 세력권의 노비파자르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자 아키프 블루타가 이끌었다. 1941년 4월, 남부 산자크에서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간의 충돌이 시작되었다. 1941년 11월, 알바니아인들은 노비파자르 전투에서 체트니크를 격파했다. 1943년, 몬테네그로에 주둔한 체트니크 부대는 현대 세르비아의 비호르 지역에서 무슬림에 대한 일련의 민족 청소 작전을 수행했다. 1943년 5월, 비호르에서 약 5,400명의 알바니아 남녀와 어린이가 파블레 쥬리시치 휘하의 체트니크 부대에 의해 학살되었다.[35] 전쟁 중 산자크에서 체트니크 및 관련 단체에 의해 총 9,000명의 무슬림이 살해된 것으로 추산된다. 1942년 3월 2일, 노비파자르의 유대인들은 독일군에 의해 체포되어 절멸 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35]
1943년에는 알바니아 협력 부대 3개 대대와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 1개 대대를 합쳐 SS 경찰 "자위대" 연대 산자크가 창설되었다.[37] 이 부대의 지도자는 술레이만 파차리즈였다.[39]
산자크 인민 해방 반파시스트 평의회(AVNOS)는 1943년 11월 20일 플레블랴에서 창설되었다. 1945년 2월, AVNOJ의 의장단은 산자크의 자치에 반대하는 결정을 내렸다. AVNOJ는 산자크가 자치를 위한 민족적 기반이 없으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전체성을 붕괴시키는 것에 반대한다고 설명했다. 1945년 3월 29일 노비파자르에서 AVNOS는 AVNOJ의 결정을 수락하고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분할되었다.[34]
4. 4.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1945년 ~ 1991년)
산자크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동안 경제적으로 낙후된 상태였다. 원유 생산량은 적었고, 산업은 낮은 수입에 의존했다. 화물 운송은 열악한 도로 사정으로 인해 주로 트럭에 의존했다. 노동 계층 청년들을 위한 상업 학교가 개설되었지만, 전반적인 교육 수준은 낮았다. 산자크 지역에는 단과대학은 물론이고, 학과나 고등 교육 기관도 없었다.[40]
이 시기 산자크는 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노비 파자르, 프리에폴레, 프리보이, 이반그라드 등 여러 도시에 공장이 들어섰고, 프리에폴레 지역에는 석탄 광산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산업화는 도시화를 촉진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면서, 도시 중심지의 민족 구성에도 변화가 생겼다. 특히 무슬림 인구 비율이 감소했는데, 이는 도시 거주자 대부분이 세르비아인이었기 때문이다. 무슬림들은 오스만 제국 붕괴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토지 개혁 이후 지속적으로 경제적 지위를 잃어갔다.[40]
무슬림들의 터키 이주는 지역의 전반적인 미개발, 공산주의 당국과의 갈등, 세르비아인 및 몬테네그로인과의 불신, 재산 국유화 및 몰수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계속되었다. 한편, 산자크 출신의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 중부의 더 부유한 지역이나 베오그라드, 보이보디나 등으로 이주했고, 무슬림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이주했다.[40]
4. 4. 1. 1991년 자치 국민투표
산자크 자치에 관한 국민투표가 1991년 10월 25일부터 27일까지 산자크 무슬림 민족 협의회(MNVS)에 의해 실시되었는데, MNVS는 무슬림 민주행동당 (SDA)과 다른 보스니아 무슬림 단체 및 정당으로 구성되었다.[41] 세르비아는 이 투표를 불법으로 선언했다. SDA에 따르면, 인구의 70.2%가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 중 98.92%가 자치에 찬성표를 던졌다.[42]
4. 5. 현대 (1991년 ~ 현재)
2000년 세르비아에서 민주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보스니아계 민족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라심 랴이치는 세르비아 정부에서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리파트 라스토데르는 몬테네그로 의회 부의장을 지냈다.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산자크 지역은 낙후되어 모든 민족에서 전반적인 인구 유출이 나타나고 있다.
5. 인구 통계
노비 파자르 산자크는 민족적, 종교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다. 1878~1881년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된 지역에서 온 슬라브계 무슬림 난민들이 산자크에 정착했다.[43] 오스만 제국은 종교만 등록했기 때문에 민족에 대한 공식 통계는 없지만, 이 지역의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영사관은 자체적인 민족지적 추정을 내놓았다.[43]
1901~1902년 불가리아 외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노비 파자르 산자크의 5개 카자(구)는 아코바, 세니차, 콜라신, 노비 파자르, 노바 바로시였으며, 각 카자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카자 | 민족 구성 |
---|---|
아코바 | 47개 알바니아 마을 (1,266가구), 11개 세르비아 마을 (216가구), 115가구의 혼합 마을 (575명,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
세니차 | 정교회 세르비아인 (69개 마을, 624가구), 보스니아 무슬림 (46개 마을, 655가구), 17개 혼합 마을 (정교회 세르비아인과 보스니아 무슬림), 세니차 마을에만 알바니아인 (505가구) 거주 |
노비 파자르 | 244개 세르비아 마을 (1,749가구), 81개 알바니아 마을 (896가구), 9개 혼합 마을 (173가구,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노비 파자르 마을에 1,749개의 세르비아 및 알바니아 가구 (8,745명) |
콜라신 | 27개 알바니아 마을 (732가구), 5개 세르비아 마을 (75가구), 샤호비치 (카자 행정 중심지)에 25개 알바니아 가구 |
노비 바로시 | 19개 세르비아 마을 (298가구), "200채의 집이 있는 보스니아 마을 1개", 노비 바로시에는 725개의 세르비아 가구와 일부 알바니아 가구 |
발칸 전쟁 이전 노비 파자르 산자크의 마지막 공식 인구 조사는 1910년에 실시되었는데, 무슬림 52,833명과 정교회 세르비아인 27,814명이 기록되었다.[47] 인구의 약 65%는 무슬림이었고 35%는 세르비아 정교회였으며, 무슬림 인구의 대부분은 알바니아인이었다.[47] 1931년 유고슬라비아 전쟁 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는 비옐로 폴레, 프리예폴레, 노바 바로시, 플레블랴, 프리보이, 세니차 및 슈타비차에서 총 204,068명이 집계되었으며, 대부분 정교회 세르비아인 또는 몬테네그린인(56.48%)과 보스니아 무슬림(43.09%)으로 집계되었다.[34]
2002년과 200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자크 지역 전체 인구는 420,259명이었다. 이 중 세르비아 영토는 235,567명, 몬테네그로 영토는 184,692명이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인과 민족 무슬림의 인구는 총 220,065명으로, 산자크 전체 인구의 52.36%를 차지했다.
'''2002년과 2003년 인구 조사에 따른 산자크의 민족별 인구''':
민족 | 인구 | 비율 (%) |
---|---|---|
보스니아인 | 193,026명 | 45.93 |
세르비아인 | 152,825명 | 36.36 |
몬테네그로인 | 28,438명 | 6.77 |
민족 무슬림 | 27,039명 | 6.43 |
기타 (알바니아인, 로마인, 튀르크인 등) | - | - |
'''세르비아령 산자크'''와 '''몬테네그로령 산자크'''의 민족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보스니아인 | 세르비아인 | 민족 무슬림 | 몬테네그로인 | 기타 |
---|---|---|---|---|---|
세르비아령 산자크 | 134,128명 (56.94%) | 89,396명 (37.95%) | 8,222명 (3.49%) | 928명 (0.40%) | - |
몬테네그로령 산자크 | 58,898명 (31.89%) | 63,429명 (34.34%) | 18,817명 (10.19%) | 27,510명 (14.89%) | - |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자치 단체는 투틴(94.23%), 로자예(82.09%), 노비 파자르(76.28%), 세니차(73.34%), 플라브(50.73%)이다.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자치 단체는 노바 바로시(90.09%), 프리보이(74.15%), 프리에폴리에(56.82%), 플리에블라(59.52%)이다. 특정 민족이 다수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중 세르비아인이 상대적으로 다수인 자치 단체는 비옐로 폴레(36.31%), 베라네(41.43%)이다.
5. 1. 민족 구성
산자크의 총 인구는 약 385,666명이다. 이 지역 인구의 다수는 보스니아인이며, 전체 인구의 52.05%(197,754명)를 차지한다. 그 외 세르비아인 30.03%(114,121명), 몬테네그로인 6.97%(26,494명), 민족 무슬림 4.71%(17,879명), 알바니아인 1.06%(4,035명) 등으로 구성된다. 약 19,687명(5.18%)은 소수 민족이거나 민족 정체성을 밝히지 않았다.시정촌 | 민족 (2022년 세르비아 인구 조사 및 2023년 몬테네그로 인구 조사) | 총계 | |||||||||||
---|---|---|---|---|---|---|---|---|---|---|---|---|---|
보스니아인 | % | 세르비아인 | % | 몬테네그로인 | % | 무슬림 | % | 알바니아인 | % | 기타 | % | ||
노비 파자르 (세르비아) | 85,204 | 79.84 | 14,142 | 13.25 | 34 | 0.03 | 1,851 | 1.73 | 200 | 0.19 | 5,289 | 4.96 | 106,720 |
비옐로 폴리에 (몬테네그로) | 12,315 | 31.85 | 16,675 | 43.13 | 5,751 | 14.88 | 2,916 | 7.54 | 55 | 0.14 | 950 | 2.46 | 38,662 |
투틴 (세르비아) | 30,413 | 92.01 | 704 | 2.13 | 1 | 0.00 | 340 | 1.03 | 16 | 0.05 | 1,579 | 4.78 | 33,053 |
프리예폴리에 (세르비아) | 12,842 | 39.86 | 14,961 | 46.44 | 37 | 0.11 | 1,945 | 6.04 | 10 | 0.03 | 2,419 | 7.51 | 32,214 |
베라네 (몬테네그로) | 1,103 | 4.48 | 14,742 | 59.82 | 6,548 | 26.57 | 532 | 2.16 | 28 | 0.11 | 1,692 | 6.87 | 24,645 |
플레블랴 (몬테네그로) | 1,765 | 7.31 | 16,027 | 66.41 | 4,378 | 18.14 | 797 | 3.30 | 0 | 0.00 | 1,167 | 4.84 | 24,134 |
셰니차 (세르비아) | 17,665 | 73.35 | 3,861 | 16.03 | 3 | 0.01 | 1,069 | 4.44 | 26 | 0.11 | 1,459 | 6.06 | 24,083 |
프리보이 (세르비아) | 4,144 | 17.62 | 16,909 | 71.91 | 47 | 0.20 | 914 | 3.89 | 2 | 0.01 | 1,498 | 6.37 | 23,514 |
로자예 (몬테네그로) | 19,627 | 84.66 | 593 | 2.56 | 868 | 3.74 | 738 | 3.18 | 1,176 | 5.07 | 182 | 0.79 | 23,184 |
노바 바로쉬 (세르비아) | 673 | 4.98 | 11,901 | 88.11 | 9 | 0.07 | 308 | 2.28 | 4 | 0.03 | 612 | 4.53 | 13,507 |
플라브 (몬테네그로) | 5,940 | 65.64 | 1,546 | 17.08 | 372 | 4.11 | 236 | 2.61 | 853 | 9.43 | 103 | 1.14 | 9,050 |
페트니차 (몬테네그로) | 4,162 | 83.96 | 47 | 0.95 | 237 | 4.78 | 461 | 9.30 | 0 | 0.00 | 50 | 1.01 | 4,957 |
구시녜 (몬테네그로) | 2,247 | 57.13 | 109 | 2.77 | 61 | 1.55 | 127 | 3.23 | 1,352 | 34.38 | 37 | 0.94 | 3,933 |
산자크 | 198,100 | 54.78 | 112,217 | 30.03 | 18,346 | 5.07 | 12,234 | 3.38 | 3,722 | 1.03 | 17,037 | 4.71 | 361,656 |
산자크에 거주하는 보스니아인 중 3분의 2는 몬테네그로 본국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687년 오스만 제국이 코토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몬테네그로를 탈출하여 산자크로 이주했다. 몬테네그로 내 이슬람교 개종자에 대한 탄압으로 인해 이슬람교도의 산자크로의 탈출은 계속되었다. 1687년과 1740년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산자크의 정교도가 세르비아 및 보이보디나로 이동하면서 정교도 인구가 감소한 것도 산자크의 이슬람 인구 비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1858년부터 1878년 베를린 조약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인정될 때까지 몬테네그로에서 많은 사람들이 국외로 이주했다. 1878년 이후 니크시치에는 20가구의 보스니아인만 남았고, 코라신, 스푸지, 그라호보 등에서는 보스니아인 인구가 사라졌다. 1912년 발칸 전쟁으로 산자크와 메토히야의 일부를 몬테네그로가 획득했을 때, 몬테네그로 군대가 12,000명의 보스니아인 및 알바니아인을 정교회로 개종시켰다. 그러나 국제적인 압력으로 1913년 정교회로 개종했던 거의 전부가 이슬람교로 다시 개종했다. 1924년 샤호비치에서 몬테네그로인 민중에 의해 수백 명의 보스니아인이 살해된 집단 학살이 일어났는데, 이는 보스니아인 범죄자가 지역 몬테네그로인 영웅을 살해했다는 주장을 근거로 일어났지만, 이는 완전히 잘못된 주장이었다.
보스니아인의 20% 정도는 북 알바니아의 가톨릭 부족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들은 18세기 초 슈코드라 지방에서 이주해 왔으며, 19세기 말에는 거의 모두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보스니아인에게 동화되었다. 그러나 이들 중 다수는 알바니아인의 전통을 계승했으며, 특히 산자크 서부에서 두드러진다. 알바니아인에 기원을 둔 보스니아인 노인 중에는 현재에도 유창한 알바니아어를 구사하는 사람도 있다.
그 외의 산자크 보스니아인은 슬라보니아 지방 등 여러 다른 곳에서 산자크에 도착했다. 1687년 이후 오스트리아-투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사바 강 이북의 땅을 모두 잃은 후, 헤르체고비나 반란 이후, 베를린 회의로 보스니아 및 헤르체고비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공식적으로 병합했을 때 등 여러 차례 이주가 있었다.
세르비아인은 세르비아령 산자크 서부(프리예폴레, 프리보이, 노바바로시) 및 몬테네그로령 산자크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몬테네그로령 산자크의 플레블랴는 몬테네그로령 산자크에서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최대의 도시이다. 산자크에는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 많이 있으며, 주르제비 스투포비 수도원, 소포차니 수도원, 츠르나 레카, 쿠마니차, 다비도비차, 푸스티냐, 미레셰바, 두브니차, 우바츠 수도원 등이 있다.
2002년과 200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산자크 지역 전체 인구는 420,259명이었다. 이 중 세르비아 영토는 235,567명, 몬테네그로 영토는 184,692명이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인과 민족 무슬림의 인구는 총 220,065명으로, 산자크 전체 인구의 52.36%를 차지했다.
'''산자크의 민족별 인구''':
- 보스니아인 = 193,026명 (45.93%)
- 세르비아인 = 152,825명 (36.36%)
- 몬테네그로인 = 28,438명 (6.77%)
- 민족 무슬림 = 27,039명 (6.43%)
- 기타 (알바니아인, 로마인, 튀르크인 등)
'''세르비아령 산자크의 민족별 인구''':
- 보스니아인 = 134,128명 (56.94%)
- 세르비아인 = 89,396명 (37.95%)
- 민족 무슬림 = 8,222명 (3.49%)
- 몬테네그로인 = 928명 (0.40%)
- 기타
'''몬테네그로령 산자크의 민족별 인구''':
- 세르비아인 = 63,429명 (34.34%)
- 보스니아인 = 58,898명 (31.89%)
- 몬테네그로인 = 27,510명 (14.89%)
- 민족 무슬림 = 18,817명 (10.19%)
- 기타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자치 단체: 투틴(94.23%), 로자예(82.09%), 노비 파자르(76.28%), 세니차(73.34%), 플라브(50.73%)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자치 단체: 노바 바로시(90.09%), 프리보이(74.15%), 프리에폴리에(56.82%), 플리에블라(59.52%)
특정 민족이 다수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중 세르비아인이 상대적으로 다수인 자치 단체: 비옐로 폴레(36.31%), 베라네(41.43%)
5. 2. 종교 구성
산자크의 종교는 민족 구성만큼이나 다양하며, 보스니아인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세르비아인 다수는 정교회를 믿는다. 그러나 오랜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산자크는 이슬람교가 더 우세하다.[53][54]지방 자치체 | 이슬람교 | 정교회 | 기타 | 총계 | |||
---|---|---|---|---|---|---|---|
수 | % | 수 | % | 수 | % | ||
노비파자르(세르비아) | 88,493 | 82.92 | 13,690 | 12.83 | 4,537 | 4.25 | 106,720 |
비옐로폴레(몬테네그로) | 17,202 | 44.49 | 20,956 | 54.20 | 504 | 1.30 | 38,662 |
투틴(세르비아) | 30,909 | 93.51 | 646 | 1.96 | 1,498 | 4.53 | 33,053 |
프리예폴레(세르비아) | 15,066 | 46.77 | 14,941 | 46.38 | 2,207 | 6.85 | 32,214 |
베라네(몬테네그로) | 3,698 | 15.01 | 20,384 | 82.71 | 563 | 2.28 | 24,645 |
플레블랴(몬테네그로) | 4,092 | 16.96 | 19,330 | 80.09 | 712 | 2.95 | 24,134 |
시에니차(세르비아) | 18,860 | 78.31 | 3,808 | 15.81 | 1,415 | 5.88 | 24,083 |
프리보이(세르비아) | 5,119 | 21.77 | 16,687 | 70.97 | 1,708 | 7.26 | 23,514 |
로자예(몬테네그로) | 22,378 | 96.52 | 715 | 3.08 | 91 | 0.39 | 23,184 |
노바바로시(세르비아) | 1,069 | 7.91 | 11,742 | 86.93 | 696 | 5.15 | 13,507 |
플라브(몬테네그로) | 7,164 | 79.16 | 1,800 | 19.89 | 86 | 0.95 | 9,050 |
페트니차(몬테네그로) | 4,881 | 98.47 | 65 | 1.31 | 11 | 0.22 | 4,957 |
구시네(몬테네그로) | 3,640 | 92.55 | 122 | 3.10 | 171 | 4.35 | 3,933 |
산자크 | 222,571 | 61.54 | 124,886 | 34.53 | 14,199 | 3.93 | 361,656 |
6. 정치
신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대에는 산자크 출신의 보스니아인 정치인 중 산자크의 자치를 요구하는 자들이 있었다. 가장 급진적인 주장은 산자크를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에서 분리하여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동등한 지위를 갖는 공화국으로 만들자는 요구였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각각 독립하여 분리된 이후, 산자크는 두 개의 독립 국가로 분단된 상태가 되었고, 산자크의 자치를 요구하는 주장은 국경선 변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형성하는 곳은 세르비아령 산자크 동부의 3개 자치체, 몬테네그로령 산자크 동부의 2개 자치체에 한정되어 있으며, 세르비아인 및 몬테네그로인은 산자크의 자치에 반대하는 입장이므로, 이들을 포함하는 산자크가 가까운 시일 내에 자치권을 획득할 전망은 없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보스니아인 평의회는 UNPO에서 1993년 이후 산자크 지역을 대표해 왔다. 코소보의 세르비아로부터의 분리로 인해 다시 산자크 문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산자크에서 (보이보디나 수준의) 자치를 목표로 하는 운동이 일어날지 주목받고 있다.
7. 갤러리
참조
[1]
서적
Political autonomy and divided societies: Imagining democratic alternatives in complex settings
Palgrave Macmillan
[2]
서적
Why Narratives of History Matter: Serbian and Croatian Political Discourses on European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Nomos publishing house
[3]
서적
Muslims in Poland and Eastern Europe: Widening the European Discourse on Islam
University of Warsaw: Faculty of Oriental Studies
[4]
서적
Politics, Power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South-East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6-13
[5]
논문
The Balkan Merchants: Changing Borders and Informal Transnationalization
2006
[6]
서적
Remaking the Balkans
Pinter
1995
[7]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NYU Press
1996
[8]
웹사이트
Dictionary.com - Sanjak entry
http://www.dictionar[...]
[9]
웹사이트
Kuptimi i fjalës Sanxhak ‹ FJALË
https://fjale.al/san[...]
2024-09-20
[10]
웹사이트
Position of the Municipality of Priboj
http://www.priboj.rs[...]
Municipality of Priboj
[11]
웹사이트
Geographic position of Municipality of Tutin
http://www.tutin.rs/[...]
Municipality of Tutin
2016-03-19
[12]
웹사이트
Geographic position of Municipality of Rožaje
http://www.rozaje.me[...]
Municipality of Rozaje
[13]
웹사이트
Profile of Municipality of Plav
http://www.plav.me/u[...]
Municipality of Plav
[14]
웹사이트
Territorial organisation of Republic of Serbia
http://www.paragraf.[...]
[15]
웹사이트
Territorial organization of Montenegro
http://www.mup.gov.m[...]
[16]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17]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https://www.monstat.[...]
[18]
웹사이트
Government of Republic of Serbia - Administrative Okrugs Regions
http://www.uzzpro.go[...]
[19]
백과사전
Facts On File
2024-09-16
[20]
논문
Devs̱ẖirme and s̱ẖarī'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5
[21]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Rowman & Littlefield
[22]
문서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Turkish educational system of the republican era
1989
[23]
서적
Memoirs of the American Folklore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54
[24]
서적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Socie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5-04-24
[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tenegro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
[26]
서적
Territorial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the War in Bosnia-Hercegovina
https://books.google[...]
IBRU
1994
[27]
서적
Beyond Mosque, Church, and State: Alternative Narratives of the Nation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6-08-20
[28]
서적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Socie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05-30
[29]
웹사이트
HISTORIJAT RODOVA NA PODRUČJU BJELIMIĆA
https://mail.medzlis[...]
Fondacija "Lijepa riječ"
[30]
간행물
Less than Nations: Central-Eastern European Minorities after WWI, Volume 1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
[31]
간행물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Part 1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8
[32]
서적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Nation-State Building and Provision of In/Security in Twentieth-Century Balk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8-02-22
[33]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6-09
[34]
문서
1988
[35]
논문
RAPORTI I STAVRO SKËNDIT DREJTUAR OSS' NË WASHINGTON D.C "SHQIPËRIA NËN PUSHTIMIN GJERMAN". STAMBOLL, 1944
https://www.ceeol.co[...]
2013
[36]
논문
NEKOLIKO DOKUMENATA IZ DRŽAVNOG ARHIVA ALBANIJE U TIRANI O ČETNIČKOM GENOCIDU NAD MUSLIMANIMA BIHORA JANUARA 1943.
https://www.ceeol.co[...]
2020
[37]
서적
Teror i zločini nacističke Nemačke u Srbiji 1941-1944
https://books.google[...]
Rad
[38]
서적
Simpozijum seoski dani Sretena Vukosavljevića
https://books.google[...]
Opštinska zajednica obrazovanja
[39]
간행물
"The Moslem Militia and Legion of the Sandjak"
Axis Europa Magazine
1996-07
[40]
서적
Operation Slaughterhouse
Dorrance Publishing Company
1995
[41]
뉴스
The Post-Soviet States
1994
[42]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astern Europe: A Guide to Politics in the Post-communist Era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2
[43]
기타
1968
[44]
기타
1968
[45]
기타
1968
[46]
기타
1968
[47]
기타
1968
[48]
논문
Cross-cultural ethnobiology in the Western Balkans: medical ethnobotany and ethnozoology among Albanians and Serbs in the Pešter Plateau, Sandžak, South-Western Serbia.
https://www.research[...]
2011
[49]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6-09
[50]
서적
Kosovo : a short history
http://archive.org/d[...]
London : Macmillan
1998
[51]
논문
Морфолошке одлике глаголских облика говора Тутина, Новог Пазара и Сјенице
https://dais.sanu.ac[...]
[52]
서적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53]
웹사이트
Dissemination database search
https://data.stat.go[...]
2023-08-09
[54]
웹사이트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 MONSTAT
https://monstat.org/[...]
2023-08-09
[55]
뉴스
BBC News - Could Balkan break-up continue?
http://news.bbc.c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