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이드 크래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로이드 크래머는 미국의 피아니스트로, 1950년대 후반부터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슬립 노트" 스타일의 피아노 연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백업 밴드로 활동하며, 프레슬리의 첫 RCA 빅터 싱글 "Heartbreak Hotel"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기도 했다. 1960년 발표한 "Last Date"는 빌보드 핫 100 2위에 오르고 골드 디스크를 수상했으며, "On the Rebound"는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다. 2003년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04년에는 "Last Date"가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의 손자 제이슨 콜먼은 크래머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엘비스 프레슬리
엘비스 프레슬리는 록큰롤의 선구자로, 블루스와 컨트리 음악을 융합한 독특한 스타일과 혁신적인 무대 매너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42세의 나이로 사망, 이후에도 음악과 문화적 영향력을 통해 대중음악에 큰 족적을 남겼다.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돌리 파튼
돌리 파튼은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컨트리 음악계의 거장이자 팝 크로스오버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한 미국의 가수, 작곡가, 배우, 사업가, 자선가이다. - 폐암으로 죽은 사람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 폐암으로 죽은 사람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1997년 사망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1997년 사망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플로이드 크래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Floyd Cramer |
출생일 | 1933년 10월 27일 |
출생지 | 슈리브포트, 루이지애나 주, 미국 |
사망일 | 1997년 12월 31일 (향년 64세) |
사망지 | 내슈빌, 테네시 주 |
출신지 | 휴티그, 아칸소 주, 미국 |
악기 | 피아노 |
장르 | 컨트리 음악 내슈빌 사운드 |
직업 | 피아니스트 |
활동 기간 | 1953년 ~ 1980년 |
레이블 | 애벗 레코드 |
2. 생애 및 경력
크래머는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에서 태어나 아칸소주 허티그라는 작은 마을에서 자랐다. 그는 스스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슈리브포트로 돌아와 밴조-베이스-드럼 콤보와 함께 라디오 쇼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래그타임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애보트 레이블에서 발매된 그의 초기 음반은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 밴드와 함께 플로이드 크래머가 피아노를 연주함"이라는 크레딧을 달고 있다.
엘비스 프레슬리가 1955년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공연한 후 크래머, 지미 데이, 스코티 무어, 빌 블랙, D.J. 폰타나를 포함한 자신의 밴드를 고용했다. 이 그룹은 그 해 대부분의 기간 동안 그의 백업 밴드로 활동했다. 그러나 프레슬리가 그들에게 할리우드로 이주할 것을 요청했을 때 크래머와 데이는 독립적인 스튜디오 뮤지션으로서의 경력을 쌓기 위해 내슈빌에 남는 것을 선호하며 따라가는 것을 거절했다.[5] 내슈빌에서 크래머는 컨트리 음악에서 피아노 반주가 인기를 얻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듬해 그는 "밤낮으로 세션을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6]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엘비스 프레슬리, 브렌다 리, 패치 클라인, 브라운스, 짐 리브스, 에디 아놀드, 로이 오비슨, 돈 깁슨, 에벌리 브라더스 등과 같은 스타들을 위해 피아노를 연주하며 업계에서 가장 바쁜 스튜디오 뮤지션 중 한 명이 되었다.[7] 예를 들어, 크래머는 프레슬리의 첫 RCA 빅터 싱글인 "Heartbreak Hotel"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크래머는 세션 연주자로 자리를 잡는 동시에 수십 개의 앨범과 싱글을 발표하며 솔로 연주자로서 긴 경력을 쌓았으며, 일부는 40위권 안에 드는 기악 히트곡이기도 하다.
크래머는 1950년대 초부터 자신의 이름으로 음반을 발매했으며, 1960년 RCA 빅터에서 발매한 45-rpm 싱글 "Last Date"가 발매되면서 널리 알려졌다.[8] 이 기악곡은 "슬립 노트" 스타일로 알려진 피아노 연주의 비교적 새로운 개념을 보여주었다. 이 음반은 ''빌보드'' 핫 100 팝 음악 차트에서 2위에 올랐고, 백만 장 이상 판매되어 골드 디스크를 수상했다. 이 곡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Are You Lonesome Tonight?"에 밀려 1위를 차지하지 못했다.[9] 내슈빌의 RCA 스튜디오 B에서 새벽 4시경에 열린 엘비스의 해당 1위 곡 녹음 세션의 세션 피아니스트는 바로 플로이드 크래머였다.
1961년 크래머는 "On the Rebound"로 히트를 쳤고, 이 곡은 4위에 올랐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11] ("On the Rebound"는 1961년 영국을 배경으로 한 2009년 오스카 후보 영화 ''An Education''의 오프닝 크레딧에 등장했다.) 또한 1961년 크래머는 "San Antonio Rose" (8위)로 히트를 쳤다.
1960년대 중반까지 크래머는 존경받는 연주자가 되었고, 기타 거장 체트 앳킨스와 색소폰 연주자 부츠 랜돌프와 함께 수많은 앨범을 제작하고 투어를 다녔으며, 때로는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도 하고 에디 아놀드의 오프닝 무대를 맡기도 했다. 크래머는 또한 밀리언 달러 밴드의 멤버로 함께 공연했다.
크래머는 1997년 새해 전날 64세의 나이로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내슈빌 교외의 매디슨, 테네시에 있는 스프링 힐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음악 활동
크래머는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에서 태어나 아칸소주 허티그에서 성장했다. 그는 독학으로 피아노 연주를 익혔다.[5] 고등학교 졸업 후, 슈리브포트로 돌아와 라디오 쇼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래그타임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5] 애보트 레이블에서 그의 초기 음반이 발매되기도 했다.[5]1955년 엘비스 프레슬리가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공연한 후, 크래머는 지미 데이, 스코티 무어, 빌 블랙, D.J. 폰타나와 함께 엘비스 프레슬리의 백업 밴드로 활동했다.[5] 하지만 프레슬리가 할리우드로 이주를 제안했을 때, 크래머와 데이는 독립적인 스튜디오 뮤지션 경력을 위해 내슈빌에 남기로 결정했다.[5]
2. 2. 엘비스 프레슬리와의 협업
크래머는 1955년 엘비스 프레슬리가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공연한 후, 지미 데이, 스코티 무어, 빌 블랙, D.J. 폰타나와 함께 엘비스의 밴드에 합류하여 그 해 대부분 동안 그의 백업 밴드로 활동했다.[5] 그러나 프레슬리가 할리우드로 이주를 제안했을 때, 크래머는 독립적인 스튜디오 뮤지션 경력을 쌓기 위해 내슈빌에 남는 것을 선택했다.[5]이후 크래머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첫 RCA 빅터 싱글인 "Heartbreak Hotel"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등,[7] 컨트리 음악계에서 가장 바쁜 스튜디오 뮤지션 중 한명으로 활동했다.[7]
1960년에 녹음된 엘비스의 1위 곡 "Are You Lonesome Tonight?"의 녹음 세션의 세션 피아니스트는 바로 플로이드 크래머였다.[9]
NME와의 인터뷰에서 크래머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피아니스트로 오랫동안 활동한 후 솔로 경력을 시작하려니, 나는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내가 돈을 벌려고 한다고 생각했다. 만약 내가 엘비스와의 관계를 통해 돈을 벌고 싶었다면, 5년 전에 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0]
2. 3. 내슈빌에서의 활동과 '슬립 노트' 주법
크래머는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에서 태어나 아칸소주 허티그에서 성장, 스스로 피아노 연주법을 익혔다.[5] 고등학교 졸업 후 슈리브포트로 돌아와 밴조-베이스-드럼 콤보와 함께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 라디오 쇼에서 래그타임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5] 애보트 레이블에서 그의 초기 음반이 발매되기도 했다.[5]1955년 엘비스 프레슬리가 ''루이지애나 헤이라이드''에서 공연한 후, 크래머는 지미 데이, 스코티 무어, 빌 블랙, D.J. 폰타나와 함께 엘비스 프레슬리의 백업 밴드로 고용되어 활동했다.[5] 하지만 프레슬리가 헐리우드로 이주를 제안했을때, 크래머와 데이는 독립적인 스튜디오 뮤지션 경력을 쌓기 위해 내슈빌에 남았다.[5]
내슈빌에서 크래머는 컨트리 음악에서 피아노 반주가 인기를 얻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6] 엘비스 프레슬리, 브렌다 리, 패치 클라인, 브라운스, 짐 리브스, 에디 아놀드, 로이 오비슨, 돈 깁슨, 에벌리 브라더스 등 유명 가수들의 음반에 참여하며 업계에서 가장 바쁜 스튜디오 뮤지션 중 한 명이 되었다.[7] 크래머는 프레슬리의 첫 RCA 빅터 싱글인 "Heartbreak Hotel"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7]
1960년 RCA 빅터에서 발매한 45-rpm 싱글 "Last Date"는 "슬립 노트" 스타일의 피아노 연주를 선보이며 ''빌보드'' 핫 100 팝 음악 차트에서 2위에 오르고 백만 장 이상 판매되어 골드 디스크를 수상했다.[8][9] 이 곡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Are You Lonesome Tonight?"에 밀려 1위를 차지하지 못했는데, 이 곡의 녹음 세션에 참여한 피아니스트가 바로 크래머였다.[9]
1961년 크래머는 "On the Rebound"로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11] "San Antonio Rose" (8위)로 히트를 쳤다.[11]
1960년대 중반까지 크래머는 체트 앳킨스, 색소폰 연주자 부츠 랜돌프와 함께 앨범을 제작하고 투어를 다녔으며, 에디 아놀드의 오프닝 무대를 맡기도 했다.[11] 또한 밀리언 달러 밴드의 멤버로도 활동했다.
2. 4. 솔로 활동과 히트곡
크래머는 1950년대 초부터 자신의 이름으로 음반을 발매했다.[8] 1960년 RCA 빅터에서 발매한 45-rpm 싱글 "Last Date"는 ''빌보드'' 핫 100 팝 음악 차트에서 2위에 올랐고, 백만 장 이상 판매되어 골드 디스크를 수상했다.[9] 이 곡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Are You Lonesome Tonight?"에 밀려 1위를 차지하지 못했는데, 이 곡을 녹음할 당시 세션 피아니스트는 바로 플로이드 크래머였다.[9]1961년 크래머는 "On the Rebound"로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11] 같은 해, "San Antonio Rose"는 빌보드 핫 100 8위에 올랐다.[5]
1960년대 중반까지 크래머는 기타 거장 체트 앳킨스와 색소폰 연주자 부츠 랜돌프와 함께 수많은 앨범을 제작하고 투어를 다녔다.[7]
2. 5. 말년
크래머는 1997년 새해 전날 64세의 나이로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테네시주 내슈빌 교외의 매디슨에 있는 스프링 힐 묘지에 안장되었다.3. 유산 및 영향
제이슨 콜먼은 크레이머의 손자로, 어린 나이에 그와 함께 텔레비전과 콘서트에서 공연했다. 17세에 그랜드 올 오프리에서 행크 록클린과 함께 크레이머의 시그니처 슬립 노트를 특징으로 하는 첫 번째 곡인 "Please Help Me, I'm Falling"을 연주했다. 2년 후 크레이머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메달 수여식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콜먼은 녹음과 투어 트리뷰트 콘서트인 The Piano Magic of Floyd Cramer를 통해 할아버지의 유산을 이어가며, 크레이머가 미국 음악에 기여한 피아노 편곡과 이야기를 공유하고 있다.
3. 1. '슬립 노트' 주법의 유산
3. 2. 명예의 전당 헌액
2003년, 크래머는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과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4년, 그의 "Last Date" 녹음은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8년, 크래머는 루이지애나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이스트 테네시 주립 대학교는 테네시주 존슨 시티에서 플로이드 크래머 경쟁 장학금을 제공한다.
3. 3. 가족과 계승
크레이머의 손자 제이슨 콜먼은 그의 뒤를 이어 피아노를 연주하며, 어린 나이에 그와 함께 텔레비전과 콘서트에서 공연했다. 17세에 그는 크레이머의 시그니처 슬립 노트를 특징으로 하는 첫 번째 곡인 "Please Help Me, I'm Falling"을 행크 록클린과 함께 그랜드 올 오프리에서 연주했으며, 2년 후 크레이머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메달 수여식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그는 녹음과 투어 트리뷰트 콘서트인 The Piano Magic of Floyd Cramer를 통해 할아버지의 유산을 이어가며, 크레이머가 미국 음악에 기여한 피아노 편곡과 이야기를 공유하고 있다.3. 4. 대한민국에서의 영향
4. 수상
크래머는 2003년에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과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4년에는 그의 "Last Date" 녹음이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08년에는 루이지애나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스트 테네시 주립 대학교는 테네시주 존슨 시티에서 플로이드 크래머 경쟁 장학금을 제공한다.
5. 음반 목록
5. 1. 정규 앨범
플로이드 크래머의 정규 앨범은 다음과 같다.연도 | 앨범 | US 컨트리 | US | 레이블 |
---|---|---|---|---|
1957 | That Honky Tonk Piano | — | — | MGM 레코드 |
1960 | Hello Blues | — | — | RCA 빅터 |
1961 | Last Date | — | — | |
On the Rebound | — | 70 | ||
1962 | 'Americas Biggest Selling Pianist'' | — | — | |
Floyd Cramer Gets Organ-ized | — | 113 | ||
I Remember Hank Williams | — | 130 | ||
1963 | Swing Along with Floyd Cramer | — | — | |
'Comin On'' | — | — | ||
Three Great Pianos (with 피터 네로 and 프랭키 칼) | — | — | ||
1964 | Country Piano-City Strings | — | — | |
Cramer at the Console | — | — | ||
The Best of Floyd Cramer | — | — | ||
1965 | Hits from the Country Hall of Fame | 10 | — | |
'Class of 65'' | — | 107 | ||
The Magic Touch of Floyd Cramer | — | — | ||
1966 | The Distinctive Piano Style of Floyd Cramer | — | — | |
Only the Big Ones | — | — | ||
'Class of 66'' | — | 123 | ||
1967 | Night Train | — | — | |
'Heres What Happening! | 20 | 166 | ||
Floyd Cramer Plays the Monkees | — | — | ||
'Class of 67'' | 21 | — | ||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 — | 26 | ||
1968 | Floyd Cramer Plays Country Classics | 16 | — | |
'Class of 68'' | — | — | ||
Floyd Cramer Plays MacArthur Park | 36 | — | ||
The Best of Floyd Cramer Volume 2 | — | — | ||
1969 | 'Class of 69'' | 31 | — | |
Floyd Cramer Plays More Country Classics | 17 | — | ||
1970 | The Big Ones, Vol. 2 | — | 183 | |
With the Music City Pops | — | — | ||
This Is Floyd Cramer | 39 | — | ||
'Class of 70'' | 43 | — | ||
1971 | Almost Persuaded | — | — | |
체트, 플로이드 & 부츠 (with 체트 앳킨스 and 부츠 랜돌프) | — | — | ||
Sounds of Sunday | 44 | — | ||
'Class of 71'' | 34 | — | ||
1972 | Detours | — | — | |
'Class of 72'' | — | — | ||
플로이드 크래머의 베스트 앨범 | — | — | ||
Date with Floyd Cramer | — | — | ||
1973 | Floyd Cramer Plays the Big Hits | — | — | |
Super Country Hits | — | — | ||
'Class of 73'' | 34 | — | ||
1974 | Young and Restless | — | — | |
Spotlight On | — | — | ||
Floyd Cramer in Concert | 25 | — | ||
1975 | Piano Masterpieces 1900–1975 | — | — | |
'Class of 74 and 5 | — | — | ||
1976 | Floyd Cramer Country | 46 | — | |
1977 | Floyd Cramer & the Keyboard Kick Band | 50 | — | |
체트, 플로이드 & 대니 (with 체트 앳킨스 and 대니 데이비스) | 46 | — | ||
1978 | Looking for Mr. Goodbar | — | — | |
1979 | Super Hits | — | — | |
1980 | Dallas | 29 | 170 | |
1981 | Great Country Hits | — | — | |
The Best of the West | — | — | ||
1982 | 20 of the Best | — | — | |
1985 | 'Collectors Date'' | — | — | |
Country Classics | — | — | Pair Records | |
1988 | Special Songs of Love | — | — | Step One Records |
Country Gold | — | — | ||
Just Me and My Piano | — | — | ||
1989 | Forever Floyd Cramer | — | — | |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 — | — | ||
Originals | — | — | ||
1991 | Gospel Classics | — | — | |
1994 | The Piano Magic of Floyd Cramer | — | — | Ranwood |
1995 | Favorite Country Hits 1 | — | — | |
1996 | The Piano Magic of Floyd Cramer 2 | — | — | |
1997 | Blue Skies | — | — | |
Favorite Country Hits 2 | — | — |
5. 2. 싱글
플로이드 크래머의 싱글은 다음과 같다.[12]연도 | 싱글 | 차트 순위 | 앨범 | ||||
---|---|---|---|---|---|---|---|
US | US 컨트리 | US R&B | US AC | UK | |||
1953 | "Fancy Pants" | style="text-align:center;"| | — | — | — | — | |
1958 | "Flip Flop and Bop" | 87 | — | — | — | — | Last Date |
1960 | "Last Date" | 2 | 11 | 3 | — | — | |
1961 | "On the Rebound" | 4 | — | 16 | — | 1 | On the Rebound |
"San Antonio Rose" | 8 | 8 | — | 3 | 36 | ||
"Your Last Goodbye" | 63 | — | — | — | — | 'Americas Biggest Selling Pianist'' | |
"Hang On" | 95 | — | — | — | — | ||
1962 | "Chattanooga Choo Choo" | 36 | — | — | 9 | — | (싱글만) |
"Let's Go" | 90 | — | — | — | — | Floyd Cramer Gets Organ-ized | |
"Lovesick Blues" | 87 | — | — | 20 | — | I Remember Hank Williams | |
"Hot Pepper" | 63 | — | — | — | 46 | (싱글만) | |
"Swing Low" | 110 | — | — | — | — | ||
"Losers Weepers" | 127 | — | — | — | — | ||
1963 | "Java" | 49 | — | — | 12 | — | Swing Along with Floyd Cramer |
"(These Are) The Young Years" | 129 | — | — | — | — | 'Comin On'' | |
"How High the Moon" | 121 | — | — | — | — | (싱글만) | |
"Heartless Heart" | 124 | — | — | — | — | Country Piano-City Strings | |
1967 | "Stood Up" | — | 53 | — | 24 | — | (싱글만) |
1968 | "By the Time I Get to Phoenix" | — | — | — | 32 | — | |
1970 | "Theme from 222" | — | — | — | 39 | — | |
1977 | "Rhythm of the Rain" | — | 67 | — | — | — | Floyd Cramer & the Keyboard Kick Band |
1980 | "Dallas"A | 104 | 32 | — | 34 | — | Dallas |
"Dallas"는 인기 TV 시리즈의 주제가 커버 버전으로, 캐나다의 ''RPM'' 컨트리 트랙 차트에서 8위로 정점을 찍었다. 상세한 싱글 목록은 영어 위키백과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untry Music Hall of Fame To Welcome Floyd Cramer and Carl Smith
https://www.bmi.com/[...]
Broadcast Music
2003-08-13
[2]
웹사이트
Floyd Cramer
https://www.allmusic[...]
AllMusic/Netaktion
2021-03-03
[3]
웹사이트
Floyd Cramer, 64, Pianist With a Nashville Sound
https://www.nytimes.[...]
1998-01-02
[4]
웹사이트
Remembering Floyd Cramer . . . and one last date!
https://pressprosmag[...]
PressPros Magazine
2021-03-13
[5]
웹사이트
Jimmy Day
https://www.allmusic[...]
AllMusic, Netaktion
2021-02-28
[6]
웹사이트
Floyd Cramer
http://countrymusich[...]
2014-09-17
[7]
간행물
Chet Atkins
[8]
문서
"Last Date" is the closing theme of [[Ray Hadley]]'s radio show on Sydney's radio station [[2GB]].
[9]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10]
서적
NME Rock 'N' Roll Years
Reed International Books Ltd
[11]
서적
The Guinness Book of 500 Number One Hits
Guinness Superlatives
[12]
서적
Top Pop Singles 1955–2010
Record Research,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