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슈빌 사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테네시주 내슈빌의 음악 프로듀서들이 개발한 컨트리 음악의 한 스타일이다. 팝 음악 요소를 결합하여 혼키통크 스타일을 대체하고, 세련된 프로듀싱과 팝 음악 구조를 사용했다. 1960년대 초 베이커스필드 사운드와 영국 침공의 도전을 받았으며, 이후 컨트리폴리탄으로 발전하여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인기를 얻었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는 컨트리 팝으로 이어졌다. 짐 리브스의 "Four Walls"와 퍼린 허스키의 "Gone" 등이 초기 대표곡이며, 린 앤더슨, 찰리 리치, 글렌 캠벨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이 스타일로 성공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트리 음악 장르 - 컨트리 록
    컨트리 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밥 딜런, 버즈, 플라잉 부리토 브라더스 등에 의해 발전하기 시작하여 이글스와 더 두비 브라더스의 성공으로 상업적 전성기를 맞은 컨트리 음악과 록 음악의 융합 장르이며, 에밀루 해리스, 린다 론슈타트, 퓨어 프레리 리그 외 다수 아티스트들의 성공과 닐 영을 포함한 여러 아티스트들의 지속적인 활동으로 이어져 비틀즈, 롤링 스톤즈를 포함한 다른 장르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주고 서던 록과 얼터너티브 컨트리에도 기여했다.
  • 컨트리 음악 장르 - 컨트리 팝
    컨트리 팝은 컨트리 음악과 팝 음악의 융합 장르로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발전해왔고, 여러 전성기를 거쳤지만 전통성 훼손 논란과 여성 아티스트 차별 문제 등 지속적인 논쟁이 있는 장르이다.
  • 내슈빌의 음악 -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 박물관은 컨트리 음악의 역사와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기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트리 음악 유물 보관소이자 명예의 전당으로, 다양한 소장품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컨트리 음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경험을 제공한다.
  • 내슈빌의 음악 - 그랜드 올 오프리
    그랜드 올 오프리는 1925년 내슈빌에서 시작되어 컨트리 음악 발전에 기여한 미국의 상징적인 라디오 프로그램이자 콘서트 시리즈로, 오랜 역사 동안 여러 논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전 세계에 방송되고 있다.
  • 미국의 음악 장르 - 스윙 음악
    스윙 음악은 192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 미국에서 유행한 춤곡이자 재즈의 한 형태로, 빅 밴드 앙상블 연주와 강력한 리듬 섹션이 특징이며, 대공황 시대 대중의 위안이 되었으나 1940년대 쇠퇴 후에도 여러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미국의 음악 장르 - 부기우기
    부기우기는 4/4 박자의 8분음표와 I-IV-V-I 화성 진행, 12마디 블루스 형식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음악 장르로, 1920년대 시카고 흑인 사회에서 발전하여 여러 장르에 영향을 미쳤으며 텍사스가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
내슈빌 사운드
기본 정보
장르컨트리 음악, 팝 음악
문화적 기원1950년대, 테네시주내슈빌
악기기타, 현악기, 베이스, 드럼, 밴조, 보컬
인기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반 미국
파생 장르컨트리폴리탄, 컨트리 팝
기타컨트리 뮤지션– 컨트리 음악 연표
상세 정보
스타일 기원컨트리 음악, 전통 팝
파생컨트리폴리탄, 컨트리 팝

2. 역사

내슈빌 사운드는 1950년대 후반부터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시작된 컨트리 음악의 하위 장르이다. 초창기에는 혼키통크 스타일의 피들, 스틸 기타, 콧소리 보컬 대신, 1950년대 팝 음악의 현악기, 백 보컬, 속삭이는 듯한 리드 보컬을 사용하고, 팝 음악의 구성을 따랐다. 1960년, 타임지는 내슈빌을 "레코드 제작에 있어 뉴욕 다음으로 할리우드와 근소한 차이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라고 언급했다.[9]

뮤직 로우의 중심부에 위치한 브래들리 스튜디오, RCA 스튜디오 B, 그리고 후에 RCA 스튜디오 A는 내슈빌 사운드 음악 기법의 발전에 중요하고 필수적인 장소로 여겨졌다. 특히 RCA 스튜디오 A는 이러한 기법을 통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RCA의 음향 엔지니어 존 E. 볼크만이 설계했다.[8]

쳇 애킨스는 내슈빌 사운드에 대해 묻자, 주머니에 손을 넣고 동전을 흔들며 "이거야. 돈 소리야."라고 말했다.[11]

2. 1. 기원

내슈빌 사운드는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는 RCA 레코드, 컬럼비아 레코드, 데카 레코드의 직원들이 개척했다. 쳇 애킨스, 오웬 브래들리, 밥 퍼거슨 등의 프로듀서들과 녹음 엔지니어 빌 포터는 인기 있던 혼키통크 스타일(피들, 스틸 기타, 콧소리 리드 보컬)의 요소들을 1950년대 팝 음악의 "부드러운" 요소(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리드 보컬)로 대체하고, "세련된" 프로듀싱과 팝 음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이 음악 형식을 만들어냈다.[3][4]

프로듀서들은 내슈빌 A팀으로 알려진 소규모 스튜디오 뮤지션 그룹에 의존했는데, 이들의 빠른 적응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히트곡 제작 과정에 매우 중요했다. 아니타 커 콰르텟은 1960년대 초반 주요 백킹 보컬 그룹이었다.

"내슈빌 사운드"라는 용어는 1958년 뮤직 리포터의 짐 리브스에 관한 기사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1960년에는 타임지 기사에서 다시 언급되었다.[5] 컨트리 음악 역사가 리치 키엔즐은 1956년 11월 녹음된 퍼린 허스키의 히트곡 "Gone"을 가능한 전조로 꼽았다. 작가 콜린 에스콧은 1957년 2월 녹음된 리브스의 "Four Walls"를 "첫 번째 '내슈빌 사운드' 레코드"로 주장했고, 쳇 애킨스는 같은 해 후반에 그가 제작한 돈 기브슨의 "오 론섬 미"를 지적했다.[6] 데이비드 캔트웰은 1956년 7월 엘비스 프레슬리가 녹음한 로큰롤 음반 "냉담하지 마"가 현재 내슈빌 사운드라고 불리는 시대의 시작을 촉발한 음반이라고 주장한다.[6]

오웬 브래들리는 내슈빌 사운드에 관해 "컨트리 음악에서 피들스틸 기타를 빼고 코러스를 추가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발전을 거듭한다"고 말했다.[7]

2. 2. 발전과 컨트리폴리탄

1960년대 초, 내슈빌 사운드는 컨트리 음악계에서는 베이커스필드 사운드[3], 팝 음악계에서는 영국 침공[10]의 도전을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내슈빌 사운드의 주요 스타였던 패티 클라인과 짐 리브스가 각각 다른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면서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내슈빌 사운드의 팝송 구조는 더욱 두드러졌고, '''컨트리폴리탄(Countrypolitan)'''이라는 부드러운 사운드로 변화했다. 이는 실제 오케스트라와 종종 합창단의 백킹 보컬을 사용한 풍성한 현악 편곡이 특징이었다. 컨트리폴리탄은 주류 시장을 겨냥해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음반 판매 호조를 보였다. 이 사운드를 만든 대표적인 인물로는 빌리 셰릴(태미 와이넷의 초기 경력에 중요한 역할을 함)과 글렌 서튼이 있다. 초기 컨트리폴리탄 사운드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로는 태미 와이넷, 찰리 리치, 찰리 프라이드, 로스앤젤레스 출신 린 앤더슨, 글렌 캠벨 등이 있다. 조지 존스는 당시 컨트리폴리탄 사운드와 자신의 혼키통크 스타일을 성공적으로 융합했다.[4]

베이커스필드 사운드와 후에 등장한 아웃로 컨트리가 컨트리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컨트리폴리탄은 팝 차트를 장악했다.[4]

2. 3. 컨트리 팝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많은 팝 음악 가수들이 컨트리폴리탄 스타일을 채택하여 컨트리 음악팝 음악의 융합인 컨트리 팝을 만들어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걸쳐 많은 팝 가수들이 컨트리풍 스타일을 사용하여 컨트리 음악과 소프트록을 융합했다.

3. 특징

내슈빌 사운드는 테네시주 내슈빌RCA 빅터, 컬럼비아 레코드, 데카 레코드 직원들이 주도하여 만들어졌다. 쳇 애킨스, 오웬 브래들리, 밥 퍼거슨, 스티브 쇼얼스 등의 프로듀서와 녹음 엔지니어 빌 포터는 1950년대 팝 음악의 요소(현악 세션, 백킹 보컬, 크루닝 리드 보컬)와 혼키통크 스타일(바이올린, 스틸 기타, 코맹맹이소리 리드 보컬)을 결합하고, 세련된 프로듀싱과 팝 음악 구조를 사용하여 이 장르를 개척했다.[3][4] 내슈빌 A팀으로 알려진 소규모 스튜디오 뮤지션 그룹과 아니타 커 콰르텟 등의 백킹 보컬 그룹의 도움을 받았다.

오웬 브래들리는 "컨트리 음악에서 바이올린과 스틸 기타를 없애고 코러스를 추가했다. 하지만 거기서 멈출 수는 없다. 항상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발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7] 1960년, 타임지는 내슈빌이 할리우드를 제치고 뉴욕 다음으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레코드 제작 센터가 되었다고 보도했다.[9]

3. 1. 대표적인 아티스트와 곡

다음은 내슈빌 사운드와 컨트리폴리탄을 대표하는 아티스트와 곡들이다.

아티스트곡명발매 연도
짐 리브스포 월즈1957년
짐 리브스힐 해브 투 고(He'll Have to Go)1960년
퍼린 허스키1957년
지미 C. 뉴먼A Fallen Star1957년
돈 기브슨오 론섬 미1958년
브라운스더 쓰리 벨즈1959년
플로이드 크레이머라스트 데이트1960년
브렌다 리아임 소리1960년
패티 클라인아이 폴 투 피시즈1961년
랄프 엠리Hello Fool1961년
바일 아이브스어 리틀 비티 티어, 콜 미 미스터 인-비트윈, 잇츠 저스트 마이 퍼니 웨이 오브 러핀'1962년
스키터 데이비스이 세상 끝까지1963년
도티 웨스트히어 컴스 마이 베이비1964년
에디 아놀드메이크 더 월드 고 어웨이1965년
윌마 버지스미스티 블루1966년
레이 프라이스대니 보이1967년
린 앤더슨장미 정원(I Never Promised You a) Rose Garden1971년
사미 스미스밤을 지새도록 도와줘(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1971년
찰리 프라이드천사에게 입맞춤을(Kiss an Angel Good Morning)
찰리 리치닫힌 문 뒤에서(Behind Closed Doors)1973년
찰리 리치가장 아름다운 소녀(The Most Beautiful Girl)1973년
메리 오스몬드종이 장미(Paper Roses)1973년
글렌 캠벨라인스톤 카우보이(Rhinestone Cowboy)1975년
조지 존스그녀를 사랑하는 것을 멈췄어(He Stopped Loving Her Today)1980년
컨웨이 트위티느린 손(Slow Hand)1982년
로니 밀샙
케니 로저스숙녀(Lady), 당신은 제 삶을 장식했어요(You Decorated My Life)
그레첸 윌슨'바람을 필 생각을 할 때(When I Think About Cheatin)''2004년


4.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내슈빌 사운드는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특히 컨트리 음악 장르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5. 관련 장르 및 문화

참조

[1]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Country Music Flame Tree Publishing 2006
[2] 서적 In the Country of Country Faber and Faber 1997
[3] 웹사이트 The Tennessee Encyclopedia. Nashville Recording Industry. https://tennesseeenc[...] 2016-04-09
[4]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and Its Business: the first four hundred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5] 문서 Encyclopedia of Country Music
[6] 웹사이트 The "Nashville Sound" Begins http://livinginstere[...] 2011-08-08
[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usic Flame Tree Publishing
[8] 웹사이트 Three Years After Being Saved from Wrecking Ball Studio a Still Makes an Impact https://www.nashvill[...] Nashville Scene 2018-04-08
[9] 웹사이트 Country After Elvis | Country Music Hall of Fame® and Museum | Nashville, Tennessee http://countrymusich[...] 2008-11-11
[10] 웹사이트 Did the Beatles kill America's radio stars? https://radioinsight[...] 2021-02-09
[11] 웹사이트 Bet on Chet - eMusic Spotlight http://www.emusic.co[...] 2011-07-04
[12] 웹사이트 The "Nashville Sound" Begins http://livinginstere[...] 2011-08-08
[13] 웹사이트 The Tennessee Encyclopedia. Nashville Recording Industry. http://tennesseeency[...] 2008-07-09
[14]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and Its Business: the first four hundred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15]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countrymusich[...] 2008-11-11
[16] 문서 The Nashville Sound AboutMusic.com
[1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usic Flame Tree Publishing
[18] 웹사이트 http://www.emusic.co[...]
[1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Country Music https://archive.org/[...] Flame Tree Publishing 2006
[20] 서적 In the Country of Country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1997
[21] 웹사이트 The Tennessee Encyclopedia. Nashville Recording Industry. https://tennesseeenc[...] 2016-04-09
[22]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and Its Business: the first four hundred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ountrymusich[...] 2008-11-11
[24] 문서 Encyclopedia of Country Music
[25] 웹사이트 The "Nashville Sound" Begins http://livinginstere[...] 2011-08-08
[2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Music https://archive.org/[...] Flame Tree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