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너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너클은 건축 용어로, 건물, 특히 고딕 건축에서 플라잉 버트리스와 같은 구조물의 무게를 더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장식적인 뾰족탑 형태의 구조물이다. 성경의 예수의 유혹 장면에서 예루살렘 성전의 피너클이 언급된 것이 시초이며,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도 유사한 형태가 나타났다. 피너클은 아치의 밀어내는 힘에 대항하고, 파라펫을 지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프랑스에서는 잉글랜드보다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네오 고딕 건축에서도 피너클이 사용되었으며, 현대 건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딕 건축 - 세비야 대성당
세비야 대성당은 스페인 세비야에 위치한 고딕 양식의 대성당으로, 1184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528년에 완공되었으며, 원래는 이슬람 모스크였으나 기독교 세력에 의해 개조되었고,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딕 건축 - 성모 승천 대성당
성모 승천 대성당은 폴란드 그단스크에 있는 벽돌 고딕 양식의 가톨릭 공동 대성당이자 바실리카로, 15세기 완공 후 종교 개혁 시기에는 루터교 교회로 사용되다가 2차 세계대전 후 재건되어 현재는 가톨릭 대성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의 예술품과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피너클 | |
---|---|
건축 요소 | |
종류 | 수직 첨탑 |
기능 | 장식, 구조적 지지 |
재료 | 석재, 벽돌, 목재, 금속 |
상세 정보 | |
특징 | 뾰족하거나 장식적인 꼭대기, 다양한 디자인 |
관련 건축 양식 | 고딕 건축, 르네상스 건축, 바로크 건축 |
용도 | 건물 외관 장식, 종교 건축물의 강조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작은 첨탑, 뾰족탑 |
참고 | 건물의 모서리나 지붕 위에 설치됨 |
2. 역사
예수의 유혹에 대한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의 기록은 모두 예루살렘의 제2성전에 하나 이상의 피너클()이 있었음을 시사한다.[1]
:이에 그가 (사탄)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 그에게 이르되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여기서 뛰어내리라."[2]
일부 는 로마네스크 양식에는 피너클이 없었지만, 둥근 부벽에 원추형 캡이 있고 박공으로 끝나는 형태가 아주 초기 시대의 프랑스에서는 드물지 않다고 주장했다. 외젠 비올레르 뒤크는 생제르메르 드 플리 수도원과 생레미 대성당의 예를 들었으며, 로체스터 대성당 서쪽 정면에도 비슷한 형태의 피너클이 있다.
12세기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는 우스터셔의 브레던과 글로스터셔의 클리브에서 두 가지 사례가 인용되었다. 이 부벽은 위로 솟아올라 일종의 사각 탑을 형성하고, 그 위에 피라미드형 캡을 씌우고 있는데, 이는 다음 시대인 초기 영국 시대의 것과 매우 흡사하다.
이 양식과 그 이후의 양식, 주로 고딕 건축에서 피너클은 일반적으로 적절한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특히 플라잉 버트리스가 있는 곳에서 아치의 밀어내는 힘에 대항하는 무게 역할을 했고, 박공의 돌 난간이 미끄러지는 경향을 막았으며, 첨탑의 밀어내는 힘에 대응했고, 후기 시대의 우아한 천공 파라펫을 지지하는 기둥을 형성했으며, 특히 프랑스에서는 돌출된 코벨 테이블, 거대한 가고일 등의 무게를 균형 잡는 역할을 했다.
초기 영국 시대에는 작은 부벽이 종종 작은 박공으로 마감되었고, 더 중요한 부벽은 묶인 샤프트로 지지되는 피너클로 마감되었다. 이 시대에는 피너클이 종종 이 샤프트 자체에만 지지되었으며 아래가 열려 있었다. 더 큰 작품에서는 이 시기 및 그 이후 시기에 피너클이 종종 틈새를 형성하고 조각상을 포함했다. 전환기 무렵과 장식 고딕 시대에는 각 샤프트 위의 다양한 면이 종종 작은 박공으로 마감되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시대의 피너클은 훨씬 더 풍부하며 일반적으로 크로켓과 피니얼, 때로는 볼 플라워로 장식되어 있다. 베벌리 민스터와 옥스퍼드 세인트 메리 버진 대학교 교회의 첨탑 위에서 매우 훌륭한 그룹을 발견할 수 있다. 수직 피너클은 크로켓과 피니얼이 더 늦은 특징을 제외하고는 장식 피너클과 거의 다르지 않다. 또한 종종 각도로, 특히 파라펫에 설치되며, 샤프트는 패널로 되어 있다.
프랑스에서는 피너클이 첨탑과 마찬가지로 잉글랜드보다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생트 대성당의 탑 모서리에는 작은 피너클이 있다. 룰레 생테스테프에는 이와 유사한 위치에 피너클이 있는데, 각각 4개의 작은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캡과 베이스 위에 작은 피라미드형 첨탑이 올려져 있다. 이 모든 예에서 탑에는 반원형 아치 창문이 있다.
2. 1. 초기 역사와 성경에서의 언급
피너클이라는 용어는 성경에서 처음 등장한다.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에서 예수가 유혹받는 장면에 예루살렘 제2성전의 피너클()이 언급된다.[1] "이에 그가 (사탄)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 그에게 이르되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여기서 뛰어내리라."" (누가 복음 4장 9절)[2]일부는 로마네스크 양식에는 피너클이 없었지만, 둥근 부벽에 원추형 캡이 있고 박공으로 끝나는 형태가 아주 초기 시대의 프랑스에서는 드물지 않다고 주장했다. 외젠 비올레르 뒤크는 생제르메르 드 플리 수도원과 생레미 대성당의 예를 들었으며, 로체스터 대성당 서쪽 정면에도 비슷한 형태의 피너클이 있다.
생트 대성당의 탑 모서리에는 작은 피너클이 있다. 룰레 생테스테프에는 이와 유사한 위치에 피너클이 있는데, 각각 4개의 작은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캡과 베이스 위에 작은 피라미드형 첨탑이 올려져 있다. 이 모든 예에서 탑에는 반원형 아치 창문이 있다.
2. 2. 로마네스크 건축
일부 학자들은 로마네스크 건축에는 피너클이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초기 프랑스에서는 둥근 부벽에 원추형 캡이 있고 박공으로 끝나는 형태가 드물지 않게 나타났다. 외젠 비올레르 뒤크는 생제르메르 드 플리 수도원, 생레미 대성당의 예를 들었으며, 로체스터 대성당 서쪽 정면에도 비슷한 형태의 피너클이 있다고 언급했다.12세기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는 우스터셔의 브레던과 글로스터셔의 클리브에서 피너클과 유사한 형태의 부벽이 발견된다. 이 부벽은 위로 솟아올라 일종의 사각 탑을 형성하고, 그 위에 피라미드형 캡을 씌웠다.
2. 3. 고딕 건축
고딕 건축에서 피너클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피너클은 플라잉 버트리스가 있는 곳에서 아치의 밀어내는 힘에 대항하는 무게 역할을 했고, 박공의 돌 난간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았으며, 첨탑의 밀어내는 힘에 대응했다.[1] 또한 후기 시대의 우아한 천공 파라펫을 지지하는 기둥을 형성했으며, 프랑스에서는 돌출된 코벨 테이블, 거대한 가고일 등의 무게를 균형 잡는 역할을 했다.[1]초기 영국 시대에는 작은 부벽이 종종 작은 박공으로 마감되었고, 더 중요한 부벽은 묶인 샤프트로 지지되는 피너클로 마감되었다.[1] 전환기 무렵과 장식 고딕 시대에는 각 샤프트 위의 다양한 면이 종종 작은 박공으로 마감되었다.[1] 이 시대의 피너클은 크로켓과 피니얼, 때로는 볼 플라워로 장식되어 있다.[1] 베벌리 민스터와 옥스퍼드 세인트 메리 버진 대학교 교회의 첨탑 위에서 매우 훌륭한 그룹을 발견할 수 있다.[1] 수직 피너클은 크로켓과 피니얼이 더 늦은 특징을 제외하고는 장식 피너클과 거의 다르지 않다. 또한 종종 각도로, 특히 파라펫에 설치되며, 샤프트는 패널로 되어 있다.[1]
프랑스에서는 피너클이 첨탑과 마찬가지로 잉글랜드보다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1] 생트 대성당의 탑 모서리에는 작은 피너클이 있다.[1]
2. 4. 프랑스 건축
프랑스에서는 피너클이 첨탑과 마찬가지로 잉글랜드보다 먼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생트 대성당의 탑 모서리에는 작은 피너클이 있으며, 룰레 생테스테프에는 이와 유사한 위치에 4개의 작은 샤프트로 구성된 피너클이 있는데, 캡과 베이스 위에 작은 피라미드형 첨탑이 올려져 있다. 이 두 성당의 탑에는 모두 반원형 아치 창문이 있다.2. 5. 네오 고딕 건축
19세기 후반 보티프 교회를 위한 네오 고딕 플라잉 버트리스의 건축 도면이 제작되었다. 이 도면에는 피너클도 함께 설계되어 있다.3. 피너클의 현대적 사례
참조
[1]
논문
"Die ,Zinne‘ des Tempels (Mt. 4,5; Lk. 4,9)"
https://wholestones.[...]
1936
[2]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