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성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성전은 기원전 516년경에 완공되어 기원후 70년 로마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존재했던 예루살렘의 성전이다. 아케메네스 제국의 키루스 2세의 칙령으로 재건이 시작되었으며, 바빌론 포로 이후 유대인들의 종교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사마리아인들의 방해, 키루스 2세의 사망으로 인한 공사 중단 등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다리우스 1세 때 완공되었다. 제2성전 시대는 랍비 문학의 발전, 마카베오의 재봉헌, 헤로데 성전의 건설 등 다양한 역사적 변화를 겪었으며, 로마의 침공으로 파괴된 후, 유대교의 종말론에 영향을 미쳤다. 현재 성전 터에는 바위의 돔과 알아크사 모스크가 위치해 있으며,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다양한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의 유대인과 유대교 - 인테르프레타티오 그라이카
    인테르프레타티오 그라이카는 고대 로마인들이 타 문화권의 신들을 로마 신들과 연결하여 이해하려던 현상으로, 로마 제국의 종교적, 문화적 융합 정책의 일환이었다.
  • 1871년 발굴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제2성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2성전
헤로데 성전 모형 (요세푸스의 글을 바탕으로 제작), 이스라엘 박물관 내 홀리랜드 예루살렘 모형에 전시
원어명 (음역)베이트 하미크다시 하셰니
원어명 (의미)'둘째 거룩한 집'
종교유대교
위치성전산
높이약 46m
창건자즈루빠벨
개축헤로데 1세
완공약 기원전 516년 (원래 성전)
약 기원후 18년 (헤로데 성전)
파괴기원후 70년 (로마 공성전)
숭배 대상야훼
도시예루살렘
지역예후드 메디나타 (처음)
유대 속주 (마지막)
국가아케메네스 제국 (처음)
로마 제국 (마지막)
지도자이스라엘의 대제사장
현재 위치바위의 돔
대중 접근제한적; 성전산 출입 제한 참조
고고학 정보
발굴 날짜1930년, 1967년, 1968년, 1970년~1978년, 1996년~1999년, 2007년
고고학자찰스 워런, 벤자민 마자르, 로니 레이흐, 엘리 슈크론, 야코프 빌링
역사
재건축 시작기원전 19년경
완공기원후 64년
파괴기원후 70년
추가 정보
중요 사건성전 파괴

2. 성경적 해설

기원전 559년 아케메네스 제국키루스 2세가 즉위하면서 예루살렘과 성전 재건이 가능해졌다.[5][16][105][106] 제1성전이 파괴된 이후에도 성전 터에서는 기초적인 의식 일부가 계속되었다.[6][106][107] 역대기하 뒷부분, 에즈라기, 느헤미야기에 따르면, 키루스 2세의 칙령에 따라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후, 제1성전 제단 터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99]

귀스타브 도레가 그린 제2성전 건축 (1866년 La Sainte Bible프랑스어)


성경 기록에 따르면, 바빌론 포로 귀환 후 70년 전 유다 왕국이 멸망한 이후 황폐해진 예후드 메디나타를 재조직하기 위한 준비가 즉시 이루어졌다. 유프라테스강 지역에서 예루살렘까지 4달에 걸쳐 돌아온 42,360명은[8][109] 종교적 동기를 통해 재건에 높은 참여를 보였고, 이에 따라 첫 관심사는 파괴된 성전을 재건하고[9][110] 희생 제사를 다시 진행하는 것이었다.

유다 지역의 총독 즈루빠벨이 먼저 페르시아 다릭 1,000개를 기부한 후, 여러 사람들이 큰 열정을 가지고 성전 금고에 재산을 바쳤다.[10][111] 먼저 신에게 올리는 제단을 전에 있던 곳과 동일한 위치에 만들고, 전 성전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파편을 치웠으며, 건설 시작 2년 2개월 후(기원전 535년)에는 제2성전의 주춧돌이 놓임과 동시에 사람들의 흥분과 기쁨이 넘쳐났다. 성전 재건에 대해 주변에서도 많은 관심이 대두되었지만, 주변국은 복잡한 심정으로 이를 바라보았다.[9][11][110][112]

사마리아인은 성전 건설을 돕기를 원했으나 즈루빠벨과 원로들은 유대인이 단독으로 성전을 건설해야 한다는 생각에 거절하였으며, 유대인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에즈라기 4장에는 사마리아인들이 유대인의 목표를 방해하기 위해 수사와 엑바타나에 사신을 보내, 건설을 중단시키는 데 성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9][110]

7년 후, 유대인의 복귀와 성전의 재건을 허가했던 키루스 2세가 사망했으며,[12][113] 아들인 캄비세스 2세가 즉위하였다. 캄비세스 2세가 사망한 후에는 바르디야가 약 8개월 간 집권하였으며, 그 후에는 다리우스 1세가 즉위하였다. 다리우스 1세의 즉위 2년 차에 성전 재건이 다시 시작되어,[13][114] 선지자 하깨와 즈가리야의 격려를 받으며 성전을 완성하였다. 유대 지역으로 귀환한 지 20년이 넘게 지난 시점인, 다리우스 1세 집권 6년차(기원전 516년) 봄에 축성 준비를 마쳤으며, 아다르월 3일에 완공되었으며, 많은 축하와 환호가 뒤따랐다.[2][100] 하깨서에는 제2성전의 영광이 제1성전보다 클 것임을 예측하는 내용이 있다.[9][14][110][115]

기원전 10세기 예루살렘을 현대에 복원한 모습, 제2성전은 제1성전이 있었던 곳에 건설되었다.


제2성전에는 바빌로니아에게 약탈당했다가 키루스 2세가 돌려준 금 기구들도 있었다.[9][110][118] 하지만 바빌로니아에서 기록한 탈무드에는 제1성전에 있었던 셰키나와 성령이 있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19]

2. 1. 제2성전 재건

기원전 559년 아케메네스 제국키루스 2세가 즉위하면서 예루살렘과 성전 재건이 가능해졌다.[5][16][105][106] 제1성전이 파괴된 이후에도 성전 터에서는 기초적인 의식 일부가 계속되었다.[6][106][107] 역대기하 뒷부분, 에즈라기, 느헤미야기에 따르면, 키루스 2세의 칙령에 따라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후, 제1성전 제단 터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99]

성경 기록에 따르면, 바빌론 포로 귀환 후 70년 전 유다 왕국이 멸망한 이후 황폐해진 예후드 메디나타를 재조직하기 위한 준비가 즉시 이루어졌다. 유프라테스강 지역에서 예루살렘까지 4달에 걸쳐 돌아온 42,360명은[8][109] 종교적 동기를 통해 재건에 높은 참여를 보였고, 이에 따라 첫 관심사는 파괴된 성전을 재건하고[9][110] 희생 제사를 다시 진행하는 것이었다.

유다 지역의 총독 즈루빠벨이 먼저 페르시아 다릭 1,000개를 기부한 후, 여러 사람들이 큰 열정을 가지고 성전 금고에 재산을 바쳤다.[10][111] 먼저 신에게 올리는 제단을 전에 있던 곳과 동일한 위치에 만들고, 전 성전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파편을 치웠으며, 건설 시작 2년 2개월 후(기원전 535년)에는 제2성전의 주춧돌이 놓임과 동시에 사람들의 흥분과 기쁨이 넘쳐났다. 성전 재건에 대해 주변에서도 많은 관심이 대두되었지만, 주변국은 복잡한 심정으로 이를 바라보았다.[9][11][80][81][110][112]

사마리아인은 성전 건설을 돕기를 원했으나 즈루빠벨과 원로들은 유대인이 단독으로 성전을 건설해야 한다는 생각에 거절하였으며,[82] 유대인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에즈라기 4장에는 사마리아인들이 유대인의 목표를 방해하기 위해 수사와 엑바타나에 사신을 보내, 건설을 중단시키는 데 성공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9][110]

7년 후, 유대인의 복귀와 성전의 재건을 허가했던 키루스 2세가 사망했으며,[12][69][113] 아들인 캄비세스 2세가 즉위하였다. 캄비세스 2세가 사망한 후에는 바르디야가 약 8개월 간 집권하였으며, 그 후에는 다리우스 1세가 즉위하였다. 다리우스 1세의 즉위 2년 차에 성전 재건이 다시 시작되어,[13][83][114] 선지자 하깨와 즈가리야의 격려를 받으며 성전을 완성하였다. 유대 지역으로 귀환한 지 20년이 넘게 지난 시점인, 다리우스 1세 집권 6년차(기원전 516년) 봄에 축성 준비를 마쳤으며, 아다르월 3일에 완공되었으며, 많은 축하와 환호가 뒤따랐다.[2][73][100] 하깨서에는 제2성전의 영광이 제1성전보다 클 것임을 예측하는 내용이 있다.[9][14][15][84][110][115]

제2성전에는 바빌로니아에게 약탈당했다가 키루스 2세가 돌려준 금 기구들도 있었다.[9][86][110][118] 하지만 바빌로니아에서 기록한 탈무드에는 제1성전에 있었던 셰키나와 성령이 있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19]

로마에 있는 티투스의 개선문 내벽에 새겨진, 성전에서 가져온 전리품을 운반하는 로마 군대

2. 2. 제1성전과의 비교

3. 랍비 문학

전통 랍비 문학에는 제2성전이 420년 동안 존재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2세기에 쓰여진 세데르 올람 랍에 따르면 건설 연도는 기원전 356년(3405 AM)이며, 파괴 연도는 기원후 68년(3828 AM)이다.[120][121]

미슈나의 다섯 번째인 코다심에는 제사, 기구, 성직자 등 성전과 관련된 규정에 대해 자세한 정보와 설명이 쓰여 있다. 순서에 대한 논문에서는 동물, 새, 고기의 제사, 속죄제 등 희생을 바치는 법, 성물의 남용에 대한 법을 다루고 있다. 또한, 제2성전에 대한 설명이나, 성전에서 매일 이루어진 제사에 대한 설명 및 규칙이 실려 있기도 하다.[122][123][124]

4. 마카베오의 재봉헌

알렉산드로스 3세의 유대 점령 이후 유대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치하에 있다가, 기원전 200년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에게 승리한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25] 이 시기 제2성전이 약탈당하고 유대교가 사실상 불법화되었다.

기원전 167년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성전에 제우스 제단을 세울 것을 명령하였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 시기에 '유대인들의 법을 해체하고, 아이들의 할례를 금지하였으며, 돼지고기를 제단에 바칠 것을 강요했으며, 심하게 반대하면 사형에 처해졌다'고 기록하였다.[126] 이 내용은 마카베오상에도 기록되어 있다.

마카베오의 반란 이후, 제2성전은 야훼에게 재봉헌되었으며 유대 하슈모나이 왕국의 종교적 중심지가 되었다. 이 사건은 유대인의 명절인 하누카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26][27]

5. 하슈모나이 왕국 및 로마의 점령

살로메 알렉산드라는 큰아들 히르카노스 2세유대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였으나, 작은아들 아리스토불로스 2세는 왕권을 노렸으며, 여왕의 사망 직후 왕위를 얻었다. 히르카노스 2세는 에돔의 통치자 안티파테르의 종용으로 나바테아의 왕 아레타 3세에게 망명하여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을 포위하였다. 제3차 미트리다드 전쟁으로 인해 시리아에서 대아르메니아 왕국과 싸우던 로마 장수 폼페이우스는 유대 분쟁을 조사하기 위해 부하를 보냈고, 양측 모두 지원을 요청하였으나 폼페이우스의 결정 지연으로 아리스토불로스가 군대를 이끌게 되었다.[127][28] 아리스토불로스는 폼페이우스에게 항복하였지만, 그의 군대는 예루살렘으로 들어가 문을 닫았고, 로마는 성을 포위해 기원전 63년에 성을 점령하였다. 전투 도중에도 성직자들은 성전에서 의식을 계속 진행하였으며, 로마 군대는 성전을 약탈하지 않았다. 폼페이우스는 지성소에 들어갔으며, 다음 날 성직자들에게 성전을 정화하고 종교 의식을 다시 진행할 것을 명령했다.[127][28]

로마 황제 칼리굴라가 자신의 석상을 성전 안에 두려고 하였을 때, 헤로데의 손자 아그리파 1세가 개입하여 저지하였다.

6. 헤로데의 성전

예루살렘 모형에 구현된 헤로데의 성전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라본 방향이다.


2013년 성전산을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


The Presentation in the Temple(1910)에서 묘사한 헤로데의 성전.


이스라엘 박물관에 있는 헤로데 신전 모형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술과 미슈나의 미드도트 논문에 있는 정보는 오랫동안 서기 70년까지의 성전 설계를 제안하는 데 사용되었다.[1]

20세기에 쿰란 사해 두루마리의 일부로 발견된 성전 두루마리는 또 다른 가능한 자료를 제공했다. 로렌스 시프만은 요세푸스와 성전 두루마리를 연구한 후 요세푸스가 성전 두루마리보다 역사적으로 더 신뢰할 수 있다고 말한다.[29]

헤로데 1세 치하에서의 신전 재건은 성전산의 대규모 확장으로 시작되었다. 신전 재건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종교적 예배와 신전 의식은 계속되었다.[89] 유대 속주의 대규모 반란( 유대 전쟁) 후, 70년 예루살렘 포위전에서 티투스가 이끄는 로마 군단에 의해 신전은 파괴되었다. 이를 기록한 가장 완전한 고대 기록은 요세푸스의 유대전쟁기이다. 후대 로마 속주 총독은 신전 유적을 이용하여 궁전과 주피터 신전, 비잔틴 교회를 건설했다. 그러한 신전 유적은 687년부터 691년 사이에 돔 오브 더 락이 건설될 때까지 해체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 제단 외에도 돔 오브 더 락으로 이어지는 계단(돔 오브 더 락은 헤로데 이전부터 있던 성전산 제단 벽의 꼭대기에 세워져 있다)을 포함한 지상에 드러난 신전 유적이 몇몇 남아 있다.[90]

신전 자체는 오늘날 돔 오브 더 락이 있는 곳에 세워졌으며, 출구 문은 알아크사 모스크 근처에 있었다.[89]

==== 성역 확장, 일자, 기간 ====

헤로데 1세 치하에서의 성전 재건축은 성전산의 성역을 확장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성전의 전체 면적은 원래 7 헥타르 가량이었지만, 헤로데 시대에는 14.4 헥타르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128][30] 헤로데의 공사는 보통 기원전 20년~19년에서 기원전 12년~10년으로 추정하며, 비케 마히우는 성전 주변 공사가 기원전 25년, 성전 자체의 공사가 기원전 19년에 시작되어, 둘 모두 기원전 18년 11월에 종료되었다고 보았다.[129][31]

건설 도중에도 종교적 숭배와 졔사는 계속 진행되었다.[130][32] 헤로데와 유대교 사회 간에는, 공사 기간 중 제물을 계속 바치고, 대신 성전의 건설은 제사장들이 맡아서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성전의 기능이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에, 건물 자체로는 세 번째임에도 헤로데의 성전을 제2성전의 연속으로 본다.

헤로데의 성전은 기원전 1세기 당시 몇 되지 않은 대규모 공사 중 하나였다. 요세푸스는 헤로데가 공사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남기기를 원하였다며, 공사 자체는 고되고 높은 세금으로 충당되었지만, 예루살렘 성전이라는 걸작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하였다.[131][33] 이후 성전세를 부활시키며 성소의 세겔이 다시 도입되었다.[132][34] 헤로데는 마사다, 카이사레아티베리아스에 장엄한 궁전을 소유하고 있었고, 비유대인들을 위해 여러 이교 신들을 위한 신전을 건설했으며, 그 자금은 현지 유대인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여 충당되었다.[91]

제임스 티소 - 예루살렘 재건과 헤로데 성전 - (브루클린 미술관)


남쪽 담과 왕의 회랑 모형


==== 구성 요소 ====

모리아산의 북쪽에는 평원이 있고, 남쪽에는 급한 경사가 있었다. 헤로데는 산 전체를 거대한 사각 평원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다. 성전산은 당초 가로 490 m, 세로 270 m, 벽 높이 5 m로 지어질 예정이었지만, 이 공사는 완료되지 못했다. 공사를 재개할 때에는 산 주변에 거대한 구덩이를 팠으며, 거대한 벽돌을 놓았다. 벽돌 일부는 무게가 100톤이 넘어갔으며, 가장 큰 돌은 13.6 m × 3.4 m × 5.0 m 크기로 무게는 567 ~ 628톤가량이었다.[133] 벽돌 대다수는 0.76 m × 1.07 m × 4.57 m 크기였으며, 무게는 15톤가량이었다.

헤로데는 그리스, 로마, 이집트에서 건축가를 데려와 공사를 맡겼다. 채석장에서는 먼저 물길을 만들기 위해 곡괭이를 통해 땅을 판 후, 나무 대들보를 망치로 두들긴 다음 물로 돌을 내보내는 방식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밖으로 나온 돌은 정사각형으로 가공된 후 설치 장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새겨졌다. 표식을 새길 때는 더 단단한 돌을 사용해 새겼거나 돌을 깎아내는 방식을 거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돌은 황소와 전용 수레를 이용해 옮겼다. 채석장이 성전보다 위에 있었기 때문에, 내리막을 내려갈 때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최종 설치는 기중기를 이용하였는데, 로마에서 사용한 기중기는 돌을 들어올려 정확한 위치에 넣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여러 기중지를 함께 사용했다.[134] 산을 평평하게 하며 고도가 올라가자, 산 서쪽은 수직 벽을 세운 후 벽돌 무늬를 새겨 벽돌이 이어지는 느낌을 주었다. 모리아산 북쪽의 안토리나언덕은 성전산에 흡수되었고, 둘 사이의 골짜기는 흙으로 매워졌다.

성전 공사는 땅의 크기보다 공간을 넓히기 위해 성전 부지 밑에 지하 창고를 만드는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지표의 높이는 통곡의 벽 터널에 드러난 것처럼 현재보다 6 m가량 낮았다. 유대 전승에는 성전 건설이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전해지지만, 요세푸스 등 기록에는 더 오래 걸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차이는 성전 자체의 건설과, 성전 주변 시설의 건설의 차이로 보기도 한다. 예수의 방문 당시에는 성전이 46년 동안 건설되었다는 말이 있었다.[135]

==== 이방인의 뜰 ====

이방인의 뜰은 주로 바자르 기능을 하였다. 노점들은 기념품, 성결한 동물, 음식을 팔았으며, 로마와 티레 화폐 간의 환전도 이루어졌다.[136][137] 특히 티로스 화폐로 환전하는 일이 많았는데, 이는 예수와 환전상에 대한 신약 성서 기록에도 언급되어 있다. 당시 예루살렘에는 유월절을 지키려 온 유대인 순례자들이 30만 명에서 40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6][37] 유대인들은 스스로 돈을 벌 수 없었고, 로마의 통화를 지배자에 의한 불쾌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환전상이 필요했다.[96]

훌다문과 성전 벽 위에는 거대한 바실리카인 왕궁 회랑(스토아)이 있었는데, 요세푸스는 "태양 밑의 다른 어떤 건물보다 가치 있다"고 칭찬하였다.[38] 주요 부분은 162개의 기둥이 네 줄로 배열된 긴 기둥 회랑이었다.[38]

예루살렘 성지 모형의 왕궁 회랑


스토아는 보통 헤로데 시기에 건설한 것으로 보았지만, 최근 통곡의 벽 인근에서 진행된 고고학 조사에 따르면 아그리파 1세의 집권기인 기원후 1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39]

건물을 견학하는 가이드도 제공되었다. 유대인 남성에게는 성전 내부를 견학할 특별한 기회가 주어졌다. 흰 삼베 로브와 튜브형 모자를 착용한 코헨(사제)들은 성전에 흩어져 순례자들을 안내하고 어떤 종류의 제사가 행해지는지 그들에게 조언했다.

비유대인의 정원은 왕의 포르티코(portico)였으며, 행정 구역의 1/4 시장과 회당이 포함되어 있었다. 윗층에서는 추고트(zugot)가 알현식을 거행하고, 코헨과 레위인들은 여러 가지 잡일을 했다. 관광객들은 비유대인의 정원에서 그 행사를 볼 수 있었다.

정원 동쪽에는 솔로몬의 포르티코가 있었고, 북쪽에는 유대인만 출입할 수 있는 거대한 석조 구조물로 공공장소에서 차단된 소렉(Soreg)이 있었다. 성전 자체는 소렉 안에 있었다.

==== 피너클 ====

마태오루가의 복음서에 나온 그리스도의 유혹에는 제2성전에 피너클이 하나 이상 있음이 암시되어 있다.

그러자 악마는 예수를 거룩한 도시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140]


다시 악마는 예수를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 "당신이 하느님의 아들이거든 여기에서 뛰어내려 보시오.[141]


그리스어 원본에서 사용한 단어 프테리욘(프테리욘/πτερυγιονgrc)은 , 성벽, 피너클을 뜻한다.[142] 스트롱의 용어색인에서는 성첩이나 난간 등 작게 튀어나온 구조물의 일종으로 보았으며,[143] 고고학자 벤자민 마자르는 키드론 계곡을 바라보는, 성전의 동남쪽 구석이라고 추정하였다.[144]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시험 기사는 제2성전에 하나 이상의 '첨탑'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자 사탄이 예수를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가서 성전 첨탑에 세워 놓고 말했다.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여기서 뛰어내려라.”[40]


사용된 그리스어는 프테리기온/πτερύγιονgrc이며, 문자 그대로 탑, 성벽 또는 첨탑을 의미한다.[41] 스트롱 컨코던스에 따르면, 작은 날개, 또는 그 연장선상에서 성벽이나 난간과 같은 날개 모양의 것을 의미할 수 있다.[42] 고고학자 벤자민 마자르는 이것이 기드론 계곡을 내려다보는 성전의 남동쪽 모서리를 가리킨다고 생각했다.[43]

==== 안뜰 ====

요세푸스에 따르면 안뜰로 들어가는 입구는 총 10개로, 남쪽과 북쪽에 각각 4개, 동쪽에 하나였고, 동서의 여성의 뜰과 이스라엘인의 뜰을 잇는 니카노르문이 있었다.[145] 남쪽에는 (동쪽 방향부터 순서대로) 연료문, 맏이문, 수(水)문이었고, 북쪽에는 (서쪽 방향부터 순서대로) 여고나문, 제물문, 여성의 문, 노래문이었으며, 동쪽에는 니가노르문이 있었고 이 문을 통해 유대인 다수가 출입했다. 뜰을 두르는 벽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요세푸스는 헤로데 1세가 성전 대문에 금으로 만든 독수리를 세웠다고 기록하였다.[146]

안뜰에는 여성의 뜰이 있었는데, 남녀노소 모든 유대인이 출입할 수 있었으며, 심지어 정결하지 않은 제사장도 관리를 위해 출입할 수 있었다. 나병 환자를 위한 공간과 나실인의 의식을 위한 이발소가 있었다. 여성의 뜰은 안뜰 중 가장 컸으며, 항상 음악과 춤을 볼 수 있었다.

이스라엘인의 뜰에는 남성만 출입할 수 있었으며, 제사장의 뜰에서 진행되는 제사를 볼 수 있었다. 제사장의 뜰은 제사장과 레위인만 출입할 수 있었다.

==== 성소 ====

바위의 돔 밑에 있는 주춧돌로, 지성소의 위치로 추정하고 있다.


성전 건물 입구와 지성소 천막 사이에는 메노라나 제사를 올리는 단 등 성소에서 사용하는 그릇들이 있었다.

신전 입구에서 휘장으로 가려진 지성소에는 메노라, 향을 피우는 제단 및 여러 가지 도구와 같은 유명한 기구들이 놓여 있었다.

==== 지성소 ====

신전 입구에서 휘장으로 가려진 지성소에는 메노라, 향을 피우는 제단 및 여러 가지 도구와 같은 유명한 기구들이 놓여 있었다.

6. 1. 성역 확장, 일자, 기간

헤로데 1세 치하에서의 성전 재건축은 성전산의 성역을 확장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성전의 전체 면적은 원래 7 헥타르 가량이었지만, 헤로데 시대에는 14.4 헥타르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128][30] 헤로데의 공사는 보통 기원전 20년~19년에서 기원전 12년~10년으로 추정하며, 비케 마히우는 성전 주변 공사가 기원전 25년, 성전 자체의 공사가 기원전 19년에 시작되어, 둘 모두 기원전 18년 11월에 종료되었다고 보았다.[129][31]

건설 도중에도 종교적 숭배와 졔사는 계속 진행되었다.[130][32] 헤로데와 유대교 사회 간에는, 공사 기간 중 제물을 계속 바치고, 대신 성전의 건설은 제사장들이 맡아서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성전의 기능이 계속 유지되었기 때문에, 건물 자체로는 세 번째임에도 헤로데의 성전을 제2성전의 연속으로 본다.

헤로데의 성전은 기원전 1세기 당시 몇 되지 않은 대규모 공사 중 하나였다. 요세푸스는 헤로데가 공사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남기기를 원하였다며, 공사 자체는 고되고 높은 세금으로 충당되었지만, 예루살렘 성전이라는 걸작을 만들어냈다고 평가하였다.[131][33] 이후 성전세를 부활시키며 성소의 세겔이 다시 도입되었다.[132][34] 헤로데는 마사다, 카이사레아티베리아스에 장엄한 궁전을 소유하고 있었고, 비유대인들을 위해 여러 이교 신들을 위한 신전을 건설했으며, 그 자금은 현지 유대인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여 충당되었다.[91]

6. 2. 구성 요소

모리아산의 북쪽에는 평원이 있고, 남쪽에는 급한 경사가 있었다. 헤로데는 산 전체를 거대한 사각 평원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다. 성전산은 당초 가로 490 m, 세로 270 m, 벽 높이 5 m로 지어질 예정이었지만, 이 공사는 완료되지 못했다. 공사를 재개할 때에는 산 주변에 거대한 구덩이를 팠으며, 거대한 벽돌을 놓았다. 벽돌 일부는 무게가 100톤이 넘어갔으며, 가장 큰 돌은 13.6 m × 3.4 m × 5.0 m 크기로 무게는 567 ~ 628톤가량이었다.[133] 벽돌 대다수는 0.76 m × 1.07 m × 4.57 m 크기였으며, 무게는 15톤가량이었다.

헤로데는 그리스, 로마, 이집트에서 건축가를 데려와 공사를 맡겼다. 채석장에서는 먼저 물길을 만들기 위해 곡괭이를 통해 땅을 판 후, 나무 대들보를 망치로 두들긴 다음 물로 돌을 내보내는 방식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밖으로 나온 돌은 정사각형으로 가공된 후 설치 장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새겨졌다. 표식을 새길 때는 더 단단한 돌을 사용해 새겼거나 돌을 깎아내는 방식을 거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돌은 황소와 전용 수레를 이용해 옮겼다. 채석장이 성전보다 위에 있었기 때문에, 내리막을 내려갈 때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최종 설치는 기중기를 이용하였는데, 로마에서 사용한 기중기는 돌을 들어올려 정확한 위치에 넣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여러 기중지를 함께 사용했다.[134] 산을 평평하게 하며 고도가 올라가자, 산 서쪽은 수직 벽을 세운 후 벽돌 무늬를 새겨 벽돌이 이어지는 느낌을 주었다. 모리아산 북쪽의 안토리나언덕은 성전산에 흡수되었고, 둘 사이의 골짜기는 흙으로 매워졌다.

성전 공사는 땅의 크기보다 공간을 넓히기 위해 성전 부지 밑에 지하 창고를 만드는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지표의 높이는 통곡의 벽 터널에 드러난 것처럼 현재보다 6 m가량 낮았다. 유대 전승에는 성전 건설이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전해지지만, 요세푸스 등 기록에는 더 오래 걸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차이는 성전 자체의 건설과, 성전 주변 시설의 건설의 차이로 보기도 한다. 예수의 방문 당시에는 성전이 46년 동안 건설되었다는 말이 있었다.[135]

6. 2. 1. 이방인의 뜰

이방인의 뜰은 주로 바자르 기능을 하였다. 노점들은 기념품, 성결한 동물, 음식을 팔았으며, 로마와 티레 화폐 간의 환전도 이루어졌다.[136][137] 특히 티로스 화폐로 환전하는 일이 많았는데, 이는 예수와 환전상에 대한 신약 성서 기록에도 언급되어 있다. 당시 예루살렘에는 유월절을 지키려 온 유대인 순례자들이 30만 명에서 40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6][37] 유대인들은 스스로 돈을 벌 수 없었고, 로마의 통화를 지배자에 의한 불쾌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환전상이 필요했다.[96]

훌다문과 성전 벽 위에는 거대한 바실리카인 왕궁 회랑(스토아)이 있었는데, 요세푸스는 "태양 밑의 다른 어떤 건물보다 가치 있다"고 칭찬하였다.[38] 주요 부분은 162개의 기둥이 네 줄로 배열된 긴 기둥 회랑이었다.[38]

스토아는 보통 헤로데 시기에 건설한 것으로 보았지만, 최근 통곡의 벽 인근에서 진행된 고고학 조사에 따르면 아그리파 1세의 집권기인 기원후 1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39]

건물을 견학하는 가이드도 제공되었다. 유대인 남성에게는 성전 내부를 견학할 특별한 기회가 주어졌다. 흰 삼베 로브와 튜브형 모자를 착용한 코헨(사제)들은 성전에 흩어져 순례자들을 안내하고 어떤 종류의 제사가 행해지는지 그들에게 조언했다.

비유대인의 정원은 왕의 포르티코(portico)였으며, 행정 구역의 1/4 시장과 회당이 포함되어 있었다. 윗층에서는 추고트(zugot)가 알현식을 거행하고, 코헨과 레위인들은 여러 가지 잡일을 했다. 관광객들은 비유대인의 정원에서 그 행사를 볼 수 있었다.

정원 동쪽에는 솔로몬의 포르티코가 있었고, 북쪽에는 유대인만 출입할 수 있는 거대한 석조 구조물로 공공장소에서 차단된 소렉(Soreg)이 있었다. 성전 자체는 소렉 안에 있었다.

6. 2. 2. 피너클

마태오루가의 복음서에 나온 그리스도의 유혹에는 제2성전에 피너클이 하나 이상 있음이 암시되어 있다.

그러자 악마는 예수를 거룩한 도시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140]


다시 악마는 예수를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가서 성전 꼭대기에 세우고 "당신이 하느님의 아들이거든 여기에서 뛰어내려 보시오.[141]


그리스어 원본에서 사용한 단어 프테리욘(프테리욘/πτερυγιονgrc)은 , 성벽, 피너클을 뜻한다.[142] 스트롱의 용어색인에서는 성첩이나 난간 등 작게 튀어나온 구조물의 일종으로 보았으며,[143] 고고학자 벤자민 마자르는 키드론 계곡을 바라보는, 성전의 동남쪽 구석이라고 추정하였다.[144]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시험 기사는 제2성전에 하나 이상의 '첨탑'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자 사탄이 예수를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가서 성전 첨탑에 세워 놓고 말했다.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여기서 뛰어내려라.”[40]


사용된 그리스어는 프테리기온/πτερύγιονgrc이며, 문자 그대로 탑, 성벽 또는 첨탑을 의미한다.[41] 스트롱 컨코던스에 따르면, 작은 날개, 또는 그 연장선상에서 성벽이나 난간과 같은 날개 모양의 것을 의미할 수 있다.[42] 고고학자 벤자민 마자르는 이것이 기드론 계곡을 내려다보는 성전의 남동쪽 모서리를 가리킨다고 생각했다.[43]

6. 2. 3. 안뜰

요세푸스에 따르면 안뜰로 들어가는 입구는 총 10개로, 남쪽과 북쪽에 각각 4개, 동쪽에 하나였고, 동서의 여성의 뜰과 이스라엘인의 뜰을 잇는 니카노르문이 있었다.[145] 남쪽에는 (동쪽 방향부터 순서대로) 연료문, 맏이문, 수(水)문이었고, 북쪽에는 (서쪽 방향부터 순서대로) 여고나문, 제물문, 여성의 문, 노래문이었으며, 동쪽에는 니가노르문이 있었고 이 문을 통해 유대인 다수가 출입했다. 뜰을 두르는 벽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요세푸스는 헤로데 1세가 성전 대문에 금으로 만든 독수리를 세웠다고 기록하였다.[146]

안뜰에는 여성의 뜰이 있었는데, 남녀노소 모든 유대인이 출입할 수 있었으며, 심지어 정결하지 않은 제사장도 관리를 위해 출입할 수 있었다. 나병 환자를 위한 공간과 나실인의 의식을 위한 이발소가 있었다. 여성의 뜰은 안뜰 중 가장 컸으며, 항상 음악과 춤을 볼 수 있었다.

이스라엘인의 뜰에는 남성만 출입할 수 있었으며, 제사장의 뜰에서 진행되는 제사를 볼 수 있었다. 제사장의 뜰은 제사장과 레위인만 출입할 수 있었다.

6. 2. 4. 성소



성전 건물 입구와 지성소 천막 사이에는 메노라나 제사를 올리는 단 등 성소에서 사용하는 그릇들이 있었다.

신전 입구에서 휘장으로 가려진 지성소에는 메노라, 향을 피우는 제단 및 여러 가지 도구와 같은 유명한 기구들이 놓여 있었다.

6. 2. 5. 지성소

신전 입구에서 휘장으로 가려진 지성소에는 메노라, 향을 피우는 제단 및 여러 가지 도구와 같은 유명한 기구들이 놓여 있었다.

7. 순례

로마 제국의 먼 곳에서 온 유대인들은 야파(텔아비브)에 배로 도착한 후, 예루살렘까지 3일 동안 마차를 타고 왔다.[147][148] 이들은 세속적으로 여겨졌던 그리스와 로마 화폐를 유대티레의 화폐로 바꾸었다.[47][48] 순례자들은 다음 날 사용할 비둘기나 양 등 고기를 구입하였다.

순례자들은 먼저 남쪽의 공용 출입구로 들어가, 미크바에서 정결 의식을 행하였다. 그 후에는 제물로 바칠 동물을 회수한 후, 훌다의 문으로 향해, 3층 높이를 계단으로 올라간 후 문을 통과하여 이방인의 뜰로 향하였다. 성전의 하얀 대리석은 도시 성벽 밖에서도 보였으며, 건물의 규모는 예루살렘의 중심이 될 만큼 인상적이었다. 헤로데 대왕의 궁전 근처에 있는 세 개의 큰 탑조차 비교적 작게 보였다.

로빈슨 아치(Robinson's Arch) - 헤로데 대왕이 건설한 왕의 기둥 현관(Royal Stoa) 입구 유적

8. 파괴

기원후 66년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4년 후인 70년 8월 4일[149](아브월 9일[150]) 또는 8월 30일[151] 티투스 지휘 하의 로마 군단예루살렘을 재점령하여 도시 대부분과 제2성전을 파괴하였다.[49] 유대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로마에 지어진 티투스 개선문에는 군사들이 메노라 등 성전에서 탈취한 전리품을 가지고 가는 개선식이 묘사되어 있다.[52] 콜로세움에 새겨진 글에는 79년에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전쟁 전리품을 사용하여 콜로세움을 건축하였다고 적혀 있는데, 이 중 일부는 제2성전의 전리품일 가능성이 있다.[152]

예루살렘 포위 공격 (70년)
로마군에 의한 예루살렘 포위와 파괴 (1850년, 데이비드 로버츠/David Roberts (painter)영어)


사두개파 등 성전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의 교파는 입지가 감소하였다.[153]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엘리아 카피톨리나를 예루살렘 터에 건립하였다. 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많은 유대 공동체가 학살당함에 더해,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거주가 금지되었다.[127] 제2성전의 터에는 로마 신전이 건립되었다. 현재 성전의 터에는 바위의 돔이 서 있으며, 바로 옆에 알아크사 모스크가 있다.[130]

역사 기록에는 성전뿐만 아니라 예루살렘 도심부 전체가 파괴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154] 하지만 요세푸스에 따르면, 도시의 저항력을 기리기 위해 파사엘의 탑 등 일부 탑은 남겨두었다.[155][156]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가 예루살렘 공방전 당시 베스파시아누스에게 룻다(로드)로 가는 서쪽 문(필리 메아르바에/פילי מערבאהhe)을 남겨 달라고 요청하였다는 기록 또한 존재하며, 로마 군대와 같이 싸웠던 아랍 지원군 또한 서쪽 벽을 파괴하지 않고 남겨두었다.[157]

유대교의 종말론에는 제2성전이 미래 예루살렘의 제3성전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믿음이 포함되어 있다.[58]

9. 고고학

1967년 이후, 고고학자들은 성전산을 둘러싼 성벽이 발견되었고, 사자문 근처의 도시 성벽 또한 그 일부였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통곡의 벽은 제2성전의 유일한 유적이 아니다.[163][62] 로빈슨의 아치는 제단 꼭대기와 더 높은 지대를 연결하는 아치의 시작점으로 남아 있다. 이는 성직자들이 성전 입구로 사용했다. 일반인들은 현재 막혀 있지만 남아 있는 남쪽 문을 통해 제단 꼭대기로 이어지는 주랑을 지나도록 안내받았다. 이 주랑들 중 하나는 현재도 남아 있으며, 성전산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남벽은 웅장한 입구로 설계되었다.[163] 고고학 발굴을 통해 예배자들이 정결 의식을 치르던 수천 개의 미크바와 성전으로 이어지는 웅장한 계단(현재 입구는 막혀 있다)이 발견되었다.[163][62] 성벽 안쪽에서는 성전이 솔로몬의 마구간이라 불리는 현재도 남아 있는 아치형 통로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164] 와끄프의 솔로몬의 마구간에 대한 수리 사업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en:Jerusalem Islamic Waqf).[164][63] 성전은 햇빛에 빛나는 흰 대리석을 수입하여 건축되었다.

2007년 9월 25일, 이스라엘 유물관리국의 고고학자 유발 바룩은 성전산에서 헤로데 대왕에게 성전 건축용 돌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는 채석장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65] 발견된 동전과 도자기, 철제 기둥으로 미루어 볼 때, 채석장은 기원전 19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165][64] 고고학자 에후드 네처는 채석된 돌의 거대한 외형은 수백 명의 노예에 의해 가공되었다는 증거이며, 큰 공공 사업이었음을 확인했다.[165][64]

9. 1. 성전 경고문

1871년, 예루살렘 성전산 인근에서 그리스어 언셜체가 사용된, 60 × 90 cm 크기의 다듬어진 석판이 발견되었으며, 클레르몽 가노가 성전 경고문의 하나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석판에 쓰여진 글에는 유대인이 아닌 사람이 소레그 담장을 넘어 안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금지하는 글이 적혀 있다.[160][59]

현재 석판은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서 보존하고 있다.[160][59]

1935년에는 이와 유사한 다른 경고문 석판 조각이 발견되었다.[160][59]

제2성전의 성소에 들어오는 것을 금하는 ''소렉'' 비문


"이방인"이라는 단어는 모호한 의미를 지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의례적 순수 상태나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이방인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헤로데가 비문을 쓰도록 했기 때문에 개종하지 않은 이방인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헤로데 자신은 개종한 이두메아인(또는 에돔인)이었으며, 자신이나 자신의 후손을 배제할 가능성이 적다.[60]

9. 2. 나팔을 부는 장소

성전산 서남쪽 구석에서 부분적으로 보존된 다른 고대 석판이 발견되었다.[161][162] 석판에는 "나팔을 부는 장소에"라는 문구가 쓰여 있으며, 모양으로 보아 난간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61][162] 탈무드요세푸스의 글에 나오는, '성직자들이 서서 오후, 저녁, 일곱째 날마다 나팔을 부는 곳'이라고 언급된 그 장소로 보고 있다.[161][162] 헤로디아누스 산 남서쪽 모서리 아래에서 발견된 부분적으로 보존된 또 다른 고대 비문에는 "나팔 부는 곳"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61] 돌의 모양으로 보아 그것은 난간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이며, 요세푸스가 묘사한 산 위의 장소, 즉 "제사장 한 명이 서서 매주 안식일의 시작과 끝을 알리기 위해 오후와 다음 날 저녁에 나팔을 불던 곳"에 속한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61] 이것은 탈무드의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61]

9. 3. 성전의 벽과 문

1967년부터 고고학자들은 성전산을 두르는 벽을 발굴하였으며, 통곡의 벽만이 성전의 유일한 흔적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발굴된 벽은 현재 사자의 문 인근 성벽을 이루고 있다.[163][62] 현재 로빈슨의 아치는 바닥 끝 부분과 멀리 떨어진 고지대 당을 잇는 아치의 시작 부분으로서 남아 있다. 방문객이나 순례자들은 남쪽에 있는 문을 통과해 열주를 지나 고지대로 이어지는 길을 이용하기도 했으며, 이 길은 현재 남아 있지만 길 자체는 막혔다. 남벽은 당초 대문으로서 기능하게끔 설계되었다.[163] 최근에는 여러 미크바와, 현재는 막힌 입구로 향하는 계단 길이 발굴되기도 하였다.[163][62]

9. 4. 지하 구조물

벽 안에는 현재 솔로몬의 마구간이라고 부르는, 여러 아치가 떠받치고 있는 연단이 있다.[164] 예루살렘 이슬람교 와크프는 이 공간을 개조하였으며, 많은 논란을 낳고 있다.[164][63]

9. 5. 채석장

2007년 9월 25일, 이스라엘 유물관리국은 헤로데 성전 건축에 사용된 돌을 채굴한 채석장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65] 발견된 동전, 도자기, 철못 등의 유물은 기원전 19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165][64] 고고학자 에후드 네처는 돌에 있는 큰 절단 흔적을 통해 수백 명의 노예가 동원된 대규모 공공 프로젝트였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165][64]

9. 6. 바닥 타일

성전산 조사 프로젝트와 템플 마운트 체(체질) 프로젝트에서 제2성전기에 사용한 바닥 타일을 발견하였다.[166][65]

9. 7. 막달라석

막달라석은 기원후 70년 성전이 파괴되기 전 성전을 묘사해 놓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67][66]

10. 제2성전 유대교

제2성전이 완공된 기원전 515년부터 로마 제국에 의해 파괴된 기원후 70년까지의 기간 동안 아브라함 종교에는 많은 역사적 및 종교적 변화가 일어났다. 유대교 성경의 권위, 종교를 중심으로 한 법과 도덕, 종말의 예측이 모두 이 시기에 생겨났다.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Second Temple and Rabbinic Judaism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2019-08-19
[2] 성경 Ezra 6:15,16
[3] 서적 Corpus Inscriptionum Iudaeae/Palaestinae: Volume 1 1/1: Jerusalem, Part 1: 1-704 https://www.worldcat[...] De Gruyter 2010-12-23
[4] 서적 Encyclopedia of Judaism http://worldcat.org/[...] Facts On File
[5] 서적 The Biblical Period from Abraham to Ezra: An Historical Surve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College Division
[6] 서적 The Hebrew Bible: New Insights and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2-10-17
[7] 서적 Hellenistic Constructs: Essays In Culture, History, and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8] 성경 Ezra 2:65
[9] 백과사전 Temple, the Second
[10] 성경 Ezra 2
[11] 성경 Haggai 2:3, Zechariah 4:10
[12] 성경 2 Chronicles 36:22–23
[13] 성경 Ezra 5:6–6:15
[14] 성경 Haggai 2:9
[15]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Yehud: A History of the Persian Province of Judah T&T Clark 2004
[16] 백과사전 Temple, The Second http://www.jewishenc[...]
[17] 성경 Ezra 1:7–11
[18] 성경 Ezra 6:3–4
[19]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the Second Temple era https://books.google[...] Mesorah Publications
[20] 문서 Middot 3:6
[21] 서적 A Book of Jewish Concepts https://archive.org/[...] Hebrew Publishing Company
[22]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The Soncino Press
[23] 백과사전 Kodashim Keter Publishing House Ltd.
[24] 웹사이트 Yoma 21b:7 https://www.sefaria.[...] 2019-08-05
[25] 웹사이트 The Wars of the Jews http://old.perseus.t[...] 2012-06-29
[26] 백과사전 Ḥanukkah http://www.jewishenc[...]
[27] 서적 Being Jewish: The Spiritual and Cultural Practice of Judaism Toda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8] 서적 An Introduction to Second Temple Judaism: History and Religion of the Jews in the Time of Nehemiah, the Maccabees, Hillel, and Jesus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5-04-03
[29] 서적 The Courtyards of the House of the Lord Brill
[30] 논문 Four stages in the evolution of the Temple Mount
[31] 서적 Between Rome and Jerusalem Peeters
[32] 서적 Secrets of Jerusalem's Temple Mount
[33] 서적 The Jewish War
[34] 성경 Exodus 30:13
[35] 서적 Touching the Stones of our Heritage Israeli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36]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37]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SanFrancisco
[38] 논문 The Royal Sto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emple Mount https://www.jstor.or[...] 1979
[39] 웹사이트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http://www.antiquiti[...] 2017-01-09
[40] 성경 Luke 4:9
[41]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III Wm. B. Eerdmans
[42] 문서 Strong's Concordance 4419
[43] 서적 The Mountain of the Lord Doubleday
[44] 문서 Josephus, War 5.5.2; 198; m. Mid. 1.4
[45] 논문 Herod's golden eagle on the Temple gate: a reconsideration https://www.academia[...]
[46] 서적 Impostures mystiques Éditions du Cerf
[47]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48] 서적 Jesus, Interrupted HarperCollins
[49] 웹사이트 Hebrew Calendar http://www.cgsf.org/[...] 2018-11-14
[50] 서적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2-11
[51] 논문 The destruction of the Jerusalem Temple: its meaning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9-16
[52] 뉴스 Colosseum 'built with loot from sack of Jerusalem temple' https://www.telegrap[...] 2001-06-15
[53] 논문 Eine Bauinschrift aus dem Colosseum
[54] 서적 The Jewish War http://www.perseus.t[...]
[55] 서적 The Jewish War
[56] 논문 When was the Second Temple Destroyed? Chronology and Ideology in Josephus and in Rabbinic Literature Brill 2015
[57] 문서 Midrash Rabba (Eikha Rabba 1:32)
[58] 뉴스 A Christian view of the coming Temple – opinion https://www.jpost.co[...] 2022-07-24
[59] 웹사이트 Ancient Temple Mount 'warning' stone is 'closest thing we have to the Temple' http://www.timesofis[...] 2022-10-16
[60] 서적 Contesting Conversion: Genealogy, Circumcision, and Identity in Ancient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61] 웹사이트 'To the place of trumpeting …,' Hebrew inscription on a parapet from the Temple Mount https://www.imj.org.[...] The Israel Museum 2020-07-24
[62]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Temple Mount Excavations Shoham Academic Research and Publication
[63] 뉴스 Debris removed from Temple Mount sparks controversy https://www.jpost.co[...] 2020-07-25
[64] 뉴스 Herod's Temple quarry found https://www.usatoday[...] 2007-09-24
[65] 뉴스 Second Temple Flooring restored https://www.haaretz.[...] 2019-10-13
[66] 뉴스 A Carved Stone Block Upends Assumptions About Ancient Judaism https://www.nytimes.[...] 2015-12-08
[67] 서적 Revelation and the God of Isra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성경 에스라기 1장 1절 - 4절, 2장 s:에즈라기(구어역)#1:1
[69] 성경 역대기하 36장 22절 - 23절 s:역대기하(구어역)#36:22
[70] 성경 다니엘서 9장 1절 - 2절 s:다니엘서(구어역)#9:1
[71] 문서 에즈라기 제4장 s:에즈라기(구어역)#제4장
[72] 문서 에즈라기 제5장 s:에즈라기(구어역)#제5장
[73] 문서 에즈라기 제6장 15절 s:에즈라기(구어역)#6:15
[74] 문서 에즈라기 제6장 16절 s:에즈라기(구어역)#6:16
[75] 서적 The Illustrated Guide to the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8
[76]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The Second Temple era https://books.google[...] Mesorah Publications 1982
[77] 서적 Zondervan New Internation Version Bible Dictionary Zondervan
[78] 문서 에즈라기 제2장 64절 s:에즈라기(구어역)#2:64
[79] 문서 에즈라기 제2장 69절 s:에즈라기(구어역)#2:69
[80] 문서 하가이서 제2장 3절 s:하가이서(구어역)#2:3
[81] 문서 스가랴서 제4장 10절 s:스가랴서(구어역)#4:10
[82] 문서 에즈라기 제4장 2-3절 s:에즈라기(구어역)#4:2
[83] 문서 에즈라기 제5장 6절-제6장 15절 s:에즈라기(구어역)#5:6
[84] 문서 하가이서 제2장 9절 s:하가이서(구어역)#2:9
[85] 웹사이트 The Second Temple http://www.jewishenc[...]
[86] 문서 에즈라기 제1장 7-11절 s:에즈라기(구어역)#1:7
[87] 웹사이트 The Battle of Panion (200 BC) http://www.fanaticus[...]
[88] 웹사이트 Flavius Josephus, The Wars of the Jews http://old.perseus.t[...]
[89] 서적 Secrets of Jerusalem's Temple Mount 1998
[90] 서적 The End of Days: Fundamentalism and the Struggle for the Temple Mount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2
[91] 서적 Flavius Josephus: The Jewish War
[92] 뉴스 Lost Worlds of King Herod The History Channel
[93] 서적 Touching the Stones of our Heritage Israeli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02
[94] 뉴스 Modern Marvels: Bible tech History channel
[95] 문서 요한복음 제2장 20절 s:요한복음(구어역)#2:20
[96] 서적 Word biblical commentary: John Thomas Nelson 1999
[97] 문서 Josephus, War 5.5.2; 198; m. Mid. 1.4
[98] 뉴스 Report: Herod's Temple quarry found http://www.usatoday.[...] 2007-09-24
[99] 서적 Understanding Second Temple and Rabbinic Judaism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2003
[100] 문서 에즈라기 6:15~16
[101] 서적 Babylonian Chronology, 626 B.C.–A.D. 75 Brown University Press 1956
[102] 서적 Sefer Maʻaśe avot Kodesh Books 2005
[103] 서적 She'harim La'Luah Ha'ivry (Gates to the Hebrew Calendar) 1984
[104] 서적 Sefer Mishneh Torah - HaYad Ha-Chazakah (Maimonides' Code of Jewish Law) Pe'er HaTorah 1974
[105] 서적 The Biblical Period from Abraham to Ezra: An Historical Survey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College Division 1963
[106] 웹인용 Temple, The Second https://www.jewishen[...] 2022-10-01
[107] 서적 The Hebrew Bible: New Insights and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08] 서적 Hellenistic Constructs: Essays In Culture, History, and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01-01
[109] 성경 에즈라기 2:65
[110] 백과사전 Temple, the Second
[111] 성경 에즈라기 2장
[112] 성경 하깨서 2:3, 즈가리야서 4:10
[113] 성경 역대하 36:22–23
[114] 성경 에즈라기 5:6 ~ 6:15
[115] 성경 하깨서 2:9
[116] 웹인용 Mishneh Torah, Sefer Avodah, Beis Habechirah, Chapter 4, Halacha 1 http://www.chabad.or[...] 2013-05-20
[117] 문서 Middot 3:6
[118] 성경 에즈라기 1:7~11
[119] 문서 요마 21b https://www.sefaria.[...]
[120] 서적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The Second Temple era https://books.google[...] Mesorah Publications 1982-01-01
[121] 문서 마이모니데스의 서한 등, 유대인 고전 기록에는 제2성전기를 기원전 352년부터 기원후 68년까지 420년으로 보고 있다.
[122] 서적 A Book of Jewish Concepts https://archive.org/[...] Hebrew Publishing Company 1975-01-01
[123] 서적 The Babylonian Talmud The Soncino Press 1948-01-01
[124] 백과사전 Kodashim Keter Publishing House Ltd. 1978-01-01
[125] 웹사이트 The Battle of Panion (200 BC) http://www.fanaticus[...]
[126] 서적 The Wars of the Jews http://old.perseus.t[...]
[127] 서적 An Introduction to Second Temple Judaism: History and Religion of the Jews in the Time of Nehemiah, the Maccabees, Hillel, and Jesus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0-01-01
[128] 저널 Four stages in the evolution of the Temple Mount 2013-01-01
[129] 서적 Between Rome and Jerusalem Peeters 2012-01-01
[130] 서적 Secrets of Jerusalem's Temple Mount 1998-01-01
[131] 서적 The Jewish War
[132] 성경 출애굽기 30:13
[133] 서적 Touching the Stones of our Heritage Israeli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02-01-01
[134] 방송 Modern Marvels: Bible tech History channel
[135] 성경 요한복음 2:20
[136]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1993-01-01
[137]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SanFrancisco 1998-01-01
[138] 저널 The Royal Sto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emple Mount https://www.jstor.or[...] 1979-01-01
[139] 웹인용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http://www.antiquiti[...]
[140] 성경 마태복음 4:5
[141] 성경 루가의 복음서 4:9
[142]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III Wm. B. Eerdmans
[143] 사전 Strong's Concordance
[144] 서적 The Mountain of the Lord Doubleday
[145] 고전 Josephus, War 5.5.2; 198; m. Mid. 1.4
[146] 논문 Herod's Eagle Brill
[147]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148] 서적 Jesus, Interrupted HarperCollins
[149] 웹사이트 Hebrew Calendar http://www.cgsf.org/[...]
[150] 문서 Tisha B'Av
[151] 서적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웹사이트 Colosseum 'built with loot from sack of Jerusalem temple' https://www.telegrap[...]
[153] 저널 Eine Bauinschrift aus dem Colosseum
[154] 고전 The Jewish War 6.6.3 http://www.perseus.t[...]
[155] 고전 The Jewish War 7.1.1
[156] 저널 When was the Second Temple Destroyed? Chronology and Ideology in Josephus and in Rabbinic Literature Brill 2015
[157] 고전 Midrash Rabba (Eikha Rabba 1:32)
[158] 웹사이트 4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Temple https://www.chabad.o[...]
[159] 웹사이트 A Christian view of the coming Temple - opinion https://www.jpost.co[...]
[160] 웹사이트 Ancient Temple Mount 'warning' stone is 'closest thing we have to the Temple' https://www.timesofi[...]
[161] 서적 The Jewish War, 4, 9 https://ryanfb.githu[...] 2020-07-17
[162] 웹사이트 "To the place of trumpeting …," Hebrew inscription on a parapet from the Temple Mount https://www.imj.org.[...] The Israel Museum 2020-07-24
[163]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Temple Mount Excavations Shoham Academic Research and Publication
[164] 웹사이트 Debris removed from Temple Mount sparks controversy https://www.jpost.co[...]
[165] 웹사이트 USATODAY.com, Report: Herod's Temple quarry found https://www.usatoday[...] 2007-09-24
[166] 뉴스 Second Temple Flooring restored https://www.haaretz.[...] 2019-10-13
[167] 뉴스 A Carved Stone Block Upends Assumptions About Ancient Judaism https://www.nytimes.[...] 2015-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