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레이슨다람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레이슨다람쥐는 몸통 길이 약 21-22cm, 꼬리 길이 약 22-24cm의 다람쥐로, 1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털색은 아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흰색, 검은색, 적갈색 등 여러 형태를 보인다. 핀레이슨다람쥐는 수피, 수액, 씨앗, 열매, 꽃, 새싹 등을 먹으며 드물게 곤충이나 버섯도 섭취한다. 야생에서는 약 7년, 사육 상태에서는 약 12년까지 산다. 과거 일본에서 애완동물로 사육되었으나, 2005년 미판정 외래생물로 지정된 이후 수입이 금지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정착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로스키우루스속 - 프레보스트다람쥐
    프레보스트다람쥐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과 색상 패턴을 가진 중간 크기의 주행성 다람쥐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과일, 견과류, 곤충 등을 먹고 씨앗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 칼로스키우루스속 - 팔라스다람쥐
    팔라스다람쥐는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남부에 서식하며 털 색깔이 다양한 중간 크기의 초식성 나무다람쥐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어 수입과 번식이 금지되기도 한다.
  • 1823년 기재된 포유류 -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구름표범은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회색빛 노란색 또는 회색 몸에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는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23년 기재된 포유류 - 바라싱가
    바라싱가는 인도와 네팔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며 5~7개의 갈라진 뿔을 가진 대형 사슴으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습지나 습원에서 풀과 수생식물을 먹으며 세 가지 아종으로 나뉜다.
핀레이슨다람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Callosciurus finlaysonii
명명자(Horsfield, 1823)
하이갈색다람쥐속
핀레이슨다람쥐
상태LC (관심 필요)
분포[[파일:Callosciurus finlaysonii distribution.png|200px]]
아종16개 아종 (본문 참조)
일반 정보
영어 이름Finlayson's squirrel
특징"아름다운" 다람쥐 종
서식지동남아시아
설명뒷면 크림색, 배면 흰색
이미지
태국 방콕에 서식하는 C. f. bocourti
태국 방콕에 서식하는 C. f. bocourti
생태 정보
위협침입종으로 인한 야생 생물 및 농장에 대한 위협
기타
외래 생물 지정일본 환경성 지정 특정 외래 생물

2. 분류 및 형태

1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3]


  • ''C. f. finlaysonii''
  • ''C. f. albivexilli''
  • ''C. f. folletti''
  • ''C. f. frandseni''
  • ''C. f. germaini''
  • ''C. f. harmandi''
  • ''C. f. trotteri''
  • ''C. f. annellatus''
  • ''C. f. bocourti''
  • ''C. f. boonsongi''
  • ''C. f. cinnamomeus''
  • ''C. f. ferrugineus''
  • ''C. f. menamicus''
  • ''C. f. nox''
  • ''C. f. sinistralis''
  • ''C. f. williamsoni''


핀레이슨다람쥐의 몸통 길이는 약 21-22cm이며 꼬리 길이는 약 22-24cm이다.[3]

현재 16개의 아종이 인정된다.[2] 때때로 추가 아종이 인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권위자들은 ''C. f. floweri''를 인정하지만,[3][9] 다른 사람들은 이를 ''C. f. bocourti''의 동의어로 간주한다.[2] ''C. f. boonsongi''의 아종명은 태국 동물학자이자 보존학자인 분송 레카굴을 기리는 것이다.[8]

이 종의 털색은 매우 다양하며, 아종은 종종 이 특징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C. f. finlaysonii'' (기준종)는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C. f. albivexilli'', ''C. f. boonsongi'', ''C. f. germaini'' 및 ''C. f. nox''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첫 번째는 흰색 꼬리 끝, 두 번째는 가끔 흰색 밑면, 얼굴 및 발을 가짐).[3][9] ''C. f. annellatus''는 꼬리 기저부에 밝은 띠가 있는 전체적인 적갈색이며, ''C. f. bocourti''는 윗부분의 색상이 매우 다양하며(흰색, 회색, 검은색, 올리브-갈색 또는 적색), ''C. f. cinnamomeus''는 어두운 등 중앙부가 있는 전체적인 적색이며, ''C. f. ferrugineus''는 적갈색, ''C. f. harmandi''는 갈색 윗부분, 주황색-적색 밑부분, 밝은 회색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C. f. menamicus''는 적색 또는 주황색이며, 종종 회색 다리와 옆구리를 가지며, 때로는 흰색 배를 가지며, ''C. f. sinistralis''는 얼룩덜룩한 윗부분, 적색 밑부분, 기저부에 옅은 띠가 있는 적색 꼬리를 가지고 있다.[3][9] 미기재 개체군도 남아 있으며(예: 라오스 중부의 개체군은 광택이 나는 검은색에 빨간색 꼬리와 어깨/가슴 부위), 기술된 아종 내에서도 종종 개별적인 변이가 있다.[1][3][10]

현재 정의에 따르면 핀레이슨다람쥐는 하나 이상의 종을 포함할 수 있다.[1] ''C. f. ferrugineus''는 별도의 종으로 취급되어 왔다.[2] 태국에 있는 12개의 아종, 본토에서 온 7개와 섬에서 온 5개에 대한 유전적 연구에서 이들이 여섯 개의 계통에 속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종종 물(본토에서는 큰 강, 섬에서는 바다)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또한 이 종의 미토콘드리아 DNA가 밀접하게 관련된 팔라스다람쥐와 비교했을 때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냈다.[9] 후속 연구에서는 단계통군 종을 유지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베트남 중부 및 남부, 캄보디아 인접 지역 및 라오스 남부)에서 팔라스다람쥐의 아종으로 인식되는 ''flavimanus''와 ''griseimanus''를 핀레이슨다람쥐의 일부로 간주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연구는 또한 전통적으로 정의된 ''flavimanus''가 실제로 핀레이슨다람쥐의 일부인 최소 두 개의 명확하게 분리된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1]

머리에서 몸통까지의 길이는 약 20cm, 꼬리 길이는 약 20cm이며, 몸무게는 250-350g이다.[15] 털색은 변이가 풍부하여 베이지색, 검은색, 흰색, 갈색, 회색이 존재한다.[15] 원산지에서는 13종에서 17종의 아종(variable Squirrel(변색종))이 확인되었다.[15]

2. 1. 아종

핀레이슨다람쥐는 1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3]

  • ''C. f. finlaysonii''
  • ''C. f. albivexilli''
  • ''C. f. folletti''
  • ''C. f. frandseni''
  • ''C. f. germaini''
  • ''C. f. harmandi''
  • ''C. f. trotteri''
  • ''C. f. annellatus''
  • ''C. f. bocourti''
  • ''C. f. boonsongi''
  • ''C. f. cinnamomeus''
  • ''C. f. ferrugineus''
  • ''C. f. menamicus''
  • ''C. f. nox''
  • ''C. f. sinistralis''
  • ''C. f. williamsoni''


핀레이슨다람쥐의 몸통 길이는 약 21-22cm이며 꼬리 길이는 약 22-24cm이다.[3] 털색은 매우 다양하며, 아종은 종종 이 특징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C. f. finlaysonii'' (기준종)는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C. f. albivexilli'', ''C. f. boonsongi'', ''C. f. germaini'' 및 ''C. f. nox''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3][9] ''C. f. boonsongi''의 아종명은 태국 동물학자이자 보존학자인 분송 레카굴을 기리는 것이다.[8]

현재 정의에 따르면 핀레이슨다람쥐는 하나 이상의 종을 포함할 수 있다.[1] 태국에 있는 12개의 아종에 대한 유전적 연구에서 이들이 여섯 개의 계통에 속한다는 것을 발견했다.[9]

3. 생태

핀레이슨다람쥐는 주로 수피나 수액, 씨앗이나 열매, 꽃이나 새싹과 같은 식물을 먹는다.[15] 드물게 곤충이나 버섯도 먹는다.[15]

''C. f. bocourti''가 왓 포에서 수박을 먹고 있다, 방콕, 태국


핀레이슨다람쥐의 수명은 야생에서 7년, 사육 상태에서는 12년 정도이다.[15] 야생 조류 등과 비교하여 사육 하에서 다람쥐는 오래 사는데, 영양가 있는 음식을 항상 섭취할 수 있고 위험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육 상태에서는 영양 균형이 좋아서인지 아름다운 털을 가진 개체가 많다.

3. 1. 행동

다른 속의 다람쥐("아름다운 다람쥐", ''Callosciurus'')와 마찬가지로 핀레이슨다람쥐는 주로 과일을 먹으며 나무 덮개에서 서식한다.[12] 현장 증거에 따르면 핀레이슨다람쥐는 일반적인 형태의 두 가지 색상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익은 과일과 덜 익은 과일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13] 수피나 수액, 씨앗이나 열매, 꽃이나 새싹과 같은 식물을 주로 먹는다.[15] 드물게 곤충이나 버섯도 먹는다.[15]

3. 2. 수명

핀레이슨다람쥐의 수명은 야생에서 7년, 사육 상태에서는 12년 정도이다.[15] 야생 조류 등과 비교하여 사육 하에서 다람쥐는 오래 사는데, 영양가 있는 음식을 항상 섭취할 수 있고 위험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육 상태에서는 영양 균형이 좋아서인지 아름다운 털을 가진 개체가 많다.

4. 인간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과거 애완동물로 핀레이슨다람쥐를 사육했지만, 2005년 미판정 외래생물로 지정된 이후 수입이 전무하다.[14][15] 하지만 지정 이전에 수입된 개체는 개인적으로 사육되거나, 사이타마 현 어린이 동물 자연 공원 등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다.[14][15][16] 2013년 9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다.[15]

대한민국에서는 핀레이슨다람쥐의 정착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14] 다만,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에서 핀레이슨다람쥐 또는 핀레이슨다람쥐와 밤색털다람쥐의 잡종일 가능성이 있는 다람쥐가 발견된 사례가 있다.[15]

4. 1. 국내 현황

일본에서는 과거 애완동물로 핀레이슨다람쥐를 사육했지만, 2005년 미판정 외래생물로 지정된 이후 수입이 전무하다.[14][15] 하지만 지정 이전에 수입된 개체는 개인적으로 사육되거나, 사이타마 현 어린이 동물 자연 공원 등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다.[14][15][16] 2013년 9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다.[15]

대한민국에서는 핀레이슨다람쥐의 정착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14] 다만,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에서 핀레이슨다람쥐 또는 핀레이슨다람쥐와 밤색털다람쥐의 잡종일 가능성이 있는 다람쥐가 발견된 사례가 있다.[15]

4. 2. 해외 사례

과거 일본에서는 핀레이슨다람쥐를 애완동물로 사육하기도 했지만, 2005년에 미판정 외래생물로 지정된 이후 수입이 전무하다.[14][15] 하지만 지정 이전에 수입된 개체는 개인적으로 사육되고 있으며, 사이타마 현 어린이 동물 자연 공원을 포함한 동물원에서도 사육되고 있다.[14][15][16] 2013년 9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되었다.[15]

일본 국외에서는 싱가포르의 시가지에 나타나거나, 남부 이탈리아에서 애완동물이 도망가 외래종으로 야생화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태국의 아유타야 일본인 마을 유적지에 생긴 공원에서는 아침이나 저녁에 먹이를 주는 야생 다람쥐를 관찰할 수 있다.

한국 국내에서는 핀레이슨다람쥐의 정착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지만,[14]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에서 핀레이슨다람쥐 혹은 핀레이슨다람쥐와 밤색털다람쥐의 잡종일 가능성이 있는 다람쥐가 발견되었다.[15]

참조

[1] 간행물 "''Callosciurus finlaysonii''" 2017
[2]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bucknel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4] 웹사이트 Variable or Finlayson's Squirrel https://www.ecologya[...] 2018-07-11
[5] 간행물 "''Callosciurus'' squirrels: worldwide introductions, ecological impacts and recommendations to prevent the establishment of new invasive populations." 2013
[6] 간행물 Mitochondria DNA sequences of Finlayson's squirrel found in Hamamatsu, Shizuoka Prefecture, Japan 2012
[7] 웹사이트 Invasive squirrel species seen as threat to wildlife and farms | Jonathan L. Mayuga https://businessmirr[...] 2021-05-31
[8] 문서 A study of the diurnal squirrels, Sciurinae, of the Indian and Indo-Chinese subregions 1965
[9] 간행물 Colour polymorphism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welve subspecies of Callosciurus finlaysonii in Thailand 2017
[10] 간행물 Diurnal squirrels (Mammalia Rodentia Sciuridae) in Lao PDR distribution, status and conservation
[11] 간행물 Taxonomic revision of beautiful squirrels (Callosciurus, Rodentia: Sciuridae) from the Callosciurus erythraeus/finlaysonii complex and their distribution in eastern Indochina
[12] 간행물 Interactions between fleshy fruits and frugivores in a tropical seasonal forest in Thailand 2002
[13] 간행물 "Colour vision and food selection of ''Callosciurus finlaysonii'' (Sciuridae) in tropical seasonal forests" 2015
[14] 웹사이트 特定外来生物の解説:フィンレイソンリス [外来生物法]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01-14
[15] 웹사이트 フィンレイソンリス /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22-01-14
[16] 웹사이트 フィンレイソンリス(Callosciurus finlaysonii)に関する情報(案) https://www.env.go.j[...] 環境省 2022-01-14
[17] 간행물 Callosciurus finlaysonii
[18] 문서
[19] 간행물 "''Callosciurus'' squirrels: worldwide introductions, ecological impacts and recommendations to prevent the establishment of new invasive populations." 2013
[20] 간행물 Mitochondria DNA sequences of Finlayson's squirrel found in Hamamatsu, Shizuoka Prefecture, Japan 2012
[21] 간행물 Interactions between fleshy fruits and frugivores in a tropical seasonal forest in Thailand. 2002
[22] 간행물 "Colour vision and food selection of ''Callosciurus finlaysonii'' (Sciuridae) in tropical seasonal forests." 2015
[23]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bucknel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