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말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늘말나리는 산기슭이나 낙엽수림 주변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약 1.1미터까지 자란다. 6~7월에 누런빛을 띤 붉은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꽃이 피며, 잎과 비늘줄기는 식용으로, 꽃은 차로 이용된다. 이금이의 소설 《너도 하늘말나리야》에 등장하며, 누른하늘말나리와 지리산하늘말나리 등의 품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합속 - 산나리
산나리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름에 흰색 꽃을 피우며 식용과 약재로 사용되는 일본 특산의 백합이다. - 백합속 - 참나리
참나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겨드랑이의 주아로 번식하며, 황적색 바탕에 자색 반점이 있는 꽃이 피고 식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고양이에게는 유해하다. - 1904년 기재된 식물 - 은행나무목
은행나무목은 겉씨식물문의 강으로, 고생대부터 존재했으며 현재는 은행나무속 식물만 생존해 있고 자웅이주 식물이며 독특한 잎과 생식 방식을 가진다. - 1904년 기재된 식물 - 뱀딸기
뱀딸기는 짚풀속 여러해살이풀로, 기는 줄기로 번식하며 3출엽, 노란색 꽃, 흰색 또는 붉은색 열매를 맺고, 동아시아와 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열매는 식용 가능하고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 하늘말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 목 | 백합목 |
| 과 | 백합과 |
| 속 | 백합속 |
| 종 | 하늘말나리 |
| 학명 | Lilium tsingtauense |
| 학명 명명자 | Gilg, 1904 |
| 이명 | Lilium miquelianum |
| 이명 명명자 | Makino, 1907 |
| 특징 | |
| 크기 | 13cm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1 | Christopher Brickell, The RHS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Ltd., London, 1996, 617쪽, ISBN 0-7513-0436-0 |
| 참고 문헌 2 | Allen J Coombes, The Hamlyn Guide to Plant Names, Reed International Books, London, 1985, ISBN 0-600-57545-4, 118쪽 |
| 이미지 | |
![]() | |
![]() | |
| 동의어 | |
| 동의어 목록 | Lilium miquelianum Makino Lilium miquelianum var. flavum Makino Lilium carneum Nakai Lilium tsingtauense var. carneum (Nakai) Nakai Lilium tsingtauense f. carneum (Nakai) Y.N.Lee |
2. 형태와 생태
하늘말나리는 산기슭이나 낙엽수림 주변에서 서식한다.[1]
2. 1. 형태적 특징
높이는 1.1미터쯤 된다. 잎은 줄기 가운데에서 5~10개씩 돌려나며, 끝이 뾰족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원줄기에서 바로 난다. 줄기 윗부분에 달리는 잎은 어긋나며 바소꼴로 조그맣다. 돌려나는 잎이 훨씬 크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끝과 바로 그 옆 줄기 끝에 1~5개의 꽃이 위를 향해 곧추 달리며 지름은 5cm쯤 된다. 꽃잎 조각은 바소꼴이고 누런빛을 띤 붉은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약간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삭과인데 대개 3개로 갈라진다.[1]3. 쓰임새
3. 1. 식용
연한 잎과 비늘줄기를 먹는다. 꽃은 말려서 차로 우려 먹는다.3. 2. 기타 용도
연한 잎과 비늘줄기를 먹는다. 꽃은 말렸다가 차로 우려 먹는다.4. 품종
하늘말나리의 품종은 다음과 같다.
| 품종명 | 특징 |
|---|---|
| 누른하늘말나리 | 꽃이 짙은 노란색이다. |
| 지리산하늘말나리 |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아종이다.[1] |
4. 1. 누른하늘말나리
꽃이 짙은 노란색이다.4. 2. 지리산하늘말나리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아종이다.[1]5. 문화
하늘말나리는 이금이의 소설 《너도 하늘말나리야》 등 문학 작품에 등장한다.
5. 1. 문학
이금이의 장편 소설 《너도 하늘말나리야》에서 언급된다.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간행물
Botanische Jahrbücher für Systematik, Pflanzengeschichte und Pflanzengeographie 34(Beibl. 75): 24
https://www.biodiver[...]
1904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4 Page 138 青岛百合 qing dao bai he Lilium tsingtauense Gilg, Bot. Jahrb. Syst. 34(Beibl. 75): 24. 1904.
http://www.efloras.o[...]
[4]
서적
The RHS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Ltd.
[5]
서적
The Hamlyn Guide to Plant Names
Reed International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