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몬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테베의 왕 크레온과 에우리디케의 아들이다. 그는 오이디푸스의 딸 안티고네와 약혼한 사이였으며, 안티고네가 오빠 폴리네이케스의 매장을 시도하다 크레온에게 체포되자 그녀를 변호하며 아버지와 갈등을 겪는다. 하이몬은 안티고네의 사형에 반대하며, 그녀를 옹호하는 테베 시민들의 여론을 전달하려 했으나, 크레온이 이를 무시하자 자결한다. 일부 전승에서는 스핑크스에게 희생되거나, 안티고네와의 사이에서 마이몬이라는 아들을 낳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 - 아이깁토스
    아이깁토스는 이집트 왕 벨루스의 아들이자 리비아의 왕 다나오스의 형제이며, 50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아들들이 다나오스의 딸들과 결혼한 후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 그리스 신화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하이몬
인물 정보
이름아이몬
그리스어Αἵμων
로마자 표기Haimōn
가족 관계아버지: 크레온
어머니: 에우리디케
배우자안티고네
관련 작품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2. 신화

고대 그리스 신화의 인물인 하이몬은 테베의 왕 크레온과 왕비 에우리디케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의 삶과 비극적인 운명은 주로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소포클레스가 쓴 비극 《안티고네》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안티고네》에서 하이몬은 아버지 크레온의 명령에 맞서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 한 안티고네의 약혼자로 등장한다[16]. 안티고네가 반역자로 낙인찍힌 오빠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몰래 매장하자[4], 크레온은 그녀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하이몬은 아버지를 찾아가 테베 시민들의 여론을 전하며 안티고네를 용서해 줄 것을 간청하지만[6], 완고한 크레온은 아들의 말을 듣지 않는다[9]. 결국 안티고네는 동굴에 갇혀 스스로 목숨을 끊고[13], 이를 발견한 하이몬 역시 절망하여 아버지 앞에서 자결하는 비극적 최후를 맞이한다[14].

이 외에도 아폴로도로스의 기록이나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등 다른 문헌에서는 《안티고네》와는 다른 하이몬의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핑크스의 희생자가 되었다거나[18], 안티고네와의 사이에서 마이온이라는 아들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있다[19][20].

2. 1. 배경

오이디푸스테베의 왕위에서 물러난 후, 그의 두 아들인 에테오클레스폴리네이케스가 성인이 될 때까지 삼촌인 크레온이 섭정을 맡았다. 성인이 된 두 아들은 1년씩 번갈아 가며 왕위를 맡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그들은 아버지 오이디푸스로부터 서로 싸우다 죽게 될 것이라는 저주를 받은 상태였다. 이 저주 때문인지, 1년이 지나자 에테오클레스는 약속을 어기고 왕위를 넘겨주지 않았으며, 동생 폴리네이케스를 테베 밖으로 쫓아냈다. 추방당한 폴리네이케스는 아르고스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군대를 이끌고 테베를 공격했다. 결국, 이 싸움에서 두 형제는 모두 목숨을 잃었다.

2. 2. 《안티고네》에서의 하이몬

하이몬에 관한 신화는 주로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에서 다루어진다.

크레온이 왕위를 계승한 후, 테베의 다른 전사자들은 정중히 장례를 치러주었지만, 폴리네이케스의 매장은 금지하고 이를 어길 경우 사형에 처한다고 선포했다[4]. 폴리네이케스의 여동생인 안티고네는 이 명령에 반하여 오빠의 시신을 매장하려 한다. 하이몬은 안티고네가 사형에 처해질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처음 등장한다[5]. 그는 테베 민중의 여론을 등에 업고 안티고네를 살리기 위해 아버지 크레온을 설득하려 시도한다. 하이몬은 민중들이 크레온을 두려워하여 드러내놓고 불만을 표하지는 못하지만, 속으로는 전사한 오빠를 기려 매장하려는 안티고네의 행동이 칭찬받아 마땅하며 사형은 부당하다고 여긴다고 전한다[6]. 나아가 하이몬은 안티고네가 죽으면 자신도 따라 죽겠다며 아버지를 압박한다[7][8]. 그러나 크레온은 하이몬의 간청을 무시하고, 안티고네에게 하루치 식량만 주고 동굴에 가두는 형벌을 내린다[9]. 이는 친족 살해의 오명을 피하면서 사실상 굶어 죽게 만드는 사형 선고나 다름없었다[10].

이때 맹인 예언자 테이레시아스가 나타나 신들이 크레온의 결정에 분노하여 제물조차 받지 않으려 한다고 경고하며, 결정을 재고할 것을 촉구한다[11]. 결국 크레온은 이를 받아들여 안티고네를 풀어주고 폴리네이케스의 시신도 매장하기로 마음을 바꾼다[12]. 하지만 크레온이 동굴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안티고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였다[13]. 먼저 동굴에 도착해 약혼녀의 죽음을 목격한 하이몬은 아버지 크레온에게 격분하여 칼을 뽑아들었으나, 아버지를 해치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14]. 이 소식을 들은 크레온의 아내이자 하이몬의 어머니인 에우리디케 역시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자결한다[15].

하이몬과 안티고네는 약혼한 사이였으며, 이는 아버지 크레온을 포함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었다[16]. 두 사람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다는 점 또한 분명하게 드러난다[17]. 하이몬은 약혼녀 안티고네의 목숨을 구하고자 아버지를 설득하려 했지만, 이때 감정에 호소하기보다는 이성적인 논리로 아버지에게 맞서려는 모습을 보인다[16].

2. 3. 기타 전승

아폴로도로스의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18], 오이디푸스가 나타나기 전 테바이스핑크스가 내는 수수께끼 때문에 고통받고 있었다. 스핑크스는 "하나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으면서, 네 발, 두 발, 세 발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수수께끼(정답은 '인간'[18])를 냈는데, 이를 풀어야만 테바이가 해방될 것이라는 신탁이 있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 스핑크스에게 희생되었으며, 하이몬 역시 그 희생자 중 한 명이었다. 이 사건 이후, 크레온은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푸는 자에게 테바이의 왕위와 왕비 이오카스테를 주겠다고 선언했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안티고네』는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남아있는 기록에 따르면 다른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작품에서는 하이몬과 안티고네 사이에 마이온이라는 아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19] 크레온은 하이몬에게 안티고네를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하이몬은 그녀를 몰래 시골에 숨겨 아들 마이온을 낳았다. 마이온이 성장하여 경기에 참가했다가 정체가 발각되면서 크레온에게 사형 선고를 받지만, 디오니소스 신의 개입으로 목숨을 건지게 된다.[20]

3. 계보

하이몬은 테베의 왕 크레온과 그의 아내 에우리디케의 아들이다.[1] 형제로는 메가라, 메노이케우스, 오이오노스가 있었다. 그는 오이디푸스이오카스테의 딸인 안티고네와 약혼한 사이였다. 일부 전승에서는 하이몬과 안티고네 사이에 마이몬이라는 아들이 있었다고도 한다.

4. 해석 및 평가

하이몬은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로, 개인적인 사랑과 공적인 의무, 그리고 아버지의 권위와 자신의 신념 사이에서 깊이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약혼녀 안티고네를 구하기 위해 아버지 크레온 왕에게 테베 민중의 여론을 전하며 이성적으로 설득하려 시도하지만[6], 결국 실패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하이몬의 행동은 여러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단순히 사랑하는 여인을 구하려는 개인적인 감정을 넘어, 민심을 대변하고 독단적인 권력에 맞서 정의와 합리성을 주장하는 인물로 그려진다.[16] 아버지에게 반론을 제기하면서도 존경심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모습은 그의 신중함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융통성 없는 크레온의 권위주의와 충돌하며 비극의 씨앗이 된다.

결국 하이몬의 죽음은 안티고네의 죽음과 함께 크레온에게 돌이킬 수 없는 파멸을 안겨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14][15] 이는 개인의 양심과 신념을 억압하는 권력의 비정함과 그로 인한 파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이몬은 비극적 영웅으로서, 불합리한 권위에 맞서 자신의 신념을 지키려다 희생된 젊음과 사랑의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4. 1. 하이몬의 성격과 역할

하이몬은 약혼녀 안티고네가 크레온 왕의 명령을 어기고 오빠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하려다 사형에 처해질 위기에 놓이자 처음 등장한다.[5] 그는 아버지인 크레온에게 테베 민중의 여론을 전하며 안티고네를 변호하고 설득하려 시도한다. 하이몬은 민중들이 크레온을 두려워하여 직접적으로 불만을 표하지는 못하지만, 안티고네의 행동이 죽은 오빠에 대한 의로운 행동으로 칭찬받아야 마땅하며 결코 사형에 처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아버지에게 알린다.[6] 이는 하이몬이 민심을 파악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결정에 이성적으로 반론을 제기할 용기를 지녔음을 보여준다.

그는 안티고네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걸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다. 하이몬은 크레온에게 만약 안티고네가 죽는다면 자신 또한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경고한다.[7][8] 하지만 그는 안티고네를 살리기 위해 크레온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감정이나 사랑을 직접적으로 내세우기보다는, 민중의 여론과 이성적인 논리를 통해 아버지의 결정을 바꾸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16] 이는 그의 신중하고 이성적인 성격을 드러낸다.

그러나 크레온은 하이몬의 간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안티고네를 동굴에 가두어 굶어 죽게 만드는 형벌을 내린다.[9] 이는 친족 살해라는 직접적인 오명을 피하면서 사실상 사형을 집행하려는 의도였다.[10] 이후 맹인 예언자 테이레시아스가 신들이 크레온의 결정에 분노했으며 제물조차 받지 않으려 한다고 경고하자[11], 크레온은 마침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안티고네를 풀어주고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하기로 결정한다.[12]

하지만 크레온이 동굴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늦어 안티고네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상태였다.[13] 동굴에 먼저 도착해 약혼녀의 죽음을 목격한 하이몬은 절망과 분노에 휩싸여 아버지 크레온에게 칼을 겨누지만 실패하고,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14] 하이몬의 비극적인 죽음은 그의 어머니이자 크레온의 아내인 에우리디케마저 절망 속에서 자살로 이끈다.[15]

하이몬은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과 약혼녀에 대한 사랑, 그리고 정의와 양심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이다. 그는 독단적인 권력에 맞서 이성적으로 설득하려 노력하는 현명함과 용기를 보여주지만, 결국 비극적인 운명을 피하지 못한다.

참조

[1] encyclopedia Brill's New Pauly
[2] 문서 呉、pp.36-40
[3] 문서 アイスキュロスはこの神話を題材にした悲劇『テーバイ攻めの七将』を著している
[4] 문서 『アンティゴネー』20行-36行
[5] 문서 『アンティゴネー』626行
[6] 문서 『アンティゴネー』692行-700行
[7] 문서 『アンティゴネー』751行
[8] 서적 『アンティゴネー』(中務訳)
[9] 문서 『アンティゴネー』773行-780行
[10] 서적 『アンティゴネー』(中務訳)
[11] 문서 『アンティゴネー』998行-1032行
[12] 문서 『アンティゴネー』1100行-1114行
[13] 문서 『アンティゴネー』1220行-1222行
[14] 문서 『アンティゴネー1226行-1240行
[15] 문서 『アンティゴネー』1282行-1283行
[16] 문서 丹下、p.722
[17] 문서 丹下、p.719-720
[18]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5.8
[19] 문서 高津、p.187
[20] 문서 高津、p.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