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디오니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디오니소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술, 다산, 풍요, 축제의 신이다. 제우스와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로마 신화에서는 바쿠스(Bacchus)로 알려져 있다. 디오니소스는 다양한 상징과 칭호를 가지며, 표범, 포도, 티르소스 등이 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는 종종 여성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며, 광란과 열정을 상징하는 메나드들을 이끌고 다닌다. 디오니소스 숭배는 고대 그리스에서 중요한 종교 의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비극 공연 등 다양한 축제와 관련되어 있다. 그의 신화는 탄생과 부활, 저승 여행 등을 포함하며, 현대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의 남신 - 오야마쓰미노카미
    오야마쓰미노카미는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사이에서 태어나 산을 다스리는 신으로, 코노하나사쿠야비메와 이와나가히메를 니니기노미코토에게 보낸 이야기와 더불어 일본 각지의 신사에서 숭배받는다.
  • 술의 남신 - 스쿠나비코나
    스쿠나비코나는 일본 신화에서 왜소한 체구에도 지혜와 능력으로 오오쿠니누시와 함께 국토 건설, 의약, 주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백성을 이롭게 한 신이다.
  • 테베 - 테베 (그리스)
    테베는 고대 그리스의 중요한 도시로, 보이오티아 동맹을 이끌며 아테네와 경쟁했고,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의 주요 교통 요지이자 관광 도시이다.
  • 테베 - 니네베
    니네베는 현재의 이라크 모술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이자 신 아시리아 제국의 마지막 수도로, 기원전 6000년경 건설되어 메소포타미아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기원전 612년 파괴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으로 남아있다.
  • 미케네 - 아가멤논 마스크
    아가멤논 마스크는 하인리히 슐리만이 미케네 유적에서 발견한 금으로 제작된 장례용 가면으로, 아가멤논의 것이라고 명명되었으나 현재는 트로이 전쟁 시대보다 앞선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 미케네 - 클리타임네스트라
    클리타임네스트라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가멤논의 아내로, 남편 살해 후 아들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며, 여러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디오니소스
기본 정보
헬레니즘 모델을 따른 2세기 로마의 디오니소스 조각상
헬레니즘 모델을 따른 2세기 로마의 디오니소스 조각상 (루브르 박물관)
신화올림포스 12신 중 하나
역할포도주, 식물, 풍요, 축제, 의례적 광기, 종교적 황홀경, 연극의 신
거주지올림포스 산
상징 동물황소, 판테르, 호랑이 또는 사자, 염소, 뱀, 표범
상징물티르소스, 포도나무, 담쟁이, 연극 가면, 남근
축제바카날리아 (로마), 디오니시아
배우자아리아드네
부모제우스세멜레 또는 제우스페르세포네 (오르페우스교), 실레노스 (양부)
형제자매여러 이복 형제자매
자녀프리아포스, 휘멘, 토아스, 스타필로스, 오이노피온, 코무스, 프토노스, 카리테스, 데이아네이라
로마 신화바쿠스, 리베르
이집트 신화오시리스
일본어
역할포도주, 酩酊, 풍요의 신
상징물포도, 담쟁이, 테르소스, 술잔, 풍요의 뿔
배우자아리아드네
부모제우스, 세멜레
형제자매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아레스,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에일레이티이아, 헤베
자녀프리아포스, 휘메나이오스, 카리스
로마 신화바쿠스, 리베르
축제디오니시아 축제
한국어
설명"디오니소스"라는 이름은 "뉴사의 제우스"를 의미한다
포도주의 신, 酩酊의 신, 豊穰神
바쿠스는 발아하는 작은 가지나 포도 덩굴을 의미한다.
기타

2. 계보와 유래

호메로스의 《일리아스》(14편 325)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940-942)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름의 어원은 '디오스(Διός, 제우스의 소유격)'와 '뉘소스(νυσος)'의 결합으로 추정되지만, '뉘소스'의 정확한 의미나 유래는 불확실하다.

디오니소스 신앙의 기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미케네 문명에서 유래했다는 설, 테베에서 숭배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에게해 연안의 여러 부족 사이에서 새로운 계절의 활력을 상징하는 신으로 일찍부터 숭배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 무렵 고대 그리스 신화가 체계화되면서 널리 알려지고 관련 신화들이 풍부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디오니소스의 탄생 이야기는 에우뤼피데스의 비극 《박카이》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2. 1. 어원

디오니소스가 술잔(칸타로스)을 내밀고 있는 모습(기원전 6세기 후반)


디오니소스(고대 그리스어 Διόνυσοςgrc)라는 이름의 앞부분 '디오스(Διός)'는 제우스(소유격 ''Dio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름은 원래 ''*Dios-nysos''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5] 이름의 뒷부분 '-뉘소스(-nūsos)'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15]

디오니소스 이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미케네 문명 시대의 선형 B 문자 점토판에서 발견된 미케네 그리스어 여격 형태 di-wo-nu-sogmy라는 표기이다.[15] 이 점토판은 미케네필로스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2세기 또는 13세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이것이 신의 이름인지 확실하지 않았으나,[16][17] 1989-90년 크레타 하니아의 카스텔리 언덕에서 실시된 그리스-스웨덴 발굴 조사에서 발견된 선형 B 문자 유물(KH Gq 5 항목)을 통해 디오니소스 숭배가 더 이른 시기부터 있었음이 확인되었다.[18]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제우스는 ''di-wo''로 표기되었다.[19]

이름의 두 번째 요소 '-뉘소스(-nūsos)'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 신화 속 디오니소스의 탄생지이자 그를 길렀다는 님프(뉘시아드스)들이 살았던 뉘사 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20] 소필로스의 항아리에는 뉘시아드스가 νύσαι|nusaegrc라고 명명되어 있다.[23]
  • 기원전 6세기 페레키데스는 'nũsa'가 고대어로 "나무"를 뜻한다고 주장했다.[21][22]
  • 크레치머는 νύση|nusēgrc트라키아어로 님프(nymphe)와 같은 의미이며, νυός|nuosgrc (며느리 또는 신부, 인도유럽조어 *snusós, 산스크리트어 ''snusā'')와 비슷하다고 주장했다.[24] 그는 남성형 νῦσος|nūsosgrc를 통해 디오니소스가 "제우스의 아들"을 의미한다고 제안했다.[23]
  • 제인 엘런 해리슨은 디오니소스 이름이 "젊은 제우스"를 의미한다고 보았다.[25]
  • 로버트 S. P. 비크스는 인도유럽어족에서 어원을 찾으려는 시도가 모두 의심스럽다며, 이름의 기원을 그리스 이전 시대로 보았다.[15]


후대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 변형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보이오티아에서는 'Dionūsos' 또는 'Diōnūsos', 테살리아에서는 'Dien(n)ūsos', 이오니아에서는 'Deonūsos' 또는 'Deunūsos', 아이올리스에서는 'Dinnūsos' 등으로 불렸다. 이름 앞부분의 'Dio-'는 디오스쿠로이 같은 다른 이름에서도 보이며, 제우스의 속격 ''Dio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6]

한편, 후대의 작가들은 다른 어원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논누스는 그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에서 디오니소스라는 이름이 "제우스의 절름발이"를 뜻한다고 주장했다. 헤르메스가 갓 태어난 디오니소스에게 이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제우스가 아기를 밴 허벅지의 무게 때문에 절뚝거렸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시라쿠사 방언으로 'nysos'는 절뚝거림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27] 그러나 W. H. D. 루스는 이 어원 설명이 틀렸다고 지적했다.[27] 비잔틴 시대의 백과사전 《수다》는 고전 자료를 바탕으로 디오니소스가 "야생 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διανύειν]을 완수했기 때문에, 또는 야생 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모든 것을 제공했기 때문에 [διανοεῖν] 디오니소스라고 불렸다"고 명시하고 있다.[28]

2. 2. 유래

호메로스의 《일리아스》(14편 325)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940-942)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Διόνυσος|디오니소스grc에서 유래했으며, 접두사 ''dio-''는 제우스(소유격 ''Dio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름의 뒷부분 ''-nūsos''의 기원은 불확실하다.[15] 학자들은 이 이름이 원래 ''*Dios-nysos''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nūsos''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신화 속 디오니소스의 탄생지이자 그를 길렀던 님프(뉘시아드스)가 살았던 뉘사 산과 관련이 있다는 설,[20] 기원전 6세기의 페레키데스가 주장한 고대어로 "나무"를 뜻하는 ''nũsa''에서 왔다는 설,[21][22] 크레치머가 주장한 트라키아어로 "며느리" 또는 "신부"를 뜻하는 νύση|뉘세grc에서 파생되어 "제우스의 아들"을 의미한다는 설[24][23] 등이 있다. 소필로스의 항아리에는 뉘시아드스가 νύσαι|뉘사이grc로 명명되어 있다.[23] 크레치머는 νύση|뉘세grc가 트라키아어 단어이며 νύμφη|님페grc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단어로, νυός|뉘오스grc (며느리 또는 신부, 인도유럽조어 *snusós, 산스크리트어 ''snusā'')와 비슷한 단어라고 주장했다.[24] 그는 남성형이 νῦσος|뉘소스grc이며 이로써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의 아들"이 된다고 제안했다.[23] 제인 엘런 해리슨은 디오니소스라는 이름이 "젊은 제우스"를 의미한다고 믿었다.[25] 로버트 S. P. 비크스는 인도유럽어족에서 어원을 찾으려는 시도가 의심스럽기 때문에 이 이름의 기원을 그리스 이전 시대로 추정했다.[15]

디오니소스의 유래 장소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미케네 문명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테베에서 숭배된 신이라는 설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오니소스는 에게해 연안의 고대 그리스 부족들 사이에서 새로운 계절의 활력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일찍부터 숭배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를 전후하여 고대 그리스 신화의 체계가 잡히면서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신화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디오니소스의 출생 이야기는 오늘날 주로 에우뤼피데스의 비극 《박카이》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포세이돈의 집 모자이크, 제우그마 모자이크 박물관의 디오니소스의 승리.


19세기 학자들은 디오니소스를 비교적 늦게 그리스 신화에 편입된 외래 신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의 신화에는 종종 해외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그리스로 돌아와 받아들여지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들은 디오니소스가 실제로는 그리스 본토 문화에서 가장 먼저 증명된 신들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31] 디오니소스 숭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미케네 그리스 시대, 특히 기원전 1300년경 네스토르의 궁전이 있던 필로스 부근에서 발견된 선형 B 문자 점토판이다.[29] 이 점토판에는 여격 형태인 𐀇𐀺𐀝𐀰|디-워-누-소gmy[15]와 소유격 형태인 ''di-wo-nu-su-jo'' ('디오니소스의')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포도주에 대한 제물이나 지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이것이 확실히 신명(神名)이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16][17] 1989-1990년 하니아의 카스텔리 언덕에서 발견된 선형 B 문자 유물(KH Gq 5 항목)은 디오니소스의 초기 숭배를 확인하는 증거로 여겨진다.[18]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제우스의 형태는 ''di-wo''이다.[19] 또한 "포도주의 장소"인 오이노아의 "여성들"에 대한 언급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후대의 디오니소스를 따르는 여신들(마이나데스 등)과 연관될 수 있다.[29]

디오니소스가 있는 황금 나이스코스, 기원전 2세기.


필로스의 다른 미케네 기록에는 '엘레우테르'라는 신에 대한 숭배 기록이 있는데, 그는 제우스의 아들이며 황소를 제물로 바쳤다고 한다. 제우스 및 황소와의 연관성, 그리고 '엘레우테르'라는 이름과 라틴어 이름 리베르 파테르 사이의 어원적 유사성은 이것이 디오니소스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카롤리 케레니에 따르면, 이러한 단서들은 기원전 13세기에서도 디오니소스의 핵심 종교와 그의 중요한 신화가 자리 잡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미노아 크레타크노소스에서는 남자들에게 종종 "펜테우스"라는 이름이 주어졌는데, 이는 후대 디오니소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며 "고통받는 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케레니는 그러한 이름을 자녀에게 붙였다는 것은 강한 종교적 연관성을 의미하며, 후대 신화에서 디오니소스 추종자들의 손에 고통받는 별개의 인물 펜테우스가 아니라, 고통을 겪은 후 승리하는 신을 묘사하는 디오니소스 자신에 대한 칭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케레니에 따르면, "고통받는 자"라는 칭호는 원래 신 자신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며, 신화가 발전하면서 별개의 인물에게만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9]

디오니소스의 이름과 함께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이미지는 기원전 570년경 아티카의 도예가 소필로스의 디노스(큰 술잔)에 있으며 대영박물관에 있다.[30] 7세기까지 도자기에 있는 이미지는 디오니소스가 단순한 포도주와 관련된 신 이상으로 숭배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는 결혼, 죽음, 희생, 성과 관련이 있었으며, 그의 사티로스와 무용수로 구성된 수행원도 이미 확립되었다. 이러한 초기 묘사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신의 손에 따른 그의 추종자들의 잡종 생물로의 변형이었는데, 대개 길들여진 야생 사티로스 모두로 표현되어, 문명화된 삶에서 자연으로의 전환을 탈출의 수단으로 나타냅니다.[31]

학술적 언급은 부족하지만, 그리스-로마의 디오니소스와 힌두교의 신 시바 사이에 주목할 만한 유사점이 있다. 공유된 이미지와 배경에는 머리에 초승달이나 뿔, 표범이나 호랑이 가죽, 뱀, 남근 상징(시발링감), 방랑자이자 추방자로서의 연관성, 그리고 의식적 황홀경과의 연관성이 포함된다. 시바는 비슈누브라흐마를 포함하는 삼신 중 하나로 이해된다. 디오니소스는 동쪽과 인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여러 언급에서 언급된다.

바쿠스(디오니소스의 로마식 이름)의 미케네 변형은 어머니에게 버려진 "신성한 아이"였으며, 결국 "요정, 여신, 또는 심지어 동물"에 의해 길러진 것으로 여겨졌다.[32]

3. 신화

2세기경 로마의 알템프스 궁전에 있는, 표범, 사티로스, 포도나무의 포도송이와 함께 묘사된 과장된 크기의 루도비시 디오니소스상


디오니소스의 모자이크, 디온의 디오니소스 빌라(2세기경), 디온 고고학 박물관, 디온, 그리스


바쿠스를 묘사한 로마 프레스코화, 보스코레알레, 기원전 30년경


데르베니 크라테르에 묘사된 디오니소스.


표범을 타고 있는 디오니소스의 승리를 묘사한 대리석 사르코파구스, 시종, 사계절, 텔루스와 오케아누스와 함께, 220-230년경


디오니소스의 인도 정복, 세티프 고고학 박물관, 200-300년경


폰테 가리발디 바쿠스의 청동상 세부 묘사, 팔라초 마시모, 로마


디오니소스 신화는 고대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었으며, 그의 부모, 탄생, 지상에서의 삶에 대한 여러 기록이 존재한다. 이는 그가 여러 번 환생했다고 믿어졌기 때문에 더욱 복잡해졌다. 기원전 1세기까지 일부 신화학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기록들을 통합하여 디오니소스가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나타났다고 설명하기도 했다.[219][220]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최소 두 명의 디오니소스가 있었다고 언급하며, 후대의 젊은 디오니소스가 더 오래된 디오니소스의 업적을 계승했다고 기록했다.[220] 또한 디오니소스는 긴 수염을 기른 고대의 모습과 젊고 때로는 여성적인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묘사되었다고 전한다.[221][222]

가장 널리 알려진 탄생 신화는 제우스테베의 공주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이야기이다. 헤라의 계략으로 세멜레는 제우스의 본모습을 보고 타 죽지만, 제우스는 태아를 자신의 허벅지에 넣어 꿰매어 달을 채워 낳았다고 한다. 다른 주요 전승으로는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가 전하는 크레타 신화가 있는데, 여기서는 디오니소스가 제우스와 지하 세계의 여왕 페르세포네의 아들로 등장한다. 이 외에도 여러 탄생 설화가 존재하며, 이는 디오니소스 신화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디오니소스는 그의 다양한 속성과 역할을 반영하는 여러 칭호로 불렸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칭호그리스어 표기의미 및 관련 지역/내용
아크라토포로스Ἀκρατοφόρος"혼합되지 않은 포도주를 주는 자" (아르카디아의 피갈레이아)[33]
아크로레이테스시키온에서[34]
아도네우스로마 문학의 고어, 바쿠스의 칭호로 사용된 아도니스의 라틴어 형태[35]
아이고볼로스Αἰγοβόλος"염소 사냥꾼" (보이오티아의 포트니아이)[36]
아이심네테스Αἰσυμνήτης"통치자" 또는 "군주" (아로에와 아카이아의 파트라이)
아그리오스Ἄγριος"야생의" (마케도니아)
안드로기노스Ἀνδρόγυνος(양성의) 신은 남성적이고 수동적인 여성적 역할 모두에서 성관계를 갖는다.[37]
안트로포라이스테스Ἀνθρωπορραίστης"인간 파괴자" (테네도스)[38]
바사레우스Βασσαρεύς트라키아 이름, "여우 가죽"을 의미하는 바사리스에서 유래[39][40]
부게네스Βουγενής 또는 Βοηγενής"암소에게서 태어난" (레르나의 신비 의식)[41][42]
브라에테스Βραίτης"맥주와 관련된" (트라키아)[43]
브리사이우스Βρισαῖος레스보스의 브리사 산 또는 님프 브리사에서 유래[44]
브리세우스Βρῑσεύς"승리하는 자" (스미르나)[45][46]
브로미우스Βρόμιος"울부짖는" (주로 죽음/부활 요소와 관련, 사자/황소 변신, 술 취한 사람들의 떠들썩함 포함. 또한 "천둥의 울음소리"와 관련)[47][48][49]
코이롭살라스χοιροψάλας"돼지 잡는 사람" (다산의 신 역할 언급)[50][51]
크토니오스Χθόνιος"지하의"[52]
키스토포로스Κιστοφόρος"바구니를 든 자, 담쟁이덩굴을 든 자"[53][54]
다실리우스Δασύλλιος"숲을 자주 드나드는 자" (메가라)[55]
디메토르Διμήτωρ"두 번 태어난 자" (두 번의 탄생을 가리킴)[53][56][57][58]
덴드리테스Δενδρίτης"나무의" (다산의 신으로서)[59]
디튀람보스Διθύραμβος그의 축제에서 사용, 조산을 가리킴
엘레우테리오스Ἐλευθέριος"해방자" (에로스와 공유하는 칭호)
엔덴드로스"나무 속에 있는 자"[60]
에노르케스"고환이 있는" (다산을 가리키거나, 제우스가 아기 디오니소스를 "허벅지에 꿰맨" 것을 의미)[61][62] (사모스 또는 레스보스)[63][64]
에리드로모스"잘 달리는" (논누스의 디오니시아카)[65]
에리크립토스Ἐρίκρυπτος"완전히 숨겨진" (마케도니아)
에우아스테르Εὐαστήρ"에우아이"라는 외침에서 유래[66]
에우이우스 / 에우이오스서정시 구절과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바카이에서 "에우아이"라는 외침에서 유래[67]
이아쿠스Ἴακχος엘레우시스 신비 의식과 관련된 디오니소스의 가능한 칭호. "이아쿠스" 찬가에서 유래했을 수 있음.
인돌레테스Ἰνδολέτης인도인 살해자/살인자 (인도 원정 때문)[68]
이소다이테스Ισοδαίτης"같은 부분을 나누는 자" (헬리오스와도 공유)[69]
케밀리우스Κεμήλιος"어린 사슴, 숫사슴"과 관련[70][71]
리크니테스"키질하는 사람" (신비 종교와 관련된 다산의 신)
레나이우스Ληναῖος"포도주 틀의 신"[72]
리아이우스 / 리아이오스Λυαῖος"구원자", 문자 그대로 "풀어주는 자" (걱정과 불안에서 해방)[73]
뤼시우스Λύσιος"구원하는 자, 해방하는 자" (테베에 사원 존재)[74][75][76]
멜라나이기스Μελάναιγις"검은 염소가죽의" (아파투리아 축제에서)
모뤼쿠스Μόρυχος"얼룩진" (시칠리아, 수확기 포도주 앙금으로 얼룩진 상징)[77][78]
뮤스테스Μύστης"신비의" (아르카디아의 코리티오)[79][80]
뉘시안Νύσιος고대 인도인들이 불렀던 이름 (전설상 뉘사 도시 건설 때문)[81][82][83][84]
오이네우스Οἰνεύς"포도주빛 어두운" (포도주 틀의 신으로서)[85][86]
오마디오스Ὠμάδιος"날고기를 먹는"[87] (키오스와 테네도스에서 인신 공양 설화 존재)[88][89][90]
파트로오스Πατρῷος"아버지의" (메가라)[55]
팔렌Φαλλήν(아마도 "남근과 관련된") (레스보스)[91][92]
플레우스"식물의 꽃과 관련된"[93][94][95]
프세우다노르Ψευδάνωρ(문자 그대로 "거짓된 사람", 그의 여성적인 특징을 가리킴) (마케도니아)
페리키오니우스Περικιόνιος"기둥(담쟁이덩굴)을 타는" (테베)[96]
세멜레이오스 / 세멜레이우스 / 세멜레우스Σεμελήϊος대지의 사람, 세멜레의 아들을 의미하는 불분명한 칭호[97][98][99][100][101][102]
스킬리타스Σκυλλίτας"포도나무 가지와 관련된" (코스)[104][105]
수키테스Συκίτης"무화과와 관련된" (라코니아)[106]
타우로파구스Ταυροφάγος"황소를 먹는"[107]
타우로스Ταῦρος"황소" (디오니소스의 성으로 사용)[108][109]
테오이누스Θέοινος(아티카 축제의 포도주 신)[110][111][112]
Τ휴이온Θυίων("엘리스의 디오니소스 튀이아 축제에서 온")[113][114]
튀로포로스Θυλλοφόρος("잎을 든") (코스)[115][116]



그리스 신화에서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함께) 사바지오스의 역할을 흡수하는데, 사바지오스는 트라키아/프리기아 신이다. 로마 신화에서는 사바지우스가 바쿠스의 또 다른 이름이 되었다.[117]

3. 1. 탄생 및 부활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테베의 공주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헤라는 남편 제우스의 연인인 세멜레를 몹시 미워하여, 유모로 변신해 세멜레에게 접근했다. 헤라는 세멜레가 자신의 연인이 정말 제우스인지 의심하게 만들었다. 결국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스틱스 강에 맹세하게 한 뒤 본모습을 보여달라고 간청했다. 맹세 때문에 거절할 수 없었던 제우스가 신의 본모습을 드러내자, 인간인 세멜레는 그 광채를 견디지 못하고 타 죽고 말았다. 이때 세멜레는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한 상태였는데, 제우스는 헤르메스에게 명하여[369][370] 타 죽은 세멜레의 몸에서 태아를 꺼내 자신의 허벅지에 넣고 꿰매어 달을 채워 길렀다. 마침내 아이가 태어나자 제우스는 그 이름을 '디오니소스'라고 지었다. 이는 '두 번 태어난 자' 또는 '제우스의 절름발이'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350px


디오니소스의 교육. 프레스코화, 현재 로마 국립 박물관 소장, 서기 20년경


그러나 디오니소스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는 이것 외에도 여러 가지가 전해진다. 고대 세계에는 그의 부모, 탄생, 지상에서의 삶에 대한 다양한 기록과 전승이 존재했는데, 이는 그가 여러 번 환생했다는 믿음 때문에 더욱 복잡해졌다.[219][220] 기원전 1세기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일부 신화 작가들이 두 명의 디오니소스가 있었다고 기록했다고 전한다. 첫 번째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페르세포네의 아들이었고,[219] 두 번째 디오니소스(세멜레의 아들)가 첫 번째 디오니소스의 업적을 계승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후대 사람들은 두 신을 혼동하여 하나의 디오니소스만 존재했다고 믿게 되었다는 것이다.[220] 디오도로스는 또한 디오니소스가 두 가지 모습, 즉 긴 수염을 기른 고대의 모습과 젊고 여성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고 언급했다.[221][222]

젊은 디오니소스의 대리석 흉상. 크노소스, 2세기. 헤라클리온 고고학 박물관.


수염 난 디오니소스의 벽감 조각. 보이오티아, 기원전 4세기 초.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가 전하는 또 다른 크레타 신화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지하 세계의 여왕 페르세포네의 아들이었다. 이 이야기는 특히 오르페우스교 신앙과 관련이 깊다. 오르페우스 신앙에서 디오니소스는 저승과 관련된 신으로 여겨졌으며, 티탄들에게 찢겨 죽었다가 다시 태어났다고 믿어졌다. 이 '찢겨짐'(스파라그모스)과 재생 신화는 오르페우스 신앙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230]

논누스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4~5세기)는 제우스와 페르세포네 사이에서 태어난 첫 번째 디오니소스, 즉 자그레우스의 탄생과 죽음을 상세히 묘사한다. 제우스는 뱀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처녀였던 페르세포네와 관계를 맺었고, 그녀는 뿔 달린 아기 자그레우스를 낳았다. 아기 자그레우스는 제우스의 왕좌에 올라 번개를 휘두르며 아버지의 후계자임을 보였다. 이를 질투한 헤라는 티탄들을 부추겨 자그레우스를 공격하게 했다. 티탄들은 얼굴에 분필을 바르고 거울 놀이에 빠진 아기를 습격했다. 자그레우스는 사자, 뱀, 호랑이, 황소 등 여러 모습으로 변신하며 저항했지만, 결국 헤라의 개입으로 티탄들에게 붙잡혀 갈가리 찢겨 죽임을 당했다. 분노한 제우스는 티탄들을 번개로 공격하여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 티탄들의 재에서 인류가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후대에 덧붙여졌다.[229] 자그레우스의 죽음은 디오니소스로서의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했다.[227] 현대 학자들은 이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를 자그레우스와 동일시하지만, 고대 오르페우스 신도들은 단순히 '디오니소스'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231]

디오도로스는 제우스와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 사이에서 디오니소스가 태어났다는 설도 전한다. 이 이야기에서 디오니소스는 가이아의 아들들, 즉 티탄들에게 살해당하고 삶아졌으나, 데메테르가 그의 유해를 모아 다시 태어나게 했다. 디오도로스는 이 신화가 포도나무(디오니소스)가 땅(데메테르, 가이아)과 비(제우스)로부터 태어나고, 수확(티탄에 의한 찢김) 후 다시 땅으로 돌아가 재생하는 자연의 순환을 상징한다고 해석했다.[235]

21.4


갓 태어난 디오니소스(주로 세멜레의 아들 버전)의 양육에 대한 이야기도 여러 가지가 있다. 한 전승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기를 헤르메스에게 맡겨 뉘사 산의 님프들에게 보내 양육을 부탁했다. 헤라의 눈을 피하기 위해 제우스는 님프들에게 디오니소스를 여자아이처럼 키우라고 지시했다. 훗날 제우스는 디오니소스를 정성껏 돌봐준 님프들을 휘아데스 성단으로 만들어주었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서는 헤르메스(혹은 제우스)가 아기 디오니소스에게 여자아이 옷을 입혀 세멜레의 언니인 이노와 그녀의 남편 아타마스에게 맡겼다고 한다. 제우스는 이들에게 헤라의 눈을 피해 디오니소스를 소녀처럼 키워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헤라는 이 사실을 알고 아타마스에게 광기를 불어넣었다. 사냥을 즐기던 아타마스는 집에 들어온 큰 사슴을 보고 활로 쏘아 죽였는데, 그것은 사실 자신의 아들 레아르코스였다. 광기에 사로잡힌 아타마스는 아들의 시신을 찢고, 아내 이노와 다른 아들 멜리케르테스마저 죽이려 했다. 이노는 멜리케르테스를 안고 바다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일설에 따르면 제우스는 디오니소스를 키워준 보답으로 이노를 바다의 여신 레우코테아로, 멜리케르테스를 팔라이몬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다른 설에서는 이노 역시 광기에 사로잡혀 끓는 물에 멜리케르테스를 넣어 죽인 뒤 그 시신을 들고 다녔다고 전해진다. 한편, 디오니소스는 새끼 염소로 변신하여 위험을 피했고, 헤르메스에게 구출되었거나, 혹은 자신도 광기에 휩싸여 방황하다가 여신 레아에 의해 치유되었다는 설도 있다.

디오니소스가 필멸의 여성인 세멜레에게서 태어났다는 이야기는 고대부터 그가 원래 인간이었으나 신격화되었다는 유헤메리즘적 해석을 낳기도 했다. 4세기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는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며, 디오니소스의 탄생은 필멸의 탄생이 아니라 신성한 존재가 세멜레에게 나타난 사건이며, 신화는 더 깊은 영적 진리를 담은 우화라고 주장했다. 율리아누스에 따르면, 제우스는 인류를 유목 생활에서 문명화된 삶으로 이끌기 위해 아들 디오니소스를 지상에 보내 포도나무를 그의 상징으로 주었다는 것이다.[240]

19세기 학자들은 디오니소스를 비교적 늦게 그리스 판테온에 편입된 외래 신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들은 그가 실제로는 그리스 본토 문화에서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31] 디오니소스 숭배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미케네 문명 시대(기원전 약 1300년경)의 필로스 지역에서 발견된 선형 B 문자 점토판에서 나온다.[29] 이 점토판에는 '디오니소스의 것'(''di-wo-nu-su-jo''|디-워-누-수-요grc)이라는 이름과 함께 포도주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 초기부터 그가 포도주와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보여준다.[29] 미케네 시대의 다른 기록에는 '엘레우테르'라는 신에 대한 언급도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디오니소스의 다른 이름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29] 미노아 문명의 크레타에서도 디오니소스 유형의 숭배 흔적이 발견되었다.[29] 이러한 증거들은 디오니소스 숭배가 기원전 7세기 이전에 이미 그리스 세계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18][119][18]

3. 2. 성장 및 헤라의 분노

''주피터와 세멜레''. 1895년 귀스타브 모로의 유화.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본래 제우스페르세포네의 아들이었던 리베르(디오니소스)는 티탄들에게 찢겨 죽임을 당했다. 제우스는 그의 심장을 수습하여 술에 넣고 카드모스의 딸 세멜레에게 마시게 하여 그녀가 임신하도록 만들었다.[236] 그러나 헤라는 세멜레의 유모 베로에로 변신하여, 세멜레가 제우스에게 헤라 자신에게 나타나는 것처럼 본모습을 보여달라고 요구하도록 부추겼다. 세멜레는 헤라의 꾐에 넘어가 제우스에게 간청했고, 결국 제우스가 나타날 때의 번개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제우스는 죽은 세멜레의 자궁에서 태아 리베르를 꺼내 니수스에게 맡겨 기르게 했다. 히기누스는 이 때문에 디오니소스가 '두 어머니를 가진 자'(dimētōr)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설명한다.[236]

논누스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에서도 헤라의 질투가 세멜레의 비극적인 죽음을 초래하는 과정이 상세히 묘사된다. 헤라는 제우스가 자신 대신 세멜레를 올림포스의 새로운 여왕으로 삼을까 두려워했다. 그녀는 세멜레의 늙은 유모로 변신하여 접근한 뒤, 세멜레에게 제우스가 헤라에게 대하는 것처럼 완전한 신성을 드러내 보여달라고 요청하도록 교묘하게 유도했다.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이를 간청했고, 제우스는 위험을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결국 세멜레는 제우스의 신성한 번개를 직접 목격하고 만지려다 그 자리에서 재가 되고 말았다(디오니시아카 8).[239]

세바스티아노 리치의 ''주피터와 세멜레'' (약 1695년)


하지만 세멜레의 태중에 있던 아기 디오니소스는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제우스는 불길 속에서 아기를 구출하여 자신의 넓적다리 안에 넣고 꿰맸다. 논누스는 "그래서 둥근 허벅지는 고통 속에서 여성이 되었고, 너무 일찍 태어난 소년은 세상에 나왔지만, 어머니의 방식이 아니었고, 어머니의 자궁에서 아버지에게로 옮겨졌다."(디오니시아카 9)라고 묘사했다.[242] 디오니소스는 태어날 때 초승달 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라이 여신들은 그의 머리에 담쟁이덩굴과 꽃으로 관을 씌우고 뿔에는 뿔 달린 뱀을 감아주었다.[242]

프락시텔레스의 ''헤르메스와 어린 디오니소스'' (올림피아 고고학 박물관)


제우스는 갓 태어난 디오니소스를 헤르메스 신에게 맡겨 보호하도록 했다. 헤르메스는 처음에는 강의 요정들인 라미데스(또는 라모스의 딸들)에게 아기를 맡겼다. 그러나 헤라는 이 요정들에게 광기를 불어넣어 아기를 공격하게 만들었고, 헤르메스는 다시 디오니소스를 구출해야 했다. 이후 헤르메스는 아기를 세멜레의 자매인 이노에게 데려갔다. 이노의 시녀였던 미스티스가 디오니소스를 맡아 기르며 그에게 신비 의식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디오니시아카 9). 아폴로도로스의 기록에 따르면, 헤르메스는 헤라의 눈을 속이기 위해 이노에게 디오니소스를 여자아이처럼 꾸며 키우라고 지시했다.[241]

하지만 헤라의 집요한 감시는 계속되었고, 결국 디오니소스의 은신처를 알아냈다. 헤라는 이노와 그녀의 남편 아타마스에게 끔찍한 광기를 불어넣었다. 미쳐버린 아타마스는 자신의 아들 레아르코스를 사슴으로 착각하고 활을 쏘아 죽였다. 이노 역시 광기에 사로잡혀 다른 아들 멜리케르테스를 끓는 솥에 던져 죽인 후, 그 시신을 안고 바다에 몸을 던졌다고 한다.[369] 다른 전승에 따르면 아타마스가 레아르코스의 시체를 여덟 조각으로 찢었다고도 한다.[371] 헤라의 분노는 디오니소스 자신에게도 영향을 미쳐 광기에 빠뜨렸으나, 이후 키벨레 여신에 의해 치유되었다고도 한다. 훗날 제우스는 디오니소스를 길러준 공을 인정하여 이노를 바다의 여신 르코테아로, 멜리케르테스를 바다의 신 팔라이몬으로 만들었다.[369]

이노 부부의 비극 이후, 헤르메스는 다시 한번 디오니소스를 구출하여 리디아의 산으로 데려가 대지의 여신 레아에게 맡겼다. 레아는 디오니소스가 청소년기에 이를 때까지 안전하게 보살폈다.[242] 다른 전승에서는 디오니소스가 신화적인 장소인 니사 산에서 비의 요정들인 히아데스에 의해 양육되었다고도 한다.[244][245] 제우스는 그들의 보살핌에 대한 보답으로 이 요정들을 하늘의 별자리(히아데스 성단)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에우보이아 섬에서 그의 사촌 마크리스가 그를 길렀다는 설[243]이나, 현명한 켄타우로스 키론에게서 노래와 춤, 제의 등 다양한 가르침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246]

조반니 벨리니의 그림 ''어린 바쿠스'' (1505년경~1510년경)


성장한 디오니소스는 포도나무를 재배하는 방법과 그 열매로 포도주를 만드는 비법을 발견하여 인류 최초의 양조자가 되었다.[247] 그러나 그의 존재를 끊임없이 못마땅하게 여겼던 헤라는 그에게 광기를 불어넣었고, 이로 인해 디오니소스는 정처 없이 세상을 떠돌아다니게 되었다. 프리기아 땅에 이르렀을 때, 그는 대지의 여신 키벨레(그리스인들에게는 레아로 알려진)를 만났다. 키벨레는 디오니소스를 광기에서 치유해주고 자신의 종교적인 비밀 의식을 전수해주었다. 이후 디오니소스는 아시아 전역을 여행하며 사람들에게 포도 재배법을 가르쳤다. 그의 방랑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여러 해 동안 계속되었다고 전해지는 인도 원정이다.[248][249]

프란체스코 리게티(Francesco Righetti)의 ''바쿠스와 암펠로스''(1782)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에 있는 르네상스(부분적으로 로마) 조각상의 1865년 이전 이미지. ''바쿠스와 암펠로스''


디오니소스의 삶에는 그가 깊이 사랑했던 사티로스 암펠로스와의 이야기도 전해진다.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암펠로스는 포도나무 가지에서 포도를 따려다 실수로 떨어져 죽었고, 디오니소스(로마 신화의 리베르)는 슬픔에 잠겨 그를 하늘의 별자리(처녀자리의 일부인 빈데미아토르, 즉 '포도 수확자')로 만들었다.[250] 반면 논누스는 다른 비극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암펠로스는 달의 여신 셀레네가 보낸 등에에 쏘여 미쳐 날뛰는 황소를 타다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들)가 그에게 포도나무로서 두 번째 생명을 부여했고, 디오니소스는 이 포도나무에서 인류 최초의 포도주를 짜냈다고 한다.[251]



아시아에서의 긴 여정을 마치고 그리스로 돌아온 디오니소스는 개선 행렬의 창시자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는 그리스 땅에 자신의 종교를 전파하고자 했으나, 그의 의식과 관련된 혼란스럽고 광적인 측면을 두려워한 여러 지역 통치자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는 헤라가 그에게 불어넣었던 광기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은 갈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3. 디오니소스에 얽힌 신화



디오니소스의 탄생과 부모에 대해서는 고대부터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는 그가 여러 번 환생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제우스와 테베의 공주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것이지만,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같은 역사가들은 제우스와 페르세포네 (혹은 데메테르) 사이에서 태어난 더 오래된 디오니소스가 있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219][220] 이 첫 번째 디오니소스는 자그레우스라고도 불리며, 오르페우스교에서는 티탄들에게 찢겨 죽었다가 다시 태어났다고 믿었다.[230][231] 논누스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에 따르면, 제우스는 뱀으로 변신하여 페르세포네와 관계를 맺고 뿔 달린 아기 자그레우스를 낳았다.[226] 아기 자그레우스는 제우스의 후계자로 지목되었으나, 이를 질투한 헤라가 보낸 티탄들에게 습격당했다. 티탄들은 거울로 아기를 유인한 뒤 공격했고, 자그레우스는 여러 동물(사자, 말, 뱀, 호랑이, 황소 등)로 변신하며 저항했지만 결국 살해당하고 몸이 조각났다.[227] 제우스는 분노하여 티탄들을 번개로 벌하고 타르타로스에 가두었으며, 이로 인해 고통받는 가이아를 달래기 위해 대홍수를 일으켰다가 세상을 다시 복구시켰다. 일부 신화에서는 제우스가 자그레우스의 심장을 구해 세멜레에게 먹여 다시 잉태하게 했다고도 전해진다. 오르페우스 신화에서는 티탄들의 재에서 인류가 탄생했다고도 한다.[229]

디오도로스는 데메테르와 제우스의 아들인 디오니소스가 티탄들에게 살해당했을 때, 데메테르가 그의 유해를 모아 다시 태어나게 했다는 이야기를 전하며, 이것이 포도나무의 성장과 수확, 포도주 제조 과정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235] 또한 이 첫 번째 디오니소스는 사람들에게 소를 이용해 밭 가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235] 한편, 필멸의 여인 세멜레에게서 태어났다는 이야기 때문에 디오니소스가 원래 인간 영웅이었으나 신격화되었다는 유헤메리즘적 해석도 존재했다. 그러나 4세기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는 이를 반박하며, 디오니소스의 탄생은 필멸의 탄생이 아니라 신성한 현현이며, 세멜레는 그의 강림을 예언한 최초의 여예언자로서 존중받아 어머니로 불린 것이라고 주장했다.[240]

성장한 디오니소스는 포도나무 재배법과 포도주 만드는 법을 발견하여 최초의 포도주를 만든 사람이 되었다.[247] 그러나 헤라의 저주로 광기에 사로잡혀 세상을 떠돌아다니게 되었다. 프리기아에서는 키벨레 여신(그리스의 레아와 동일시됨)에게 치료받고 그녀의 종교 의식을 배웠다. 이후 아시아 전역을 여행하며 사람들에게 포도 재배법을 가르쳤다. 그의 추종자들인 사티로스들과 광란의 춤을 추는 신녀(메나드)들이 그를 따랐다. 특히 인도 원정은 여러 해 동안 계속된 군사적 정복의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249]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인더스 강 근처 뉘사에 도착했을 때, 현지인들은 그 도시가 오래전 디오니소스에 의해 세워졌다고 말했다는 전설도 있다.[248] 그는 자신의 신성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을 미치게 하거나 동물로 변하게 하는 등 강력한 힘을 보여주며 신으로서 경배받게 되었다.

디오니소스는 아테네 근처 이카리아 마을의 농부 이카리오스에게 환대를 받은 보답으로 포도 재배와 포도주 제조법을 가르쳐 주었다. 이카리오스가 만든 포도주를 마신 마을 사람들은 처음 겪는 취기를 독으로 오인하여 그를 살해했다. 아버지의 시신을 발견한 딸 에리고네는 슬픔에 잠겨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디오니소스는 분노하여 마을 처녀들을 광기에 빠뜨려 집단 자살하게 만들었다. 나중에 오해를 푼 마을 사람들은 이카리오스와 에리고네를 기리는 제사를 지냈고, 디오니소스의 분노도 가라앉아 그곳은 유명한 포도 산지가 되었다고 한다.

디오니소스는 여러 인물과 사랑을 나누었다. 가장 유명한 대상은 암펠로스라는 아름다운 사티로스 미소년이었다. 디오니소스는 암펠로스를 매우 사랑하여 아버지 제우스에게 가니메데스보다 아름답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둘은 씨름을 하며 서로의 몸을 탐했고, 디오니소스는 일부러 져주며 암펠로스 아래 깔리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디오니소스는 암펠로스와 함께 사냥하며 용기를 북돋아 주었지만, 성난 수소는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어느 날 암펠로스는 셀레네(달의 여신)의 질투로 등에에 쏘여 미쳐 날뛰는 수소를 타다가 언덕에서 떨어져 죽고 말았다.[375] 슬픔에 잠긴 디오니소스는 계절의 여신 호라이의 위로를 받고, 암펠로스의 무덤가에 포도나무를 심었다. 이 포도나무에서 열린 포도로 처음 포도주를 만들었고, 포도나무를 '암펠로스'라 부르며 세상에 퍼뜨렸다고 한다.[375] 오비디우스는 암펠로스가 포도를 따다 떨어져 죽은 뒤, 디오니소스가 그를 별자리(처녀자리의 일부인 '포도 수확자', Vindemitor)로 만들었다고 전한다.[250] 논누스는 암펠로스가 셀레네에게 도전했다가 살해당했고, 디오니소스가 그를 최초의 포도나무로 변하게 했다고 다르게 이야기한다.[271]

티치아노의 ''바쿠스와 아리아드네''(Bacchus and Ariadne), 런던 국립미술관


크레타의 공주 아리아드네테세우스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는 것을 도왔으나, 낙소스 섬에 잠든 사이 버려졌다. 슬퍼하는 아리아드네 앞에 디오니소스가 나타나 그녀를 위로하고 아내로 맞이했다.[375] 헤시오도스 등 대부분의 전승은 테세우스가 그녀를 버린 후에 디오니소스가 발견했다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테세우스에게 아리아드네를 두고 가라고 요구했다고도 한다.[375] 헤로도토스는 테세우스가 임신한 아리아드네에게 싫증이 나 버리고 갔다고 기록했다.[375] 디오니소스는 아리아드네가 죽은 후 그녀의 왕관을 하늘에 던져 북쪽왕관자리 별자리를 만들었다고도 하고, 하이데스로 내려가 그녀를 데려와 올림포스의 신들 곁에 두었다고도 한다. 님프 프살라칸타는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를 얻도록 돕겠다고 약속했지만, 디오니소스가 자신을 거부하자 아리아드네에게 디오니소스를 따라가지 말라고 조언했다. 이에 분노한 디오니소스는 프살라칸타를 식물로 만들어 버렸다.[268]

디오니소스는 님프 니카이아와도 관계를 맺었다. 에로스의 장난으로 니카이아를 사랑하게 되었으나, 독신을 맹세한 그녀는 구애를 거절했다. 디오니소스는 그녀가 마시는 샘물을 포도주로 바꿔 취하게 한 뒤 잠든 그녀를 강간했다. 니카이아는 이후 텔레테, 사튀로스 등을 낳았고, 디오니소스는 고대 도시 니카이아를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269] 논누스의 『디오니시아카』에는 아르테미스의 시녀인 아우라 이야기도 나온다. 에로스는 아르테미스를 모욕한 벌로 아우라가 디오니소스를 사랑하게 만들었다. 디오니소스는 니카이아에게 썼던 방법처럼 아우라를 취하게 한 뒤 결박하고 강간했다. 아우라는 쌍둥이를 낳았으나 한 아이를 잡아먹고 상가리오스 강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다른 아들 이아코스는 아르테미스에게 구출되었다.[270]

디오니소스는 자신의 옛 스승이자 양부인 실레노스가 술에 취해 길을 잃었을 때 그를 찾아 나섰다. 실레노스는 농부들에게 발견되어 리지아의 왕 미다스에게 보내졌다. 미다스는 실레노스를 극진히 대접했고, 디오니소스는 감사의 표시로 미다스에게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 미다스는 손에 닿는 모든 것을 황금으로 변하게 해달라고 빌었고, 디오니소스는 마지못해 소원을 들어주었다. 처음에는 기뻐했지만 음식과 물, 심지어 사랑하는 딸까지 황금으로 변하자 미다스는 절망했다. 그는 디오니소스에게 애원하여 팍톨루스 강에 몸을 씻으면 능력이 사라진다는 해결책을 얻었다. 강물에 능력을 씻어낸 후, 미다스는 부와 영화를 멀리하고 신의 숭배자가 되었다고 한다. 이 신화는 팍톨루스 강의 모래에 금이 섞여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원 신화로 여겨진다.

올림포스의 신이 된 디오니소스는 죽은 어머니 세멜레를 되살리고 싶어 하이데스로 가기로 결심했다. 지하세계 입구로 알려진 아르고스 근처 알키오니아 호수에서 양치기 노인 폴림노스를 만났다. 폴림노스는 길을 안내해주는 대가로 디오니소스와의 성관계를 요구했다. 휘기누스에 따르면 폴림노스가 디오니소스의 아름다움에 반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디오니소스는 어머니를 구해오면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하고 지하세계로 내려가 세멜레를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돌아왔을 때 폴림노스는 이미 죽어 있었다. 디오니소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무화과나무 가지로 남근 모양을 만들어 폴림노스의 무덤에 앉아 자의 행위를 했다고 전해진다.

키오스 섬의 왕 오이노피온(일설에는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의 아들)은 거인 사냥꾼 오리온이 자신의 딸 메로페를 강제로 차지하려 하자 디오니소스의 도움을 받았다. 디오니소스는 오리온을 술에 취하게 만들었고, 오이노피온은 잠든 오리온의 눈을 멀게 했다.

북아프리카 로마 모자이크: 표범으로 변한 디오니소스가 해적들을 공격하고, 선장 아코에테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돌고래로 변신한다. 2세기 (튀니스 바르도 국립 박물관)


디오니소스는 자신의 신성을 증명하고 숭배를 전파하는 과정에서 여러 인물과 갈등을 겪었다.

『호메로스 찬가 7, 디오니소스 찬가』에 따르면, 해변에 있던 디오니소스를 왕자로 오인한 티레니아인 해적들이 납치하여 몸값을 받으려 했다. 그러나 어떤 밧줄도 그를 묶지 못했다. 디오니소스는 사나운 사자로 변신하고 배에 곰을 나타나게 하여 선원들을 공포에 빠뜨렸다. 바다로 뛰어든 선원들은 돌고래로 변했고, 신성을 알아보고 처음부터 납치를 반대했던 조타수 아코에테스만이 살아남아 디오니소스의 신자가 되었다.[258]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디오니소스가 어린아이 모습으로 발견되지만 배에 타자 성인 신으로 변하며, 돛대와 노를 뱀으로, 배를 담쟁이덩굴로 뒤덮고 플루트 소리로 채워 선원들을 미치게 만들어 돌고래로 변하게 한다. 이러한 해적 이야기는 디오니소스가 필멸자들 사이에서 보낸 시간의 끝을 장식하며 그의 신성을 최종적으로 증명하는 사건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4]

아가베와 이노에게 찢겨 죽는 펜테우스. 아티카식 적색도형 레카니스(화장품 그릇) 뚜껑, 기원전 450~425년경 (루브르 박물관)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바카이』는 디오니소스가 자신의 고향인 테베로 돌아왔을 때 벌어진 사건을 다룬다. 당시 테베의 왕이자 디오니소스의 사촌인 펜테우스는 그의 어머니 아가베와 이모들처럼 디오니소스의 신성을 믿지 않고 그의 숭배를 불경하고 음란한 것으로 여겨 탄압했다. 맹인 예언자 티레시아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펜테우스는 디오니소스를 체포하고 그의 의식을 금지했다. 디오니소스는 펜테우스를 광기에 빠뜨려 키타이론 산에서 벌어지는 메나드(디오니소스의 여성 신도)들의 비밀 의식을 엿보도록 유혹했다. 펜테우스가 나무 위에 숨어 의식을 훔쳐보자, 광란 상태의 메나드들은 그를 산짐승으로 착각하고 달려들었다. 펜테우스는 자신의 어머니 아가베와 이모 이노, 아우토노에의 손에 의해 찢겨 죽임(스파르가모스) 당했다.[253] 아가베는 아들의 머리를 창에 꽂아들고 테베로 돌아왔으나, 광기가 가라앉은 후에야 자신이 저지른 끔찍한 일을 깨닫게 된다. 디오니소스는 자신의 신성을 드러내고 아가베와 그녀의 자매들을 추방했으며, 테베의 시조 카드무스와 그의 아내 하르모니아를 뱀으로 변하게 했다. 티레시아스만이 화를 면했다.[254]

류쿠르고스가 덩굴에 갇힌 모습, 류쿠르고스 컵


트라키아의 왕 류쿠르고스 역시 디오니소스 숭배를 탄압했다. 그는 디오니소스의 추종자들을 박해하고 디오니소스마저 위협했다. 디오니소스는 바다의 여신 테티스에게 피신했고, 트라키아 땅에 가뭄을 내렸다. 신은 류쿠르고스를 미치게 만들어 자신의 아들을 담쟁이덩굴로 착각하여 도끼로 살해하게 했다. 신탁은 류쿠르고스가 살아있는 한 가뭄이 계속될 것이라고 예언했고, 백성들은 그를 사지 분시형에 처했다. 디오니소스는 그제야 저주를 풀었다.[255][256] 다른 판본에서는 류쿠르고스가 디오니소스의 추종자 암브로시아를 죽이려 하자, 그녀가 포도덩굴로 변해 왕을 휘감아 질식시켜 죽였다고도 한다.[257]

칼리돈의 여인 칼리로에는 디오니소스의 사제 코레소스의 사랑을 경멸했다. 이에 코레소스는 디오니소스에게 빌어 칼리돈의 모든 여인들을 광기에 빠뜨리겠다고 위협했다. 신탁은 칼리로에를 희생 제물로 바치라고 명령했지만, 코레소스는 차마 그녀를 죽이지 못하고 대신 자결했다. 칼리로에 역시 죄책감에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고, 그 우물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되었다.

디오니소스는 테베에 결코 잡히지 않는 테우메소스의 여우를 보내 재앙을 일으키기도 했다. 테베의 왕 크레온은 암피트리온에게 여우 사냥을 맡겼고, 암피트리온은 케팔로스에게서 어떤 사냥감이든 반드시 잡는 개 라일랍스를 빌려 여우를 쫓게 했다. 영원히 잡히지 않는 여우와 반드시 잡는 개가 쫓고 쫓기는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지자, 제우스가 개입하여 둘 다 돌로 만들었다고 한다.

헤파이스토스가 어머니 헤라를 마법 의자에 묶어 복수했을 때, 다른 신들이 그를 설득하지 못하자 디오니소스가 나섰다. 디오니소스는 헤파이스토스를 술에 취하게 만든 뒤 나귀에 태워 올림포스로 데려와 헤라를 풀어주게 했다.

프리아포스와 당나귀 사이에 누구의 성기가 더 우월한지를 놓고 경쟁이 벌어졌을 때, 당나귀가 패배하자 프리아포스는 당나귀를 죽였다. 디오니소스는 이 당나귀를 불쌍히 여겨 하늘의 별자리(게자리 근처의 북쪽 당나귀별과 남쪽 당나귀별)로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274][275]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는 디오니소스가 아테네 연극의 쇠퇴를 걱정하여 위대한 비극 작가를 되살리기 위해 하이데스로 내려가는 여정을 그린다. 그는 헤라클레스의 조언을 받아 하인 크산티아스와 함께 지하세계로 떠나 여러 소동을 겪은 뒤, 아이스킬로스에우리피데스 사이에서 시 경연 대회를 열어 아이스킬로스를 선택하여 지상으로 데려온다.

이렇게 지상에서의 활동과 시련을 통해 자신의 신성을 널리 인정받은 디오니소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 죽은 어머니 세멜레를 구출하여 올림포스로 데려왔고, 그녀는 티오네(Thyone)라는 이름의 여신이 되었다. 디오니소스 자신도 마침내 올림포스 12신의 반열에 정식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3. 4. 저승으로의 하강

파우사니아스는 그의 저서 『그리스의 기술』 제2권에서 디오니소스의 카타바시스(katabasis, 저승 여행)에 대한 두 가지 전승을 서술하고 있다. 두 전승 모두 디오니소스가 저승에 내려가 어머니 세멜레를 구출하여 올림포스에 합당한 자리를 마련해 주었다는 내용이다. 그러기 위해 그는 지옥의 개 케르베로스와 싸워야 했는데, 헤라클레스가 케르베로스를 제압해 주었다. 세멜레를 구출한 후, 디오니소스는 그녀와 함께 아르골리스 해안의 레르나 유적지 근처 석호의 알 수 없는 물에서 나왔다고 지역 전승은 전한다.[262] 이 신화적 사건은 매년 밤에 열리는 축제로 기념되었는데, 그 자세한 내용은 지역 종교에서 비밀로 유지되었다. 파올라 코렌테에 따르면, 석호의 물에서 디오니소스가 나온 것은 그와 세멜레 모두에게 저승에서 다시 태어나는 일종의 재생을 의미할 수 있다.[14][263] 이 신화의 변형은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들』의 기반을 형성한다.[14]

기독교 작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그의 여정에서 프로스므누스 또는 폴리므누스의 인도를 받았는데, 그는 보상으로 디오니소스의 연인이 되기를 요청했다. 프로스므누스는 디오니소스가 그의 약속을 지키기 전에 죽었으므로, 디오니소스는 프로스므누스의 무덤에서 무화과나무 가지로 남근을 만들어 자신에게 삽입함으로써 그의 혼을 만족시켰다.[264][265] 이 이야기는 기독교 자료에만 온전히 남아 있는데, 이들의 목적은 이교 신화를 깎아내리는 것이었지만, 디오니소스 신비 의식에서 사용되는 비밀 물건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266]

디오니소스의 저승 여행 신화는 기원전 1세기 작품 『역사 도서관』을 저술한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와 1세기 작품 『도서관』(Bibliotheca) 제3권을 저술한 가명 아폴로도로스 모두가 전하고 있다. 후자에서 아폴로도로스는 헤라의 분노를 피해 숨어 지낸 후, 디오니소스가 자신의 신성을 부정하는 자들과 맞서 싸우며 전 세계를 여행했고, 결국 해적들을 돌고래로 변신시키면서 자신의 신성을 증명했다고 전한다. 이후, 그의 지상 생활의 절정은 어머니를 저승에서 구출하기 위한 저승 여행이었다. 그는 어머니 세멜레의 이름을 티오네로 바꾸고 그녀와 함께 하늘로 올라가 그녀를 여신으로 만들었다.[267] 이 신화의 변형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필멸자들에게 자신의 신성을 증명하고, 자신의 혈통을 증명하고 어머니를 신의 지위로 격상시켜 올림포스에서 자신의 자리를 합법화해야 올림포스 신들 사이에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14]

4. 디오니소스 숭배

디오니소스 숭배는 본래 집단적 광란과 도취를 동반하는 동방 종교의 성격을 띠었으며, 특히 여성 신자들이 많았다. 이러한 열광적인 신앙은 질서를 중시하는 그리스 사회 초기에는 경계의 대상이었으나, 점차 민중들에게 받아들여져 결국 올림포스 12신의 일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디오니소스가 동방을 방랑하며 신자를 모았다는 신화는 이러한 역사적 수용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자그레우스 등 본래 다른 신격이었던 존재들이 디오니소스 신화에 통합되는 과정에서도 디오니소스 신앙의 복합적인 형성 과정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디오니소스 신앙은 미케네 문명 시대의 선형문자 B 문서에서도 '디오누소요'(Διώνυσοιο|디오누소이오grc)라는 이름으로 발견될 만큼[364] 그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다(기원전 15~11세기부터 숭배된 것으로 추정[365]). 이처럼 디오니소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오래되었으면서도 새로운' 모순적인 성격을 지닌 신으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테네를 비롯한 여러 그리스 도시에서는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축제인 '''디오니시아 축제'''가 열렸으며, 이 축제의 일환으로 비극 경연 대회가 개최되었다. 비극의 기원은 디오니소스 숭배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종교 의식에 서정시의 대화 형식이 결합되어 비극이라는 장르가 탄생했다고 추정된다.

4. 1.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는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는 종교가 있었다. 오르페우스교와 깊은 관련을 가진 이 숭배 의식은 주로 여성 신도들이 참여했으며, 살아있는 산짐승이나 가축, 때로는 어린아이까지 제물로 바치고 광란 상태에 빠져 제물을 산 채로 뜯어먹고 피를 마셨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디오니소스 숭배는 고대 그리스 문화의 비이성적인 단면을 보여주며, 현대에 이르러 고대 그리스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그 실체가 점차 밝혀지고 있다.

''바쿠스, 케레스, 그리고 아모르(?)'', (1595–1605). 한스 폰 아헨(Hans von Aachen)의 유화.


나우크라티스(Naukratis)에서 발견된 로마 대리석 부조(서기 1세기)로, 뱀을 휘감고 이집트 왕관을 쓴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를 보여준다.


기원전 5세기 초부터 디오니소스는 엘레우시스 신비 의식 전통의 하급 신인 이아쿠스와 동일시되기 시작했다.[130] 이러한 연관성은 '이아쿠스'와 '바쿠스'(디오니소스의 다른 이름)라는 이름의 발음이 비슷한 데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기원전 500년경 제작된 검은 그림 양식의 레키토이 두 점은 이러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증거로 여겨진다. 거의 동일한 이 항아리들 중 하나는 베를린에,[131] 다른 하나는 로마에 보관되어 있다.[132] 이 항아리들에는 디오니소스와 함께 "IAKXNE"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IAKXE"를 잘못 쓴 것일 가능성이 있다.[133] 더 확실한 증거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 비극 작가 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134]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기원전 441년경)에 나오는 디오니소스 찬가는 그를 "많은 이름을 가진 신"(πολυώνυμε|폴리워니메grc)이라 부르며 시작하여, 데메테르의 엘레우시스 계곡을 다스리는 신으로 묘사하고 "선물을 주는 이아쿠스"와 동일시하며 마무리된다. 또한 이 찬가는 디오니소스가 "숨결이 불인 별들의 합창단"을 이끌고 그의 여성 추종자들인 "티아이아데스(Thyiads)"가 "밤새도록 광란의 춤"을 춘다고 묘사한다.[135] 소포클레스의 소실된 희곡 단편에서는 디오니소스가 자란 곳으로 알려진 뉘사를 "바쿠스의 은신처이자 인간들 사이에서 유명한 뉘사"로 묘사하며, "황소의 뿔을 가진 이아쿠스"가 이곳을 아꼈다고 언급한다.[136]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박카이''(기원전 405년경)에서는 전령이 키타이론 산에서 열린 바쿠스 축제를 묘사하며, 참가자들이 "티르소스를 흔들기 시작했고… 제우스의 아들 이아쿠스, 브로미우스(디오니소스의 또 다른 이름)를 한 목소리로 불렀다"고 말하며 이아쿠스와 디오니소스를 연결시킨다.[137]

델포이에서 발견된 기원전 340년경의 돌 스텔레 비문에는 디오니소스의 여정을 묘사하는 찬가가 새겨져 있다.[138] 그는 태어난 곳인 테베에서 델포이로 가서 그의 "별빛 몸"을 드러내고, "델포이의 소녀들"과 함께 "파르나소스의 주름진 곳에 자리를 잡았다".[139] 그리고 엘레우시스에서는 "이아쿠스"라고 불린다.

:그리고 당신의 손에 밤을

:비추는 불꽃을 휘두르며, 신이 깃든 광란으로

:당신은 엘레우시스의 계곡으로 갔습니다

:...

:거룩한 신비의 당신 자신의 고향 증인들과 함께

:헬라스 땅의 모든 백성이

:이아쿠스로 당신을 부릅니다. 필멸자들의 고통에서

:당신은 수고 없이 안식처를 열어주셨습니다.[140]

고대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그리스인들이 "디오니소스뿐만 아니라 신비 의식의 총책임자에게도 '이아쿠스'라는 이름을 부여했다"고 기록했다.[141] 특히 이아쿠스는 페르세포네의 아들인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와 동일시되기도 했다.[142] 소포클레스가 언급한 "황소의 뿔을 가진 이아쿠스"처럼, 기원전 1세기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루스에 따르면 이 더 오래된 디오니소스는 그림과 조각에서 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그가 "총명함이 뛰어나고 소를 처음으로 길들여 씨앗을 뿌리게 한 인물"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43] 2세기 그리스 역사가 아리아누스는 제우스와 페르세포네의 아들인 이 디오니소스, 즉 "테베의 디오니소스가 아닌" 디오니소스에게 "이아쿠스"라는 신비로운 노래가 불렸다고 기록했다.[144] 2세기 시인 루키안 역시 "이아쿠스의 분해"에 대해 언급했다.[145]

4세기 또는 5세기 시인 논누스는 이아쿠스라는 이름을 "세 번째" 디오니소스와 연관시켰다. 그는 첫 번째 디오니소스인 자그레우스(페르세포네의 아들), 두 번째 디오니소스인 브로미우스(세멜레의 아들), 그리고 세 번째 디오니소스인 이아쿠스에게 바쳐진 아테네 축제를 묘사했다.

:그들은 [아테네인들은] 페르세포네의 아들 다음으로, 그리고 세멜레의 아들 다음으로 그를 신으로 숭배했고, 늦게 태어난 디오니소스와 먼저 태어난 디오니소스를 위한 제사를 제정했으며, 세 번째로 이아쿠스를 위한 새로운 찬가를 불렀다. 이 세 가지 축제에서 아테네는 크게 흥청거렸고, 최근에 만들어진 춤에서 아테네인들은 자그레우스와 브로미우스와 이아쿠스를 모두 함께 기리며 발걸음을 맞추었다.[146]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이아쿠스는 데메테르의 남편이었다.[147] 다른 여러 자료에서는 이아쿠스를 데메테르의 아들로 언급한다.[148] 이러한 기록 중 가장 이른 것은 옥스포드에서 발견된 기원전 4세기 항아리 파편으로, 데메테르가 무릎에 디오니소스를 안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49] 기원전 1세기경에는 데메테르가 이아쿠스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이 흔한 모티브가 되어, 라틴 시인 루크레티우스가 연인을 묘사하는 은유로 사용하기도 했다.[150] 2세기 아리스티데스에 대한 주석가는 데메테르를 이아쿠스의 어머니라고 명확히 언급한다.[151]

사티로스가 어린 바쿠스에게 포도나무 가지를 주는 모습; 카메오 유리, 서기 1세기 전반; 이탈리아 출토


오르페우스교 전통에서 "최초의 디오니소스"는 제우스페르세포네의 아들이었으며, 티탄들에게 찢겨 죽었다가 다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52] 디오니소스는 오르페우스교도들의 중심 신이었으며, 죽음과 불멸, 그리고 윤회의 과정을 주관하는 존재로 여겨졌다.[153]

이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는 때때로 자그레우스로 불린다. 문헌상 자그레우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그를 가이아의 배우자이자 최고의 신으로 묘사한다. 아이스킬로스는 자그레우스를 하데스와 연관시켜, 하데스의 아들이거나 하데스 자신일 수 있다고 보았다.[154] 학자 티모시 갠츠는 하데스가 "제우스의 지하 세계 자아인 ''카타크토니오스''"라는 점을 들어, 본래 하데스와 페르세포네의 아들이었던 자그레우스가 나중에 제우스와 페르세포네의 아들인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와 합쳐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155] 그러나 현존하는 오르페우스 자료에서는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를 지칭할 때 '자그레우스'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두 신의 연관성은 기원전 3세기경, 시인 칼리마쿠스가 현재는 소실된 자료에서 이 주제를 다루면서 알려졌을 가능성이 있다.[156] 칼리마쿠스와 동시대 인물인 에우포리온은 어린 디오니소스가 찢겨 죽는 이야기를 전했다.[157] 비잔티움 시대의 자료는 칼리마쿠스가 "디오니소스 자그레우스"의 탄생을 언급했으며, 자그레우스는 시인들이 디오니소스의 ''지하 세계적'' 측면을 부를 때 사용한 이름이었다고 설명한다.[158] 자그레우스가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의 다른 이름이라는 믿음에 대한 가장 확실한 초기 언급은 1세기 후반 플루타르코스의 저술에서 나타난다.[159] 5세기 그리스 시인 논누스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는 이 오르페우스적 디오니소스의 이야기를 상세히 다루며, 그를 "더 오래된 디오니소스 ... 불운한 자그레우스",[160] "뿔 달린 아기 자그레우스",[161] "최초의 디오니소스인 자그레우스",[162] "고대의 디오니소스인 자그레우스",[163] 그리고 "디오니소스 자그레우스"라고 부른다.[164]

4. 2. 로마

바쿠스상, 파리, 루브르 박물관 (2세기)


로마 공화정 및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바쿠스(Bacchus)라는 이름으로 가장 잘 알려졌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를 디오니소스(Dionysus)라고 불렀다.[165]

신플라톤주의 철학과 고대 후기의 종교에서는 올림포스 신들을 그들의 영향력 영역에 따라 12명으로 간주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살루스티우스에 따르면, "주피터, 넵투누스, 그리고 불카누스는 세계를 창조하고; 케레스, 유노, 그리고 디아나는 그것에 생명을 불어넣고; 메르쿠리우스, 베누스, 그리고 아폴로는 그것을 조화시키며; 마지막으로 베스타, 미네르바, 그리고 마르스는 수호하는 힘으로 그것을 다스린다."[176] 이러한 신앙 체계에서 다른 많은 신들은 주요 신들 안에 존재하며, 살루스티우스는 바쿠스가 주피터 안에 존재한다고 가르쳤다.[176]

오르페우스교 전통에서는 아폴로 신탁이 "제우스, 하데스, 그리고 헬리오스-디오뉘소스"는 "하나의 신격 안에 있는 세 신"이라고 말했다는 속담이 있었다. 이 진술은 디오뉘소스를 하데스뿐만 아니라 그의 아버지 제우스와도 동일시했으며, 태양신 헬리오스와 특히 밀접하게 동일시됨을 암시했다. 그의 ''헬리오스 왕에게 바치는 찬가''에서 이를 인용하면서, 율리아누스 황제는 디오뉘소스의 이름을 이집트 신 세라피스의 이름으로 바꾸었는데, 세라피스의 이집트 신 오시리스 또한 디오뉘소스와 동일시되었다.

5. 상징

안티오케이아에서 발견된 디오니소스의 모자이크, 2-3세기경.


디오니소스는 초기에는 수염을 기르고 긴 옷을 입은 성숙한 남성으로 묘사되었으나, 후대로 가면서 수염이 없고 육감적이며 종종 알몸이나 반나체 상태인 양성적인 젊은이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는 그를 "여자같은" 또는 "여성스러운 남자"로 묘사하기도 한다.[373][302] 그의 중심적인 이미지는 문명 세계 바깥 어딘가에서 온 듯한 의기양양하고 무질서한 도착 또는 귀환을 보여준다.

그의 행렬(티아소스, thiasus)은 거칠고 광란적인 여성 추종자들(마이나스)과 발기한 상태로 턱수염을 기른 사티로스들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티르소스(thyrsus)라는 끝에 솔방울이 달리고 담쟁이덩굴로 감싼 지팡이로 무장하고 춤을 추거나 음악을 연주한다. 디오니소스 자신은 사자호랑이 같은 이국적인 짐승이 끄는 전차를 타고 있으며, 때로는 턱수염을 기르고 술에 취한 실레노스가 그를 수행한다. 이러한 모습은 디오니소스가 전통적인 사회 질서에 속하지 않는 이들의 수호자임을 나타내며, 인간의 이성을 벗어난 혼란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신의 힘을 상징한다.[374][303]

디오니소스의 상징물은 다음과 같다.

디오니소스의 상징 동물 및 식물
구분상징물
동물표범, 사자, 호랑이, 염소, 황소, 여우, , 돌고래, 노새
식물포도, 사과, 무화과, 딸기, 아이비



그는 종종 표범이나 표범 가죽을 입고 티르소스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다른 한 손에는 술잔이나 풍요의 뿔을 쥐기도 한다. 남근 역시 디오니소스(및 로마의 바쿠스)의 중요한 상징물이었다.[305][306][307] 고대 그리스에서는 남근 형상을 들고 행진하는 팔로포리아(Phallophoria)라는 축제가 열리기도 했다. 그의 여성 추종자인 마이나스는 머리카락이나 목에 담쟁이덩굴이나 뱀으로 만든 화관을 쓰기도 한다.[308][309][310]

그리스 델로스에 있는 디오니소스 신전 입구에 있는 조각된 남근


또한 디오니소스 숭배는 나무, 특히 무화과나무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의 별명 중 Endendros|엔덴드로스grc("나무 속에 있는 자")나 Dendritēs|덴드리테스grc("나무의 자") 등은 이러한 연관성을 보여준다.[311]

디오니소스는 부활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황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올림피아의 헤라 축제에서는 디오니소스를 황소의 모습으로 강림하도록 기원하는 찬가가 불렸으며, 황소 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거나 황소 형상의 신상을 가지기도 했다. 이는 티탄들에게 황소 송아지로 살해당했다가 부활했다는 신화와 관련이 있다.[304]

계절적으로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시기와 관련이 깊다. 시리우스 별이 뜨는 무더운 여름은 포도 수확의 기대감이 커지는 시기이며, 오리온이 하늘 중앙에 오는 늦여름은 포도 수확기였다. 플라톤은 이 시기의 풍요로움을 디오니소스적 기쁨과 연결했으며, 핀다로스는 한여름의 빛을 디오니소스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제우스의 허벅지에서 태어났다는 신화는 그를 "제우스의 빛"(Dios phos|디오스 포스grc)으로 묘사하며 시리우스의 빛과 연관 짓는다.[29]

팬서 등에 탄 디오니소스; 왼쪽에는 탬버린을 들고 있는 파포실레누스가 있다. 기원전 370년경 적색도형 종형 크레이터의 A면


로마에서는 디오니소스가 바쿠스라는 이름으로 숭배되었는데, 이는 마그나 그라이키아(남부 이탈리아의 그리스 문화권)나 에트루리아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200년경, 캄파니아 출신의 여사제 파쿨라 안니아에 의해 아벤티누스 언덕의 스티뮬라 숲에 바쿠스 비밀 종교가 자리 잡았다. 이곳은 로마 토착 신인 리베르 파테르("자유로운 아버지")의 신전 근처였다. 리베르는 포도주, 다산, 예언의 신이자 로마 플레베이(평민)의 수호신이었으며, 어머니 케레스, 여동생 또는 배우자 리베라와 함께 아벤티누스 삼신상을 이루었다. 기원전 493년에 이들을 위한 신전이 세워지고 리베랄리아 축제가 제정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벤티누스 삼신상 숭배는 그리스의 영향을 받아 기원전 205년경 리베르와 리베라는 공식적으로 바쿠스 및 프로세르피나와 동일시되었다.[166] 그러나 리베르와 디오니소스(바쿠스)의 동일시는 보편적이지 않았으며, 키케로는 둘이 다른 신이며 리베르와 리베라는 케레스의 자녀라고 주장했다.[167][168]

나폴리 고고학 박물관에 있는 고대 로마 부조. 디오니소스가 티르소스를 들고 제물을 받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담쟁이 잎으로 만든 화관을 쓰고 팬서가 시중을 들고 있다


리베르는 포도나무, 포도주, 남성의 다산 등 농업과 다산의 신으로서의 속성을 지녔다.[168] 플리니우스는 리베르가 매매 관행, 왕관, 개선식 행렬을 처음 만들었다고 기록했다.[169] 로마의 모자이크나 석관에는 디오니소스/바쿠스 풍의 개선식 행렬이 자주 묘사되는데, 이는 리베르의 개선식 전통과 연결될 수 있다.[170] 리베르는 그리스 종교 도입 이전부터 포도주와 자유, 심지어 권력 전복과 같은 디오니소스적 가치와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미케네 시대의 신 엘레우테로스(Eleutheros, '자유로운 자'라는 뜻으로 리베르와 의미가 같음)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29][170]

=== 미술에서의 표현 ===

긴 횃불을 들고 왕좌에 앉은 디오니소스, 헬리오스, 아프로디테 그리고 다른 신들과 함께. 폼페이의 고대 프레스코화.


디오니소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고대 그리스 도자기, 특히 포도주를 담는 용기에 자주 그려졌다. 헬레니즘 시대 이전에는 메나드의 부조를 제외하면 디오니소스를 주제로 한 대형 조각은 드물었으나,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 흔해졌다.[312] 이 시기 조각들은 디오니소스 사르다나팔루스처럼 엄격한 고전주의 양식부터 나른하고 양성적인 젊은 남성(종종 알몸)으로 묘사하는 방식까지 다양했다.[313] 프락시텔레스의 ''헤르메스와 어린 디오니소스''는 그리스 원본으로 추정되며, 루도비시 디오니소스는 기원후 2세기 로마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 바르베리니 파운, 벨베데레 토르소, ''휴식하는 사티로스'' 등은 로마 시대 복제품으로 전해지는 유명한 헬레니즘 조각이다. 푸리에티 켄타우로스나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역시 디오니소스의 세계와 관련된 주제를 다룬다.[314] 대리석 조각인 페르가몬의 무희나 최근 바다에서 인양된 청동상 마자라 델 발로의 춤추는 사티로스도 유명하다.

디오니소스, 판과 사티로스를 포함한 무리를 장식한 대리석 테이블 받침대; 디오니소스는 표범 모양의 리톤(술잔)을 들고 있으며; 인물들의 머리카락과 나뭇가지에는 붉은색과 노란색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소아시아 공방 제작, 서기 170~180년,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디오니소스 세계는 켄타우로스, 님프, 판, 헤르마프로디토스 같은 반신들과 함께하는 쾌락적이고 목가적인 풍경으로 그려졌다.[315] 이 시대의 "님프"는 디오니소스적 이상향 속의 여성을 의미했다.[316] 또한 어린이와 농민을 주제로 한 풍속 조각도 등장했는데, 이들 역시 담쟁이덩굴 화관 등 디오니소스적 속성을 지니며 그의 세계의 일부로 여겨졌다.[317] 기원전 4세기의 데르베니 크라테르는 디오니소스와 추종자들을 묘사한 최고 수준의 고대 금속 용기 유물이다.

디오니소스 모자이크, 4세기


디오니소스는 신이 된 인간, 동방 정복자, 화려한 삶의 방식 등으로 헬레니즘 왕조의 군주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종종 그들의 조상으로 여겨졌다.[318] 로마 제국의 부유층 역시 디오니소스를 선호하여 정원에 관련 조각상을 세우고, 기원후 2세기에는 바쿠스와 수행원이 새겨진 석관에 묻히기도 했다.[319] 4세기 영국 박물관 소장의 리쿠르구스 컵은 빛에 따라 색이 변하는 케이지 컵으로, 디오니소스에게 도전했다가 속박된 왕 리쿠르구스를 묘사하고 있어 디오니소스 비교(秘敎)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키프로스 네아 파포스의 아이온의 집 모자이크는 디오니소스를 중심으로 다른 신들을 종속적으로 배치하여 일신교적 숭배를 보여준다는 해석도 있다.[320] 중기 비잔틴 시대의 베롤리 상자(기원후 1000년경 콘스탄티노플 제작)는 이러한 도상이 후대까지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미켈란젤로의 ''바쿠스'' (1497)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바쿠스를 주제로 한 미술이 다시 유행했지만, 고대의 "여성적 영성과 힘", "파괴와 창조의 불가분성" 같은 측면은 희미해졌다.[321] 미켈란젤로의 ''바쿠스''(1496-97)는 광기와 흥겨움을 동시에 표현하려 했으나, 후대에는 술 취한 실레누스(전자)와 젊은 바쿠스(후자, 정신적 고양)로 분리되어 해석되곤 했다.[322]

헨드릭 골치우스, 1600-1603, ''Sine Cerere et Libero friget Venus'' (세레스와 바쿠스 없이는 비너스가 얼어붙는다). 1600-1603년경, 잉크 채색 캔버스, 필라델피아 미술관
헨드릭 골치우스, ''Sine Cerere et Libero friget Venus'' (세레스와 바쿠스 없이는 비너스가 얼어붙는다)'', 1600-1603년경, "필라델피아 펜화"


티치아노의 ''바쿠스와 아리아드네''(1522-23)와 ''안드로스 섬의 바카날''(1523-26)은 영웅적인 목가적 풍경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323] 반면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바쿠스의 승리''(일명 "술꾼들", 1629년경)나 후세페 데 리베라의 ''술 취한 실레누스''는 사실주의적 묘사를 택했다. 플랑드르 바로크 회화에서는 반 다이크의 ''술 취한 실레누스''나 루벤스의 작품들처럼 바쿠스의 추종자들이 자주 그려졌으며, 푸생 역시 바쿠스 장면을 즐겨 그린 화가였다.[324]

16세기부터는 로마 희극 작가 테렌티우스의 구절에서 유래한 ''Sine Cerere et Baccho friget Venus''("세레스(음식)와 바쿠스(술) 없이는 비너스(사랑)가 얼어붙는다")라는 속담을 주제로 한 그림이 유행했다. 이는 사랑이 유지되려면 물질적 풍요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되었으며, 1550년에서 1630년 사이 프라하와 저지대의 북부 마니에리즘 화가들 및 루벤스에 의해 특히 많이 그려졌다. 포도 수확과의 연관성 때문에 바쿠스는 가을의 신으로 여겨져, 계절을 묘사하는 작품에도 자주 등장했다.[325]

카라칼라 욕장(로마)에 통합된 주택의 식당 천장에 있는 디오니소스 프레스코화


디오니소스로서의 안티노우스의 거대한 조각상

6. 현대의 디오니소스

디오니소스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예술가, 철학자,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로 남아 있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1872년 저서 ''비극의 탄생''에서 아폴론적과 디오니소스적 미학 원리 사이의 긴장이 그리스 비극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니체에게 디오니소스는 제약 없는 혼돈과 비이성적인 것을, 아폴론은 이성적이고 질서 있는 것을 대표했다. 다만, 디오니소스와 아폴론 사이의 이러한 대립 개념은 니체나 요한 요아힘 빙켈만 같은 근대 사상가들의 해석이며 고전 자료에서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근대 신화"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 주제는 서구 문화에서 널리 수용되어 고전 학문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326] 니체는 또한 가장 오래된 형태의 그리스 비극이 전적으로 고통받는 디오니소스에 기반한다고 보았다. 그의 후기 저작인 ''선악의 저편''(1886), ''우상의 황혼'', ''반기독교'',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에서는 디오니소스를 제약 없는 권력 의지의 구현으로 간주했다. 니체는 생애 말년에 정신 이상 증세를 보였는데, 이 시기 편지에 디오니소스와 "십자가에 못 박힌 자"라는 두 가지 이름으로 서명하기도 했다.

시인 비야체슬라프 이바노프는 1904년 ''고통받는 신의 헬레니즘 종교''와 1921년 ''디오니소스와 초기 디오니소스주의''에서 디오니소스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특히 문학과 비극의 기원을 고대 디오니소스 신비 의식에서 찾으며, 디오니소스의 고통이 기독교에서 그리스도의 고통만큼이나 숭배의 핵심 특징이라고 주장했다.[327] 카를 케레니는 디오니소스를 심리적 생명력(그리스어 ''Zoê'')을 대표하는 존재로 해석했다.[328] 다른 심리적 해석들은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기쁨, 공포, 히스테리감정에 초점을 맞춘다.[329][330][331][332][333]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자신의 유골을 디오니소스 장면이 그려진 고대 그리스 화병에 보관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 화병은 런던의 골더스 그린 화장터에 전시되어 있다.

18세기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헬파이어 클럽이 등장했는데, 일부 클럽은 사당과 희생 제물을 포함하는 등 이교적 성격을 띠었다. 디오니소스는 비너스, 플로라와 함께 인기 있는 신이었으며, 헬파이어 동굴에는 오늘날에도 디오니소스 동상이 남아 있다.[180] 1820년에는 에프라임 라이온이 미국 코네티컷주 이스트포드에 바쿠스 교회를 설립하고 스스로 대제사장을 자처하며 지역 술꾼들을 신도로 삼았다. 그는 사망한 신도들이 사후에 바카나리아로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181]

현대 이교다신교 그룹, 특히 헬레니즘 다신교 부흥을 추구하는 민족 헬레네 최고 의회(YSEE) 등은 그들의 전통에서 디오니소스 숭배를 포함한다.[182] 현대의 디오니소스 숭배자들은 포도주 외에도 포도나무, 담쟁이덩굴, 다양한 향(특히 스티락스) 등을 제물로 바친다.[183] 이들은 로마의 리베랄리아(3월 17일경)나 바카나리아, 또는 태음력에 따라 날짜가 정해지는 그리스의 안테스테리아, 레나이아, 대소 디오니시아 등의 축제를 기념하기도 한다.[184]

현대 문화에서도 디오니소스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 문학: J. M. 톨처의 자전적 소설 ''푸프''(2023)는 디오니소스를 인물이자 오스트레일리아 현대 해방의 힘으로 등장시켜 전통 신화와 니체 철학을 결합하며 동성애 혐오에 맞서는 반영웅으로 묘사한다.[334] 소설 속 디오니소스적 인물은 생존을 위한 반항과 약물 남용 등을 통해 이성애 규범적 사회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다.[335]
  • 애니메이션: 월트 디즈니는 1940년 애니메이션 영화 ''판타지아''의 "전원시" 부분에서 디오니소스를 실레누스와 비슷한 모습의 캐릭터로 묘사했다.
  • 연극 및 영화: 1969년에는 에우리피데스의 ''바카이''를 각색한 연극 ''디오니소스 인 '69''가 공연되었고, 같은 해 공연을 촬영한 동명의 영화도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관객 참여, 배우들의 노출, 혁신적인 연극 기법으로 주목받았다.[336]
  • 뮤지컬: 1974년 스티븐 손드하임과 버트 셰벌로브는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들''을 현대 뮤지컬로 각색했다. 2004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디오니소스가 위대한 극작가를 저승에서 데려오려는 원작 줄거리를 유지하되, 데려올 대상으로 조지 버나드 쇼윌리엄 셰익스피어 사이에서 고민하는 현대적 설정을 가미했다.[337]
  • 음악:
  • 오리온 익스피리언스는 2006년 앨범 ''코스믹앤디''에 "디오니소스 숭배(Cult of Dionysus)"라는 곡을 수록했다. 이 곡은 디스코 신스 사운드를 바탕으로 디오니소스 숭배 의식에서 영감을 받아 신의 교활함과 사회 규범에 대한 반항을 노래한다.[338]
  • 데드 캔 댄스는 2018년 앨범 ''디오니소스''를 발매했다. 뮤지션 브렌든 페리는 시골 스페인 여행 중 축제에서 경험한 트랜스 상태의 "디오니소스적인" 경험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지중해 민속 악기와 합창을 사용하여 고대 축제의 분위기를 재현하고자 했다.[339]
  • 대한민국의 보이 밴드 방탄소년단(BTS)은 2019년 앨범 ''맵 오브 더 솔: 페르소나''에 랩록-신스팝-힙합 트랙 "디오니소스(Dionysus)"를 발표했다.[210][340] 이 곡은 디오니소스 신화의 광기와 축제 이미지를 차용하여 "예술에 취한다"는 의미(한국어 '술'과 '예술'의 말장난)를 담아 스타덤, 유산, 예술가로서의 고뇌와 창작의 기쁨을 표현했다. 리더 RM은 이 곡을 "무언가를 창조하는 기쁨과 고통"을 담은 "정직한 트랙"이라고 설명했다.[341]
  • 비디오 게임:
  • 2014년 출시된 게임 스마이트에서는 디오니소스가 로마식 이름인 바쿠스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 2018년 인디 게임 하데스에서는 디오니소스가 주인공 자그레우스(디오니소스의 첫 번째 탄생으로 여겨지기도 함)의 사촌이자 조력자로 등장한다. 게임 속 디오니소스는 술과 관련된 능력으로 주인공을 도우며, 장난기 많고 축제를 즐기는 신화 속 특징을 반영한다.
  • 올림픽 행사: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프랑스 배우 필립 카테린이 파란색의 반나체 모습으로 디오니소스를 연기하여 논란이 되었다. 일부에서는 이 장면이 드래그 퀸들과 함께 최후의 만찬을 재현한 것이라고 해석했으나,[342][343] 벨기에 만화 캐릭터 파파 스머프를 닮았다는 반응도 있었다.[344] 개막식 예술 감독 토마스 졸리와 국제올림픽위원회는 해당 장면이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얀 판 바이레르트의 그림 신들의 향연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해명했지만, 이는 "축제 부분을 위해 토마스 졸리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유명한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배경을 만들었다"는 파리 2024 제작진의 초기 성명과 모순된다는 지적이 있었다.[345]

7. 갤러리



알다이아의 바쿠스상(Bacchus of Aldaia), 2세기 서기, (NAMM)


디오니소스 대리석 소상, 기원전 3세기 초,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참조

[1] 웹사이트 Another variant, from the Spanish royal collection, is at the Museo del Prado, Madrid :File:Dioniso del ti[...]
[2] 서적 The God Who Comes: Dionysian Mysteries Revisited Algora Press 2003
[3] 서적 Silens in Attic Black-figure Vase-painting: Myth and Performanc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2
[4] 서적 The Tree of Life: An Archaeological Study Brill Publications 1966
[5] 웹사이트 Bacchae http://data.perseus.[...]
[6] 웹사이트 The 'Theology' of the Dionysia and Old Comed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8-03
[7] 논문 Dionysus’s enigmatic thyrsus https://www.amphilso[...]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9
[8] 웹사이트 Bacchae http://data.perseus.[...]
[9]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https://books.google[...] Allsworth press 2002
[10] 서적 Sophocles: an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11] 서적 Ancient Greeks west and east https://books.google[...] Brill 1999
[12] 서적 The God Who Comes: Dionysian Mysteries Revisited Algora Press 2003
[13] 서적 Dionysism and Comedy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1999
[14] 논문 Dioniso y los Dying gods: paralelos metodológicos https://dialnet.unir[...]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12
[15] 웹사이트 Linear Band and the Origins of Greek Religion https://sites.utexa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98
[16] 서적 The Mycenaea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17]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di-wo-nu-so http://www.palaeolex[...] Palaeolexicon.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18] 웹사이트 Khania Linear B Transliterations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2-11-02
[19]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di-wo http://www.palaeolex[...]
[20] 서적 (unnamed)
[21] 서적 (unnamed) 5th century BC
[22]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s://www.perseus.[...]
[23]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 Religion 1967
[24]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25] 웹사이트 Myths of Greece and Rome https://www.sacred-t[...] 1928
[26] 서적 2010
[27] 웹사이트 Dionysiaca https://archive.org/[...]
[28] 웹사이트 Suda http://www.stoa.org/[...]
[29] 서적 Dionysu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30] 웹사이트 dinos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2-07-18
[31] 서적 Dionysos in Archaic Greece http://www.jstor.org[...] Brill 2007
[32] 서적 History of Art: The Western Tradition Pearson Education 2004
[33] 웹사이트 http://data.perseus.[...]
[34] 서적
[35] 서적 NIVALES SOCII: CAESAR, MAMURRA, AND THE SNOW OF CATULLUS C. 57 Quaderni Urbinati di Cultura Classica, New Series 2010
[36] 웹사이트 Aegobolus https://www.perseus.[...]
[37] 웹사이트 Androgynous https://www.cs.uky.e[...] Suda On Line and the Stoa Consortium 2000-07-02
[38]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39] 서적 Psyché
[40]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Vol 1 https://web.archive.[...] 1870
[41] 서적 Nilsson Vol I
[42]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43] 서적 Prolegomena
[4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Brisaeus https://www.perseus.[...]
[45] 논문 Aristid.Or.41
[46] 논문 Macr.Sat.I.18.9
[47] 웹사이트 pneuma/psuche/anima wikt:anima
[48] 일반 Bulls in antiquity were said to roar.
[49] 서적 Mythology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50] 서적 A Cabinet of Greek Curiosities: Strange Tales and Surprising Facts from the Cradle of Western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1] 서적 Exhortation to the Greeks http://www.loebclass[...]
[52] 서적 1967, 1976
[53] 저널 Suidas http://dx.doi.org/10[...]
[54] 일반 Suidas s.v. Kistophoros
[55] 웹사이트 Pausanias https://topostext.or[...]
[56] 서적 Diodorus Siculu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6-07-01
[57] 일반 Suidas s.v. Dimetor
[58] 서적 Library of History
[59]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Dendrites https://www.perseus.[...]
[60] 서적 2010
[61] 서적 1976
[62] 서적 1993
[63] 웹사이트 Hesych. s.v. Ἐνόρχης https://archive.org/[...]
[64] 저널 LYKOPHRON AND EPIGRAPHY: THE VALUE AND FUNCTION OF CULT EPITHETS IN THE ALEXANDRA https://www.jstor.or[...] 2014
[65] 저널 The Epithet ἐρίδρομος in Nonnus’ Dionysiaca 2001
[66] 웹사이트 SOL Search https://www.cs.uky.e[...] 2022-02-06
[67]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68] 웹사이트 Greek Anthology, Volume III, book 9, chapter 524 http://www.perseus.t[...] 2022-02-06
[69] 서적 Inconsistencies in Greek and Roman Religion: Transition and Reversal in Myth and Ritual https://books.google[...] Brill Publications 2015
[70]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εμάς http://www.perseus.t[...] 2022-02-06
[71] 서적 Alkaeus: Temple of Zeus, Hera and "Dionysus Kemilius" (Ζόννυσος Κεμήλιος) Nilsson
[72]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73]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s://www.perseus.[...]
[74] 서적 Nilsson Vol I
[75]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7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Pausanias
[77]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s://www.perseus.[...]
[78] 웹사이트 The Praise of Folly http://www.gutenberg[...]
[79]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80] 서적 Pausanias 8.54.5
[81] 웹사이트 Philostratus the Athenian, Vita Apollonii, book 2, chapter 2 https://www.perseus.[...]
[82] 웹사이트 ToposText https://topostext.or[...]
[83] 웹사이트 Arrian, Anabasis, book 5, chapter 1 https://www.perseus.[...]
[84] 웹사이트 Arrian, Anabasis, book 5, chapter 2 https://www.perseus.[...]
[85] 서적 Souidas. : Suidæ lexicon, Græce & Latine. Textum Græcum cum manuscriptis codicibus collatum a quamplurimis mendis purgavit, notisque perpetuis illustravit: versionem Latinam Æmilii Porti innumeris in locis correxit; indicesque auctorum & rerum adjecit Ludolphus Kusterus, Professor humaniorum literarum in Gymnasio Regio Berolinensi Typis academicis 1705
[86] 서적 Suidas s.v. Oinops (quoting Greek Anthology 6. 44. 5 and 7. 20. 2)
[87]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ὠμάδιος and ὠμησ-τής https://www.perseus.[...] 2024-06-08
[88] 서적 Orphic Hymns https://archive.org/[...]
[89] 서적 On Abstinance from Animal Food https://archive.org/[...]
[90] 웹사이트 EUSEBE DE CESAREE : Préparation évangélique : livre IV (texte grec) http://remacle.org/b[...]
[91] 서적 Nilsson Vol I
[92]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φαλλήν http://www.perseus.t[...] 2022-02-06
[93] 서적 Φλοιός, Φλέος, Φλεύς Nilsson
[94]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95]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96]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περικι_-όνιος http://www.perseus.t[...] 2022-02-06
[97] 간행물 La démiurgie des jeunes dieux selon Proclus
[98] 서적 Ausführliches lateinisch-deutsches Handwörterbuch August
[99] 서적 Them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서적 Horace Odes and Epodes: A study in word-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학술지 Structure and Design in Horace "Odes" 1. 17
[102] 간행물 Embracing Vergil’s 'Arcadia': Constructions and representations of a literary topos in the poetry of the Augustans
[103] 서적 The Strangeness of God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erpretation of Atheni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4] 서적 Hesych. σκυλλίς , κληματίς Nilsson
[105]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κλημα^τ-ίς http://www.perseus.t[...] 2022-02-06
[106]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107]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ταυρο-φάγος http://www.perseus.t[...] 2022-02-06
[108] 서적 The Bacchae Neeland Media LLC 2019
[109] 웹사이트 DIONYSUS TITLES & EPITHETS - Ancient Greek Religion https://www.theoi.co[...] 2020-07-08
[110] 기타
[111]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112]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113] 기타
[114] 웹사이트 Greek Word Study Tool http://www.perseus.t[...] 2022-02-06
[115] 기타
[116]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θύλλα http://www.perseus.t[...] 2022-02-06
[117] 서적 The God Who Comes: Dionysian Mysteries Revisited Algora Press 2003
[118]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
[119] 기타
[120] 서적 Theatre Histor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16
[121] 서적 The Dramatic Festivals of Athens Oxford: Clarendon Press 1953
[122] 서적 History of the Theatre Allyn & Bacon 1968
[123] 백과사전 Anthesteria
[124] 기타
[125] 기타
[126] 기타
[127] 서적 Sources for the Study of Greek Religion Corrected Edition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4
[128] 기타
[129] 논문 The Dionysiac Mysteries 1995
[130] 기타
[131] 기타
[132] 기타
[133] 기타
[134] 기타
[135] 기타
[136] 기타
[137] 기타
[138] 기타
[139] 기타
[140] 기타
[141] 서적 10.3.10 http://data.perseus.[...]
[142] 서적 p. 358 https://books.google[...]
[143] 서적 pp. 279–280 https://books.google[...]
[144] 서적 Anabasis of Alexander 2.16.3 http://www.loebclass[...]
[145] 서적 De Saltatione ("The Dance") 39 https://archive.org/[...]
[146] 서적 Dionysiaca 48.962–968 https://archive.org/[...]
[147] 서적 p. 134 https://books.google[...]
[148] 서적 p. 23 https://books.google[...]
[149] 서적 p. 23 https://books.google[...] Ashmolean Museum at Oxford
[150] 서적 p. 358 n. 139 https://books.google[...]
[151] 서적 p. 358 n. 139 https://books.google[...]
[152] 서적 p. 118
[153] 서적 Encyclopedia of Reincarnation and Karma https://books.google[...] McFarland
[154] 서적 p. 237 n. 1 http://www.loebclass[...]
[155] 서적 p. 118
[156] 서적 pp. 118–119
[157] 서적 fr. 643 Pfeiffer
[158] 서적 fr. 43.117 Pfeiffer
[159] 서적 pp. 311, 317–318 https://babel.hathit[...]
[160] 서적 Dionysiaca 5.564–565 https://archive.org/[...]
[161] 서적 Dionysiaca 6.165 https://archive.org/[...]
[162] 서적 Dionysiaca 10.294 https://archive.org/[...]
[163] 서적 Dionysiaca 39.72 https://archive.org/[...]
[164] 서적 Dionysiaca 44.255 https://archive.org/[...]
[165] 서적 History of the World in 1,000 Objects DK (publisher) and the Smithsonian
[166] 간행물 Satyrs in Rome? The Background to Horace's Ars Poetica
[167] 서적 The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68] 서적 De Natura Deorum 2.6O
[169] 서적 Historia Naturalis 7.57 https://www.perseus.[...]
[170] 서적 The Roman Triumph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71]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Routledge
[172] 간행물 Ecstasy and Possession: The Attraction of Women to the Cult of Dionysus
[173] 간행물 Liber-Dionysus in Early Roman Drama
[174] 간행물 Satyrs in Rome? The Background to Horace's Ars Poetica https://www.jstor.or[...]
[175] 서적 Historia Naturalis 7.57 https://www.perseus.[...]
[176] 서적 On Gods and the World
[177] 간행물 Concilium Constantinopolitanum a. 691/2 in Trullo habitum 2013-10-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78] 웹사이트 The Chronicle of Lanercost, 1272–1346 https://archive.org/[...] Glasgow : J. Maclehose 1913-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79] 서적 History and the Supernatural in Medieval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0] 웹사이트 The Hell-Fire Clubs: A History of Anti-Morality https://archive.org/[...] Sutton Publishing 2000-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1] 웹사이트 History of Windham County, Connecticut https://archive.org/[...] New York, Preston 1889-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2] 웹사이트 Hearth of Hellenism: The Greek Wheel of the Year https://www.ysee.gr/[...] 2009-01-24
[183] 서적 Hellenic Polytheism: Household Worship 2014-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4] 웹사이트 Dionysus http://www.neokoroi.[...] Neokoroi 2017-08-03
[185]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201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6]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201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87]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penelope.uch[...] (날짜 정보 없음)
[188] 서적 Histories George Rawlinson Translation (날짜 정보 없음)
[189] 서적 Isis and Osiris 193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0] 서적 Danaus βουγενής: Greco-Egyptian Mythology and Ptolemaic Kingship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201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1] 서적 Octavian's Propaganda and Antony's De Sua Ebrietate Classical Philology 1929-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2]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penelope.uch[...] (날짜 정보 없음)
[193]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197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4] 서적 (제목 없음) 1967-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5] 서적 Eleusis: Archetypal Image of Mother and Daughter (날짜 정보 없음)
[196] 서적 Eleusis: Archetypal Image of Mother and Daughter (날짜 정보 없음)
[197] 서적 Eleusis: Archetypal Image of Mother and Daughter (날짜 정보 없음)
[198]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1967-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199] 서적 (제목 없음) 197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00]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1976-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01] 서적 What is a God?: Studies in the Nature of Greek Divinity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2009-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02]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www.my-favour[...] 2022-02-06
[203]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www.my-favour[...] 2022-02-06
[204]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https://upload.wikim[...] (날짜 정보 없음)
[205] 서적 (제목 없음) (날짜 정보 없음)
[206]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날짜 정보 없음)
[207] 서적 Eleusis: Archetypal Image of Mother and Daugh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08] 웹사이트 London B 425 (Vase) https://www.perseus.[...] 2022-02-06
[209] 서적 Virgin Mother Goddesses of Antiquity Palgrave Macmillan 2010-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10] 서적 The God who Comes: Dionysian Mysteries Revisited Barnes & Noble 2003-01-01 # 추정 날짜.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추정하였습니다.
[211]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britishmuseum.org 2017-03-06
[212]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2017-03-06
[213] 논문 Notes on Two Epigrams of Philodemus 1982-06-01
[214] 서적 Geography
[215] 서적
[216] 논문 Towards a definition of the iconography of Sabazios 1980
[217] 서적 1999
[218] 웹사이트 Sarcophagus Depicting the Birth of Dionysus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19]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20]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21]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22] 웹사이트 DIONYSUS - Greek God of Wine & Festivity https://www.theoi.co[...] 2023-04-01
[223]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24] 웹사이트 situla-fitting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25] 서적 Dionysiaca
[226] 서적 Dionysiaca
[227] 서적 Dionysiaca
[228] 서적
[229] 서적
[230] 웹사이트
[231] 웹사이트
[232] 웹사이트 1983
[233] 서적 Commentary on the Phaedo
[234]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35]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36] 서적 Fabulae
[237] 서적 Dionysiaca
[238] 서적 Dionysiaca
[239] 서적 Dionysiaca
[240] 서적 To the Cynic Heracleios
[241] 서적 The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 Heinemann Ltd. 1921
[242] 서적 Dionysiaca
[243] 서적 The Everything Book of Classical Mythology
[244] 서적 Homeric Hymn 1 to Dionysus
[245] 서적 Library of History
[246] 서적 Library; "Ptolemy Chennus, New History" http://www.tertullia[...]
[247] 서적
[248] 서적 Anabasis of Alexander https://www.loebclas[...]
[249] 서적
[250] 서적 Fasti
[251]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252]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3] 서적 Bacchae HarperCollins Publishers
[254] 서적 Bacchae
[255] 서적 The Iliad
[256] 서적 Iliad
[25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The Lycurgus Cup https://www.britishm[...]
[258] 웹사이트 Theoi.com" Homeric Hymn to Dionysu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4-06-29
[259] 서적
[260] 서적 Ancient Indian And Indo-Greek Theatre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81
[261] 학술지 Dionysiac Aspects of Kushān Art 1968
[262]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263] 간행물 Philology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Myths https://www.religiou[...] The Religious Studies Project (Podcast Transcript) 2019-06-03
[264] 서적 Protreptikos
[265] 서적 Greek and Roman Sexualities: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09-06
[266] 서적 Adversus Gentes https://archive.org/[...]
[267] 서적 Bibliotheca
[268] 서적 Bibliotheca (Photius)|Myriobiblon https://topostext.or[...]
[269] 서적 Bibliotheca (Photius)|Myriobiblon https://www.tertulli[...]
[270]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271] 서적 Dionysiaca
[272] 서적 The Strangeness of Gods: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erpretation of Atheni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73] 학술지 Nine Fragments in Search of an Author: Poetic Lines Attributed to Terpander http://www.jstor.org[...]
[274] 서적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75] 서적 Studies in Hellenistic Judaism https://books.google[...] Brill 1996
[276] 백과사전 Commentary on Virgil's Aeneid https://www.perseus.[...]
[277]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78] 서적 http://data.perseus.[...]
[279] 백과사전 Pauly-Wissowa|RE https://de.wikisourc[...]
[280] 서적 Scholia http://data.perseus.[...]
[281] 서적 Scholia on Apollonius of Rhodes
[282]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83] 연극 Cyclops https://www.loebclas[...]
[284] 서적 s.v. Phlias https://www.perseus.[...]
[285] 서적 De fluviis http://data.perseus.[...]
[286]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287]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288] 서적 De fluviis http://data.perseus.[...]
[289] 서적 http://data.perseus.[...]
[290] 서적 s.v. Phlias https://www.perseus.[...]
[291] 서적 https://www.perseus.[...]
[292] 서적 RE https://de.wikisourc[...]
[293] 서적 s.v. Priēpidos 2024-10-01
[294] 서적 Brill's New Pauly
[295] 서적 apud. Photius, Bibliotheca https://www.attalus.[...]
[296] 서적 http://data.perseus.[...]
[297] 서적 https://www.loebclas[...]
[298] 서적 s.v. Sabazius https://www.perseus.[...]
[299] 서적 http://data.perseus.[...]
[300]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301]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302] 서적 Dionysus Myth and Cult Indiana University Press
[303] 서적 Gods of Love and Ecstasy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1992
[304] 서적
[305] 서적 The Good And Evil Serpent: How a Universal Symbol Became Christianize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06] 서적 Dionysus: Myth and Cul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07] 서적 The Sexuality of Christ in Renaissance Art and in Modern Obliv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8] 서적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bow
[309] 학술지 Riding the Phallus for Dionysus: Iconology, Ritual, and Gender-Role De/Construction
[310] 학술지 Dionysus Liknites
[311] 서적
[312] 서적
[313] 이미지 Dionysus and Eros Naples Archeological Museum
[314] 서적
[315] 서적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논문 Dionysian Monotheism in Nea Paphos, Cyprus
[321] 서적
[322] 서적
[323] 서적
[324] 서적
[325] 서적
[326] 논문 Modern Mythologies: 'Dionysos' Versus 'Apollo' http://www.jstor.org[...] Brill
[327] 서적 Sacred Stories: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Modern Russi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28] 서적 Dionysus: Archetypal Image of Indestructible Life Princeton/Bollingen
[329] 서적 Dionysus: histoire du culte de Bacchus Payot
[330] 서적 Ecstasy;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Joy HarperColling
[331] 서적 Dionysus Reimagined HarperCollins
[332] 간행물 Emotional Intelligence/Imaginal Intelligence http://www.mythopoet[...]
[333] 서적 Dionysus in Exile: On the Repression of the Body and Emotion Chiron Publications
[334] 서적 Poof
[335] 뉴스 Pain and Prejudice 2023-08-01
[336] 뉴스 Screen::De Palma's 'Dionysus in 69' https://www.nytimes.[...] 2017-08-01
[337] 웹사이트 The Frogs http://www.talkinbro[...] 2017-08-02
[338] 웹사이트 The Orion Experience: Cosmicandy https://www.popmatte[...] 2022-02-06
[339] 뉴스 Dead Can Dance on Awakening the Ancient Instincts Within https://www.rollings[...] 2018-11-07
[340] 잡지 How BTS' 'Dionysus' Demonstrates the Group's Musical Ambition https://www.billboar[...] 2019-04-22
[341] 웹사이트 All the biggest talking points from BTS' global press conference: Jungkook's missing mixtape, Suga's next prophecy, and the meaning behind 'Map Of The Soul: Persona' https://www.nme.com/[...] 2019-04-17
[342] 웹사이트 Paris ceremony 'Last Supper' parody sparks controversy https://www.reuters.[...] 2024-07-27
[343] 뉴스 Paris Olympics organizers 'sorry' for any offense over opening ceremony https://www.lemonde.[...] 2024-07-30
[344] 웹사이트 'Papa Smurf' and flaming pianos – strangest moments of Paris Olympics opening ceremony https://www.telegrap[...] 2024-07-27
[345] 웹사이트 Paris Olympics Producers Say 'The Last Supper' Inspired That Opening Ceremony Scene: 'Many Have Done It Before' https://www.thewrap.[...] 2024-07-31
[346] 학술지 Jesus and Dionysus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early Christianity Trinity College Dublin
[347] 서적 Dionysus Slain Johns Hopkins
[348] 서적 The God of Ecstasy St. Martins' Press
[349] 학술지 Jesus gegen Dionysos? Ein Beitrag zur Kontextualisierung des Johannesevangeliums http://www.bsw.org/?[...]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2007-10-10
[350] 서적 Classical Myth Prentice-Hall, Inc.
[351] 서적 Studies in Early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2005
[352] 서적 The Story of Bacchus British Museum Press 2005
[353] 웹사이트 Dionysian Monotheism in Nea Paphos, Cyprus http://www.huss.ex.a[...] 2006-07-17
[354] 서적
[355] 성경 1 Cor 11:23–26
[356]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statue https://www.britishm[...]
[357] 서적 Theogony
[358] 서적 Iliad, Odyssey http://data.perseus.[...]
[359]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60]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61]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62] 서적 Iliad, Odyssey http://data.perseus.[...]
[363]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1991
[364]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1994
[365] 서적 神の文化史事典 白水社 2013
[36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67] 서적 ギリシアの神話 神々の時代 中公文庫 1985
[368]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69] 서적 ギリシア神話 (ビブリオテーケー)
[370] 서적 バッカイ―バッコスに憑かれた女たち
[371] 서적 変身物語
[372] 서적 古代ギリシア遺跡辞事典
[373] 서적 Dionysus Myth and Cult 1995
[374] 서적 Gods of Love and Ecstasy
[375] 서적 ディオ뉘シアカ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