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레시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이레시아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예언자로, 남녀의 성별을 모두 경험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뱀을 갈라놓은 벌로 헤라에 의해 여성으로 변모했다가, 이후 다시 뱀을 보고 남성으로 돌아왔다. 테이레시아스는 제우스와 헤라의 논쟁에 증인으로 참여하여 헤라의 노여움을 사 맹인이 되었지만, 예언 능력을 얻었다. 그는 테베의 여러 전설과 비극에 등장하며, 오이디푸스, 안티고네 등에게 예언을 하거나 조언을 하는 역할로 나타난다. 테이레시아스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문학, 오페라, 발레, 영화 등에서 그의 이야기가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시각 장애인 - 데어데블
데어데블은 마블 코믹스에서 발행하는 만화의 슈퍼히어로로, 시각 장애를 가졌지만 초인적인 감각과 무술 실력을 가진 변호사 맷 머독이 뉴욕 헬스키친을 근거지로 범죄와 싸우는 이야기이며,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어 대중에게 알려져 있고 특히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의 활약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 가공의 시각 장애인 - 마담 웹
마담 웹은 텔레파시, 천리안, 예지력 등의 초능력을 가진 마블 코믹스 캐릭터로, 스파이더맨과 스파이더우먼들을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하며, 여러 인물이 마담 웹의 역할을 맡아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 트랜스젠더와 종교 - 헤르마프로디토스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양성의 신으로, 살마키스와의 결합 신화로 유명하며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숭배받고 문학과 예술에서 양성성 또는 여성성의 상징으로 묘사되었다. - 트랜스젠더와 종교 - 카이네우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 카이네우스는 본래 여성 카이니스로 포세이돈에 의해 남자가 되었으며, 켄타우로마키아에서 활약했지만 켄타우로스족에게 살해당한 인물이다. - 테바이 신화 - 안티고네
안티고네는 그리스 신화 속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의 딸로, 크레온의 명령에 맞서 오빠의 장례를 치르려다 비극을 맞이하며 인간의 법과 신의 법 사이 갈등의 상징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준 인물이다. - 테바이 신화 - 하르모니아
하르모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카드모스의 아내이자 저주받은 목걸이와 관련된 비극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이다.
테이레시아스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테이레시아스 (그리스어) 티레시아스 (라틴어) |
직업 | 예언자 |
소속 | 아폴론 |
거주지 | 테베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에베레스 |
어머니 | 님프 카리클로 |
배우자 | 님프 만토 |
자녀 | 멤프사 히스토리스 테오 다프네 미노스의 아내 |
신화 속 이야기 | |
능력 | 예언 새의 언어 이해 지팡이 소유 |
뱀 | 암수를 건드려 여성으로 변함 다시 뱀을 건드려 남성으로 돌아옴 |
아테나 | 목욕 장면을 목격하여 실명 |
제우스 | 아테나의 보상으로 예지력 획득 |
헤라 | 7배의 수명과 사후에도 예지력을 유지 |
오이디푸스 | 오이디푸스 왕에게 진실을 알림 |
오디세우스 | 저승에서 오디세우스에게 조언 |
2. 성전환과 예언력
테이레시아스는 펠로폰네소스의 킬레네 산에서 교미하는 한 쌍의 뱀을 지팡이로 건드린 사건으로 인해 헤라 여신의 노여움을 사 여성으로 변하는 벌을 받았다.[39] 여성으로서 결혼하여 자녀를 낳고 7년을 보낸 후, 다시 뱀과 마주치는 일을 겪고 남성으로 돌아왔다.[40] 이러한 독특한 성전환 경험은 테이레시아스가 예언력을 얻게 되는 배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여러 신화에서 다르게 설명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나오는 것으로, 남성과 여성을 모두 경험한 테이레시아스가 제우스와 헤라 사이의 논쟁(성교 시 누가 더 큰 쾌락을 느끼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했다가 헤라의 분노를 사 눈이 멀게 되었고, 제우스는 그 보상으로 미래를 보는 능력과 긴 수명을 주었다는 것이다.[43][15]
다른 전승에서는 테이레시아스가 아테나 여신이 목욕하는 모습을 우연히 보게 되어 눈이 멀었으나, 그의 어머니이자 아테나를 모시던 님프 카리클로의 간청으로 아테나가 대신 새들의 소리를 알아듣고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주었다고 한다.[41][42] 또 다른 단순한 설명으로는 그가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기에 벌을 받아 맹인이 되고 예언력을 얻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1] 이처럼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과 예언력 획득 과정은 다양한 신화적 해석을 통해 전해 내려오고 있다.
2. 1. 성전환
펠로폰네소스의 킬레네 산에서[4] 테이레시아스는 교미하는 한 쌍의 뱀을 발견하고 지팡이로 그 뱀들을 쳤다. 이 행동은 헤라를 불쾌하게 했고, 헤라는 테이레시아스를 여성으로 변모시키는 형벌을 내렸다.[39] 여성으로 변한 테이레시아스는 헤라의 여사제가 되었고,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는데, 그중 딸인 만토는 어머니처럼 예언 능력을 지녔다. 다른 판본에서는 여자가 된 테이레시아스가 여신관이 아니라 유명한 매춘부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여성으로 7년을 보낸 후, 테이레시아스는 다시 교미하는 뱀을 발견했다. 이번에는 뱀을 그냥 지나쳤다는 설과, 히기누스의 기록처럼 뱀들을 짓밟았다는 설이 있다.[5][39] 어떤 행동이었든 그 결과 테이레시아스는 남성성을 되찾았다.[40] 이 이야기는 헤시오도스의 유실된 구절에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는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이 헤라와 제우스 사이의 논쟁과 관련되어 등장한다. 부부는 성교 시 남녀 중 누가 더 큰 쾌락을 느끼는지에 대해 다투었다. 헤라는 남자가, 제우스는 여자가 더 큰 쾌락을 느낀다고 주장했다. 남성과 여성을 모두 경험해 본 테이레시아스가 증인으로 소환되었고, 그는 "남녀의 쾌감을 합쳐 10이라 한다면, 남자가 느끼는 것은 그중 1에 불과합니다"라고 답했다.[43] 이에 분노한 헤라는 즉시 테이레시아스의 눈을 멀게 했다. 제우스는 헤라의 저주를 되돌릴 수 없었기에, 그 대신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과 보통 인간의 7배에 달하는 수명을 주었다고 한다.
뤼크 브리송은 테이레시아스에 관한 신화적 언급 18가지[2]를 분석하며 이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첫 번째 그룹이 바로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 일화와 이후 제우스 및 헤라와의 만남을 다룬다.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이르러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 이야기는 7개의 에피소드로 더욱 상세하게 꾸며졌으며, 각 에피소드에는 애정 행각이 묘사되었다.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프톨레마이오스 케누스가 쓴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에우스타티우스는 파나고리아의 소스트라투스가 쓴 유실된 비가 ''테이레시아스''의 내용으로 보았다.[7] 테이레시아스는 인간과 신, 남성과 여성, 맹인과 보는 자, 현재와 미래, 이승과 저승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복잡한 경계적 인물로 그려진다.[8] 에우스타티우스에 따르면, 테이레시아스는 원래 아폴로에게 음악 교습의 대가로 호의를 약속했다가 거절한 여성이었다. 이후 아폴로에 의해 남자로 변했고, 불분명한 이유로 다시 여성이 되었다가, 헤라에 의해 남성으로, 제우스에 의해 여성으로 변했다. 무사들과 만난 후 다시 남자가 되었고, 마지막에는 아프로디테에 의해 다시 여성이 되었다가 쥐로 변했다고 한다.[9]
2. 2. 예언력 획득
테이레시아스가 예언력을 얻게 된 경위는 그의 성전환 및 실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성전환'''
펠로폰네소스의 킬레네 산에서[4] 테이레시아스는 교미 중인 뱀 한 쌍을 발견하고 지팡이로 쳤다.[39] 이에 헤라 여신이 분노하여 그를 여자로 만들었다.[40] 여성으로 변한 테이레시아스는 헤라의 여사제가 되어 결혼하고 자녀를 낳았는데, 그중 딸 만토는 어머니처럼 예언 능력을 지녔다. 일부 판본에서는 여자가 된 테이레시아스가 유명한 매춘부가 되었다고도 한다. 여성으로 7년을 보낸 후, 테이레시아스는 다시 교미하는 뱀과 마주쳤다. 이때 뱀들을 가만히 두었다는 설과, 히기누스의 기록처럼 뱀들을 짓밟았다는 설[5]이 공존한다.[39] 어느 쪽이든 그 행동의 결과로 테이레시아스는 남성성을 되찾았다.[40] 이 성전환 이야기는 헤시오도스의 유실된 구절에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는 이 이야기가 더욱 확장되어,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이 여러 차례 반복되는 복잡한 이야기로 묘사되기도 했다.[7] 이러한 이야기 속에서 테이레시아스는 인간과 신, 남성과 여성, 현실 세계와 저승 사이를 오가는 경계적 인물로 그려진다.[8]
'''실명과 예언력 획득'''
테이레시아스가 눈이 멀게 된 이유와 예언력을 얻게 된 과정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비블리오테케》[10] 등 고대 문헌들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들을 전한다.
- 신들의 비밀 누설: 가장 단순한 설명은 테이레시아스가 신들의 비밀을 인간에게 누설했기 때문에 벌로 눈이 멀게 되었다는 것이다.[41]
- 아테나 여신: 시인 레로스의 페레키데스와 칼리마코스의 찬가에 따르면,[11] 테이레시아스가 우연히 아테나 여신이 목욕하는 모습을 보게 되어 여신의 분노를 사 눈이 멀었다고 한다.[41][12] 그의 어머니이자 아테나를 모시던 님프 카리클로가 딸에게 저주를 거두어 달라고 간청했으나, 아테나는 이미 내려진 저주를 되돌릴 수 없었다. 대신 아테나는 테이레시아스의 귀를 정화하여[10] 새들의 소리를 알아듣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주었다.[42]
- 제우스와 헤라의 논쟁: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13] 등에 기록된 또 다른 유명한 이야기는 제우스와 헤라 부부 사이의 논쟁에서 비롯된다. 부부는 성관계 시 남녀 중 누가 더 큰 쾌락을 느끼는지를 두고 다투었다. 헤라는 남자가, 제우스는 여자가 더 큰 쾌락을 느낀다고 주장했다. 남성과 여성을 모두 경험해 본 테이레시아스가 증인으로 불려왔고, 그는 "열의 즐거움이 있다면, 남자는 그중 하나만을 알고 여자는 아홉을 안다"고 답했다.[43][14] 자신의 주장이 틀렸음을 알게 된 헤라는 격분하여 즉시 테이레시아스의 눈을 멀게 했다. 제우스 역시 헤라의 저주를 막을 수는 없었지만, 그에게 미래를 볼 수 있는 예지력과[15] 보통 인간의 일곱 배에 달하는 긴 수명을 부여하여 보상했다.
'''예언 방식'''
테이레시아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언했다. 때로는 환영을 보거나 새들의 노랫소리를 해석했으며, 불에 태운 제물의 연기나 동물의 내장을 살피는 등 점술을 통해 미래를 읽었다.[16] 대 플리니우스는 테이레시아스가 점술을 발명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3] 특히 그는 죽은 자들의 영혼과 소통하는 능력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11권에서 오디세우스가 저승을 방문했을 때, 테이레시아스는 페르세포네의 특별한 허락 덕분에 다른 영혼들과 달리 제물의 피를 마시지 않고도 의식을 유지하며 오디세우스에게 예언을 전해주었다.[17]
그리스 신화에서 테이레시아스의 예언은 항상 짧고 함축적이며 때로는 수수께끼 같지만, 결코 틀린 적이 없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의 이름은 종종 신화 속 예언 그 자체와 동일시되며, 예언자의 전형적인 상징으로 등장한다.
3. 테이레시아스와 테베
테이레시아스는 테베의 역사를 다루는 여러 그리스 비극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중요한 예언자이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박코스 여신도들》에서는 테베의 초대 왕 카드모스와 함께 나타나 현 왕 펜테우스에게 디오니소스 신을 폄하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에서는 오이디푸스 왕에게 선왕 라이오스를 살해한 범인이 바로 오이디푸스 자신이라는 충격적인 진실을 밝힌다. 이는 오이디푸스가 겪게 될 비극의 핵심적인 계기가 된다.
또한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에서는 왕이 된 크레온이 폴리니케스의 매장을 금지하자, 신들의 뜻을 전하며 크레온의 결정이 잘못되었음을 경고하고 "그대의 죄로 도시가 병들었다"고 지적한다.
이 외에도 에피고노이 이야기 등 테베와 관련된 여러 신화에서 테이레시아스의 예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3. 1. 에우리피데스의 《박코스 여신도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박코스 여신도들》에서 테이레시아스는 테베의 건국자이자 초대 왕인 카드모스와 함께 등장한다. 그는 당시 테베의 왕 펜테우스가 새로운 신 디오니소스를 인정하지 않고 폄하하는 것에 대해 경고한다. 테이레시아스는 카드모스와 함께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는 사람의 복장을 하고, 테베의 여인들과 더불어 바쿠스 축제에 참여하여 디오니소스를 기리기 위해 산으로 올라간다.3. 2.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의 비극 ''오이디푸스 왕''에서 테이레시아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테베에서는 선왕 라이오스가 살해된 이후 흉작과 역병이 끊이지 않았다. 델포이의 신탁을 통해 이 재앙의 원인이 라이오스 왕을 살해한 범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를 찾아 추방해야 재앙이 멈춘다는 사실이 알려진다.이에 테베의 새로운 왕이 된 오이디푸스는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이름난 예언자 테이레시아스를 부른다. 오이디푸스는 테이레시아스에게 라이오스를 죽인 범인이 누구인지 묻지만, 테이레시아스는 점을 통해 이미 진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비극적인 진실을 차마 왕에게 직접 고하기 어려워 처음에는 답변을 거부한다. 그는 단지 범인이 "오이디푸스가 잡고 싶어하지 않을 누군가"라는 모호한 말로 경고할 뿐이었다.
오이디푸스는 테이레시아스의 태도에 불쾌감을 느끼고, 그가 선견지명이 없다거나 혹은 자신의 처남인 크레온과 짜고 거짓 예언을 한다고 비난하며 진실을 말하라고 계속해서 강요한다. 오이디푸스의 거듭된 추궁과 비난에 테이레시아스는 결국 테베에 재앙을 몰고 온 장본인이 바로 오이디푸스 자신이라고 폭로한다.
격분한 오이디푸스는 테이레시아스를 궁궐 밖으로 쫓아내지만, 이후 여러 정황을 통해 자신이 바로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 비극의 주인공임을 깨닫게 된다. 결국 오이디푸스는 스스로 자신의 눈을 멀게 하고 크레온에게 자신을 테베에서 추방해 줄 것을 요청한다.
3. 3.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에도 테이레시아스가 등장한다. 오이디푸스가 왕위에서 물러나고 그의 아들들이 서로 싸우다 죽은 후, 오이디푸스의 처남이자 외삼촌인 크레온이 테베의 새로운 왕이 된다. 크레온은 자신의 조카 폴리니케스의 시체를 매장하는 것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린다.그러나 폴리니케스의 누이이자 크레온의 또 다른 조카인 안티고네는 이 명령을 어기고 오빠의 시신을 묻어주려다 발각된다. 크레온은 안티고네에게 산 채로 동굴 무덤에 가두라고 명령한다.
이때 신들은 테이레시아스를 통해 크레온의 결정에 대한 불만을 표명한다. 테이레시아스는 크레온에게 "그대의 죄로 도시가 병들었다"고 말하며 경고한다. 그러나 안티고네는 생매장되기 전에 이미 스스로 목숨을 끊은 상태였다. 크레온이 안티고네의 무덤에 도착했을 때, 안티고네와 약혼한 사이였던 크레온의 아들 하이몬이 크레온을 공격하려다 실패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아들과 며느리의 죽음 소식을 전해 들은 크레온의 아내 에우리디케 역시 자살하고, 크레온은 홀로 남아 비탄에 잠긴다.
3. 4. 에피고노이 이야기
테이레시아스와 그의 예언은 에피고노이 이야기와도 관련이 있다.4. 죽음
테이레시아스는 보이오티아의 틸푸사 샘 근처에서 죽었다고 전해진다.[18][19] 죽음의 원인에 대해서는 샘의 썩은 물을 마셨기 때문이라는 설과,[18] 아폴론의 화살에 맞은 뒤 오염된 샘물을 마셨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8][19]
그의 영혼은 하데스의 첫 번째 단계인 아스포델 들판으로 갔다고 한다.[18][19] 사후에 테이레시아스는 저승을 방문한 오디세우스를 만나 그의 여정에 대한 중요한 조언을 해 주었다.[18][19] 그는 오디세우스에게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사이의 위험한 해협을 통과하는 방법과 트리나키아 섬에서 헬리오스의 신성한 소를 절대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했다.[18][19] 하지만 오디세우스의 부하들은 이 경고를 무시하고 소를 잡아먹었고, 결국 제우스가 내린 벼락을 맞아 모두 죽음을 맞이했다.[18][19]
한편, 단테의 《신곡》에서는 테이레시아스가 천기를 누설한 죄로 지옥에 떨어져 벌을 받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5. 예술 작품에서의 테이레시아스
-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의 ''네키오만티아''(Νεκυομαντείαgrc) 클라이맥스에서, 테이레시아스는 하데스에서 "가장 좋은 삶의 방식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평범한 사람의 삶이다. 철학자와 그들의 형이상학은 잊어라."라고 대답한다.[21]
- 테이레시아스는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 제20곡에 등장하며, 제8지옥 제4구렁(四壕)의 점쟁이들 가운데 위치한다. 점쟁이들은 머리가 뒤로 돌아간 채 벌을 받는데, 이는 그들이 살아생전 미래를 내다본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사후 세계에서는 앞을 보지 못하게 된 것이다.
- ''테이레시아스의 유방(The Breasts of Tiresias)''(Les mamelles de Tirésias프랑스어)은 초현실주의 희곡으로, 기욤 아폴리네르가 1903년에 썼다. 이 희곡은 개정된 버전으로 1917년에 처음 공연되었다.[22] 이 희곡의 서문에서, 시인은 자신의 새로운 연극 스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초현실주의'라는 단어를 만들었다.[23] 프랑스 작곡가 프랑시스 풀랑크는 아폴리네르의 1917년 희곡을 바탕으로 동명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이 오페라는 1947년 오페라 코미크에서 처음 공연되었다.[24]
- 앨프리드 테니슨 경의 시 "테이레시아스"는 테이레시아스 자신이 화자로서, 그의 예언이 항상 진실이지만 일반적으로 믿어지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25]
- 테이레시아스는 T. S. 엘리엇의 시 ''황무지''(The Waste Land) 제3부 '불의 설교'에 등장한다. 엘리엇은 주석에서 테이레시아스가 "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며, 다른 모든 인물들을 통합한다"라고 언급했다.[26]
- 테이레시아스는 에즈라 파운드의 장편 시 ''칸토스''(The Cantos)의 세 개 칸토(I, III, 47)에 등장한다.[27][28]
-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기''(Orlando: A Biography)는 테이레시아스의 생애 주요 사건들을 활용한 모더니즘 소설이다.[29][30][31]
- ''테이레시아스''(Tiresias)는 프레더릭 애슈턴이 콘스턴트 램버트의 음악에 맞춰 안무한 발레로, 1951년 7월 9일 런던 로열 오페라 하우스 코벤트 가든에서 처음 공연되었다.[32]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의 1973년 앨범 ''Selling England by the Pound''의 수록곡 "The Cinema Show"는 테이레시아스의 성전환 경험을 언급한다: "나는 극점을 건넜고, 나에게는 미스터리가 없어. 한때 남자였고, 바다처럼 격렬했고, 한때 여자였고, 땅처럼 주었지."
- 미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스티크스의 1977년 앨범 ''The Grand Illusion''의 수록곡 "Castle Walls"는 후렴구에서 테이레시아스를 언급한다: "이 성벽 너머 멀리; 나는 테이레시아스가 말하는 것을 들은 것 같았지; 삶은 결코 보이는 대로가 아니고; 모든 사람은 자신의 운명을 만나야만 해."
- ''테레지아(Tiresia)''는 2003년 프랑스 영화로, 베르트랑 보넬로가 감독했으며, 테이레시아스 전설을 현대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로 재해석했다.[33]
- 캐럴 앤 더피의 시집 ''세상의 아내들''(The World's Wife)에는 테이레시아스가 변신한 후 그의 아내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시 "테이레시아스 부인으로부터"(''from'' Mrs Tiresias영어)가 수록되어 있다.[34]
- 다케바 쿠미코는 테이레시아스에서 영감을 받아 2022년에 출판되어 두 권으로 완결된 만화 ''테이레시아스 케이지''를 썼다. 이 작품은 여성의 몸으로 변하는 주인공 가쓰라기 치하야를 따른다.
참조
[1]
문서
[2]
서적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서적
TransAntiquity: Cross-Dressing and Transgender Dynamics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2-23
[10]
문서
[11]
문서
Hymn V, On the Bath of Pallas.
https://www.theoi.co[...]
Callimachus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Lives of the Necromancers
https://archive.org/[...]
[17]
서적
Monuments and Maidens: the allegory of the female for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웹사이트
Tiresias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3-07
[19]
간행물
Narratives of Secrecy: The Poetry of Leland Hickman
https://www.cairn.in[...]
2016-08-29
[20]
서적
Baba Yaga Laid an Egg [Baba Jaga je snijela jaje]
Canongate
[21]
간행물
The Wisdom of Lucian's Tiresias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Tennyson's Rapture: Transformation in the Victorian Dramatic Monologu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T.S. Eliot's The Waste Land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7]
서적
Ezra Pound: Poet: I: The Young Genius 1885-1920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7-10-11
[28]
서적
A Companion to the Cantos of Ezra Poun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
웹사이트
Orlando – Modernism Lab
https://modernism.co[...]
2019-01-31
[30]
서적
Androgyny in Moder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31]
서적
Museum Skepticism: A History of the Display of Art in Public Galleries
https://books.google[...]
[32]
서적
The Royal Ballet: The First Fifty Years
Threshold Books
[33]
웹사이트
BBC - Movies - review - Tiresia
http://www.bbc.co.uk[...]
BBC
2017-10-14
[34]
Youtube
The World's Wife: From Mrs Tiresias - Carol Ann Duffy @ SWF 2013
https://www.youtube.[...]
2013-11-09
[35]
문서
[36]
서적
神話の力
ハヤカワ・ノンフィクション文庫
[37]
문서
Of a line born of the dragon's teeth sown by Cadmus
Bibliotheke
[38]
논문
Le mythe de Tirésias: essai d'analyse structurale
Brill
[39]
문서
Hygini Fabulae
[40]
문서
According to Bibliotheke III.6.7, and in Phlegon, Mirabilia 4
[41]
문서
Bibliotheke III.6.7
[42]
네이버 지식백과
테이레시아스
https://terms.naver.[...]
그리스로마신화 인물백과, 안성찬, 성현숙, 박규호, 이민수, 김형민
[43]
문서
Bibliotheke III.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