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정훈은 소아과 의사로, 여러 육아 관련 저서를 집필했다. 대표 저서로는 《삐뽀삐뽀 119 소아과》와 《삐뽀삐뽀 119 이유식》 등이 있다. 의료 정책과 사회 현안에 대해 다양한 발언을 했으며, 주치의 등록제에 대한 반대, 한의사의 보건소장직 수행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또한, 어린이 복지 예산 삭감에 대한 비판과 유아 예방접종 무료화를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의사 - 박경철
박경철은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작가, 투자 전문가, 방송인으로,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이며 경제, 사회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의사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 국민의힘 당원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국민의힘 당원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하정훈 | |
|---|---|
| 하정훈 | |
| 로마자 표기 | Huh Jeong-hoon |
| 출생일 | 1960년 |
| 국적 | 대한민국 |
| 학력 | 서울대학교 |
| 직업 | 의사 |
| 전문 분야 | 소아청소년과 |
| 웹사이트 | 스토리 검색 인터뷰 |
2. 저서
2. 1. 주요 저서
2. 2. 기타 저서
3. 어록
- 그는 주치의등록제에 대해서 "미국의 경우 워낙 국민들의 의료접근성이 떨어지고 전문의가 인구에 비해 부족해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 가정의를 지정하는 제도를 두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같이 5분이면 해당 전문의의 개원병원을 찾을 수 있는 나라에서 주치의등록제는 필요없다"라고 주장하였다.[6]
- 2010년 12월 8일 트위터를 통해 이명박 정부가 단독처리한 예산안에 결핍된 어린이 복지 예산 대해서 "국회에서 아가들의 필수예방접종예산을 몽땅 다 삭감해버렸습니다. 저출산으로 국가가 비상사태라는데 정작 아이 키우는데 비용은 국가가 책임 질수 없다니 놀랍습니다. 우리보다 후진국도 아이들 접종은 무료로 해주는 나라가 많다는데"라고 비판하였다.[7]
- 한의사가 보건소장직을 맡는 경우에서 그는 "보건소 업무에 한의학적인 부분도 있지만 현대의학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학조사와 같은 사업을 한의사가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라고 반대하였다.[8]
- 유아 예방접종을 무료화에 대해서 "엄마들은 아기들의 예방접종을 100% 무료로 할 권리가 있다. 엄마들이 청와대 홈페이지에 가서 서버 다운시키면 내일 당장 해줄 것이다. 언론에서도 예방접종을 무료화해야한다고 앞장서서 이야기해주길 바란다"라고 찬성하였다.[9]
3. 1. 의료 정책 관련 발언
하정훈은 주치의 등록제에 대해 "미국의 경우 워낙 국민들의 의료접근성이 떨어지고 전문의가 인구에 비해 부족해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해 가정의를 지정하는 제도를 두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같이 5분이면 해당 전문의의 개원병원을 찾을 수 있는 나라에서 주치의등록제는 필요없다"라고 주장하였다.[6] 한의사가 보건소장직을 맡는 경우에 대해서는 "보건소 업무에 한의학적인 부분도 있지만 현대의학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역학조사와 같은 사업을 한의사가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라고 반대하였다.[8]3. 2. 사회 현안 관련 발언
2010년 12월 8일 트위터를 통해 이명박 정부가 단독처리한 예산안에 결핍된 어린이 복지 예산 대해서 "국회에서 아가들의 필수예방접종예산을 몽땅 다 삭감해버렸습니다. 저출산으로 국가가 비상사태라는데 정작 아이 키우는데 비용은 국가가 책임 질수 없다니 놀랍습니다. 우리보다 후진국도 아이들 접종은 무료로 해주는 나라가 많다는데"라고 비판하였다.[7] 이명박 정부의 어린이 복지 예산 삭감은 저출산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이라는 비판과 함께, 유아 예방접종 무료화를 주장하며 국가의 책임 강화를 요구하였다.[9]참조
[1]
웹사이트
육아 베스트셀러 1위, 《삐뽀삐뽀 119 소아과》의 저자 하정훈의 특별한 성장 스토리
http://www.storysear[...]
[2]
뉴스
“저출산 해결책? 육아를 즐겁게 바꿔야죠”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8-13
[3]
뉴스
[피플] 육아백과 ‘삐뽀삐뽀119 소아과’ 저자 하정훈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12-23
[4]
뉴스
‘삐뽀삐뽀 소아과’ 10년인기 `하정훈의 힘`
http://www.bookdaily[...]
북데일리
2006-05-26
[5]
웹사이트
삐뽀삐뽀 119 이유식
http://www.news-toda[...]
[6]
뉴스
끊이지 않는 '주치의등록제' 찬반 논란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2009-12-07
[7]
뉴스
예산 날치기 때 결식아동급식, 영유아예방접종 몽땅 0원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2-09
[8]
뉴스
한의사 보건소장 허용, 양·한방 치열한 ‘공방’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2009-11-30
[9]
뉴스
하정훈 "예방접종 100% 무료화해야"
http://www.ibabynews[...]
베이비뉴스
2010-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