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즈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즈군은 1878년 아이치현에 발족하여 1정 36촌으로 시작했다. 1892년 이후 여러 차례의 정촌제 시행과 합병을 거쳐 1955년에는 3개의 정(잇시키정, 기라정, 하즈정)으로 축소되었다. 2011년 4월 1일, 이 3개의 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되면서 하즈군은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카와국의 군 - 호이군
    호이군은 1878년 아이치현에서 발족하여 2010년 고자카이정이 도요카와시에 편입될 때까지 존속했던 역사 깊은 군으로, 센고쿠 시대 여러 사무라이 가문이 통치했으며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고유슈쿠에 군청이 있었다.
  • 미카와국의 군 - 헤키카이군
    아이치현 미카와국 서부에 위치했던 헤키카이군은 나라 시대에 "아오미"로 불렸으며, 에도 시대에는 가리야 번 등의 지배를 받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통합되었고, 1970년에 소멸되었지만 현재 헤키카이 5시로 불리는 도시들이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아이치현의 폐지된 군 - 아마군
    아마군은 아이치현에 위치하며, 고대 어업 관련 직업에서 유래된 명칭을 가지고 1913년 가이토군과 가이사이군이 합병되어 발족, 현재는 2정 1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이치현의 폐지된 군 - 니시카스가이군
    니시카스가이군은 1878년 아이치현에 설치된 군으로, 여러 합병을 거쳐 나고야시 등 주변 시에 속한 지역들이 분리되었고, 현재는 도요야마정만이 남아있다.
  • 고타정 - 후코즈촌
    후코즈촌은 1889년 10월 1일에 세 촌이 합병하여 발족되었고, 1906년 사카자키 촌, 아이미 촌과 합병하여 폐지되었다.
  • 고타정 - 아이미촌 (아이치현 누카타군)
    아이미촌은 1889년 아이치현 누카타군에 히시이케촌 등 5개 촌이 합쳐져 발족했으나, 1906년 사카자키촌, 미조촌과 합병되어 고다정이 발족하며 폐지된 촌이다.
하즈군
개요
국가일본
지방주부
아이치현
폐지일2010년 3월 31일
폐지 사유합병
지리
면적84.55 km²
행정 구역 변천사
1889년 10월 1일정촌제 시행으로 하즈 군에 하즈 정, 미야사키 촌, 도미타 촌, 도요사카 촌, 니시오 촌, 요시다 촌, 데라베 촌, 미와 촌, 고토 촌, 히가시하즈 촌, 니시하즈 촌이 성립함. (1정 10촌)
1890년 10월 20일니시오 촌이 정으로 승격해 니시오 정이 됨. (2정 9촌)
1906년 5월 1일미야사키 촌, 도미타 촌이 합병하여 요코스카 촌이 됨. (2정 8촌)
도요사카 촌, 니시오 촌, 요시다 촌이 합병하여 헤키카이 촌이 됨. (2정 6촌)
데라베 촌, 미와 촌이 합병하여 미야 촌이 됨. (2정 5촌)
1924년 1월 1일헤키카이 촌이 정으로 승격해 헤키카이 정이 됨. (3정 4촌)
1929년 5월 5일고토 촌이 정으로 승격해 고토 정이 됨. (4정 3촌)
1954년 8월 10일니시오 정, 헤키카이 정, 고토 정, 아이라쿠 촌, 후사 요시 촌, 히가시 야하기 촌, 미나미 하즈 촌의 일부, 시게하라 촌의 일부가 합병하여 니시오시가 됨. (1정 3촌)
1955년 4월 1일히가시하즈 촌, 니시하즈 촌이 합병하여 하즈 촌이 됨. (1정 2촌)
1961년 1월 1일요코스카 촌이 정으로 승격해 요코스카 정이 됨. (2정 1촌)
1961년 4월 1일하즈 촌이 정으로 승격해 하즈 정이 됨. (3정)
1964년 4월 1일미야 촌이 정으로 승격해 미야 정이 됨. (4정)
2010년 4월 1일하즈 정, 요코스카 정, 미야 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됨. 동일본 하즈 군이 소멸됨.

2. 역사

1878년 12월 20일 군구정촌 편제법아이치현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의 하즈군이 발족하였다.

1889년 10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하즈군에는 아래의 정촌이 발족하였다. (1정 36촌)


  • 1892년 5월 13일 : 잇시키촌과 요코스카촌이 정으로 승격되었다. (3정 34촌)
  • 1893년
  • * 10월 9일 : 데라즈촌의 일부가 오쿠쓰촌에 편입되었다.
  • * 11월 8일 : 헤이사카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헤이사카정'''(제1차)이 되었다.
  • 1906년 5월 1일 : 정촌 통합이 이루어져 1정 14촌이 되었다.
  • * '''니시오정''' ← 니시오정, 구마쿠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다이호촌(일부)
  • * '''후쿠치촌''' ← 다이호촌(일부), 로쿠고촌, 도요다촌, 이사키촌
  • * '''헤이사카촌'''(제2차) ← 헤이사카정, 나카바타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 * '''데라즈촌''' ← 데라즈촌, 니시자키촌
  • * '''미와촌''' ← 오쿠와촌, 가와사키촌, 후키바라촌
  • * '''잇시키촌'''(제2차) ← 사코촌, 잇시키정, 아지사와촌, 고호촌, 고로모자키촌
  • * '''요시다촌''' ← 요시다촌, 야스사다촌, 미야자키촌
  • * '''요코스카촌'''(제2차) ← 오기와라촌, 도미다촌, 요코스카정, 세토촌, 구리야촌
  • * '''하즈촌''' ← 하즈촌, 히가시하즈촌
  • * '''도요사카촌''' ← 마쓰자카촌, 도요쿠니촌
  • 1913년 4월 1일 : 헤이사카촌의 일부가 데라즈촌에 편입되었다.
  • 1923년 10월 1일 : 잇시키촌(제2차)이 정으로 승격되어 '''잇시키정'''(제2차)이 되었다.(2정 13촌)
  • 1924년
  • * 1월 1일 : 요시다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요시다정'''이 되었다.(3정 12촌)
  • * 10월 1일 : 헤이사카촌(제1차)이 정으로 승격되어 '''헤이사카정'''(제2차)이 되었다.(4정 11촌)
  • 1928년 10월 1일 : 하즈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하즈정'''이 되었다.(5정 10촌)
  • 1929년 4월 1일 : 데라즈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데라즈정'''이 되었다.(6정 9촌)
  • 1932년 9월 1일 : 무로바촌·히라하라촌·게묘촌·에타케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무로바촌'''이 발족하였다.(6정 6촌)
  • 1952년 12월 1일 : 후쿠치촌의 일부가 니시오정에 편입되었다.(6정 6촌)
  • 1953년 12월 15일 : 니시오정이 헤이사카정의 일부를 편입한 후 시로 승격하여 '''니시오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5정 6촌)
  • 1954년
  • * 8월 1일 : (5정 4촌)
  • ** 도요사카촌이 누카타군 고타정과 합병하여, 새로이 누카타군 고타정이 발족하였다.
  • ** 사쿠시마촌이 잇시키정에 편입되었다.
  • * 8월 10일 : 헤이사카정·데라즈정·후쿠치촌·무로바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다.(3정 2촌)
  • 1955년
  • * 1월 1일 : 미와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다.(3정 1촌)
  • * 3월 10일 : 요코스카촌·요시다정이 합병하여, '''기라정'''이 발족하였다.(3정)
  • 2011년 4월 1일 : 잇시키정·기라정·하즈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되면서 하즈군은 소멸되었다.[1]

2. 1. 고대 ~ 중세

하즈군은 미카와국의 고대 군 중 하나였으며, 헤이안 시대의 ''율령'' 기록에서 다양한 ''한자'' 표기로 언급되었다. 미카와만에 접해 있었으며, 주요 특산물은 상어 가죽과 건조된 상어고기였으며, 이는 교토황실에 세금으로 보내졌다.[1]

옛날에는 播豆, 波豆, 芳豆, 芳図, 者豆 등으로 표기했다. 이름의 유래는 지역 내의 식내사(式内社)인 하즈(幡頭) 신사에 유래했다는 설, 역내의 이와도마리(礒泊) 고을에서 하토, 하즈로 와전되었다는 설, 정박지를 의미하는 '박(泊, 하쿠)'이 와전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1]

현재 구 오와리 국의 지타군미나미치타정에 속하는 히마카지마와 시노지마는 본래 미카와 국 하즈군이었다. 섬인 사쿠시마(고대 명칭: 세키시마)·히마카지마(고대 명칭: 히마키지마)·시노지마(고대 명칭: 시노지마) 및 현재의 헤키난시는 구 하즈군에 속해 있었다.[1] 나라현 헤이조궁에서는 "미카와 국 하즈군 시노지마 해부 공봉 5월료 어예 사미 초할 6근"이라고 적힌 목간이 출토되었으며, 나라 시대부터 상어, 도미, 농어, 불볼락 등의 초할(어패류의 보존식)을 헌상했다. 섬 부분은 출토된 목간에 다수의 표기가 있다.[1] 헤키카이시(碧海市)도 본 군의 오하마 고을과 시키노쇼에 속해 있었지만, 근세 야하기강의 개수로 헤키카이군에 편입되었다.[1]

시노지마·세키시마에서는 사미노스야와리(佐米楚割)라고 불리는 상어를 햇볕에 말려 쪼갠 진미가 조정에 기증되었다.[1]

2. 2. 근세 ~ 근대

幡豆郡일본어1878년 12월 20일 군구정촌 편제법아이치현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 발족하였다.

1889년 10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하즈군에는 니시오정과 36개 촌이 설치되었다. 1892년 5월 13일에는 잇시키촌과 요코스카촌이 정으로 승격하였다. 1893년 11월 8일에는 헤이사카촌이 정으로 승격하였다.

1906년 5월 1일 정촌 통합으로 1정 14촌이 되었다.

  • 니시오정 ← 니시오정, 구마쿠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다이호촌(일부)
  • 후쿠치촌 ← 다이호촌(일부), 로쿠고촌, 도요다촌, 이사키촌
  • 헤이사카촌(제2차) ← 헤이사카정, 나카바타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 데라즈촌 ← 데라즈촌, 니시자키촌
  • 미와촌 ← 오쿠와촌, 가와사키촌, 후키바라촌
  • 잇시키촌(제2차) ← 사코촌, 잇시키정, 아지사와촌, 고호촌, 고로모자키촌
  • 요시다촌 ← 요시다촌, 야스사다촌, 미야자키촌
  • 요코스카촌(제2차) ← 오기와라촌, 도미다촌, 요코스카정, 세토촌, 구리야촌
  • 하즈촌 ← 하즈촌, 히가시하즈촌
  • 도요사카촌 ← 마쓰자카촌, 도요쿠니촌


1913년 4월 1일 헤이사카촌의 일부가 데라즈촌에 편입되었다. 1923년 10월 1일 잇시키촌이 정으로 승격하였다. 1924년 1월 1일 요시다촌이, 10월 1일에는 헤이사카촌이 정으로 승격하였다. 1928년 10월 1일 하즈촌이, 1929년 4월 1일 데라즈촌이 정으로 승격하였다.

1932년 9월 1일 무로바촌, 히라하라촌, 게묘촌, 에타케촌이 합병하여 무로바촌이 신설되었다. 1952년 12월 1일 후쿠치촌의 일부가 니시오정에 편입되었다. 1953년 12월 15일 니시오정이 시로 승격하면서 하즈군에서 이탈하였다.

1954년 8월 1일 도요사카촌이 누카타군 고타정과 합병하였고, 사쿠시마촌이 잇시키정에 편입되었다. 8월 10일 헤이사카정, 데라즈정, 후쿠치촌, 무로바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다. 1955년 1월 1일 미와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고, 3월 10일 요코스카촌과 요시다정이 합병하여 기라정이 발족하였다.

2011년 4월 1일 잇시키정, 기라정, 하즈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되면서 하즈군은 소멸되었다.

2. 3. 현대

1889년 10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하즈군에는 아래의 정촌이 발족하였다. (1정 36촌)


  • 1892년 5월 13일 : 잇시키촌과 요코스카촌이 정으로 승격되었다. (3정 34촌)
  • 1893년
  • * 10월 9일 : 데라즈촌의 일부가 오쿠쓰촌에 편입되었다.
  • * 11월 8일 : 헤이사카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헤이사카정'''(제1차)이 되었다.
  • 1906년 5월 1일 : 정촌 통합이 이루어져 1정 14촌이 되었다.
  • * '''니시오정''' ← 니시오정, 구마쿠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다이호촌(일부)
  • * '''후쿠치촌''' ← 다이호촌(일부), 로쿠고촌, 도요다촌, 이사키촌
  • * '''헤이사카촌'''(제2차) ← 헤이사카정, 나카바타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 * '''데라즈촌''' ← 데라즈촌, 니시자키촌
  • * '''미와촌''' ← 오쿠와촌, 가와사키촌, 후키바라촌
  • * '''잇시키촌'''(제2차) ← 사코촌, 잇시키정, 아지사와촌, 고호촌, 고로모자키촌
  • * '''요시다촌''' ← 요시다촌, 야스사다촌, 미야자키촌
  • * '''요코스카촌'''(제2차) ← 오기와라촌, 도미다촌, 요코스카정, 세토촌, 구리야촌
  • * '''하즈촌''' ← 하즈촌, 히가시하즈촌
  • * '''도요사카촌''' ← 마쓰자카촌, 도요쿠니촌
  • 1913년 4월 1일 : 헤이사카촌의 일부가 데라즈촌에 편입되었다.
  • 1923년 10월 1일 : 잇시키촌(제2차)이 정으로 승격되어 '''잇시키정'''(제2차)이 되었다.(2정 13촌)
  • 1924년
  • * 1월 1일 : 요시다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요시다정'''이 되었다.(3정 12촌)
  • * 10월 1일 : 헤이사카촌(제1차)이 정으로 승격되어 '''헤이사카정'''(제2차)이 되었다.(4정 11촌)
  • 1928년 10월 1일 : 하즈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하즈정'''이 되었다.(5정 10촌)
  • 1929년 4월 1일 : 데라즈촌이 정으로 승격되어 '''데라즈정'''이 되었다.(6정 9촌)
  • 1932년 9월 1일 : 무로바촌·히라하라촌·게묘촌·에타케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무로바촌'''이 발족하였다.(6정 6촌)
  • 1952년 12월 1일 : 후쿠치촌의 일부가 니시오정에 편입되었다.(6정 6촌)
  • 1953년 12월 15일 : 니시오정이 헤이사카정의 일부를 편입한 후 시로 승격하여 '''니시오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하였다.(5정 6촌)
  • 1954년
  • * 8월 1일 : (5정 4촌)
  • ** 도요사카촌이 누카타군 고타정과 합병하여, 새로이 누카타군 고타정이 발족하였다.
  • ** 사쿠시마촌이 잇시키정에 편입되었다.
  • * 8월 10일 : 헤이사카정·데라즈정·후쿠치촌·무로바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다.(3정 2촌)
  • 1955년
  • * 1월 1일 : 미와촌이 니시오시에 편입되었다.(3정 1촌)
  • * 3월 10일 : 요코스카촌·요시다정이 합병하여, '''기라정'''이 발족하였다.(3정)
  • 2011년 4월 1일 : 잇시키정·기라정·하즈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되면서 하즈군은 소멸되었다.[1]

3. 행정 구역

1878년 군구정촌 편제법이 아이치현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역으로서의 하즈군이 발족하였다. 1889년 10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아래의 정촌이 발족하였다. 따로 적은 경우 외에는 전역이 현 니시오시이다.(1정 36촌)


  • 1892년 5월 13일 : 잇시키촌이 정제 시행으로 '''잇시키정(제1차)'''이 되고, 요코스카촌이 정제 시행으로 '''요코스카정'''이 됨.
  • 1893년
  • * 10월 9일 : 데라즈촌의 일부가 오쿠쓰촌에 편입.
  • * 11월 8일 : 헤이사카촌이 정제 시행으로 '''헤이사카정(제1차)'''이 됨.
  • 1906년 5월 1일 : 아래의 정촌 통합이 이뤄짐(모두 신설합병).
  • * '''니시오정''' ← 니시오정, 구마쿠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다이호촌(일부)
  • * '''후쿠치촌''' ← 다이호촌(일부), 로쿠고촌, 도요다촌, 이사키촌
  • * '''헤이사카촌'''(제2차) ← 헤이사카정, 나카바타촌, 니시노마치촌(일부), 오쿠쓰촌(일부)
  • * '''데라즈촌''' ← 데라즈촌, 니시자키촌
  • * '''미와촌''' ← 오쿠와촌, 가와사키촌, 후키바라촌
  • * '''잇시키촌'''(제2차) ← 사코촌, 잇시키정, 아지사와촌, 고호촌, 고로모자키촌
  • * '''요시다촌''' ← 요시다촌, 야스사다촌, 미야자키촌
  • * '''요코스카촌'''(제2차) ← 오기와라촌, 도미다촌, 요코스카정, 세토촌, 구리야촌
  • * '''하즈촌''' ← 하즈촌, 히가시하즈촌
  • * '''도요사카촌''' ← 마쓰자카촌, 도요쿠니촌
  • 1913년 4월 1일 : 헤이사카촌의 일부가 데라즈촌에 편입.
  • 1923년 10월 1일 : 잇시키촌(제2차)이 정제 시행으로 '''잇시키정'''(제2차)이 됨.
  • 1924년
  • * 1월 1일 : 요시다촌이 정제 시행으로 '''요시다정'''이 됨.
  • * 10월 1일 : 헤이사카촌(제1차)이 정제 시행으로 '''헤이사카정'''(제2차)이 됨.
  • 1928년 10월 1일 : 하즈촌이 정제 시행으로 '''하즈정'''이 됨.
  • 1929년 4월 1일 : 데라즈촌이 정제 시행으로 '''데라즈정'''이 됨.
  • 1932년 9월 1일 : 무로바촌·히라하라촌·게묘촌·에타케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무로바촌'''이 발족.
  • 1952년 12월 1일 : 후쿠치촌의 일부가 니시오정에 편입.
  • 1953년 12월 15일 : 니시오정이 헤이사카정의 일부를 편입한 후 시제 시행으로 '''니시오시'''가 되어, 군에서 이탈.
  • 1954년
  • * 8월 1일
  • ** 도요사카촌이 누카타군 고타정과 합병하여, 새로이 누카타군 고타정이 발족.
  • ** 사쿠시마촌이 잇시키정에 편입.
  • * 8월 10일 : 헤이사카정·데라즈정·후쿠치촌·무로바촌이 니시오시에 편입.
  • 1955년)
  • * 1월 1일 : 미와촌이 니시오시에 편입.
  • * 3월 10일 : 요코스카촌·요시다정이 합병하여, '''기라정'''이 발족.
  • 2011년 4월 1일 : 잇시키정·기라정·하즈정이 니시오시에 편입되면서 하즈군은 소멸되었다.

4. 소멸 직전의 자치체


  • 1889년 10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하즈군에 아래의 정촌이 발족.(1정 36촌)



1.니시오정 2.니시노마치촌 3.헤이사키촌 4.나카바타촌 5.오쿠쓰촌 6.데라즈촌 7.니시자키촌 8.사코촌 9.잇시키촌 10.아지사와촌 11.고호촌 12.고로모자키촌 13.로쿠고촌 14.도요다촌 15.이사키촌 16.다이호촌 17.구마쿠촌 18.오쿠와촌 19.가와사키촌 20.후키바라촌 21.무로바촌 22.게묘촌 23.에타케촌 24.히라하라촌 25.마쓰자카촌 26.도요쿠니촌 27.요코스카촌 28.세토촌 29.구리야촌 30.오기와라촌 31.요시다촌 32.도미다촌 33.야스사다촌 34.미야자키촌 35.하즈촌 36.히가시하즈촌 37.사쿠시마촌 (보라:니시오시 빨강: 누카타군 고타정)

5. 역대 군수

성명취임 년월일퇴임 년월일비고
11878년 12월 20일
1926년 6월 30일군청 폐지에 따라 폐관


6. 소방 및 쓰레기 처리

소멸 당시 소방 조직은 하즈군 3개 읍에서 하즈군 소방조합을 통해 통합 운영하고 있었다. 쓰레기 처리는 구 하즈군의 니시오시를 포함한 니시오 하즈 광역 연합에서 일괄적으로 처리했으며, 처리장은 키라정에 설치되어 있었다.[1]

참조

[1] 서적 データでみる県勢2022: 日本国勢図会地域統計版 https://books.google[...] 矢野恒太記念会 2021-12-01
[2] 문서 領主から年貢免除の特権を与えられた土地。
[3] 문서 記載は静岡藩領。
[4] 문서 西尾城下各町の総称。無高のため記載なし。本項では便宜的に1町に数える。
[5] 문서 この時点では西尾馬場町、西尾葵町、西尾錦城町、西尾鶴ヶ崎町、西尾裏町、西尾大給町、西尾矢場町、西尾伊文町、西尾和泉町、西尾順海町、西尾中町、西尾肴町、西尾横町、西尾天王町、西尾瓦町、西尾本町、西尾須田町、西尾塩町、西尾会生町、西尾満全町が存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