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틀-호킹 상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틀-호킹 상태는 3차원 리만 다양체와 그 위에 정의된 양자장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범함수로, 양의 우주 상수에서만 정의된다. 이는 우주의 파동 함수를 설명하는 양자 중력 이론의 힐베르트 공간 내 벡터이며, 시공간 차원에 정의된 계량 텐서의 함수이다. 하틀-호킹 상태는 1983년 제임스 하틀과 스티븐 호킹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빅뱅 이전에는 시간과 공간이 특이점이었다고 주장한다.
하틀-호킹 상태는 양자 중력 이론의 힐베르트 공간에 있는 가상적인 벡터로, 우주의 파동 함수를 설명한다. 이는 (''D'' - 1) 차원 콤팩트 표면, 즉 우주에서 정의된 계량 텐서의 함수이며, 여기서 ''D''는 시공간 차원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현재 관측되는 시간은 우주가 플랑크 시간대에 있었을 때 3차원 상태에서 분리되었다.[5]
더 정확하게 말하면, 하틀-호킹 상태는 양자 중력 이론의 힐베르트 공간에 있는 가상적인 벡터로, 우주의 파동 함수를 설명한다.
2. 정의
이러한 우주의 파동 함수는 휠러-드윗 방정식을 근사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틀-호킹 상태는 경로 적분으로 정의되는데, 이 경로 적분이 잘 정의되기 위해서는 우주 상수 값이 0보다 커야 한다.
2. 1. 수식 표현
하틀-호킹 상태는 3차원 리만 다양체 및 그 위에 정의된 양자장 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범함수 이다. 이는 양의 우주 상수 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경로 적분으로 정의된다.
:
여기서 는 아인슈타인-힐베르트 작용이며, 는 다른 양자장들의 작용이다. 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4차원 리만 다양체 들에 대한 경로 적분이다.
이 경로 적분이 잘 정의되려면 이어야만 한다.
2. 2. 경로 적분의 조건
하틀-호킹 상태는 3차원 리만 다양체 및 그 위에 정의된 양자장 들의 공간 위에 정의되는 범함수 이다. 이는 양의 우주 상수 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경로 적분으로 정의된다.
:
여기서 는 아인슈타인-힐베르트 작용이며, 는 다른 양자장들의 작용이다. 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4차원 리만 다양체 들에 대한 경로 적분이다.
이 경로 적분이 잘 정의되려면 이어야만 한다. 만약 이라면, 매우 부피가 크지만 작용이 작은 가 존재하여, 경로 적분이 발산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틀-호킹 상태는 정규화될 수 없다.
3. 이론적 설명
이는 (''D'' − 1) 차원 콤팩트 표면, 즉 우주에서 정의된 계량 텐서의 함수이며, 여기서 ''D''는 시공간 차원이다. 하틀-호킹 상태의 정확한 형태는 경계에서 필요한 유도된 계량을 갖는 모든 ''D'' 차원 기하학에 대한 경로 적분이다.
이러한 우주의 파동 함수는 휠러-드윗 방정식을 근사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1. 시간의 분리
이 이론에 따르면, 현재 관측되는 시간은 우주가 플랑크 시간대에 있었을 때 3차원 상태에서 분리되었다.[5]
4. 역사
제임스 하틀과 스티븐 호킹이 1983년에 이 이론을 제안하였다.[7] 하틀-호킹 제안에 따르면, 우주는 우리가 이해하는 방식으로의 기원을 갖지 않는다. 약 138억 년 전에 발생한 빅뱅 이전의 우주는 공간과 시간 모두에서 특이점이었다. 하틀과 호킹은 만약 우리가 우주의 시작을 향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면, 시작 지점에 아주 가까운 곳에서 시간은 공간으로 바뀌게 되고, 따라서 시간은 없고 공간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4]
참조
[1]
논문
Wave function of the Universe
[2]
논문
Review of the no-boundary wave function
https://linkinghub.e[...]
2023-06
[3]
논문
The cosmological constant problem
https://link.aps.org[...]
1989-01-01
[4]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Time
https://www.hawking.[...]
1996
[5]
서적
The origin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New York : BasicBooks
1994
[6]
문서
日本語における表記には、他に「ハートル・ホーキングの無境界仮説」、または単に「無境界仮説」がある。
[7]
저널
Wave function of the univer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