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자 중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자 중력은 일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통합하려는 이론으로, 중력을 양자화하여 시공간의 본질을 탐구한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시공간의 기하학으로 설명하지만, 양자역학은 고정된 배경에 의존하므로 두 이론을 통합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양자 중력은 중력자를 통해 중력이 전달된다고 가정하며, 시공간이 플랑크 길이 수준에서 양자화될 것으로 예측한다. 주요 이론으로는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완전한 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험적 검증은 어렵지만, 로렌츠 불변성 위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에서의 효과, 시공간 거품 등에서 양자 중력 효과를 찾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 - 대형 강입자 충돌기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 지하에 있는 세계 최대 입자 가속기로, 양성자나 중이온을 가속시켜 충돌시켜 우주의 기본 구성 요소와 자연 법칙을 연구하며, 힉스 보손 성질 규명, 초대칭 입자 탐색, 암흑 물질 연구 등을 목표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 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 - 끈 이론
    끈 이론은 기본 입자를 점이 아닌 진동하는 끈으로 보고, 양자 중력을 포함한 기본 상호작용을 설명하려 하며, 초끈 이론, 추가 차원, M-이론과의 연관성, 그리고 실험적 검증의 어려움 등이 특징이다.
  • 중력 이론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중력 이론 - 중력장
    중력장은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해 생성되어 다른 질량에 힘을 미치는 물리 현상이며, 고전역학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된다.
  • 양자중력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양자중력 - 양자 우주론
양자 중력
구글 지도
일반 정보
"cGh 큐브의 묘사"
"벤 다이어그램으로 묘사"
개요
정의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려는 이론 물리학의 분야이다.
필요성일반 상대성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블랙홀 내부나 빅뱅 직후의 극단적인 중력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하다.
주요 목표중력을 양자화하여 다른 세 가지 기본 힘(전자기력, 약력, 강력)과 통합하는 것이다.
주요 이론
끈 이론기본 입자를 점이 아닌 끈으로 가정하여 중력을 포함한 모든 힘을 통합하려는 이론이다.
루프 양자 중력시공간을 양자화하여 중력을 기술하려는 이론으로, 시공간이 최소 단위인 루프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인과적 동적 삼각분할시공간을 인과 관계를 유지하는 작은 삼각형 조각으로 나누어 양자 중력을 연구하는 접근법이다.
인과 집합시공간을 연속체가 아닌 이산적인 기본 요소로 구성된 집합으로 간주하는 이론이다.
사건 대칭양자 중력을 사건의 대칭성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정준 양자 중력정준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여 중력을 양자화하려는 시도이다.
초유동 진공 이론진공을 초유동체로 가정하고, 중력은 이러한 초유동체의 거시적인 움직임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도전 과제
실험적 검증양자 중력 효과는 매우 미미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어렵다.
수학적 어려움양자 중력 이론은 수학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완전한 이론을 구축하는 것이 어렵다.
특이점 문제일반 상대성이론에서 블랙홀이나 빅뱅에서 나타나는 특이점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우주 상수 문제관측된 우주 상수 값과 양자장론의 예측값 사이의 엄청난 불일치를 설명하는 것이 어렵다.
연구 동향
실험적 접근양자 중력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적 시도들이 진행 중이다. 예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을 이용한 실험이나, 중력장을 이용한 양자 얽힘 실험이 있다.
양자 정보 이론과의 연결양자 중력 이론을 연구하기 위해 양자 정보 이론의 개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블랙홀 연구블랙홀의 특이점과 엔트로피를 이해하는 것은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우주론적 접근우주 초기 조건과 우주 상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자 중력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역사
초기 연구양자 중력 연구는 20세기 초반, 양자 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이 등장한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주요 발전1960년대에는 정준 양자 중력이 발전했고, 1980년대에는 끈 이론이 등장하여 양자 중력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 연구최근에는 루프 양자 중력, 인과적 동적 삼각분할, 인과 집합 등 다양한 접근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관련 개념
표준 모형양자 중력을 제외한 모든 기본 힘과 입자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만물의 이론자연계의 모든 힘과 입자를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려는 궁극적인 목표이다.
양자장론입자를 장의 들뜸으로 취급하여 양자 역학과 상대성 이론을 통합한 이론이다.
양자 우주론우주 전체를 양자 역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실험적 검증 노력
중력 유도 얽힘질량이 있는 물체 간의 중력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얽힘을 확인하려는 실험
탁상 실험양자 중력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소규모 실험 장치를 이용한 실험
소음 불평등고전적인 힘과 관련된 소음 불평등을 이용한 실험
블랙홀 아날로그실험실에서 블랙홀과 유사한 현상을 만들어 연구하는 방법
비판 및 논쟁
실험 부족양자 중력 이론은 실험적 증거가 부족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대안 이론어두운 물질과 어두운 에너지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 중력을 설명하는 다양한 대안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물리적 의미 불분명일부 양자 중력 이론은 물리적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참고 문헌
참고 자료블랙홀 특이점은 예상대로 피할 수 없다
참고 자료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블랙홀을 만들고 빛을 내기 시작했다
참고 자료양자 중력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실험이다

2. 역사적 배경

물리학 이론의 계층 구조에서 양자 중력의 위치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양자 중력 이론을 구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이유는 일반 상대성이론양자역학 이론이 우주 작동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시공간곡률로 모델링한다. 존 아치볼드 휠러는 "시공간은 물질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고,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휘어져야 하는지 알려준다."라고 표현했다.[18] 반면, 양자장론은 일반적으로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사용하는 '평평한' 시공간에서 공식화된다.

양자역학으로 모델링된 물질의 역학이 시공간의 곡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성공한 이론은 아직 없다. 중력을 단순히 또 다른 양자장으로 다루려고 시도하면 결과 이론은 재규격화 가능하지 않다.[19] 시공간의 곡률이 사전에 고정된 더 간단한 경우에도 양자장론을 개발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더 어려워지며, 물리학자들이 평평한 시공간에서 양자장론에 사용하는 많은 아이디어는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20]

양자 중력 이론은 블랙홀의 거동과 우주의 기원과 같이 매우 높은 에너지와 매우 작은 공간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널리 기대되고 있다.[1]

2. 1. 초기 역사

1930년대, 레프 란다우를 비롯한 소련의 과학자들은 양자장론에 중력을 포함시키려는 초기 시도를 했다.[1] 리처드 파인만은 1950년대에 경로 적분 방법을 중력에 적용하려 했지만, 일반 상대성이론의 비선형성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1]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중력장양자 요동의 효과를 넣기 위해 섭동으로 단순히 양자화하면, 2차 레벨에서 자외선 발산이 일어나 재규격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1] 하지만 우치야마 타다오에 의해 일반 상대성이론 자체는 게이지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다.[1] 따라서 중력 게이지 이론에 따르면 중력자는 스핀 2의 보손으로 생각되고 있다.[1]

2. 2. 발전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중력장양자 요동의 효과를 넣기 위해 섭동에 의해 단순히 양자화하면, 2차 레벨에서 자외선 발산이 일어나 재규격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상대성이론 자체는 게이지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우치야마 타다오에 의해). 이것으로부터 중력 게이지 이론에 의하면 중력자는 스핀 2의 보손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양자 중력 이론의 주요 연구 대상으로 블랙홀이 있다. 블랙홀 내부에서는 일반 상대성이론이 붕괴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거기서는 시공간을 양자화한 이론이 유효하다. 이 방향에 의한 최근의 발전으로는 홀로그래픽 원리가 있다. 이것은 블랙홀의 내부 정보량의 보존 한계는 그 부피가 아니라 표면적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끈 이론멤브레인과 통하는 것이 있다. 또 AdS/CFT 대응으로서 어떤 종류의 물리가 다양체의 경계에 환원될 수 있다는 생각도 있다.

3. 주요 특징

양자 중력 이론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나뉜다.


  • 시공간은 무한히 확장될 수 있지만, 좁은 범위에서 요동하는 정도는 작아진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이다.
  • 초중력 이론: 중력자가 스핀 3/2의 중력자(gravitino)를 초대칭 파트너로 갖는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이 이론은 고차원 레벨에서 발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 초끈 이론: 중력자가 닫힌 끈으로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닫힌 끈뿐만 아니라 열린 끈으로 광자, 약력 보존, 글루온 등의 게이지 보존, 그리고 페르미온을 포함하기 때문에 궁극적인 이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 시공간에는 최소 단위가 존재하며, 그보다 작은 범위에서는 요동할 수 없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처럼 기하학적 실체로서의 시공간 자체의 요동을 정의하려는 생각을 가진다.
  • 양자 루프 중력 이론: 펜로즈트위스터 이론스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다.
  • 단체 분할 이론: 시공간을 단체로 분할된 비정질 구조라고 생각하는 이론이다.
  • 에스타쿨의 양자 시공간 간격은 미국 물리학회에 의해 도입되었다. ds^2=g_{\mu\nu}d\langle\hat {x}\rangle^{\mu} d\langle\hat {x}\rangle^{\nu} [78]

3. 1.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의 통합 문제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하는 반면,[18] 양자장론특수 상대성이론의 '평평한' 시공간에서 주로 다루어진다.[19] 존 아치볼드 휠러의 표현처럼, "시공간은 물질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고,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휘어져야 하는지 알려준다."[18] 그러나 양자역학적으로 모델링된 물질의 운동이 시공간 곡률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상황을 성공적으로 설명한 이론은 아직 없다.[19] 중력을 단순히 또 다른 양자장으로 다루려는 시도는 재규격화 불가능성 문제를 야기한다.[19]

일반 상대성이론은 전자기학과 같이 고전적인 장 이론이며, 중력도 전자기학처럼 상응하는 양자 장 이론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력은 섭동적으로 재규격화 불가능하다.[29][30] 양자장론이 잘 정의되려면 점근적으로 자유롭거나 점근적으로 안전해야 한다. 이론은 실험으로 결정될 수 있는 유한한 수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양자 전기역학에서는 특정 에너지 척도에서 측정된 전자의 전하와 질량이 이러한 매개변수이다.

반면, 중력을 양자화할 때는 섭동 이론에서 이론을 정의하기 위해 ''무한히 많은 독립적인 매개변수''(반대항 계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매개변수 선택으로 이론을 이해할 수는 있지만, 모든 매개변수 값을 고정하기 위해 무한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섭동 이론에서는 의미 있는 물리 이론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낮은 에너지에서는 재규격화군의 논리에 따라 이러한 무한히 많은 매개변수의 미지의 선택에도 불구하고 양자 중력이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수렴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양자 효과가 지배적인 매우 높은 에너지를 탐구할 수 있다면, 무한히 많은 미지의 매개변수 각각이 중요해지기 시작하고, 우리는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된다.[31]

정확한 양자 중력 이론에서는 무한히 많은 미지의 매개변수가 측정 가능한 유한한 수로 줄어들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일반적인 섭동 이론이 이론의 재규격화 가능성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지침이 아니며, 중력에 대한 자외선 고정점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섭동적인 양자장론의 문제이므로, 점근적 안정성 프로그램에서 연구되는 것처럼 신뢰할 수 있는 답을 찾는 것은 어렵다. 또 다른 가능성은 매개변수를 제한하고 유한 집합으로 줄이는 새로운 미지의 대칭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끈 이론에서 취하는 경로이며, 여기서 끈의 모든 들뜸은 본질적으로 새로운 대칭으로 나타난다.[32]

양자역학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는 데 있어 개념적인 어려움은 두 이론 체계 내에서 시간의 역할이 상반되기 때문이다. 양자 이론에서 시간은 상태가 진화하는 독립적인 배경으로 작용하며, 해밀토니안 연산자는 시간에 따른 양자 상태의 무한소 변환의 생성자 역할을 한다.[38] 반면, 일반 상대성이론은 시간을 동역학적 변수로 취급하며, 이는 물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고 해밀토니안 제약 조건이 0이 되어야 함을 요구한다.[39] 이러한 시간의 가변성은 거시적으로 관측되었기 때문에 거시적 수준에서 양자 이론에서와 같은 고정된 시간 개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블랙홀의 거동과 우주의 기원과 같이 매우 높은 에너지와 매우 작은 공간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려면 양자 중력 이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1]

3. 2. 중력자

기본 상호작용에서 중력을 제외한 모든 상호작용에는 하나 이상의 알려진 매개 입자가 있다는 관찰 결과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중력에도 적어도 하나의 매개 입자가 존재할 것이라고 믿게 만들었다. 이 가상의 입자를 '''중력자'''라고 부른다. 이 입자는 전자기 상호작용의 광자와 유사한 힘 입자 역할을 한다. 약한 가정 하에서 일반 상대성 이론의 구조는, 상호작용하는 이론적 스핀 2의 질량이 없는 입자들의 양자 역학적 설명을 따를 것을 요구한다.[100][101][102][103][104] 1970년대 이후 물리학의 대통일 이론에서 받아들여진 많은 개념들은 중력자의 존재를 가정하고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다. 와인버그-위튼 정리는 중력자는 복합 입자라는 이론에 몇 가지 제약을 가한다.[105][106] 중력자는 중력에 대한 양자역학적 설명에서 중요한 이론적 단계이지만, 너무 약하게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검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107]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중력장양자 요동의 효과를 넣기 위해 섭동으로 단순히 양자화하면, 2차 레벨에서 자외선 발산이 일어나 재규격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상대성이론 자체는 게이지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우치야마 타다오에 의해). 이것으로부터 중력 게이지 이론에 의하면 중력자는 스핀 2의 보손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3. 3. 시공간의 양자화

일반 상대성이론의 기본 교훈은 뉴턴 역학이나 특수 상대성이론에서처럼 고정된 시공간 배경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 기하학 자체가 동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이해하기 쉬운 개념이지만,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중 하나이며, 그 결과는 매우 심오하여 고전적인 수준에서도 완전히 탐구되지 않았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어느 정도 관계 이론(relational theory)으로 볼 수 있는데,[126] 이 이론에서 유일하게 의미있는 물리적 정보는 시공간 내 বিভিন্ন 사건들 간의 관계이다.

반면, 양자역학은 처음부터 고정된 배경(비동적) 구조에 의존해 왔다. 양자역학에서 시간은 뉴턴의 고전 역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어져 있으며, 동적이지 않다. 상대론적 양자장론에서는 민코프스키 시공간이 이론의 고정된 배경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론들이 모든 에너지 척도에서 결합되기 어려운 이유는 우주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모델링한다. 존 아치볼드 휠러의 표현에 따르면, "시공간은 물질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고,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휘어져야 하는지 알려준다."[18] 반면, 양자장론은 일반적으로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사용되는 '평평한' 시공간에서 공식화된다. 아직까지 양자역학으로 모델링된 물질의 역학이 시공간의 곡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성공한 이론은 없다. 중력을 단순히 또 다른 양자장으로 다루려고 시도하면 결과 이론은 재규격화 가능하지 않다.[19] 시공간의 곡률이 사전에 고정된 더 간단한 경우에도 양자장론을 개발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더 어려워지고, 물리학자들이 평평한 시공간에서 양자장론에 사용하는 많은 아이디어가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20]

양자 중력 이론은 블랙홀의 거동과 우주의 기원과 같이 매우 높은 에너지와 매우 작은 공간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널리 기대되고 있다.[1]

곡선 시공간의 양자장 이론에서 고정된 메트릭을 사용하면, 보손/페르미온 연산자장이 슈퍼교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점에 대한 것이다.)(이는 국소성 원리를 부과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양자 중력에서는 메트릭 자체가 동적이므로, 두 점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는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실제로, 이들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양자 중첩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중력장양자 요동의 효과를 단순하게 섭동을 통해 양자화하면, 2차 레벨에서 자외선 발산이 발생하여 재규격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상대성이론 자체는 게이지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우치야마 타다오에 의해). 이로부터 중력 게이지 이론에 따르면 중력자는 스핀 2의 보손으로 간주된다.

양자 중력 이론의 주요 연구 대상 중 하나는 블랙홀이다. 블랙홀 내부에서는 일반 상대성이론이 붕괴한다고 여겨지며, 그곳에서는 시공간을 양자화한 이론이 유효하다. 이 방향으로의 최근 발전으로는 홀로그래픽 원리가 있다. 이는 블랙홀 내부 정보량의 보존 한계가 그 부피가 아니라 표면적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끈 이론멤브레인과 관련이 있다. 또한 AdS/CFT 대응으로서 어떤 종류의 물리가 다양체의 경계에 환원될 수 있다는 생각도 있다.

시공간의 양자화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시공간이 무한히 확장될 수 있지만, 좁은 범위의 요동 기여는 억제된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
  • 초중력 이론: 중력자가 스핀 3/2의 중력자(gravitino)를 초대칭 파트너로 갖는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이 이론도 고차원 레벨에서 발산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 초끈 이론: 중력자가 닫힌 끈으로 기술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닫힌 끈 외에도 열린 끈으로 광자, 약력 보존, 글루온 등의 게이지 보존, 그리고 페르미온을 포함하므로 궁극적인 이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 시공간에는 최소 단위가 존재하며, 그보다 작은 범위에서 요동할 수 없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처럼 기하학적 실체로서의 시공간 자체의 요동을 정의하려는 발상을 취한다.
  • 양자 루프 중력 이론: 그 배경에 펜로즈트위스터 이론스핀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있다.
  • 단체 분할 이론: 시공간을 단체로 분할된 비정질 구조라고 생각하는 이론.
  • 에스타쿨의 양자 시공간 간격은 미국 물리학회에 의해 도입되었다. ds^2=g_{\mu\nu}d\langle\hat {x}\rangle^{\mu} d\langle\hat {x}\rangle^{\nu} [78]

4. 주요 이론

양자 중력 이론은 크게 두 가지 관점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


  • 시공간의 연속성 가정: 시공간은 무한히 확장될 수 있지만, 좁은 범위에서는 요동이 억제된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들이다.
  • 초중력 이론: 중력자가 스핀 3/2의 중력자(gravitino)를 초대칭 파트너로 갖는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고차원 레벨에서 발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 초끈 이론: 중력자가 닫힌 끈으로 기술된다는 이론이다. 광자, 약력 보존, 글루온 등의 게이지 보존, 그리고 페르미온을 열린 끈으로 설명하여 궁극적인 이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 시공간의 최소 단위 존재 가정: 시공간에는 최소 단위가 존재하며, 그보다 작은 범위에서는 요동할 수 없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들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처럼 기하학적 실체로서의 시공간 자체의 요동을 정의하려는 발상을 취한다.
  • 양자 루프 중력 이론: 로저 펜로즈트위스터 이론스핀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하는 이론이다.
  • 단체 분할 이론: 시공간을 단체로 분할된 비정질 구조라고 생각하는 이론이다.
  • 에스타쿨의 양자 시공간 간격: 미국 물리학회에서 도입한 이론으로, 수식은 다음과 같다. ds^2=g_{\mu\nu}d\langle\hat {x}\rangle^{\mu} d\langle\hat {x}\rangle^{\nu} [78]


끈 이론루프 양자중력 외에도, 양자 중력에서의 점근적 안전성, 유클리드 양자 중력, 인과 동적 삼각화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의 양자 중력 이론들이 연구되고 있다.[145][146]

4. 1. 끈 이론

끈 이론은 모든 기본 입자와 힘을 끈의 진동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끈 이론은 중력자를 자연스럽게 포함하며, 초끈 이론으로 확장되면 초대칭성을 예측한다. 끈 이론은 10차원 또는 11차원의 시공간을 필요로 하며, 여분의 차원은 칼라비-야우 다양체와 같은 형태로 축소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M-이론은 끈 이론의 다양한 버전을 통합하는 더 일반적인 이론으로 여겨진다.[132][133][134][135][136][137]

아원자 세계에서의 상호작용: 표준 모형에서 점과 같은 입자들의 세계선 또는 끈 이론에서 닫힌 들에 의해 휩쓸리는 세계면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투영, 끈 이론에 의해 제기된 여분의 차원들을 축소화하는 방법 중 하나


끈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는 양자장론에서 점 입자들의 고전적인 개념을 1차원 확장된 물체들의 양자 이론인 끈 이론으로 대체하는 것이다.[132] 현재 실험에서 도달한 에너지에서, 이러한 끈들은 점과 같은 입자와 구별할 수 없지만, 결정적으로, 하나의 동일한 유형의 기본 끈의 다른 진동 모드들은 다른 (전기적 및 기타) 전하들을 가진 입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끈 이론은 모든 입자들과 상호작용들에 대한 통합된 설명이 될 수 있다.[133] 이 이론은 하나의 모드가 항상 중력의 매개 입자중력자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성공적이지만, 이 성공의 대가는 보통인 공간 3차원과 시간 1차원 외에 추가의 공간의 여섯 여분 차원들과 같은 특이한 특징이다.[134]

두 번째 초끈 혁명이라고 불리는 것에서, 끈 이론과 일반 상대성이론과 초중력으로 알려진 초대칭성의 어떤 통일[135]은 양자 중력의 독특하게 정의되고 또한 일관된 이론을 구성하는, M-이론으로 알려진 가설적 11차원 모형의 일부를 형성한다.[136][137] 그렇지만, 현재 이해되는 것처럼 끈 이론은, 소위 "끈 풍경"을 구성하는 매우 많은 수(일부 추정치에 따르면 10500)의 일관된 진공들을 인정한다. 이 대규모 해들의 일족을 분류하는 것은 여전히 주요한 도전으로 남아 있다.

4. 2. 루프 양자 중력

루프 양자중력은 배경 독립적인 양자역학을 공식화하려는 시도이다. 시공간이 동적 장이며 양자 대상이라는 일반 상대성이론의 통찰을 진지하게 고려한다. 다른 장 이론(예: 전자기장의 광자)의 입자적 거동을 결정하는 양자 불연속성이 공간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또 다른 핵심 아이디어이다.[138][139]

루프 양자중력의 주요 결과는 플랑크 길이에서 공간의 입자 모양 구조를 도출하는 것이다. 전자기학의 경우, 장의 각 주파수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양자 연산자는 불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 따라서 각 주파수의 에너지는 양자화되고, 양자는 광자이다. 중력의 경우, 각 표면 또는 공간 영역의 면적과 부피를 나타내는 연산자도 마찬가지로 불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 따라서 공간의 어떤 부분의 면적과 부피도 양자화되며, 양자는 공간의 기본 양자이다. 결론적으로, 시공간은 플랑크 스케일에서 기본적인 양자 입자 모양 구조를 가지며, 이는 양자장 이론의 자외선 무한대를 제거한다.[140][141][142][143]

루프 양자중력에 사용되는 유형의 간단한 스핀 네트워크


시공간의 양자 상태는 스핀 네트워크라는 수학적 구조를 통해 이론에서 설명된다. 스핀 네트워크는 로저 펜로즈에 의해 처음으로 추상적인 형태로 소개되었으며, 이후 카를로 로벨리리 스몰린이 일반 상대성이론의 비섭동 양자화로부터 자연적으로 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핀 네트워크는 시공간에서 장의 양자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의 양자 상태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이 이론은 전기장자기장의 수학적 유사체를 사용하여 기하학적 중력을 나타내는 아쉬테카르 변수로 알려진 일반 상대성이론의 재구성을 기반으로 한다.[138][139] 양자 이론에서, 공간은 스핀 네트워크라는 네트워크 구조로 표현되며,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적인 단계들로 진화한다.[140][141][142][143]

이론의 동역학은 현재 여러 버전으로 구성된다. 한 버전은 일반 상대성이론의 정준 양자화에서 시작한다. 슈뢰딩거 방정식의 유사체는 이론 내에서 정의할 수 있는 휠러-디윗 방정식이다.[144] 이론의 공변량, 또는 스핀 거품 공식에서 양자 동역학은 스핀 거품이라고 하는 시공간의 이산 버전에 대한 합을 통해 얻어진다. 이것은 스핀 네트워크의 역사를 나타낸다.

양자 루프 중력 이론은 시공간에 최소 단위가 존재하며 그보다 작은 범위에서 요동할 수 없다는 생각에 기반한 이론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처럼 기하학적 실체로서의 시공간 자체의 요동을 정의하려는 발상을 취한다. 그 배경에는 로저 펜로즈트위스터 이론과 스핀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있다.

4. 3. 기타 이론

양자 중력 이론은 여러 접근 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이론들은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이론의 어떤 특징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어떤 특징을 수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145][146]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5. 실험적 검증

양자 중력 효과는 매우 약해서 실험적으로 검증하기가 어렵다.[129] 1990년대 후반 이전에는 실험적 검증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지만, 2000년대 이후 양자 중력 효과에 대한 증거가 이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현상론적 양자 중력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152]

현재까지 양자 중력 이론을 직접적으로 검증한 실험은 없지만, 간접적인 증거를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130][131] 양자 중력 현상론에서 널리 연구되는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감마선 폭발과 천체 및 대기 중성미자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한 연구는 현상론적 양자 중력 매개변수에 대한 제한을 설정했다.[159][160][161] 유럽우주국(ESA)의 인테그랄(INTEGRAL) 위성은 공간의 입자성에 대한 한계를 플랑크 규모보다 13자릿수 낮은 10-48m 이하로 설정했다.[162][163]

BICEP2 실험에서 초기 우주의 중력파에 의한 원시 B-모드 편광 신호가 관측되었다고 보고되었으나, 이는 성간 먼지에 의한 효과로 밝혀졌다.[164]

6. 응용 및 중요성

양자 중력 이론은 블랙홀의 행동과 우주의 기원과 같이 매우 높은 에너지와 매우 작은 공간 차원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널리 기대되고 있다.[79]

이러한 이론들을 모든 에너지 척도에서 결합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이유는, 우주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서로 다른 가정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모델링한다. 존 아치볼드 휠러의 표현을 빌리자면, "시공간은 물질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고,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휘어져야 하는지 알려준다."[97] 반면, 양자장론은 일반적으로 특수 상대성이론에서 사용하는 '평평한' 시공간에서 공식화된다. 아직까지 양자역학으로 모델링된 물질의 역학이 시공간의 곡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성공한 이론은 없다. 중력을 단순히 또 다른 양자장으로 다루려고 시도하면 결과 이론은 재규격화 가능하지 않다.[98] 시공간의 곡률이 사전에 고정된 더 간단한 경우에도 양자장론을 개발하는 것은 수학적으로 더 어려워지고, 물리학자들이 평평한 시공간에서 양자장론에 사용하는 많은 아이디어가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다.[99]

양자 중력 이론의 주요 연구 대상으로는 블랙홀이 있다. 블랙홀 내부에서는 일반 상대성이론이 붕괴된다고 생각되며, 그곳에서는 시공간을 양자화한 이론이 유효하다. 이 방향에 의한 최근의 발전으로는 홀로그래픽 원리가 있다. 이것은 블랙홀의 내부 정보량의 보존 한계는 그 부피가 아니라 표면적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끈 이론멤브레인과 통하는 것이 있다. 또 AdS/CFT 대응으로서 어떤 종류의 물리가 다양체의 경계에 환원될 수 있다는 생각도 있다.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한 중력장양자 요동의 효과를 넣기 위해 섭동에 의해 단순히 양자화하면, 2차 레벨에서 자외선 발산이 일어나 재규격화 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상대성이론 자체는 게이지 이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우치야마 타다오에 의해). 이것으로부터 중력 게이지 이론에 의하면 중력자는 스핀 2의 보손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양자 중력 이론은 현재 실험이나 관측과의 비교를 통해 일반적으로 옳다고 판단되어 확정된 것은 없으며, 이론이 제안되고 있는 단계에 있고 결정판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Quantum gravity
[2] 서적 Quantum grav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 논문 Alternatives to dark matter and dark energy 2006
[4] 웹사이트 Black Hole Singularities Are as Inescapable as Expected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20-04-22
[5] 논문 The cosmological constant
[6] 논문 A new generation takes on the cosmological constant
[7] 서적 The road to reality : a complete guide to the laws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Vintage 2007
[8] arXiv Notes for a brief history of quantum gravity 2001
[9] 문서 Quantum effects in the early universe might have an observable effect o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universe, for example, or gravity might play a role in the unification of the other forces. Cf. the text by Wald cited above.
[10] 문서 On the quantization of the geometry of spacetime, see also in the article Planck length, in the examples
[11] 논문 Testing quantum superpositions of the gravitational field with Bose-Einstein condensates 2005
[12] arXiv A noise inequality for classical forces 2013
[13] 논문 Spin Spacetime Censorship 2021-11-05
[14] 웹사이트 What Quantum Gravity Needs Is More Experiments http://nautil.us/iss[...] 2017-02-02
[15] 서적 Experimental search for quantum gravity Springer 2017
[16] 논문 Tabletop experiments for quantum gravity: a user's manual 2019-02-07
[17] 논문 Gravitationally mediated entanglement: Newtonian field versus gravitons https://link.aps.org[...] 2022-12-11
[18] 서적 Geons, Black Holes, and Quantum Foam: A Life in Physics W. W. Norton & Company
[19]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a Nutshell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and Black Hole Thermodynam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21] 논문 Special-Relativistic Derivation of Generally Covariant Gravitation Theory 1955
[22] 논문 Gravitation and Electromagnetism 1954
[23] 논문 Einstein's and Other Theories of Gravitation 1957
[24]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General Relativity Pergamon Press 1962
[25] 논문 Self-Interaction and Gauge Invariance 1970
[26] 논문 Limits on massless particles
[27] 서적 Approaches to Quantum Gra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논문 Can Gravitons be Detected? https://link.springe[...] 2020-05-15
[29] 서적 Feynman Lectures on Gravitation Addison-Wesley
[30] 서적 Quantum Gravitation – The Feynman Path Integral Approach Springer Nature 2009
[31] 논문 Quantum gravity at two loops 1985
[32] 웹사이트 Motivation https://golem.ph.ute[...] 2018-02-24
[33] 서적 Effective Theories: Proceedings of the Advanced School, Almunecar, Spain, 26 June–1 July 1995 World Scientific 1995
[34] 서적 Phase transitions and renormalization gr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5] 논문 Quantum gravitational corrections to the entropy of a Schwarzschild black hole
[36] 논문 Quantum gravitational corrections to the entropy of a Reissner-Nordström black hole
[37] 서적 Three Roads to Quantum Gravity Basic Books 2001
[38] 서적 Modern Quantum Mechanics Pearson 2010-07-14
[39] 서적 Cosmology and Gravitation: Xth Brazilian School of Cosmology and Gravitation; 25th Anniversary (1977–2002), Mangaratiba, Rio de Janeiro, Brazil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06-11
[40] arXiv Notes for a brief history of quantum gravity 2000
[41] 학회 Loop Quantum Gravity: Four Recent Advances and a Dozen Frequently Asked Questions 2007
[42] 논문 String Theory: Progress and Problems 2007
[43] 서적 A First Course in String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3] 서적 String Theory Vol. I: An Introduction to the Bosonic St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3] 서적 String Theory Vol. II: Superstring Theory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b
[44] 논문 The second string (phenomenology) revolution 2000
[45] 서적 Superstring Theory, Volume 1: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II: Modern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7] 논문 Four Lectures on M-Theory 1996
[48] 논문 M-Theory (the Theory Formerly Known as Strings) 1996
[49] 논문 New variables for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1986
[50] 논문 New Hamiltonian formulation of general relativity 1987
[51] 서적 Approaches to Fundamental Physics
[52] 논문 Loop Quantum Gravity 1998
[53] 논문 Background Independent Quantum Gravity: A Status Report 2004
[54] 서적 Quantum Gravity 2003
[55] 서적 Quantum Gra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6] 서적 Canonical Gravity: From Classical to Quantum Springer 1994
[57] 논문 Forks in the Road, on the Way to Quantum Gravity 1997
[58] 웹사이트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Western University – Canada https://philpapers.o[...]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Western University – Canada 2020-04-24
[59] 간행물 Quantum Gravity https://www.opastpub[...] 2023
[60] 논문 Discrete Approaches to Quantum Gravity in Four Dimensions 1998
[61] 서적 300 Years of Gravi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62] 서적 The Road to Reality: A Complete Guide to the Laws of the Universe Alfred A. Knopf
[63] 서적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Nova Publishers 2011
[64] 논문 Testing quantum superpositions of the gravitational field with Bose-Einstein condensates 2005
[65] arXiv A noise inequality for classical forces 2013
[66] 논문 Quantum gravitational decoherence of light and matter https://link.aps.org[...] 2021-01-01
[67] 논문 Quantum coherence, radiance, and resistance of gravitational systems https://link.aps.org[...] 2021-01-01
[68] 논문 Quantum principle of sensing gravitational waves: From the zero-point fluctuations to the cosmological stochastic background of spacetime https://link.aps.org[...] 2021-01-02
[69] 논문 Spacetime foam induced collective bundling of intense fields https://link.aps.org[...] 2021-01-02
[70] 논문 A Planck-scale limit on spacetime fuzziness and stochastic Lorentz invariance violation 2015-03-16
[71] 논문 Search for quantum gravity using astrophysical neutrino flavour with IceCube https://www.nature.c[...] 2022-11-01
[72] arxiv Searching for Decoherence from Quantum Gravity at the IceCube South Pole Neutrino Observatory https://arxiv.org/ab[...] 2023-06
[73] 웹사이트 Integral challenges physics beyond Einstein https://www.esa.int/[...] 2021-11-06
[74] 논문 Constraints on Lorentz Invariance Violation using integral/IBIS observations of GRB041219A https://link.aps.org[...] 2011-06-28
[75] 뉴스 Gravitational waves discovery now officially dead 2015-01-30
[76] 논문 Earth Natural Magnetic Resonances in Quantum Gravity Experiments https://zenodo.org/r[...] 2023-05-12
[77] 서적 明解量子重力理論入門 講談社
[78] 웹사이트 Estakhr's Quantum Spacetime, Quantum Gravity as Expected Spacetime or Expection value of Spacetime Operators http://meetings.ap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4-10-18
[79] 논문 Quantum gravity
[80] 뉴스 Black Holes May Hide a Mind-Bending Secret About Our Universe - Take gravity, add quantum mechanics, stir. What do you get? Just maybe, a holographic cosmos. https://www.nytimes.[...] 2022-10-10
[81] 뉴스 Scientists Created a Black Hole in The Lab, And Then It Started to Glow https://www.sciencea[...] 2022-11-16
[82] 서적 Quantum grav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3] 논문 Alternatives to dark matter and dark energy 2006
[84] 웹인용 Black Hole Singularities Are as Inescapable as Expected https://www.quantama[...] Quanta Magazine 2019-12-02
[85] arxiv The Cosmological Constant and Lorentz Invariance of the Vacuum State 2011
[86] 서적 The road to reality : a complete guide to the laws of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Vintage 2007
[87] arxiv Notes for a brief history of quantum gravity 2001
[88] 문서
[89] 문서
[90] 논문 Spin Entanglement Witness for Quantum Gravity 2017
[91] 논문 Gravitationally Induced Entanglement between Two Massive Particles is Sufficient Evidence of Quantum Effects in Gravity 2017
[92] 논문 Spin Spacetime Censorship 2021-11-05
[93] 웹인용 What Quantum Gravity Needs Is More Experiments https://web.archive.[...] 2017-02-02
[94] 서적 Experimental search for quantum gravity Springer 2017
[95] 논문 Tabletop experiments for quantum gravity: a user's manual 2019-02-07
[96] 논문 Gravitationally mediated entanglement: Newtonian field versus gravitons https://link.aps.org[...] 2022-04-05
[97] 서적 Geons, Black Holes, and Quantum Foam: A Life in Physics W. W. Norton & Company
[98]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a Nutshell Princeton University Press
[99] 서적 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 and Black Hole Thermodynamic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100] 논문 Special-Relativistic Derivation of Generally Covariant Gravitation Theory https://archive.org/[...] 1955
[101] 논문 Gravitation and Electromagnetism 1954
[102] 논문 Einstein's and Other Theories of Gravitation 1957
[103]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General Relativity Pergamon Press 1962
[104] 논문 Self-Interaction and Gauge Invariance https://archive.org/[...] 1970
[105] 논문 Limits on massless particles
[106] 서적 Approaches to Quantum Gra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7] 저널 Can Gravitons be Detected? https://link.springe[...] 2020-05-15
[108] 서적 Feynman Lectures on Gravitation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109] 서적 Quantum Gravitation – The Feynman Path Integral Approach Springer Nature 2009
[110] 저널 Quantum gravity at two loops 1985
[111] 웹인용 Motivation https://golem.ph.ute[...] 2018-02-24
[112] 저널
[113] 저널
[114] 저널
[115] 저널 Canonical reduction for dilatonic gravity in 3 + 1 dimensions 2016
[116] 저널
[117] 서적 Effective Theories: Proceedings of the Advanced School, Almunecar, Spain, 26 June–1 July 1995 World Scientific 1995
[118] 서적 Phase transitions and renormalization gr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19] 저널 The generalized Schwinger–DeWitt technique and the unique effective action in quantum gravity
[120] 저널 The Generalized Schwinger–DeWitt Technique in Gauge Theories and Quantum Gravity
[121] 저널 Beyond the Schwinger–Dewitt Technique: Converting Loops Into Trees and In-In Currents
[122] 저널 Covariant perturbation theory. 2: Second order in the curvature. General algorithms
[123] 서적 Effective Theories: Proceedings of the Advanced School, Almunecar, Spain, 26 June–1 July 1995 World Scientific 1995
[124] 저널 Quantum gravitational corrections to the entropy of a Schwarzschild black hole
[125] 저널 Quantum gravitational corrections to the entropy of a Reissner-Nordström black hole
[126] 서적 Three Roads to Quantum Gravity Basic Books 2001
[127] 서적 Modern Quantum Mechanics Pearson 2010-07-14
[128] 서적 Cosmology and Gravitation: Xth Brazilian School of Cosmology and Gravitation; 25th Anniversary (1977–2002), Mangaratiba, Rio de Janeiro, Brazil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3-06-11
[129] ArXiv Notes for a brief history of quantum gravity 2000
[130] 서적 11th Marcel Grossmann Meeting on Recent Developments i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General Relativity 2007
[131] 저널 String Theory: Progress and Problems 2007
[132] 서적 A First Course in String The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32] 서적 String Theory Vol. I: An Introduction to the Bosonic St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32] 서적 String Theory Vol. II: Superstring Theory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b
[133] 저널 The second string (phenomenology) revolution 2000
[134] 문서
[135] 서적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II: Modern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36] 저널 Four Lectures on M-Theory 1996
[137] 저널 M-Theory (the Theory Formerly Known as Strings) 1996
[138] 저널 New variables for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1986
[139] 저널 New Hamiltonian formulation of general relativity 1987
[140] 서적 Approaches to Fundamental Physics
[141] 저널 Loop Quantum Gravity http://www.livingrev[...] 2008-03-13
[142] 저널 Background Independent Quantum Gravity: A Status Report 2004-00-00
[143] 서적 Quantum Gravity 2003-00-00
[144] 서적 Quantum Gravit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0-00
[145] 서적 Canonical Gravity: From Classical to Quantum Springer 1994-00-00
[146] 저널 Forks in the Road, on the Way to Quantum Gravity 1997-00-00
[147] 웹인용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Western University – Canada https://philpapers.o[...]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Western University – Canada 2020-04-24
[148] 간행물 Quantum Gravity https://www.opastpub[...] 2023-00-00
[149] 저널 Discrete Approaches to Quantum Gravity in Four Dimensions 1998-00-00
[150] 서적 300 Years of Gravi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00-00
[151] 문서 ch. 33 in Penrose (2004) and references therein.
[152] 서적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Nova Publishers 2012-04-01
[153] 저널 Spin Entanglement Witness for Quantum Gravity https://link.aps.org[...] 2022-07-13
[154] 저널 Gravitationally Induced Entanglement between Two Massive Particles is Sufficient Evidence of Quantum Effects in Gravity https://link.aps.org[...] 2022-07-13
[155] 저널 Spacetime foam induced collective bundling of intense fields https://link.aps.org[...] 2021-01-02
[156] 저널 Quantum gravitational decoherence of light and matter https://link.aps.org[...] 2021-01-01
[157] 저널 Quantum coherence, radiance, and resistance of gravitational systems https://link.aps.org[...] 2021-01-01
[158] 저널 Quantum principle of sensing gravitational waves: From the zero-point fluctuations to the cosmological stochastic background of spacetime https://link.aps.org[...] 2021-01-02
[159] 저널 A Planck-scale limit on spacetime fuzziness and stochastic Lorentz invariance violation http://dx.doi.org/10[...] 2015-03-16
[160] 저널 Search for quantum gravity using astrophysical neutrino flavour with IceCube https://www.nature.c[...] 2022-11-01
[161] arxiv Searching for Decoherence from Quantum Gravity at the IceCube South Pole Neutrino Observatory https://arxiv.org/ab[...] 2023-06-00
[162] 웹사이트 Integral challenges physics beyond Einstein https://www.esa.int/[...] 2021-11-06
[163] 저널 Constraints on Lorentz Invariance Violation using integral/IBIS observations of GRB041219A https://link.aps.org[...] 2021-11-06
[164] 저널 Gravitational waves discovery now officially dead 2015-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