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라이프: 디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프라이프: 디케이는 2001년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 출시된 하프라이프 시리즈의 1인칭 슈팅 게임이다. 이 게임은 협동 멀티플레이어 플레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두 명의 플레이어가 함께 퍼즐을 풀고 레벨을 진행해야 한다. 싱글 플레이도 가능하지만, 두 캐릭터를 번갈아 가며 조작해야 한다. 디케이는 하프라이프와 동일한 배경과 등장인물을 공유하며, 두 명의 여성 과학자 콜레트 그린과 지나 크로스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진행한다. 게임은 각 미션의 완료 등급을 평가하며, 모든 레벨에서 최고 등급을 달성하면 보너스 협동 미션을 즐길 수 있다. 디케이는 2008년 PC로 이식되었으며,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싱글 플레이에서의 어려움과 액션 요소의 부족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골드소스 엔진 게임 -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은 넥슨에서 서비스하는 온라인 FPS 게임으로,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하며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되었다. - 골드소스 엔진 게임 -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는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으로, 블랙 메사 연구 시설에서 경비원 바니 칼훈이 되어 시설에서 탈출하기 위해 로젠버그 박사와 협력하며 싸우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뉴멕시코주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는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으로, 블랙 메사 연구 시설에서 경비원 바니 칼훈이 되어 시설에서 탈출하기 위해 로젠버그 박사와 협력하며 싸우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뉴멕시코주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인 어포징 포스는 위험 환경 전투 부대 소속 병장 에이드리언 셰퍼드가 되어 블랙 메사 연구소 사건을 새로운 시각으로 경험하며, 새로운 무기, 적, 아군 지휘 요소 등이 추가된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200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는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시에라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으로, 블랙 메사 연구 시설에서 경비원 바니 칼훈이 되어 시설에서 탈출하기 위해 로젠버그 박사와 협력하며 싸우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200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하프라이프의 확장팩인 어포징 포스는 위험 환경 전투 부대 소속 병장 에이드리언 셰퍼드가 되어 블랙 메사 연구소 사건을 새로운 시각으로 경험하며, 새로운 무기, 적, 아군 지휘 요소 등이 추가된 1인칭 슈팅 게임이다.
하프라이프: 디케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하프라이프: 디케이 |
![]() | |
시리즈 | 하프라이프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 |
모드 | 멀티플레이 |
개발 | |
개발사 | 기어박스 소프트웨어 |
엔진 | 골드 소스 |
유통 | |
배급사 | 시에라 온라인 |
제작 | |
디자이너 | 랜디 피치포드 |
작가 | 매튜 암스트롱 브라이언 헤스 랜디 피치포드 |
출시 | |
북미 | 2001년 11월 14일 |
유럽 | 2001년 11월 30일 |
플랫폼 |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2 |
2. 게임플레이
''하프라이프: 디케이''는 1인칭 슈팅 게임이다. 원작 하프라이프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적대적인 비 플레이어 캐릭터와 싸우고 다양한 퍼즐을 해결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다른 확장팩들과 달리, ''디케이''는 협동 멀티플레이어 게임 플레이를 위해 설계되어, 플레이어는 게임 레벨을 진행하고 퍼즐을 풀기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한다.[22] 분할 화면 모드로 두 명이 플레이하도록 설계되었지만, 한 명의 플레이어도 가능하다. 싱글 플레이 시에는 한 번에 한 캐릭터만 제어하며, 두 캐릭터 간 전환이 가능하다. 사용하지 않는 캐릭터는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지만, 플레이어가 남겨둔 곳에서 움직이지 않는다.[23]
''하프라이프''에서는 보통 혼자 싸우지만, ''디케이''는 우호적인 비 플레이어 캐릭터와 협력하여 목표를 달성하고 그들을 보호하는 데 많은 부분이 할애된다.[22] 헤드크랩, 보르티곤트, 인간 병사 등 ''하프라이프''의 다양한 적 캐릭터가 등장하며, 게임을 돕기 위해 제한된 종류의 ''하프라이프''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22]
게임은 별도의 미션으로 나뉘며, 각 미션에는 특정 목표가 있다. 각 미션에서 플레이어의 성과는 "A"에서 "F"까지 등급으로 평가된다. 평가 기준은 무기 정확도, 킬 수, 입은 피해량 등이다. 모든 레벨에서 "A" 등급으로 9개의 미션을 완료하면 보너스 협동 미션이 해금되며, 보너스 미션에서는 보르티곤트 한 쌍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2]
2. 1. 한국어판 특징
플레이어 모델은 지나 크로스와 콜레트 그린 두 가지이며, G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프라이프와 어포징 포스에서는 죽일 수 없었던 만타플라이어(Mantaflayer)를 죽일 수 있다.3. 등장인물 및 배경 설정
''하프라이프: 디케이''는 ''하프라이프''와 동일한 시간대와 장소인 뉴멕시코의 외딴 사막에 위치한 블랙 메사 연구 시설을 배경으로 한다.[3] ''하프라이프''에서 플레이어는 고든 프리맨의 역할을 맡아 차원 간 포탈이 제노로 열리는 사고에 연루된 과학자가 된다. 이 사고로 제노의 외계 생물체가 시설을 공격하게 된다.[3]
''디케이''는 ''하프라이프''의 이전 확장팩들과 마찬가지로, 다른 주인공들의 관점에서 ''하프라이프''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플레이어는 고든 프리맨과 같은 연구실에서 일하는 두 명의 과학자, 콜레트 그린과 지나 크로스를 조작한다. 이들은 이전 순간이동 실험에서 제노에서 가져온 변칙적인 물질과 표본을 분석하는 역할을 맡는다.[4] 외계 침략을 일으킨 실험 발생 후, 그린과 크로스는 과학팀의 두 고위 멤버인 리처드 켈러 박사와 로젠버그 박사와 협력하여 블랙 메사의 악화되는 상황을 억제하고 안정시키려 한다.[4]
4. 줄거리
''하프라이프: 디케이''는 지나 크로스와 콜레트 그린이 블랙 메사 변칙 물질 연구소에 도착하여 켈러 박사에게 보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켈러 박사는 미지의 표본에 대한 분석을 준비하고 있었다. 로젠버그 박사가 분석 장비의 설계 용량을 초과하는 것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로스와 그린은 고든 프리먼을 위해 실험을 준비하는 것을 돕도록 배정된다.[5] 프리먼이 표본을 스캔 빔에 삽입하자 "대공명 현상"이 발생하여 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외계 생물을 기지로 순간 이동시킨다. 켈러와 로젠버그는 블랙 메사가 스스로 이 상황을 처리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군의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한다.[6]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상세 줄거리 문단을, 챕터에 대한 내용은 챕터 문단을 참고하라.
4. 1. 챕터
챕터 | 내용 |
---|---|
1. 동시 접속 (Dual Access) | 지나 크로스와 콜레트 그린이 평소 하던 일과를 하던 도중 사건이 일어난다. |
2. 위험한 코스 (Hazardous Course) | 로젠버그 박사와 함께, 위성 통신 센터로 가기 위해 훈련 시설을 거치기로 한다. |
3. 지상 연락 (Surface Call) | 통신 센터의 문이 잠겨 있어 그들은 간접적으로 이동하여 위성에 전파를 보낸다. |
4. 공명 (Resonance) | 켈러 박사의 조언에 따라, 크로스와 그린은 댐프닝 필드를 열기 위해 C구역에 가게 된다. |
5. 가정 폭력 (Domestic Violence) | 댐프닝 필드가 소용 없게 되자, 켈러는 감마 연구시설을 이용하자는 제안을 하게 되고, 위성 잠금 해제 코드를 아는 경비원을 찾아 떠나게 된다. |
6. 코드 그린 (Code Green) | 잠금 해제 코드를 적용시키기 위해 항공 시설에 접근하여 군대를 물리친다. |
7. 십자 포화 (Crossfire) | 감마 연구시설의 변위 신호등을 지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지하 시설을 통과한다. |
8. 격렬함 (Intensity) | 외계 격리 시설에 잠입해 변위 신호등을 작동시키기 위해 외계인을 물리친다. |
9. 균열 (Rift) | 변위 신호등을 통해 네팅 그라운드를 활성화시켜 대공명 현상을 끝내게 되었다. |
보너스 챕터. 젠 공격 (Xen Attacks) | 이번엔 젠 종족인 X-8973 그리고 R-4913라는 보르티곤트 종족으로, 도난당한 젠 수정을 회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
4. 2. 상세 줄거리
지나 크로스와 콜레트 그린은 블랙 메사 변칙 물질 연구소에 도착하여 켈러 박사에게 보고했고, 켈러 박사는 미지의 표본 분석을 준비하고 있었다. 로젠버그 박사는 분석 장비가 설계 용량을 초과할 수 있다고 반대했지만, 크로스와 그린은 고든 프리먼을 위해 실험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5] 프리먼이 표본을 스캔 빔에 넣자 "공명 현상"이 발생하여 시설에 큰 피해가 발생하고 외계 생물들이 기지로 순간 이동하게 되었다. 켈러와 로젠버그는 블랙 메사가 자체적으로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군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한다.[6]크로스와 그린은 로젠버그를 지상으로 호위하고, 로젠버그는 군에 구조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군은 상황 통제뿐만 아니라 기지 직원들을 살해하여 기지를 침묵시키라는 명령을 받은 상태였다. 로젠버그는 군과 만나기 위해 남고, 크로스와 그린은 켈러에게 돌아갔다.
켈러와 다시 만난 크로스와 그린은 외계 생물의 침략을 막기 위해 차원 균열을 봉쇄하는 작업을 했다. 군대가 도착하여 모든 인원과 외계 세력을 제거하려 하자, 두 사람은 두 번째 차원 균열을 막기 위해 핵심 장비를 재설정하고 위성을 발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하프라이프에서 프리먼이 발사하는 위성은 지상 기반 장비와 함께 공명 현상의 영향을 줄이는 데 사용되었다.[7] 켈러는 크로스와 그린에게 위성을 통해 차원 균열을 봉쇄할 수 있는 변위 비콘을 활성화하라는 임무를 주었다. 비콘을 활성화한 후, 두 캐릭터는 균열로 인한 왜곡 현상인 "조화 반류"에 휩쓸렸지만, 무사히 돌아왔고 켈러는 그들의 성공을 축하했다.[8]
추가 보너스 레벨인 ''Xen Attacks''에서는 하프라이프의 최종 보스인 니힐란스가 오렌지색 결정을 획득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명의 보르티곤트가 군인과 블랙 옵스에 맞서 싸우며 지하 블랙 메사 단지에서 오렌지색 결정을 찾는다. 결정을 회수한 후 화면이 검게 변하며 임무 성공을 알린다. 니힐란스는 보르티곤트를 젠으로 이동시켜 자신의 동굴에 결정을 설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 개발
시에라 온라인이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하프라이프를 발표하면서, 협동 플레이를 지원하는 ''하프라이프'' 게임이 2000년 11월 처음 언급되었다. 당시에는 ''하프라이프''의 협동 플레이 버전을 어떻게 구현할지 불분명했다. 기어박스 소프트웨어는 협동 게임에 적합한 플레이어 수를 찾기 위해 실험을 계속했다.[9] E3 2001에서 이전 ''하프라이프'' 제목들과의 일관성을 위해 지수적 감쇠라는 과학적 개념을 따라 ''디케이''라는 제목이 붙여졌다. E3에서는 ''하프라이프''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시연만 제공되었지만, ''디케이''의 전제와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가 공개되었고, 협동 모드가 2인용으로 설계될 것이 확인되었다.[10] 또한, 이 게임에서 새로운 모델 세트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기어박스의 ''블루 쉬프트''용 고화질 팩을 업데이트한 버전으로, 더 많은 폴리곤과 표정 같은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11] 향상된 모델은 고화질 팩보다 약 두 배 더 자세했으며, 고화질 팩 자체도 ''하프라이프''의 오리지널 모델보다 훨씬 높은 품질이었다.[12] E3 이후 몇 달 동안 다양한 스크린샷과 게임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11][13] 2001년 8월 18일, 시에라는 ''디케이''가 거의 완성되었으며, 며칠 안에 소니에 검증을 위해 제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플레이스테이션 2용 ''하프라이프'' 패키지는 2001년 10월 30일에 골드 상태를 달성했으며,[15] 2001년 11월 14일 북미에서,[16] 11월 30일 유럽에서 출시되었다.[17][18]
2005년 10월, 우크라이나 개발자 그룹이 World Opponent Network 버전과 현재의 스팀 버전 ''하프라이프''용 모드로 ''디케이''를 포팅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 포트는 ''디케이''의 PS2 게임 파일을 윈도우 버전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데 기반했다.[4] 2007년 12월에 베타 개발 단계에 들어갔으며, 2008년 9월 23일에 공개 출시되었다.[19] 이 포트는 업계 언론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GameSpy의 Planet Half-Life는 공식 PC 버전 ''디케이''가 나오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언급했고,[20] 영국 저널리스트 알렉 미어는 "짧지만 멋진 잃어버린 ''하프라이프'' 에피소드를 PC에서 마침내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환상적이며, PS2 버전에는 없었던 온라인 플레이 기능도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21]
6. 평가
''하프라이프: 디케이''는 비디오 게임 업계 비평가들로부터 미약하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GameSpot의 더그 래드클리프는 ''디케이''가 "인상적"이라며 플레이어들이 협력해야 하는 퍼즐 디자인과 랭킹 시스템이 플레이어 간의 경쟁을 억제하는 방식을 칭찬했다.[22] GameSpy의 데이비드 호지슨은 게임에 대해 좀 더 신중한 평가를 내렸다. 그는 게임을 "매우 재미있다"고 묘사하면서도, "한 멤버가 몇 분 동안 기다리는 동안 다른 멤버가 머리를 긁적이며 목표를 달성하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호지슨은 ''디케이''가 퍼즐에 더 중점을 둔 탓에 액션 요소가 "고든의 싱글 플레이어 퀘스트에 비해 다소 약하다"고 느꼈다.[23] Allgame은 ''디케이''를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하프라이프''의 "추가 보너스"라고 묘사했지만, 2인용으로 설계되어 싱글 플레이어가 두 캐릭터를 번갈아 플레이할 경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고 언급했다.[24] GameSpy와 GameSpot도 이 점에 동의했다.[22][23] IGN의 비평가 더그 페리는 ''디케이''가 "나름대로 괜찮지만" 메인 게임에서 벗어난 부가적인 요소이며, "뜨거운 뉴욕 스테이크 요리보다는 곁들여 먹는 야채 수프"와 같다고 평가했다.[25] 반면, ''The Electric Playground''의 리뷰어 스티브 스미스는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하프라이프''의 조작 체계가 "PS2 또는 다른 어떤 콘솔에서도 볼 수 있는 최고 수준"이라고 언급했지만, ''디케이''는 "괜찮은 부가 요소"이지만 "이 포트를 구매할 이유는 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Half-Life'' Credits"
http://www.allgame.c[...]
Allgame
2008-10-23
[2]
웹사이트
"''Half-Life'' Q&A"
http://uk.gamespot.c[...]
2001-09-13
[3]
웹사이트
"''Half-Life'': The Story so Far"
http://ep1.half-life[...]
Valve
2008-03-24
[4]
웹사이트
About Decay
http://decay.half-li[...]
Half-Life Creations
2008-09-26
[5]
비디오 게임
Half-Life: Decay
2001
[6]
비디오 게임
Half-Life: Decay
2001
[7]
비디오 게임
Half-Life: Decay
2001
[8]
비디오 게임
Half-Life: Decay
2001
[9]
웹사이트
"Sierra Delivers ''Half-Life'' to PlayStation 2"
http://uk.ps2.ign.co[...]
2000-11-17
[10]
웹사이트
"E3 2001 Hands-on ''Half-Life''"
http://uk.gamespot.c[...]
2001-05-18
[11]
웹사이트
"''Half-Life'' Preview"
http://uk.ps2.ign.co[...]
2001-09-19
[12]
웹사이트
"''Half-Life'' Updated preview"
http://uk.gamespot.c[...]
2001-09-11
[13]
웹사이트
"''Half-Life'' Hi-Res Trailer (PS2)"
http://uk.insider.ig[...]
IGN
2001-08-11
[14]
웹사이트
"''Half-Life: Decay'' nears completion"
http://uk.gamespot.c[...]
2001-08-18
[15]
웹사이트
"''Half-Life'' PS2 goes gold"
http://uk.gamespot.c[...]
2001-10-30
[16]
웹사이트
"''Half-Life'' PS2 ships next week"
http://uk.gamespot.c[...]
2008-10-23
[17]
웹사이트
"''Half-Life''"
http://ps2.gamespy.c[...]
2024-03-30
[18]
웹사이트
"''Half-Life''"
https://www.jeuxvide[...]
2024-03-30
[19]
웹사이트
"''Half-Life: Decay'' - It's released!"
http://decay.half-li[...]
Half-Life Creations
2008-09-23
[20]
웹사이트
"''Half-Life: Decay'' Released"
http://planethalflif[...]
GameSpy
2008-09-24
[21]
뉴스
"''Half-Life'': The Lost Chapter"
http://www.rockpaper[...]
2008-10-24
[22]
웹사이트
"''Half-Life'' for PlayStation 2 Review"
http://uk.gamespot.c[...]
2001-10-15
[23]
웹사이트
"Reviews: ''Half-Life'' (PS2)"
http://archive.games[...]
GameSpy
2008-10-23
[24]
웹사이트
"''Half-Life'' Review"
http://www.allgame.c[...]
Allgame
2008-10-24
[25]
웹사이트
"''Half-Life'' Review"
http://uk.ps2.ign.co[...]
2008-10-24
[26]
웹사이트
"Review: ''Half-Life''"
http://www.elecplay.[...]
2008-10-24
[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decay.half-li[...]
2008-08-16
[28]
웹인용
Decay project status
http://decay.half-li[...]
2008-08-16
[29]
문서
스팀 포럼에 존재하는 Marc Raidlaw의 스토리 관련 설명 글들
http://forums.stea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