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문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프문섬은 남극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화산암 기저 섬들을 연결하는 자갈 둑으로 이루어져 있다.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 암석의 안산암 관입과 토날라이트, 가브로 등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라이스토세 빙상 후퇴 이후 빙하 작용의 영향을 받았다. 이 섬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턱끈펭귄, 남극도둑갈매기 등을 포함한 여러 종의 조류가 번식한다. 또한 웨델해표, 남극물개, 남방코끼리해표 등 해양 포유류와 고래가 관찰되기도 한다. 하프문섬은 남극 크루즈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으로, 11월부터 3월까지 방문이 가장 많으며, 구글 스트리트 뷰 이미지가 제공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기지
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기지는 칠레의 남극 기지로, 킹조지 섬에 위치하며 비야 라스 에스트레야스 주거 구역과 테니엔테 R. 마르쉬 공항을 갖추고 툰드라 기후를 나타낸다.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의 섬 - 리빙스턴섬
리빙스턴 섬은 서남극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에 위치하며, 빙벽 해안선과 빙모, 산악 지형을 특징으로 하고, 1819년 발견되어 물개 사냥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연구 기지가 운영되고 특별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의 섬 - 킹조지섬
킹조지섬은 남극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1819년 윌리엄 스미스에 의해 발견되어 조지 3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여러 국가의 남극 관측 기지가 밀집되어 생물, 지학 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남극 조약에 따라 영토 주장이 유보된 채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연구 기지를 운영하고, 해안 지역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관광과 남극 마라톤 등의 활동도 이루어진다.
| 하프문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위치 정보 | |
![]() | |
| 위치 | 남극 |
| 군도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
| 면적 (헥타르) | 171 |
| 일반 정보 | |
| 별칭 | 없음 |
| 인구 | 무인도 |
| 관리 | |
| 조약 시스템 | 남극 조약 시스템 |
2. 지질
이 섬은 화산암 기저 섬들을 연결하는 일련의 자갈 둑(육계사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북쪽 끝(새들백 능선)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 암석의 안산암 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헨티나 기지 근처에는 초기 백악기에서 초기 제3기에 해당하는 토날라이트 관입이 있다. 턱끈펭귄 서식지 근처의 암석은 같은 시대의 가브로 관입이다. 남동쪽 끝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해당하는 안산암 용암과 라필리 돌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한 자갈 둑은 플라이스토세 빙상의 후퇴 이후 이 지역의 빙하 이후의 평형 융기의 결과이다. 모양에도 불구하고, 하프문섬이 화산 분화구이거나 그랬다는 증거는 없다.
2. 1. 지형 형성
이 섬은 화산암 기저 섬들을 연결하는 일련의 자갈 둑(육계사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북쪽 끝(새들백 능선)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 암석의 안산암 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헨티나 기지 근처에는 초기 백악기에서 초기 제3기에 해당하는 토날라이트 관입이 있다. 턱끈펭귄 서식지 근처의 암석은 같은 시대의 가브로 관입이다. 남동쪽 끝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해당하는 안산암 용암과 라필리 돌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한 자갈 둑은 플라이스토세 빙상의 후퇴 이후 이 지역의 빙하 이후의 평형 융기의 결과이다. 모양에도 불구하고, 하프문섬이 화산 분화구이거나 그랬다는 증거는 없다.2. 2. 암석 구성
이 섬은 화산암 기저 섬들을 연결하는 일련의 자갈 둑(육계사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북쪽 끝(새들백 능선)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 암석의 안산암 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헨티나 기지 근처에는 초기 백악기에서 초기 제3기에 해당하는 토날라이트 관입이 있다. 턱끈펭귄 서식지 근처의 암석은 같은 시대의 가브로 관입이다. 남동쪽 끝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해당하는 안산암 용암과 라필리 돌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한 자갈 둑은 플라이스토세 빙상의 후퇴 이후 이 지역의 빙하 이후의 평형 융기의 결과이다. 모양에도 불구하고, 하프문섬이 화산 분화구이거나 그랬다는 증거는 없다.2. 3. 빙하의 영향
이 섬은 화산암 기저 섬들을 연결하는 일련의 자갈 둑(육계사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의 북쪽 끝(새들백 능선)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 암석의 안산암 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르헨티나 기지 근처에는 초기 백악기에서 초기 제3기에 해당하는 토날라이트 관입이 있다. 턱끈펭귄 서식지 근처의 암석은 같은 시대의 가브로 관입이다. 남동쪽 끝은 늦은 쥐라기에서 초기 백악기에 해당하는 안산암 용암과 라필리 돌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한 자갈 둑은 플라이스토세 빙상의 후퇴 이후 이 지역의 빙하 이후의 평형 융기의 결과이다. 모양에도 불구하고, 하프문섬이 화산 분화구이거나 그랬다는 증거는 없다.3. 생태
wikitext
1971년, 데니스 C. 린지는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의 식생''을 출판하며 하프문섬의 식물상에 대해 최초로 보고했다.[1] 2018년 출판물에 따르면 섬에는 37종의 이끼와 59종의 지衣가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 발견된 유일한 관다발 식물은 남극좀새풀이다.[1] 또한 ''Prasiola crispa''와 ''Prasiola calophylla'' 두 종의 육상 조류도 존재한다.[1] 이 섬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는 남극벼룩(Deschampsia antarctica) 외에도 몇 종류의 지衣류와 선류가 있다.[6]
이 섬은 약 100쌍의 남극도둑갈매기 번식 집단을 지원하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 (IBA)으로 지정되었다.[2] 섬에서 둥지를 트는 다른 새로는 턱끈펭귄 (2000쌍), 남극제비갈매기 (125쌍), 켈프 갈매기 (40쌍), 윌슨바다제비와 검은배바다제비, 케이프바다괭이, 갈색도둑갈매기, 흰집부리오리, 황제 가마우지 등이 있다.[2] 이 섬에는 약 100쌍의 큰도둑갈매기가 번식하는 집단 서식지가 있어,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섬에서 번식하는 조류로는 이 외에도 턱끈펭귄(2000쌍), 남극제비갈매기(125쌍), 남극큰갈매기(40쌍), 흰얼굴바다제비, 검은배바다제비, 점박이풀마갈매기, 갈색도둑갈매기, 세가락도요, 검은머리물떼새가 있다.[6]
웨델해표와 남극물개가 정기적으로 해변에서 상륙한다. 남방코끼리해표의 기록도 있다.[2] 고래는 종종 해안을 순찰하는 모습이 목격된다. 웨델해豹물범과 남극물개는 매년 이 섬의 해안에 모습을 드러낸다. 남방코끼리물범의 출현도 기록되어 있다.[6] 해안에서는 종종 고래도 목격된다.
3. 1. 식물상
1971년, 데니스 C. 린지는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의 식생''을 출판하며 하프문섬의 식물상에 대해 최초로 보고했다.[1] 2018년 출판물에 따르면 섬에는 37종의 이끼와 59종의 지衣가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 발견된 유일한 관다발 식물은 남극좀새풀이다.[1] 또한 ''Prasiola crispa''와 ''Prasiola calophylla'' 두 종의 육상 조류도 존재한다.[1] 이 섬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는 남극벼룩(Deschampsia antarctica) 외에도 몇 종류의 지衣류와 선류가 있다.[6]3. 2. 동물상
이 섬은 약 100쌍의 남극도둑갈매기 번식 집단을 지원하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 (IBA)으로 지정되었다.[2] 섬에서 둥지를 트는 다른 새로는 턱끈펭귄 (2000쌍), 남극제비갈매기 (125쌍), 켈프 갈매기 (40쌍), 윌슨바다제비와 검은배바다제비, 케이프바다괭이, 갈색도둑갈매기, 흰집부리오리, 황제 가마우지 등이 있다.[2]이 섬에는 약 100쌍의 큰도둑갈매기가 번식하는 집단 서식지가 있어,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섬에서 번식하는 조류로는 이 외에도 턱끈펭귄(2000쌍), 남극제비갈매기(125쌍), 남극큰갈매기(40쌍), 흰얼굴바다제비, 검은배바다제비, 점박이풀마갈매기, 갈색도둑갈매기, 세가락도요, 검은머리물떼새가 있다.[6]
웨델해표와 남극물개가 정기적으로 해변에서 상륙한다. 남방코끼리해표의 기록도 있다.[2] 고래는 종종 해안을 순찰하는 모습이 목격된다.
웨델해豹물범과 남극물개는 매년 이 섬의 해안에 모습을 드러낸다. 남방코끼리물범의 출현도 기록되어 있다.[6]。해안에서는 종종 고래도 목격된다.
3. 2. 1. 조류
1971년, 데니스 C. 린지는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의 식생''을 출판하며 하프문섬의 식물상에 대해 최초로 보고했다. 2018년 출판물에 따르면 섬에는 37종의 이끼와 59종의 지衣가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발견된 유일한 관다발 식물은 남극좀새풀이다. 또한 ''Prasiola crispa''와 ''Prasiola calophylla'' 두 종의 육상 조류도 존재한다.[1]이 섬은 약 100쌍의 남극도둑갈매기 번식 집단을 지원하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 (IBA)으로 지정되었다. 섬에서 둥지를 트는 다른 새로는 턱끈펭귄 (2000쌍), 남극제비갈매기 (125쌍), 켈프 갈매기 (40쌍), 윌슨바다제비와 검은배바다제비, 케이프바다괭이, 갈색도둑갈매기, 흰집부리오리, 황제 가마우지 등이 있다.[2]
이 섬에는 약 100쌍의 큰도둑갈매기가 번식하는 집단 서식지가 있어,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섬에서 번식하는 조류로는 이 외에도 턱끈펭귄(2000쌍), 남극제비갈매기(125쌍), 남극큰갈매기(40쌍), 흰얼굴바다제비, 검은배바다제비, 점박이풀마갈매기, 갈색도둑갈매기, 세가락도요, 검은머리물떼새가 있다.[6]
3. 2. 2. 해양 포유류
웨델해표와 남극물개가 정기적으로 해변에서 상륙한다. 남방코끼리해표의 기록도 있다.[2] 고래는 종종 해안을 순찰하는 모습이 목격된다.웨델해豹물범과 남극물개는 매년 이 섬의 해안에 모습을 드러낸다. 남방코끼리물범의 출현도 기록되어 있다.[6]。해안에서는 종종 고래도 목격된다.
4. 관광 및 접근성
이 섬은 남극 크루즈의 기착지로 사용되며, 11월에서 3월 사이에 방문객이 가장 많다.[3] 섬 남쪽에는 2000m 길이의 산책로가 있어 관광객들이 야생 동물(주로 턱끈펭귄과 도둑갈매기)과 인근 리빙스턴 섬과 그리니치 섬의 산악 경관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3]
이 길은 멩구안테 만 남쪽에서 시작하여 해변을 따라 서쪽으로 카마라 기지까지 이어지며, 멩구안테 만의 머리 부분을 따라 북쪽으로 돌아서 결국 북동쪽으로 올라가 세니아 언덕 정상에 이른다.[3]
2010년 9월, 구글은 구글 어스 및 구글 지도 서비스에 하프문섬의 스트리트 뷰 이미지를 추가했다.[4][8] 이로써 구글 스트리트 뷰는 7개 대륙 모두의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었다.[5][9] 섬에는 도로가 없으므로, 이미지는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시점을 이동하여 땅을 보면 사진작가의 그림자를 명확히 볼 수 있다. 또한 섬이 펭귄의 번식지이기 때문에 구글의 아이콘인 페그맨은 한때 펭귄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4. 1. 관광 코스
이 섬은 남극 크루즈의 기착지로 사용되며, 11월에서 3월 사이에 방문객이 가장 많다.[3] 섬 남쪽에는 2000m 길이의 산책로가 있어 관광객들이 야생 동물(주로 턱끈펭귄과 도둑갈매기)과 인근 리빙스턴 섬과 그리니치 섬의 산악 경관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3]이 길은 멩구안테 만 남쪽에서 시작하여 해변을 따라 서쪽으로 카마라 기지까지 이어지며, 멩구안테 만의 머리 부분을 따라 북쪽으로 돌아서 결국 북동쪽으로 올라가 세니아 언덕 정상에 이른다.[3]
4. 2. 구글 스트리트 뷰
2010년 9월, 구글은 구글 어스 및 구글 지도 서비스에 하프문섬의 스트리트 뷰 이미지를 추가했다.[4][8] 이로써 구글 스트리트 뷰는 7개 대륙 모두의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었다.[5][9] 섬에는 도로가 없으므로, 이미지는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시점을 이동하여 땅을 보면 사진작가의 그림자를 명확히 볼 수 있다. 또한 섬이 펭귄의 번식지이기 때문에 구글의 아이콘인 페그맨은 한때 펭귄으로 대체되기도 했다.5.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Description of plant communities on Half Moon Island, Antarctica
https://www.tandfonl[...]
2024-08-23
[2]
웹사이트
Half Moon Island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1-01
[3]
google maps
Half Moon Trail
https://maps.google.[...]
2012-03-13
[4]
웹사이트
Official Google Blog: Explore the world with Street View, now on all seven continents
http://googleblog.bl[...]
Google
2010-10-02
[5]
뉴스
Google Street View: No more privacy for penguins as Antarctica gets mapped
https://www.theguard[...]
2012-03-13
[6]
웹사이트
Half Moon Island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1-01
[7]
google maps
Half Moon Trail
http://maps.google.c[...]
2012-03-13
[8]
웹사이트
Official Google Blog: Explore the world with Street View, now on all seven continents
https://googleblog.b[...]
Google
2010-10-02
[9]
뉴스
Google Street View: No more privacy for penguins as Antarctica gets mapped
http://www.guardian.[...]
2012-03-13
[10]
웹인용
Half Moon Island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