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계집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계집락은 1991년 일본의 오노 아키라 교수가 제안한 개념으로,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공동체 유지가 어려워진 마을을 의미한다. 일본 정부는 한계집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를 실시했으며, 2000년대 이후 한계 자치체 수가 증가했다. 한국의 농촌 문제와 유사하며, 도시 지역에서도 고령화로 인한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계집락 재생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작품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경제 문제 - 저출산
    저출산은 인구 유지가 어려운 낮은 출산율을 의미하는 용어로,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만혼화 추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 인구경제 문제 - 맬서스주의
    맬서스주의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빈곤과 기근을 초래할 것이라는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이론으로, 인구 조절 방법 제시 및 다른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나 기술 발전으로 비판받기도 했지만, 자원 고갈 문제와 함께 신맬서스주의로 논의되고 있다.
  • 일본어 낱말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낱말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한계집락
개요
정의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공동체 유지 기능이 저하되어 소멸 위기에 처한 마을
요건
고령화 비율55% 초과
사회적 영향
문제점의료 서비스 부족
교통망 마비
상업 시설 부족
방범 및 재해 예방 시스템 약화
공동체 의식 저하
경작 포기 증가
배경
원인젊은 세대의 도시 이주
낮은 출산율
고령화 심화
대책
정부 지원정주 지원금 지급
의료 및 복지 서비스 강화
지역 활성화 사업 추진
참고 자료
관련 용어과소화, 고령화, 인구 감소
관련 법규특정 농산 어촌 지역 활성화 촉진법

2. 역사

1991년, 나가노 대학의 오노 아키라(大野晃) 명예교수가 고치 대학에서 인문학을 가르치면서 '한계집락'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다.[4] 오노 아키라는 임업 쇠퇴와 산촌의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문제를 연구하면서 '과소'라는 용어 대신 '한계집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4] 1988년 고치현 아가와군 이케가와정(현 니요도가와정)의 이와가라 집락을 연구하면서 이 개념을 처음 떠올렸다.[4] 오노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지방 자치 단체 총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상태를 ''''한계 자치체''''라고 명명했고, '한계 집락'은 이 정의를 집락 단위로 세분화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일본 정부는 한계집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를 실시했다. 2005년 일본 농림수산성은 겐카이 집락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농촌 개발 위원회에 의뢰했으며, 그 결과 위험에 처한 마을이 약 1,403개로 추정되었다.[1] 2006년 4월, 일본 국토교통성은 인구 감소 지역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고, 보고서에 따르면 방문한 62,273개의 마을 중 775개가 인구 감소를 겪고 있었다.[2]

2000년 시점에서 '한계 자치체'는 고치현 나카오카군의 오토요정뿐이었지만, 2015년에는 51개, 2030년에는 144개 자치체가 '한계 자치체'로 전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4] 2015년 국세 조사에서는 한계 자치체의 수가 18개 정촌으로 조사되었다.[4] 2020년 국세 조사에서는 한계 자치체의 수가 60시정촌으로, 홋카이도 우타시나이시, 유바리시 등 5개 시와 55개 정촌이 해당되었다.

총무성,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의 공식 문서에서 한계집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8][9], "집락의 한계화[10]"와 같은 표현도 채택되고 있다.

일본의 한계집락 문제는 대한민국의 농촌 고령화, 인구 감소, 지역 소멸 문제와 유사한 점이 많다.[8][9] 한국에서도 196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농촌 인구가 도시로 대거 이동했고, 이는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초래했다. 총무성,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의 공식 문서에서 한계집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집락의 한계화"와 같은 표현도 채택되고 있다.[10] 미야자키현에서는 2008년경 사용을 자제하려는 움직임, "활기찬 집락"으로의 순화 움직임이 있었다.[11]

사회학자 야마시타 유스케는 한계집락이 과소화와 고령화로 소멸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댐 이주 등 인위적인 작용으로 소멸된 사례가 많다며 "그렇게 쉽게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12] 100명 전후 수준의 한계집락은 문제가 있어, 지역 부흥 협력대원에 의한 다른 집락으로의 이주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3] 2021년에 도쿄도조후시에서 시코쿠 지방의 산간부 한계집락으로 이주한 후, 800명 정도의 지방 집락으로 이주한 지역 부흥 협력대원 남성은 인간관계의 문제가 어디에나 있지만, 해당 집락에서는 도시부와 같은 적당한 관계는 허용되지 않았고, 들어갈 것인가 나갈 것인가의 양자택일이었다고 말한다.[14][15]

2. 1. 일본의 한계집락 개념

1991년, 나가노 대학의 오노 아키라(大野晃) 명예교수가 고치 대학에서 인문학을 가르치면서 처음으로 '한계집락'이라는 개념을 제안했다.[4] 오노 아키라는 임업 쇠퇴와 산촌의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문제를 연구하면서 '과소'라는 용어 대신 '한계집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4] 1988년 고치현 아가와군 이케가와정(현 니요도가와정)의 이와가라 집락을 연구하면서 이 개념을 처음 떠올렸다.[4] 오노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지방 자치 단체 총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상태를 ''''한계 자치체''''라고 명명했고, '한계 집락'은 이 정의를 집락 단위로 세분화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일본 정부는 한계집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를 실시했다. 2005년 일본 농림수산성은 겐카이 집락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농촌 개발 위원회에 의뢰했으며, 그 결과 위험에 처한 마을이 약 1,403개로 추정되었다.[1] 2006년 4월, 일본 국토교통성은 인구 감소 지역의 실태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고, 보고서에 따르면 방문한 62,273개의 마을 중 775개가 인구 감소를 겪고 있었다.[2]

2000년 시점에서 '한계 자치체'는 고치현 나카오카군의 오토요정뿐이었지만, 2015년에는 51개, 2030년에는 144개 자치체가 '한계 자치체'로 전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4] 2015년 국세 조사에서는 한계 자치체의 수가 18개 정촌으로 조사되었다.[4] 2020년 국세 조사에서는 한계 자치체의 수가 60시정촌으로, 홋카이도 우타시나이시, 유바리시 등 5개 시와 55개 정촌이 해당되었다.

총무성,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의 공식 문서에서 한계집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8][9], "집락의 한계화[10]"와 같은 표현도 채택되고 있다.

2. 2. 한국의 농촌 문제와 유사성

일본의 한계집락 문제는 대한민국의 농촌 고령화, 인구 감소, 지역 소멸 문제와 유사한 점이 많다.[8][9] 한국에서도 196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농촌 인구가 도시로 대거 이동했고, 이는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초래했다. 총무성,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의 공식 문서에서 한계집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집락의 한계화"와 같은 표현도 채택되고 있다.[10] 미야자키현에서는 2008년경 사용을 자제하려는 움직임, "활기찬 집락"으로의 순화 움직임이 있었다.[11]

사회학자 야마시타 유스케는 한계집락이 과소화와 고령화로 소멸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댐 이주 등 인위적인 작용으로 소멸된 사례가 많다며 "그렇게 쉽게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12] 100명 전후 수준의 한계집락은 문제가 있어, 지역 부흥 협력대원에 의한 다른 집락으로의 이주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3] 2021년에 도쿄도조후시에서 시코쿠 지방의 산간부 한계집락으로 이주한 후, 800명 정도의 지방 집락으로 이주한 지역 부흥 협력대원 남성은 인간관계의 문제가 어디에나 있지만, 해당 집락에서는 도시부와 같은 적당한 관계는 허용되지 않았고, 들어갈 것인가 나갈 것인가의 양자택일이었다고 말한다.[14][15]

3. 용어 정의

한계집락 관련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명칭정의내용
존속 집락55세 미만, 인구 비율 50% 이상후계자가 확보되어 있으며, 공동체의 기능을 다음 세대에 계승할 수 있는 상태.
준(準) 한계 집락55세 이상, 인구 비율 50% 이상현재는 공동체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후계자 확보가 어려워 한계 집락의 예비군이 된 상태.
한계 집락65세 이상, 인구 비율 50% 이상고령화가 진행되어 공동체의 기능 유지가 한계에 달한 상태.
위기적 집락65세 이상, 인구 비율 70% 이상9가구 이하, 고령화가 진행되어 공동체의 기능 유지가 극에 달한 상태.
초(超) 한계 집락특별한 정의 없음특별한 정의는 없지만, 약 5가구 이하, 한계(위기적) 집락의 상태를 넘어 소멸 집락으로의 이행이 시작된 상태.
폐촌 집락1가구 2명 이하초 한계 집락의 상태를 넘어, 1가구만 남게 되어 집락의 기능이 완전히 소멸된 상태.
소멸 집락인구 0한때 주민이 존재했지만, 완전히 무주지가 되어 문자 그대로 집락이 소멸된 상태.


4. 현황 및 실태 조사

4. 1. 일본의 조사

일본 정부는 한계집락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를 실시했다. 1999년 구 국토청 조사에서는 일본 전체에서 약 2,000개 이상의 집락이 소멸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1]

2006년 3월 일본 농림수산성이 농촌개발기획위원회에 위탁한 조사에서는 '무주화 위기 집락'이 전국적으로 1,403개로 추정되었다.[1] 이 조사는 농업 집락을 대상으로 했다.

2006년 4월 일본 국토교통성이 실시한 조사(2008년 8월 17일 최종 보고)에서는 과소 지역을 안고 있는 전국 775개 시정촌의 62,273개 집락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17][18][19] 그 결과, 고령자(65세 이상)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집락은 7,878개(12.7%)였으며,[2] 기능 유지가 곤란한 집락은 2,917개(4.7%), 10년 이내에 소멸할 가능성이 있는 집락은 423개, 언젠가 소멸할 가능성이 있는 집락은 2,220개로 총 2,643개 집락이 소멸 위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9년 조사와 비교하여 284개 증가한 수치이다. 여기서 "집락"은 세계농림업센서스의 "농업집락"과는 다른 개념이다.

2019년 4월 일본 총무성일본 국토교통성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인 집락의 비율은 32.2%(20,372집락)였다.[20] 75세 이상인 집락의 비율은 5.8%(3,676집락)였다. 향후 10년 이내에 소멸(무인화)될 가능성이 있는 집락은 0.7%(454집락), 언젠가 소멸될 것으로 예측되는 집락은 4.3%(2,744집락)였다. 이전 조사(4년 전)와 비교하여 집락 수는 0.6%(349집락), 집락 인구는 6.97%(72만 5590명) 감소했으며, 집락의 평균 인구는 169.3명에서 158.4명으로 감소했다.

4. 2. 한국의 현황

5. 도시 지역의 유사 현상

2008년에 한계 집락으로 판명된 도쿄도신주쿠구의 토야마 단지가 있다.[21]

도시권베드타운이나 한때의 신흥 주택지 등에서의 단신자를 위한 대규모 공영 단지에 고령자의 입주가 집중되는 문제 외에도, 수십 년 전에 일제히 입주한 핵가족 세대의 아이가 독립하여 부모 세대만 남는 등의 이유로 고령화율이 극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생활 곤궁으로 인한 고독사나 공동체의 붕괴 등, 농산어촌의 벽지나 섬에 있는 과소 지역의 한계 집락과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어 복잡한 상황이다.

이러한 도시부에서 고령화가 심각한 지구를 가리켜 "한계 단지"나 "한계 맨션"[22], "한계 도시"[23]와 같은 파생어도 사용되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수도권의 일부 오래된 아파트 단지나 재개발 지역에서 이와 유사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6. 한계집락 재생 노력

한계집락의 재생을 위한 시도가 각 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빈집이 되어버린 건물을 개수하여 사업화함으로써, 집락 사람들이 운영하여 다시 그 지역에 활기를 되찾는 시도이다.[24] 이러한 사업에는 숙박 시설, 카페, 레스토랑, 커뮤니티 시설 등이 있으며, "작은 거점" 정비 사업이라고도 불린다.[24] 성공 사례로는 효고현 단바사사야마시에 위치한 "집락마루야마"가 있으며, 2009년에 시도를 시작하여 3년 만에 재생을 이루었다.[24] 집락마루야마에서는 집락 주민들이 스스로 사업 주체가 되어 민숙을 경영하고,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으로 운영된다.[24]

이러한 노력에는 집락 영농 법인, 농업 법인, 노동자 협동조합(워커스 콜렉티브) 창업, 집단 농장화, 지역 활성화(마을 부흥), 빈집을 활용한 상업 운영 등이 있다.

7. 관련 작품

7. 1. 문학


  • 한계집락 주식회사 구로노 신이치 저, 쇼가쿠칸(2011년, 4만 부), 쇼가쿠칸 문고(2013년, 3개월 만에 10만 부)[25]
  • 남겨진 사람들 오노 마사쓰구 (저) (슈에이샤 문고 2015/5/20)

7. 2. 만화

스즈키 미소의 한계집락(아슬아슬) 온천은 엔터브레인 (빔 코믹스 2010년~2012년)에서 출판되었으며, Kindle판은 스즈키 미소에서 제2판(2013/1/5)으로 출판되었다.

7. 3. TV 프로그램


  • 일요극장으로 방영된 나폴레옹의 마을이 있다.
  • NHK의 토요 드라마로 『한계집락 주식회사』가 2015년 1월 31일부터 매주 토요일 21시에 방송되었다.
  • TBS의 원 스텝!은 젊은이들이 자원봉사하는 프로그램이지만, 한계집락을 다룬 적이 많았다.

8. 비판적 관점

9.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調査結果 http://www.maff.go.j[...] 財団法人農村開発企画委員会 2009-02-19
[2] 간행물 調査報告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3] 기타 限界集落 2024-01-13
[4] 웹사이트 富山大学 https://www.hmt.u-to[...] 2024-01-13
[5] 뉴스 解説記事「全国174集落が消滅、5年間で」『読売新聞』朝刊2018年6月5日・社会保障面掲載/年間連載【老いをどこで】第2部 地域「超高齢の村」そしてネコだけが残った/限界集落 最後の 1人も施設へ
[6] 뉴스 北海道夕張市、高齢化率50%超 全国の市で最高 https://www.sankei.c[...] 2022-12-08
[7] 뉴스 東京23区にも「限界集落」15カ所 高齢化する地域、誰が支え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10-15
[8] 웹사이트 「限界集落」1割増え2万か所超す、いずれ無人化の可能性2744集落 https://www.yomiuri.[...] 2024-01-13
[9] 문서 https://www.soumu.go[...]
[10] 문서 https://www.soumu.go[...]
[11] 뉴스 「限界集落」は「いきいき集落」 東国原知事が発表 http://sankei.jp.msn[...] 2011-06-21
[12] 서적 限界集落の真実 筑摩書房 2013
[13] 웹사이트 「妻から『あなた、たぶん病気だよ』と」緊急搬送、自宅の火事、住民とのトラブル…“限界集落”に移住したYouTuberが明かす、移住失敗までの経緯 https://bunshun.jp/a[...] 2024-01-13
[14] 웹사이트 退職し東京から限界集落へ「移住失敗、もう限界」 一家の絶望と希望 https://www.asahi.co[...] 2024-01-13
[15] 웹사이트 「もう限界」移住失敗した男性の後悔 限界集落で起きた「うわさ話」 https://www.asahi.co[...] 2024-01-13
[16] 웹사이트 調査結果 -「限界集落における集落機能の実態等に関する調査 http://www.maff.go.j[...] 農村開発企画委員会 2011-06
[17] 웹사이트 調査報告 - 過疎地域等における集落の状況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1-06-21
[18] 웹사이트 平成18年度「国土形成計画策定のための集落の状況に関する現況把握調査」~最終報告~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1-06-21
[19] 웹사이트 国土形成計画策定のための集落の状況に関する現況把握調査(図表編)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1-06-21
[20] 웹사이트 令和元年度 過疎地域等における集落の状況に関する現況把握調査 https://www.soumu.go[...] 国土交通省 2021-09-21
[21] 뉴스 東京・新宿に「限界集落」 大規模都営団地が高齢化 http://www.47news.jp[...] 2022-12-08
[22] 서적 限界マンション 次に来る空き家問題 https://www.nikkeibo[...]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22-12-08
[23] 뉴스 日本経済新聞』限界都市シリーズ 2018-06-18
[24] 웹사이트 限界集落の再生 - 集落丸山 https://maruyama-v.j[...]
[25] 뉴스 「ベストセラーの内側」日本経済新聞 2014年2月5日夕刊11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