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맬서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맬서스주의는 18세기 말 토머스 맬서스의 《인구론》에서 제기된 빈곤에 대한 이론으로, 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 증가를 앞질러 빈곤과 고통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맬서스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예방적 제한(출산율 감소)과 적극적 제한(사망률 증가)을 제안했다. 현대적 맬서스주의(신맬서스주의)는 기술 발전이 1인당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맬서스 시대에는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로 인해 1인당 소득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맬서스주의는 데이비드 리카도, 칼 마르크스, 헨리 조지 등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기술 발전과 생산성 증대, 인구 전환 이론 등을 통해 맬서스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시경제학 이론 - 현대 화폐 이론
    현대 화폐 이론(MMT)은 불환지폐 경제에서 정부의 역할과 재정 정책을 분석하는 경제 이론으로, 정부는 자국 통화 부채에 대한 채무 불이행 위험이 없으며 조세는 통화 가치 유지 및 경제 균형 수단이라고 주장하지만 인플레이션 제약 등에서 주류 경제학계와 이견을 보인다.
  • 거시경제학 이론 - 쌍둥이 적자
    쌍둥이 적자는 재정 적자가 경상수지 적자를 유발할 수 있다는 거시경제 이론으로, 한국은 대외 의존적인 경제 구조로 인해 취약하며 정부는 재정 건전성 확보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해 예방을 노력하고 있다.
  • 인구경제 문제 - 저출산
    저출산은 인구 유지가 어려운 낮은 출산율을 의미하는 용어로,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만혼화 추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 인구경제 문제 - 도시쇠퇴
    도시쇠퇴는 인구 감소와 구별되는 현상으로, 상주·주간인구 감소, 노령화, 경제력 하락 등 복합적 요인으로 도시의 주요 기능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것을 의미하며 산업화, 탈산업화, 젠트리피케이션, 역도시화 등과 관련되어 1970년대 이후 북미와 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에너지 경제학 - 1973년 석유 파동
    1973년 석유 파동은 욤키푸르 전쟁 이후 OPEC의 석유 생산량 감축과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원유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를 야기하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세계 경제 질서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에너지 경제학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는 경제 성장,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 접근을 보장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 포집 기술 개발, 정부 정책 지원을 통해 화석연료와 핵에너지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목표하는 에너지 생산 및 소비 방식이다.
맬서스주의

2. 역사적 배경

맬서스주의는 18세기 말, 빈곤의 기원에 대한 지적 논쟁의 일부로 등장했다. 인구론윌리엄 고드윈, 콩도르세 후작 등 인류의 완전성을 믿었던 사상가들과 맬서스 자신의 아버지에게 반박하는 글이었다. 맬서스는 인류가 너무 빨리 번식하는 능력은 완전성을 향한 노력을 헛되게 만들고 다양한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고 믿었다.

맬서스는 노동자 계급의 빠른 번식 경향을 비판하고, 이것이 자본가의 노동 착취보다는 그들의 빈곤을 초래한다는 믿음을 가졌는데, 이는 그의 이론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23] 맬서스주의자들은 토리당의 가부장주의를 전형으로 하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자선은 헛된 것이라고 인식했는데, 이는 가난한 사람들의 수를 증가시킬 뿐이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론들은 1834년 빈민법 개정안으로 대표되는 영국 휘그당의 경제적 아이디어에 영향을 미쳤다. 이 법은 반대자들에 의해 "가난한 사람들의 이주를 강요하고, 더 낮은 임금으로 일하게 하고, 더 거친 종류의 음식을 먹도록 설계된 맬서스 법안"이라고 묘사되었으며,[24] 이는 폭동과 방화에도 불구하고 구빈원의 건설을 시작하게 했다.

맬서스는 『인구론』의 후기 판에서 자신의 이론을 수정하여 보다 낙관적인 어조를 취했지만, 그의 수정 정도에 대해서는 학문적인 논쟁이 있다.[37] 메릴랜드 대학교 볼티모어 카운티 역사 교육 센터의 댄 리첼(Dan Ritschel)에 따르면, "맬서스주의의 가장 큰 공포는 '무차별적인 자선'이 빈곤층의 기하급수적인 인구 증가, 이러한 증가하는 의존적인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공적 자금의 증가, 궁극적으로는 국가 파산의 재앙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었다. 맬서스주의가 일반적인 과잉 인구 문제와 동일시되었지만, 원래 맬서스주의의 관심사는 특히 의존적인 빈곤층의 과잉 인구에 대한 두려움과 더 관련이 있었다."[25]

맬서스주의는 19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기술 발전, 농업을 위한 새로운 영토의 개척, 국제 무역의 증가로 인해 덜 일반적인 지적 전통이 되었다.[37]

2. 1. 맬서스의 이론적 주장

토머스 맬서스는 1798년 인구론에서 자신의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의 인구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국가의 행복은 식량 생산의 유사한 증가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나라의 행복은 … 식량의 연간 증가가 제한 없는 인구의 연간 증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에 달려있다."라고 하였다.[19]

맬서스에 따르면 인구 증가는 풍요와 부족의 자연스러운 주기로 이어진다. 맬서스는 인구가 증가하기 전에 식량이 부족해지면, 가난한 사람들은 더 나쁜 상황에 놓이고,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을 것이라고 했다. 노동자 수가 많아지면 임금은 낮아지고, 식량 가격은 올라가 노동자들은 더 열심히 일해야 했다. 이러한 고통의 시기에 결혼을 꺼리고 가족을 부양하는 어려움이 커져 인구는 정체된다. 그동안 경작자들은 더 많은 노동을 토지에 투입하여 식량 생산량을 늘리고, 노동자의 상황이 다시 좋아지면 인구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어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고 하였다.

맬서스는 기아는 자연의 마지막 수단이며, 인구의 힘은 생존 수단을 생산하는 지구의 힘보다 훨씬 우월하므로, 조기 사망은 어떤 형태로든 인류를 방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

맬서스는 생전과 사후에도 경제학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그의 비판자 중 한 명은 프리드리히 엥겔스였다.[21][22]

2. 2. 맬서스주의와 진화론, 우생학

맬서스주의의 지지자 중 한 명은 소설가 해리엇 마티노였는데, 그녀의 지인 중에는 찰스 다윈도 있었다. 맬서스의 아이디어는 다윈의 진화론 시작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6] 다윈은 인구 증가가 결국 특정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유기체를 낳을 것이라는 생각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생존과 번식을 위한 투쟁에서 상대적 이점을 가진 유기체는 자신의 특성을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맬서스주의자들은 다윈의 아이디어의 영향을 받았고, 두 학파는 모두 우생학 분야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 주니어는 "부적합한" 사람들을 제거함으로써 맬서스적 재앙을 피하기 위해 "인간적인 출생 통제를 통한 인간적인 출생 선택"을 옹호했다.[37]

3. 인구 통제 방법

맬서스는 식량 공급과 관련하여 인구 증가를 관리하기 위해 '예방적 제한' 또는 '적극적 제한'이라고 설명하는 방법을 제안했다.[28]

맬서스는 저서 인구론에서 "한 나라의 행복은... 식량의 연간 증가가 제한 없는 인구의 연간 증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에 달려있다."라고 주장하며 인구와 식량 생산 간의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9]

맬서스는 인구 증가가 풍요와 부족의 자연스러운 주기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인구를 늘리려는 끊임없는 노력은... 생존 수단이 증가하기 전에 사람의 수를 증가시킨다"라며, 이로 인해 식량이 부족해지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어려움을 겪으며, 노동 가격은 감소하고 식량 가격은 상승한다고 설명했다.[19]

또한 맬서스는 "기아는 자연의 마지막, 가장 끔찍한 자원이다. 인구의 힘은... 지구의 힘보다 훨씬 우월하므로, 조기 사망은 어떤 형태로든 인류를 방문해야 한다"라며, 인구 과잉은 필연적으로 기아, 질병, 전쟁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경고했다.[20]

이러한 맬서스의 주장은 당시와 그 이후에도 많은 경제학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맬서스의 이론을 비판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다.[21][22]

3. 1. 예방적 제한

맬서스는 인구 증가를 관리하기 위해 '예방적 제한' 방법을 제안했다.[28] 맬서스에 따르면 예방적 제한은 자연이 인구 변화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주요 예로는 독신과 정절이 있지만, 맬서스가 유아 살해, 낙태, 간음과 함께 도덕적으로 방어할 수 없다고 비난한 피임도 포함된다.[28] 즉, 예방적 제한은 출산율을 줄여서 인구를 통제한다.[29]

3. 2. 적극적 제한

맬서스는 식량 공급과 관련하여 인구 증가를 관리하기 위해 ''적극적 제한''이라는 방법을 제안했다.

''적극적 제한''은 인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모든 사건이나 상황을 말한다. 주요 예로는 전쟁, 전염병, 기근이 있다.[30] 그러나 건강 악화와 경제 상황도 적극적 제한의 예로 간주된다.[31] 이러한 것들이 조기 사망률을 높이면, 그 결과는 맬서스 재앙이라고 불린다. 인구와 식량 공급의 관점에서 그러한 사건이 발생할 추상적인 지점을 보여주는 그림이 맬서스 재앙의 단순화된 그림이다. 인구가 공유된 공급의 수용력을 넘어서거나 초과하면, 적극적 제한이 발생하여 균형을 회복한다. (실제로 상황은 식량, 물, 기타 자원에 대한 접근과 관련된 복잡한 지역적 및 개인적 불균형으로 인해 훨씬 더 미묘할 것이다.)

4. 현대적 맬서스주의 (신맬서스주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계화된 농업은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녹색 혁명은 작물 수확량을 크게 늘려 세계 식량 공급을 확대하고 식량 가격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세계 인구 성장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폴 R. 에를리히와 같은 학자들은 맬서스적 재앙이 임박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64] 그러나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인구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었다.

21세기 초, 많은 기술 선진국들은 인구 전환을 경험했다. 이는 낮은 영아 사망률, 도시화 증가, 효과적인 피임의 광범위한 사용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총 출산율이 감소하는 복잡한 사회적 현상이다. 유엔 인구 기금은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인류의 인구가 자원 고갈 이전에 21세기 말에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65]

케네스 애로우와 폴 에를리히를[67] 포함한 경제학자 및 생태학자들은 1970년대 이후 인구 성장률 변화로 인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주요 관심사가 인구 증가에서 소비/저축 비율로 이동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공공 정책(세금, 재산권 설정 등)을 통해 소비와 투자를 조절함으로써 맬서스적 재앙을 피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맬서스는 인구가 25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고 보았으나,[68] 19세기 중반 이후 미국의 인구 증가율은 그보다 훨씬 낮았다. 맬서스는 과잉 인구가 전쟁, 기아, 질병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20세기 초중반의 식품 생산 기술 발전은 이러한 예측을 빗나가게 했다. 경제학자들은 맬서스가 경제 성장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하며, 문화적 변화 또한 식량 생산 증가에 영향을 미쳐 인구 이론을 변화시켰다고 지적한다.[69][70]

맬서스주의는 빈곤층에 대한 자선이 빈곤층 증가를 야기한다는 토리당온정주의적 관점과 1834년 신구빈법으로 구체화된 휘그당의 경제적 사고방식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빈곤층의 반발과 구빈원 건설로 이어지기도 했다.

찰스 다윈은 맬서스의 생각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진화 이론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메릴랜드 대학교 역사 교육 센터의 댄 리첼 박사는 맬서스의 주된 공포가 "무차별한 자선"으로 인한 빈곤층 인구의 기하급수적 증가와 국가 파산이었다고 설명한다.

카를 마르크스는 맬서스 이론을 비판하며, 과학과 기술 발전으로 인구 폭발에도 불구하고 식량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주장했다.[96]

4. 1. 현대적 공식

맬서스 이론의 현대적 공식은 캄룰 아쉬라프와 오데드 갈로어에 의해 개발되었다.[27] 이들의 이론적 구조는 더 높은 소득이 생식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가 자원 생산의 제한 요소로 작용하는 한, 기술 발전은 1인당 소득에 일시적인 영향만 미친다고 제안한다. 단기적으로 기술 발전은 1인당 소득을 증가시키지만, 기술 발전으로 인한 자원 풍요는 인구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결국 1인당 소득을 원래의 장기적 수준으로 되돌릴 것이다.

이 이론의 검증 가능한 예측은 맬서스 시대 동안 기술적으로 진보된 경제는 더 높은 인구 밀도를 보였지만, 1인당 소득 수준은 기술적으로 뒤떨어진 사회의 수준과 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5. 비판과 반론

맬서스 이론은 발표된 직후부터 다양한 비판과 반론에 직면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초기 비판: 데이비드 리카도를 비롯한 초기 비판가들은 맬서스의 이론이 임금에 대한 공격이라고 보았다. 휘틀리 스토크스, 조지 엔서, 윌리엄 해즐릿 등은 맬서스가 사회 제도, 정부 정책, 부의 분배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토머스 칼라일은 맬서스주의를 비관적이라 비판하며 적극적인 입법을 주장했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맬서스가 인간과 다른 종의 차이, 자본주의 사회의 과학 및 기술 발전을 간과했다고 비판했다.

  • 기술 발전과 생산성 증대: 맬서스는 산업화와 기술 발전의 영향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 헨리 조지는 빈곤의 원인이 인구 증가가 아니라 토지 소유 불평등에 있다고 주장했다. D. E. C. 에버스리는 맬서스가 산업화 가능성을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배리 코먼은 기술 발전이 인구 증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에스터 보저럽은 인구 증가가 농업 기술 발전을 이끈다고 주장했다. 녹색 혁명은 품종 개량, 화학 비료[96], 관개 시설 확충 등으로 농업 생산성을 크게 높여 맬서스의 예측을 빗나가게 했다.

  • 인구 전환 이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계화된 농업과 녹색 혁명으로 식량 생산이 크게 늘면서, 폴 R. 에를리히 등은 맬서스적 재앙을 예측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인구 전환 현상이 나타나 출산율이 감소하고 인구 증가가 둔화되었다. 유엔 인구 기금은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1세기 말 인구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65]

5. 1. 초기 비판

데이비드 리카도는 초기 비판자 중 한 명이었다. 맬서스는 이를 즉시 임금에 대한 자신의 이론에 대한 공격으로 정확하게 인식했다. 리카도와 맬서스는 이 문제에 대해 길고 개인적인 서신 교환을 벌였다.[71]

아일랜드에서 맬서스는 자신의 논문을 적용하여 "국가의 천연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상당 부분이 토지에서 제거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으며,[72] 이에 대한 반박이 초기에 있었다. 휘틀리 스토크스는 ''아일랜드 인구와 자원에 대한 관찰''(1821)에서 "개선된 산업, 개선된 운송, 도덕, 정부 및 종교의 개선"으로부터 인류가 얻는 이점을 언급하며, 번식이 생존 수단을 초과해야 한다는 "자연의 법칙"은 없다고 주장했다.[73] 그는 아일랜드의 문제는 "인구"가 아니라 무관심한 정부에 있다고 보았다.[74] 조지 엔서는 ''[https://books.google.com/books?id=34tLAAAAcAAJ&dq=George+Ensor,+Malthus&pg=PA77 국가의 인구에 관한 연구, 맬서스의 인구론에 대한 반박 포함]''(1818)에서 맬서스의 정치 경제에 대한 유사한 비판을 제기하며,[75] 빈곤은 무분별한 번식 성향이 아니라 국가가 사적 부의 무분별한 집중을 묵인함으로써 유지된다고 주장했다.[76]

윌리엄 해즐릿은 (1819) "맬서스는 지구의 생산물의 필수적인 한계와 사회 제도로 인한 생산물의 임의적이고 인위적인 분배를 혼동하고 싶어한다"고 썼다.[77][78]

토머스 칼라일은 맬서스주의를 비관적인 궤변으로 일축했다. 그는 ''차티즘''(1839)에서 "11만 8천 제곱마일의 공간에 흩어져 있는" "2천 4백만"의 영국 "노동자"가 노동력 공급을 줄이기 위한 "결의안"을 집단적으로 "채택"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부인했다. 설령 그들이 할 수 있다고 해도, 아일랜드 이민자들의 지속적인 유입은 그들의 노력을 쓸모없게 만들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맬서스주의를 ''자유 방임''과 연관시키면서, 대신 적극적인 입법을 옹호했다.[79] 그의 후기 에세이 "인디언 밀"(1849)은 옥수수 생산이 감자 작황 부진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식량 부족을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80]

칼 마르크스는 (엔서를 인용할 기회가 있었다)[81][82] 맬서스주의를 "단지 디포, 제임스 스튜어트 경, 타운젠드, 프랭클린, 월리스의 유치하고 피상적인 표절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84]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맬서스가 인간과 다른 종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엥겔스가 말했듯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과학 및 기술 "진보는 인구의 진보만큼 무제한적이고 적어도 빠르다".[83] 마르크스는 더 광범위하게, 인간 인구 ''전체''의 성장과 그 안의 "상대적 잉여 인구"가 자본 축적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발생한다고 주장했다.[84]

5. 2. 기술 발전과 생산성 증대

헨리 조지는 《진보와 빈곤》에서 인구 증가가 빈곤의 원인이라는 맬서스의 견해를 비판하며, 빈곤은 토지와 천연 자원의 소유가 집중된 것이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조지는 인간이 다른 종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는데, 대부분의 종과 달리 인간은 정신을 사용하여 자연의 번식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96]

D. E. C. 에버스리는 맬서스가 산업화의 정도를 알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고, 산업화가 빈곤층의 생활 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무시하거나 불신했다고 관찰했다.

배리 코먼은 《닫히는 원》에서 기술 발전이 결국 문명이 초래한 인구 증가와 환경 피해를 줄일 것이라고 믿었다.

에스터 보저럽은 인구 증가가 농업 집약화로 이어지고 보다 생산적이고 노동 집약도가 낮은 농업 방식의 개발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인간 인구 수준이 농업 방식을 결정하며, 농업 방식이 인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녹색 혁명은 품종 개량, 화학 비료[96], 관개 시설 확충 등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맬서스의 예측을 빗나가게 했다.

5. 3. 인구 전환 이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기계화된 농업은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녹색 혁명은 작물 수확량을 크게 늘려 세계 식량 공급을 확대하는 동시에 식량 가격을 낮췄다. 이에 따라 세계 인구 성장률이 빠르게 증가하여, 폴 R. 에를리히 등은 맬서스적 재앙을 예측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진국 인구는 생산성 향상에 따라 충분히 느리게 성장했다.

21세기 초, 많은 기술 선진국들은 인구 전환을 거쳤다. 이는 낮은 영아 사망률, 도시화 증가, 효과적인 피임의 광범위한 이용 등 다양한 출산력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총 출산율이 감소하는 복잡한 사회적 발전을 의미한다.

유엔 인구 기금은 인구 전환이 개발도상국으로 확산되면서 인류의 인구가 자원 고갈까지 계속 성장하는 대신, 21세기 말에 정점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65]

6. 한국 사회와 맬서스주의

대한민국은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경험하면서 인구 증가와 도시화,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맬서스주의적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1960~70년대 가족계획 사업: 한국 정부는 급격한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가족계획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는 맬서스주의적 관점에서 인구 과잉이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에 기반한 정책이었다.
  • 빈부 격차 심화: 한국 사회의 빈부 격차 심화 현상은 맬서스주의적 관점에서, 제한된 자원을 둘러싼 경쟁 심화와 불평등한 분배 문제로 해석될 수 있다.
  •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환경 오염과 자원 고갈 문제는 신맬서스주의적 관점에서 인구 증가와 과소비가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
  • 저출산 고령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은 맬서스 이론과는 상반되는 현상이지만,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Barrons AP Human Geography 2008 Edition https://books.google[...] Barron's Educational Series
[2] 서적 Malthus, Medicine & Morality: Malthusianism after 1798 https://books.google[...] Rodopi
[3] 서적 Handbook of Economic Growth Elsevier
[4] 서적 A Farewell to Alms: A Brief Economic History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Explosive Population Growth in Tropical Africa: Crucial Omission in Development Forecasts (Emerging Risks and Way Out) https://www.academia[...] 2014-01-01
[6] 웹사이트 The Malthusian Trap and Development in Pre-Industrial Societies: A View Differing from the Standard One http://ageconsearch.[...] 2017-02-26
[7] 서적 Malthus, Medicine, & Morality Rodopi
[8] 서적 Marx and Engels on the Population Bomb http://www.fortuneci[...] The Ramparts Press
[9] 학술지 A Bulletin Dialogue: on "The Closing Circle" – Response https://books.google[...] 1972-05-01
[10] 학술지 Resources, Population, Environment: An Oversupply of False Bad News https://www.science.[...] 1980-06-27
[11] 서적 Reproductive Rights in a Global Context: South Africa, Uganda, Peru, Denmark, United States, Vietnam, Jordan https://archive.org/[...]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006-01-01
[12] 간행물 Catholic Teaching on Population Issues https://www.usccb.or[...] Diocesan Development Program for Natural Family Planning
[13] 서적 The Long Emergenc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4] 학술지 Physics, Philosophy, and ... Ecology http://life.bio.suny[...] 2006-05-01
[15] 웹사이트 Reclaiming Malthus, Keynote address to the Annual Meeting of the Anthropologists and Sociologist of Kentucky http://www.faculty.r[...] 2011-04-19
[16] 서적 The Skeptical Environmentalist: Measuring the Real State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뉴스 Green revolution could still blow up in our face http://www.theage.co[...] 2008-02-03
[18] 학술지 Still Ticking http://www.the-scien[...]
[19] 서적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1798-01-01
[20] 서적 Oxford World's Classics reprint
[21] 서적 The Condition of the Working-Class in England in 1844 http://www.fordham.e[...] Swan Sonnenschein & Co
[22] 서적 The Escape from Hunger and Premature Death, 1700–21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From Malthus to the Club of Rome and Back https://books.google[...] M.E. Sharpe
[24] 서적 The Politics of Evolution: Morphology, Medicine, and Reform in Radical Lond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웹사이트 "Outcast London" and the late-Victorian Discovery of Poverty: Malthusianism and the New Poor Law http://www.umbc.edu/[...]
[26] 웹사이트 Charles Darwin: gentleman naturalist: A biographical sketch http://darwin-online[...] 2006-01-01
[27] 학술지 Dynamics and Stagnation in the Malthusian Epoch 2011-01-01
[28] 학술지 Malthus, malthusianism, family planning and ONAPO https://pubmed.ncbi.[...]
[29] 웹사이트 Reading: Demographic Theories | Introductory Sociology https://courses.lume[...]
[30] 웹사이트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http://www.esp.org/b[...] 2018-03-29
[31] 학술지 Can South Africa Avoid a Malthusian Positive Check? 2001-01-01
[32] 뉴스 When Keynes pondered Malthus http://ftalphaville.[...] 2019-08-10
[33] 서적 The Working Class and Neo-Malthusianism http://www.marxists.[...] 1913-01-01
[34] 서적 The Malthusian Moment: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the Birth of American Environmentalism Rutgers University Press
[35] 문서 Peter Turchin (2003); Turchin and Korotayev (2006); Peter Turchin et al. (2007); Korotayev et al. (2006) http://cliodynamics.[...]
[36] 서적 The Malthusian Moment: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the Birth of American Environmentalism Rutgers University Press
[37] 논문 The Post War Intellectual Roots of the Population Bomb https://web.archive.[...] 2010-02-01
[38] 서적 The Malthusian Moment: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the Birth of American Environmentalism Rutgers University Press
[39] 논문 The Tragedy of the Commons
[40] 서적 Taking Nature Into Account: A Report to the Club of Rome https://books.google[...] Springer Books
[41] 서적 Steady-state economics Island Press 1991
[42] 서적 Future Babble: Why Expert Predictions Fail – and Why We Believe Them Anyway https://archive.org/[...] McClelland and Stewart
[43] 웹사이트 Neo-Malthusia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s://www.isecoeco[...] Universidad Autónoma de Barcelona
[44] 논문 The New Flat Earth Society http://www.albartlet[...] 2013-04-09
[45] 논문 The Population Bomb Revisited http://www.populatio[...] 2010-02-01
[46] 뉴스 The New Geopolitics of Food https://web.archive.[...] 2011-06-07
[47] 서적 Peak oil: apocalyptic environmentalism and libertarian political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웹사이트 2050 High-Level Experts Forum: Issues briefs https://www.fao.org/[...]
[49] 웹사이트 FAO - News Article: 2050: A third more mouths to feed https://www.fao.org/[...]
[50] 웹사이트 Special Report on Climate Change and Land — IPCC site https://www.ipcc.ch/[...]
[51] 뉴스 Climate Change Threatens the World's Food Supply, United Nations Warns https://www.nytimes.[...] 2019-08-08
[52] 웹사이트 FAO says Food Production must Rise by 70% https://web.archive.[...] 2021-02-07
[53] 논문 Dynamics and Stagnation in the Malthusian Epoch
[54] 논문 The Great Divergence in European Wages and Price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First World War
[55] 서적 Agricultural Revolution in Engl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agrarian economy 1500–185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57] 웹사이트 Malthusian Catastrophe Unfolding Across ME-Africa Region, With Egypt As A Case Study https://seekingalpha[...] 2016-11-16
[58] arXiv East Africa in the Malthusian Trap? A statistical analysis of financial, economic, and demographic indicators 2015
[59] 서적 Collapse Viking Press
[60] 보고서 Accounting for Breakout in Britain: The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a Malthusian Lens https://ideas.repec.[...]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Staff Report 639 2013
[61] 논문 Clark's intellectual Sudoku
[62] 웹사이트 Historical Estimates of World Population https://web.archive.[...] 2000-03-02
[63] 웹사이트 faostat3 http://faostat3.fao.[...]
[64] 서적 A Systematic Foray into the Future Barker Books
[65] 웹사이트 2004 UN Population Projections https://www.un.org/e[...]
[66] 논문 The Demographic Window of Opportunity and Economic Growth at Sub-National Level in 91 Developing Countries
[67] 논문 Are We Consuming Too Much
[68] 서적 Economics Evolving: A History of Economic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뉴스 New Ways to Make Food Are Coming-but Will Consumers Bite? www.economist.com/le[...] The Economist
[70] 웹사이트 Major Moments in Food & Agriculture: 1900's Until Now https://sustainablef[...] 2020-05-13
[71] 서적 The Works and Correspondence of David Ricardo http://oll.libertyfu[...] Liberty Fund 2005
[72] 학술지 Malthusian Models and Irish History https://www.jstor.or[...] 1980
[73] 서적 Observations on the Population and Resources of Ireland https://books.google[...] Joshua Porter 1821
[74] 문서 Stokes (1821), pp. 89-91
[75] 학술지 Echoes of the Malthusian Debate at the Population Summit https://www.jstor.or[...] 1995
[76] 서적 An Inquiry Concerning the Population of Nations: Containing a Refutation of Mr. Malthus's Essay on Population https://books.google[...] E. Wilson 1818
[77] 서적 Political Essays https://books.google[...] William Hone
[78] 문서 Rothschild (1995), p. 351
[79] 학술지 Thomas Carlyle and Political Economy: The 'Dismal Science' in Context 2017-05-19
[80] 서적 The Carlyl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81] 서적 Karl Marx and Friedrich Engels, Ireland and the Irish Question https://www.marxists[...] International Publishers 1869
[82] 서적 Capital: A Critical Analysis of Capitalist Production https://books.google[...] Appleton & Company 1889
[83] 문서 Outlines of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1844
[84] 서적 Capital Volume 1 Penguin 1976
[85] 웹사이트 Progress and Poverty, Chapter 8 http://www.henrygeor[...] 2023-01-19
[86] 서적 Social theories of fertility and the Malthusian debate Greenwood Press 1959
[87] 서적 The Malthusian Moment: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the Birth of American Environmentalism Rutgers University Press 2012
[88] 학술지 The Conditions of Agricultural Growth. The Economics of Agrarian Change under Population Pressure
[89] 서적 Whole Earth Discipline Atlantic
[90] 웹사이트 More People, Greater Wealth, More Resources, Healthier Environment http://www.juliansim[...] 1994-04
[91] 학술지 Can Technology Deliver on the Yield Challenge to 2050 ftp://ftp.fao.org/d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92] 서적 The Collapse of Complex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93] 서적 Unified Growth The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94] 학술지 Natural Selection and The Origin of Economic Growth
[95] 서적 https://books.google[...] 1989
[96] 웹사이트 情報:農業と環境 No.104 (2008年12月1日) 化学肥料の功績と土壌肥料学 http://www.niaes.aff[...] 独立行政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 200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