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시리즈 MVP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시리즈 MVP는 한국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2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한국시리즈 종료 후 선정되며, 투수, 내야수, 외야수, 포수 등 다양한 포지션의 선수들이 수상했다. 김용수, 이종범, 정민태, 오승환, 양의지는 2회 MVP를 수상했다. 포지션별로는 내야수가 14회로 가장 많고, 투수와 외야수가 각각 11회, 포수가 3회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최우수 선수상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상은 1962년부터 매년 올스타전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윌리 메이스, 스티브 가비, 게리 카터, 칼 립켄 주니어, 마이크 트라웃이 2회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투수가 가장 많은 수상 횟수를 기록했고 아메리칸 리그가 7년 연속 수상자를 배출한 기록이 있다.
  • 야구 최우수 선수상 - 월드 시리즈 최우수 선수상
    월드 시리즈 최우수 선수상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월드 시리즈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55년에 처음 시상되었으며, 투수가 가장 많이 수상했다.
  • KBO 리그 상 - KBO 골든글러브
    KBO 골든글러브는 한국 프로야구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초기 수비율 기준으로 시상되다 '베스트 10'과 통합되며 타격 능력과 인지도를 고려하는 종합적인 상으로 변모하였고, 야구계 투표를 통해 포지션별 최고 선수를 선정하며 이승엽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KBO 리그 상 - KBO 홈런상
    KBO 홈런상은 KBO 리그에서 한 시즌 최다 홈런을 기록한 타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김봉연이 초대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이승엽의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 박병호의 4년 연속 홈런왕 등 리그를 대표하는 홈런 타자들이 수상했다.
  • 한국시리즈 MVP 수상자 - 김선빈 (야구 선수)
    김선빈은 KIA 타이거즈의 프로 야구 선수로, 뛰어난 수비력과 타격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주전 유격수이자 '작은 거인'으로 불리며 2017년 타격왕, 2024년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 한국시리즈 MVP 수상자 - 박한이
    박한이는 KBO 리그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통산 안타 3위, 득점 4위, 출전 경기 4위를 기록하고 골든글러브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 삼성 라이온즈 코치이다.
한국시리즈 MVP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목야구
주최KBO 리그
국가대한민국
첫 시상1982년
최근 수상자오지환 (LG 트윈스)
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
로마자 표기Korean Series Most Valuable Player Award
수상 대상한국시리즈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한 선수
시상 기관KBO 리그
국가대한민국
시작 연도1982년
최근 수상자오지환
소속 팀LG 트윈스

2. 역대 한국시리즈 MVP

(내용 없음)

2. 1. 연도별 수상자

연도선수포지션주요 활약
1982김유동OB 베어스외야수6차전 만루 홈런
1983김봉연해태 타이거즈내야수19타수 9안타 (타율 0.473), 1홈런 8타점
1984유두열롯데 자이언츠외야수7차전 8회 역전 3점 홈런
1985없음 (삼성 라이온즈 통합 우승)
1986김정수해태 타이거즈투수4경기 3승, 평균자책점 2.45
1987김준환해태 타이거즈외야수12타수 6안타, 4타점, 2홈런 (3, 4차전 역전 결승 홈런)
1988문희수해태 타이거즈투수3경기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457
1989박철우해태 타이거즈내야수18타수 8안타 (타율 0.444)
1990김용수LG 트윈스투수2경기 2승, 평균자책점 1.29
1991장채근해태 타이거즈포수15타수 7안타 (타율 0.467), 8타점
1992박동희롯데 자이언츠투수3경기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3.78
1993이종범해태 타이거즈내야수29타수 9안타, 4타점, 7도루 (7차전 4타수 3안타 2도루)
1994김용수LG 트윈스투수3경기 1승 2세이브
1995김민호OB 베어스내야수31타수 12안타 (타율 0.387), 2타점, 5득점, 6도루
1996이강철해태 타이거즈투수5경기 2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0.56
1997이종범해태 타이거즈내야수17타수 5안타, 3홈런, 4타점, 2도루
1998정민태현대 유니콘스투수3경기 2승 1세이브, 17.2이닝 1실점 (평균자책점 0.51)
1999구대성한화 이글스투수1승 1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0.93 (포스트시즌 8승 중 7승 기여: 2승 5세이브)
2000톰 퀸란현대 유니콘스내야수3홈런 10타점 (7차전 2홈런 1 2루타 6타점)
2001타이론 우즈두산 베어스내야수23타수 9안타, 4홈런, 8타점, 9득점 (6차전 145m 역전 장외 홈런)
2002마해영삼성 라이온즈외야수24타수 11안타, 3홈런, 10타점 (4차전 결승타, 5차전 2홈런, 6차전 끝내기 홈런)
2003정민태현대 유니콘스투수3경기 3승 (7차전 2안타 완봉승)
2004조용준현대 유니콘스투수7경기 12.1이닝 3세이브, 평균자책점 0.00
2005오승환삼성 라이온즈투수3경기 1세이브, 7이닝 무실점, 11탈삼진, 평균자책점 0.00
2006박진만삼성 라이온즈내야수25타수 7안타, 2타점 (3차전 결승타)
2007김재현SK 와이번스지명타자23타수 8안타, 2홈런, 4타점 (3, 5차전 결승타, 4, 6차전 홈런)
2008최정SK 와이번스내야수19타수 5안타, 1홈런, 4타점 (3차전 결승 홈런, 5차전 결승타, 최연소 MVP: 만 21세)[1]
2009나지완KIA 타이거즈외야수7차전 끝내기 홈런 (역대 최초), 20타수 5안타 (7차전 4타수 2안타 2홈런 3타점)[2]
2010박정권SK 와이번스내야수13타수 4안타 (타율 0.308), 1홈런, 4타점 (1차전 결승 홈런)[3]
2011오승환삼성 라이온즈투수4경기 5.2이닝 무실점, 3세이브, 평균자책점 0.00
2012이승엽삼성 라이온즈내야수23타수 8안타 (타율 0.348), 1홈런, 7타점 (1차전 결승 홈런, 최고령 MVP: 만 36세)[4]
2013박한이삼성 라이온즈외야수24타수 7안타 (타율 0.292), 1홈런, 6타점, 6득점[5]
2014야마이코 나바로삼성 라이온즈내야수24타수 8안타 (타율 0.333), 4홈런, 10타점 (단일 시리즈 최다 홈런 타이, 6차전 5타수 3안타 1홈런 5타점)[6]
2015정수빈두산 베어스외야수14타수 8안타 (타율 0.571), 1홈런, 5타점 (5차전 쐐기 3점 홈런)[7]
2016양의지두산 베어스포수16타수 7안타 (타율 0.437), 1홈런, 4타점 (4차전 결승 솔로 홈런)[8]
2017양현종KIA 타이거즈투수10이닝 무실점, 1승 1세이브 (2차전 완봉승, 5차전 세이브)[9]
2018한유섬SK 와이번스외야수6차전 연장 13회 결승 1점 홈런[10]
2019오재일두산 베어스내야수타율 0.333, 1홈런, 6타점 (1차전 끝내기 안타, 4차전 결승타)[11]
2020양의지NC 다이노스포수타율 0.318 (22타수 7안타), 1홈런, 3타점
2021박경수KT 위즈내야수3차전 굳히기 홈런, 보살 10회[12]
2022김강민SSG 랜더스외야수1차전 동점 홈런, 5차전 끝내기 홈런
2023오지환LG 트윈스내야수3경기 연속 홈런 (2차전 솔로, 3차전 역전 3점, 4차전 3점)
2024김선빈KIA 타이거즈내야수17타수 10안타 (타율 0.588), 2타점, 3득점, 2볼넷


2. 2. 최다 수상 선수

선수소속 팀 (수상 당시)수상 연도
김용수LG 트윈스1990, 1994
이종범해태 타이거즈 (현 KIA 타이거즈)1993, 1997
정민태현대 유니콘스1998, 2003
오승환삼성 라이온즈2005, 2011
양의지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2016, 2020


2. 3. 포지션별 수상 횟수

포지션별 수상 횟수 (1982년 ~ 2023년)
포지션수상 횟수
투수13회
포수3회
1루수6회
2루수2회
3루수2회
유격수4회
외야수9회
지명타자2회
합계41회


  • 1982년 OB 김유동은 외야수로 등록되었으나, 해당 한국시리즈에서는 주로 지명타자로 출전하여 MVP를 수상했다.
  • 1985년은 전·후기 리그 우승팀 삼성 라이온즈가 통합 우승을 차지하여 한국시리즈가 열리지 않아 MVP 수상자가 없다.
  • 2012년 삼성 라이온즈 이승엽은 지명타자로 출전하여 MVP를 수상했다.

참조

[1] 뉴스 South Korean series a corporate playground https://www.reuters.[...] 2009-10-27
[2] 웹사이트 Korea Series MVP Na Ji-wan wins big pay raise-INSIDE Korea JoongAng Daily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8-11-04
[3] 웹사이트 Wyverns smash Lions to take the Korean series-INSIDE Korea JoongAng Daily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8-11-04
[4] 웹사이트 At 37, Samsung slugger Lee Seung-yuop turns back clock with display of power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2018-11-04
[5] 웹사이트 (2nd LD) Samsung Lions capture third straight Korean Series with emphatic Game 7 win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2018-11-04
[6] 웹사이트 A true dynast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8-11-04
[7] 웹사이트 (LEAD) Doosan claims Korean Series thanks to superb pitching, relentless hitting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2018-11-04
[8] 웹사이트 (LEAD) Two-way catcher voted Korean Series MVP http://english.yonha[...] English.yonhapnews.co.kr 2018-11-04
[9] 웹사이트 Left-handed ace voted Korean Series MVP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8-11-04
[10]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english.yonha[...]
[11] 웹사이트 2019 한국시리즈 MVP는 오재일 https://sports.news.[...] 2020-05-03
[12] 웹사이트 Wizard with glove, veteran Park Kyung-su wins Korean Series MVP for KT Wiz https://en.yna.co.kr[...] 2021-11-18
[13] 문서 수상당시 이름은 한동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