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루수는 야구에서 내야수 중 한 명으로, 유격수나 2루수보다 수비 범위는 좁지만 강한 타구를 처리해야 하므로 정확한 포구 능력과 빠른 판단력이 요구된다. 3루수는 3루 선상 근처와 유격수 앞쪽, 그리고 3루 주변의 얕은 플라이를 처리하며, 1루로의 송구 능력이 중요하다. 메이저 리그 명예의 전당에는 브룩스 로빈슨 등 여러 3루수가 헌액되었으며, 골드 글러브를 다수 수상한 선수들도 존재한다.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김동주, 최정 등이 대표적인 3루수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3루수 | |
---|---|
3루수 | |
![]() | |
기본 정보 | |
포지션 약칭 | 3B |
수비 위치 | 3루 |
장비 | 글러브, 헬멧 (필요에 따라) |
역할 및 특징 | |
주요 역할 | 3루 베이스 커버 3루 쪽으로 오는 타구 처리 주자의 진루 방지 |
수비 시 중요 능력 | 강한 어깨 빠른 반응 속도 안정적인 포구 능력 |
공격 시 중요 능력 | 장타력 출루율 상황 판단 능력 |
3루수의 역사 | |
유래 | 초기 야구에서 3루는 수비적으로 중요하지 않았음. 야구 전술 발전과 함께 3루수의 중요성 증가. |
현대 야구 | 3루수는 강한 타구를 처리해야 하므로 수비 능력이 매우 중요. 공격에서도 중심 타선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음. |
기타 정보 | |
별칭 | "핫 코너(Hot Corner)" - 3루 쪽으로 강한 타구가 많이 날아오는 지역 |
대표적인 3루수 | 3루수는 팀에서 뛰어난 운동 신경과 강한 팔을 가진 선수로 구성된다. |
2. 3루수의 조건 및 역할
3루수는 우타자들이 강하게 잡아당긴 타구가 많이 향하는 위치, 즉 핫 코너(Hot Corner)를 수비한다. 유격수나 2루수보다 수비 범위는 좁지만, 빠르고 강한 타구를 처리해야 하므로 정확한 포구 능력과 빠른 판단력이 중요하다. 1루까지의 거리가 멀어 송구 시 시간적 여유가 적기 때문에,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빠르고 정확한 송구 능력이 필수적이다.[4] 또한, 좌측 수비 시 백업 플레이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경기 집중력이 요구되며, 주자가 베이스를 제대로 밟았는지 확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6]
2. 1. 수비 위치 및 타구 처리
3루수가 수비하는 3루 지역은 우타자들이 잡아당겨 치는 강한 타구가 많이 날아오는 곳으로, 핫 코너(Hot Corner)라고 불리기도 한다. 유격수나 2루수에 비해 수비 구역이 좁은 편이라 넓은 범위를 움직이는 능력보다는 세밀한 정확성이 더 요구된다.주로 처리하는 타구는 3루 선상 근처의 타구, 유격수 앞쪽으로 오는 타구, 그리고 3루 주변에서 홈 플레이트 근처까지의 파울 존을 포함한 얕은 플라이이다. 유격수 방향으로 느리게 굴러가는 타구는 3루수가 타구 지점까지 더 가깝기 때문에 앞으로 달려 나와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5]。 때로는 투수의 수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투수가 잡을 수 있는 범위의 타구를 3루수가 대신 처리하기도 한다. 반면, 3루수 뒤쪽으로 넘어가는 얕은 플라이는 옆에서 타구를 보며 쫓아갈 수 있는 유격수가 낙구 지점을 예측하기 더 쉽기 때문에, 유격수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다.
3루수는 땅볼을 잡았을 때 내야수 중 가장 멀리 떨어진 1루로 송구해야 하므로 시간적 여유가 적다. 따라서 확실한 포구 능력과 함께 강한 어깨, 그리고 정확한 송구 능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유격수보다 타자에게 더 가까운 위치에서 수비하기 때문에 타구에 힘이 실린 상태에서 공을 잡아야 하고, 특히 우타자 중 중심 타자가 때린 강한 타구가 3루 선상으로 날아오는 경우가 많아 민첩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반사 신경이 중요하다[4].
타구 속도가 빠른 공이 많이 오기 때문에, 어깨가 다소 약한 선수라도 수비 위치를 약간 앞으로 당겨 잡으면 타자 주자를 포스 아웃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격수만큼 강한 어깨를 가진 3루수라면 수비 위치를 뒤로 물려서 수비 범위를 더 넓힐 수도 있다. 한편, 오른손잡이에 비해 왼손잡이 선수는 타구를 잡은 뒤 1루로 송구하는 동작에 시간이 더 걸리므로, 유격수와 마찬가지로 프로 야구에서는 왼손잡이 3루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주자가 베이스를 도는 과정에서 발이 베이스에 제대로 닿았는지 확인하는 것도 3루수의 역할 중 하나이다. 만약 주자가 베이스를 밟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즉시 공을 받아 해당 베이스를 태그하여 주자를 아웃시킬 수 있다[6]。 좌측 외야 수비 시 백업을 들어가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항상 경기에 집중해야 한다.
2. 2. 송구 능력과 수비 위치
3루수는 땅볼을 잡았을 경우 내야수 중 가장 멀리 떨어진 1루로 송구해야 하므로 시간적 여유가 적다. 따라서 확실한 포구 능력과 강한 어깨, 정확하고 빠른 송구 능력이 요구된다.[4]타구 속도가 빠른 타구가 많이 날아오기도 하므로, 어깨가 다소 약한 선수라도 수비 위치를 약간 앞으로 당기는 것으로 타자 주자를 포스 아웃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격수도 맡을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어깨를 가진 3루수의 경우, 수비 위치를 뒤로 물러서 수비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오른손잡이에 비해 타구 포구 후 1루 송구 동작에 시간이 걸리므로, 유격수와 마찬가지로 프로 야구에서는 왼손잡이 3루수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 3. 왼손 투수 3루수
왼손잡이 선수가 3루수를 맡는 경우는 프로 수준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땅볼 타구를 잡아 1루로 던지는 과정에서 오른손잡이 선수에 비해 몸을 한 번 더 돌려야 하므로 송구 동작에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격수 포지션에서도 왼손잡이 선수는 거의 기용되지 않는다.3. 뛰어난 3루수
메이저 리그를 비롯한 야구 역사에서 3루수는 '핫 코너'라 불리며 강한 타구를 처리해야 하는 중요한 수비 위치를 담당해왔다. 이 포지션에서는 수비 능력뿐만 아니라 공격력까지 겸비한 뛰어난 선수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선수로서 최고의 영예인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여러 차례 골드 글러브상을 수상하며 당대 최고의 수비수로 인정받기도 했다. 또한, 보살이나 풋아웃과 같은 특정 수비 기록 부문에서 역사적인 기록을 세운 선수들도 있다.
3. 1. 메이저 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 3루수

다음은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 중 3루수로 활약한 선수들의 목록이다.
- 딕 앨런 (경력 후반에는 주로 1루수로 출전)
- 프랭크 "홈런" 베이커
- 아드리안 벨트레
- 조니 벤치 (포수로 선출, 선수 경력 마지막 3년간 3루수로 포지션 변경)
- 웨이드 보그스
- 조지 브렛 (경력 후반에 1루수 및 지명 타자로 출전)
- 지미 콜린스
- 레이 댄드리지 (니그로 리그)
- 주디 존슨 (니그로 리그)
- 치퍼 존스
- 조지 켈
- 프레디 린드스트롬
- 에드가 마르티네스 (주로 지명 타자였으며, 선수 경력 초반에는 시애틀 매리너스의 주전 3루수였음)
- 에디 매튜스
- 존 맥그로 (주로 감독으로 선출되었지만, 짧지만 성공적인 선수 경력 동안 3루수로 활약)
- 폴 몰리터 (오랫동안 지명 타자로 활약했으며, 주로 3루수로 수비)
- 브룩스 로빈슨
- 스캇 롤렌
- 론 산토
- 마이크 슈미트
- 파이 트레이너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최초의 3루수)
- 저드 윌슨 (니그로 리그)
3. 2. 골드 글러브 다수 수상 3루수
선수 | 수상 횟수 | 비고 |
---|---|---|
브룩스 로빈슨 | 16 | |
마이크 슈미트 | 10 | |
놀란 아레나도 | 10 | 현역 |
스콧 롤렌 | 8 | |
에릭 채베스 | 6 | |
로빈 벤투라 | 6 | |
버디 벨 | 6 | |
켄 보이어 | 5 | |
더그 레이더 | 5 | |
론 산토 | 5 | |
게리 가에티 | 4 | |
아드리안 벨트레 | 4 | |
맷 윌리엄스 | 4 | |
켄 카마이니티 | 3 | |
프랭크 말존 | 3 | |
에반 롱고리아 | 3 | 현역 |
맷 채프먼 | 3 | 현역 |
데이비드 라이트 | 2 | |
웨이드 보그스 | 2 | |
그레이그 네틀스 | 2 | |
매니 마차도 | 2 | 현역 |
3. 3. 3루수 시즌 최다 보살 기록
wikitext순위 | 선수 | 보살 | 소속팀 | 연도 |
---|---|---|---|---|
1 | 그레이그 네틀스 | 412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971 |
2 | 그레이그 네틀스 | 410 | 뉴욕 양키스 | 1973 |
3 | 브룩스 로빈슨 | 410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974 |
4 | 브룩스 로빈슨 | 405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967 |
5 | 할론드 클리프트 | 405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1937 |
6 | 마이크 슈미트 | 404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974 |
7 | 더그 드신세스 | 399 |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 1982 |
8 | 브랜든 잉지 | 398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006 |
9 | 클리트 보이어 | 396 | 뉴욕 양키스 | 1962 |
10 | 마이크 슈미트 | 396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977 |
11 | 버디 벨 | 396 | 텍사스 레인저스 | 1982 |
3. 4. 3루수 시즌 최다 풋아웃 기록
순위 | 선수 | 기록 (풋아웃) | 팀 | 연도 |
---|---|---|---|---|
1 | 데니 라이언스 | 255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1887 |
2 | 지미 윌리엄스 | 251 | 피츠버그 파이리츠 | 1899 |
3 | 지미 콜린스 | 251 | 보스턴 비네이터스 (내셔널 리그) | 1900 |
4 | 지미 콜린스 | 243 | 보스턴 비네이터스 (내셔널 리그) | 1898 |
5 | 윌리 캄 | 243 | 시카고 화이트삭스 | 1928 |
6 | 윌리 캄 | 236 | 시카고 화이트삭스 | 1927 |
7 | 프랭크 베이커 | 233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1913 |
8 | 빌 코플린 | 232 | 워싱턴 세네터스 | 1901 |
9 | 어니 코트니 | 229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905 |
10 | 지미 오스틴 | 228 |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 1911 |
4. 한국 프로야구의 3루수
KBO 리그에서 활약했던 대표적인 3루수로는 김동주(두산 베어스), 최정(SSG 랜더스), 이범호(KIA 타이거즈) 등이 있다. 특히 최정은 뛰어난 수비력과 장타력을 겸비하여 KBO 리그를 대표하는 3루수로 평가받는다.
NPB에서는 나가시마 시게오의 영향으로 3루수가 "강타자의 꽃자리 포지션"으로 불리기도 했으나[7], 2000년대 이후 이러한 표현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2016년 시즌에는 "규정 타석에 도달 & 100경기 이상 3루수를 맡은" 일본인 선수가 겨우 3명이었다[7][8]. 그럼에도 여전히 강타자들이 3루수를 맡는 경우가 많은데, 2021년 센트럴 리그 홈런왕 타이틀을 나눠 가진 오카모토 카즈마(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 스왈로스)는 모두 해당 시즌 100경기 이상 3루수로 출전했다 (오카모토는 전 경기를 3루수로 출전).
참조
[1]
웹사이트
Home run distances at Pro Player Stadium
http://www.fiu.edu/~[...]
[2]
웹사이트
Mike Squires Stats, Height, Weight, Position, Rookie Status & More
https://www.baseball[...]
2024-03-14
[3]
웹사이트
Index of /blog/archives/10835
https://www.baseball[...]
2024-03-14
[4]
문서
キャンパニス(1957年)
[5]
문서
キャンパニス(1957年)
[6]
문서
キャンパニス(1957年)
[7]
웹사이트
かつては花形ポジションも…日本の三塁手事情
http://baseballking.[...]
ベースボールキング
2017-01-15
[8]
문서
松田宣浩、村田修一、川端慎吾が該当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NC ‘금쪽이’ 김휘집은 왜 새벽 2시 방망이를 휘둘렀나
SSG 최정, 11일 만에 1군 복귀…홈런 추가하면 20년 연속 10홈런
kt 허경민, 23일 엔트리 복귀…황재균은 다시 1루로
KIA 위즈덤 ‘방망이 펑펑, 수비는 척척’
수비 개선한 KIA 김도영 "스타트 자세 수정…잘할 자신 있어"
도니살·홈런왕·베테랑…시선집중 ‘3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