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59량이 도입되어 현재 모두 운행 중인 디젤 기관차이다. 정방향 운행 시 운전실이 뒤에, 기관실이 앞에 위치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며, 초기형과 중·후기형의 전조등 형태가 다르다. 일부 차량은 무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개조되었으며, 4459호와 4460호는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으로 특별 도색되었다. 4404호는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파손되었으나 수리 후 운행을 재개했고, 4403호와 4404호는 교외선 무궁화호 운행 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4444호는 미신적인 이유로 결번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0년대부터 도입된 미국의 EMD GT26CW 모델 기반 디젤 기관차로, 국산화, 여객용 개조, 재생 작업, 재도색 등을 거쳐 일부 차량이 2025년 현재까지 운행 중이며 노후화로 인한 퇴역 및 대체가 진행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부터 도입된 GE PowerHaul 기반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로, 대한민국 특대형 디젤 기관차 최초로 양방향 운전실을 갖추고 VVVF 인버터 제어를 통해 연료 효율을 높여 총 25량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 | |
---|---|
기본 정보 | |
![]() | |
운용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제작 회사 | 현대로템 (구 한국철도차량, 로템) |
제작 년도 | 2001년 ~ 2005년 |
생산량 | 59량 |
차륜 배치 | Bo'Bo' |
궤간 | 표준궤 1,435mm |
차륜 직경 | 1,016mm |
전장 | 14,220mm |
전폭 | 3,050mm |
전고 | 4,462mm |
차량 중량 | 88톤 |
축중 | 22톤 |
대차 간 거리 | 8,534mm |
구동 방식 | 디젤 전기식 |
성능 | |
설계 최고 속도 | 105km/h |
출력 | 1,650마력 |
기어비 | 62:15 |
엔진 | |
엔진 형식 | EMD 8-645E3C |
제동 및 보안 장치 | |
제동 방식 | 공기 브레이크 |
보안 장치 | ATS, ATP(봄바르디어) |
기타 정보 | |
모델명 | GT18B-M |
도입 단가 (2001년) | 1,899,000,000원 |
도입 단가 (2002년) | 2,046,000,000원 |
도입 단가 (2003년) | 2,265,000,000원 |
도입 단가 (2004년) | 2,200,000,000원 |
2. 특징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정방향 운행 시 운전실이 뒤에, 기관실이 앞에 위치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선에서 운행할 때는 시야 확보를 위해 기관차를 역방향으로 편성한다. 그래서 역방향을 앞면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1]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59량이 도입되어 현재 모두 운행 중이다.[1] 4444호는 12시간제 중 오전 9시, 오전 11시, 오후 4시의 영향으로 미신적인 이유 때문에 제작되지 않아 결번 처리되었다.[1]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도입 시기와 제작사에 따라 세부 차종이 나뉜다.
4401호에는 승무가 가능하도록 컬러 CCTV가 설치되었다.[2] 초기형(4401호~4420호)은 전조등이 세로형이고, 중기형 및 후기형(4421호~4460호)은 가로형 전조등을 채택했다. 4459호와 4460호는 백두대간협곡열차(V-train) 운행을 위해 특별 도색되었다.[3]
(요약에 언급된 4406호, 4445호의 리모컨 무인 운전 가능 여부는 원본 소스에서 확인 불가하여 생략.)
3. 운용 현황
차호 도입 시기 비고 4401호 2001년 4402호 4403호 교외선 무궁화호 운행 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전용 도색으로 교체되었다. 4404호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파손되었으나, 수리 후 운행에 복귀했다. 교외선 무궁화호 운행 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전용 도색으로 교체되었다. 4405호 4406호 리모컨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게 개조되었다. 4407호 4408호 4409호 4410호 4411호 4412호 4413호 4414호 4415호 4416호 4417호 4418호 4419호 4420호 한국철도차량에서 도입된 마지막 4400호대 기관차다. 4421호 2002년 로템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4400호대 기관차다. 4422호 4423호 4424호 4425호 4426호 4427호 4428호 4429호 4430호 4431호 2003년 4432호 4433호 4434호 4435호 4436호 4437호 4438호 차량 외부에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어 있다. 4439호 4440호 4441호 4442호 4443호 4445호 44번째 기관차. 4444호 미생산으로 기관차 번호와 도입 순서가 한 개씩 차이난다. 리모컨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게 개조되었다. 4446호 45번째 기관차. 4447호 46번째 기관차. 4448호 47번째 기관차. 4449호 48번째 기관차. 4450호 49번째 기관차. 4451호 2004년 50번째 기관차. 4452호 51번째 기관차. 4453호 52번째 기관차. 4454호 53번째 기관차. 4455호 54번째 기관차. 4456호 55번째 기관차. 4457호 56번째 기관차. 4458호 57번째 기관차. 4459호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 기관차로 운행 중이다. 58번째 기관차. 4460호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 기관차로 운행 중이다. 59번째 기관차.
4. 세부 차종
4. 1. 4401 ~ 4420호
4401호부터 4420호까지는 2001년 12월에 도입된 초기형 차량으로, 현대로템(구 한국철도차량)에서 제작하였다. 전조등이 세로로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4420호는 한국철도차량에서 제작된 마지막 4400호대 기관차이다.[1] 4401호에는 승무가 가능하도록 컬러 CCTV가 설치되었다.[2]
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4401호 | 2001년 12월 | 운행 중 |
4402호 | 운행 중 | |
4403호 | 운행 중, 교외선 무궁화호 운행 전용, 전용 도색 | |
4404호 | 운행 중, 영등포역 추돌 사고 후 수리, 교외선 무궁화호 운행 전용, 전용 도색 | |
4405호 | 운행 중 | |
4406호 | 운행 중, 리모컨 무인운전 가능 개조 | |
4407호 | 운행 중 | |
4408호 | 운행 중 | |
4409호 | 운행 중 | |
4410호 | 운행 중 | |
4411호 | 운행 중 | |
4412호 | 운행 중 | |
4413호 | 운행 중 | |
4414호 | 운행 중 | |
4415호 | 운행 중 | |
4416호 | 운행 중 | |
4417호 | 운행 중 | |
4418호 | 운행 중 | |
4419호 | 운행 중 | |
4420호 | 운행 중, 한국철도차량 제작 마지막 4400호대 기관차 |
4. 2. 4421 ~ 4430호
4421호부터 4430호까지는 2002년 12월에 도입되었다. 전조등이 가로로 배치되어 있으며,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최초의 4400호대 기관차이다.[1]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4421호 | 2002년 12월 | 현대로템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4400호대 기관차이다.[1] |
4422호 | ||
4423호 | ||
4424호 | ||
4425호 | ||
4426호 | ||
4427호 | ||
4428호 | ||
4429호 | ||
4430호 |
4. 3. 4431 ~ 4443호, 4445 ~ 4450호
4431호부터 4443호, 4445호부터 4450호까지는 2003년 12월에 도입되었다. 4444호는 12시간제 중 오전 9시, 오전 11시, 오후 4시의 영향을 받아 생산되지 않아 결번 처리되었다.[1] 따라서 4445호가 실질적으로 44번째로 도입된 차량이며, 이 차량부터는 기관차 번호와 도입된 번호가 하나씩 차이가 난다.[1] 4445호는 리모컨으로 무인 운전이 가능하게 개조되었다.[1]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4431호 | 2003년 12월 | 운행 중 |
4432호 | 운행 중 | |
4433호 | 운행 중 | |
4434호 | 운행 중 | |
4435호 | 운행 중 | |
4436호 | 운행 중 | |
4437호 | 운행 중 | |
4438호 | 운행 중, 차량 외부에 에어컨 실외기가 달려 있음. 군산시 경암동 철길마을에 철도청 말기 도색 모형 전시. | |
4439호 | 운행 중 | |
4440호 | 운행 중 | |
4441호 | 운행 중 | |
4442호 | 운행 중 | |
4443호 | 운행 중 | |
4445호 | 2003년 12월 | 44번째 기관차. 리모컨 무인 운전 가능. |
4446호 | 2003년 12월 | 45번째 기관차. |
4447호 | 2003년 12월 | 46번째 기관차. |
4448호 | 2003년 12월 | 47번째 기관차. |
4449호 | 2003년 12월 | 48번째 기관차. |
4450호 | 2003년 12월 | 49번째 기관차. |
4. 4. 4451 ~ 4460호
4451호부터 4460호까지는 2004년 12월에 도입된 마지막 도입분이다. 총 10량이 도입되었으며, 4451호는 50번째, 4460호는 59번째로 도입된 기관차이다.[1] 4459호와 4460호는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으로 특별 도색되어 운행 중이다.[1]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4451호 | 2004년 12월 | 50번째 기관차[1] |
4452호 | 51번째 기관차[1] | |
4453호 | 52번째 기관차[1] | |
4454호 | 53번째 기관차[1] | |
4455호 | 54번째 기관차[1] | |
4456호 | 55번째 기관차[1] | |
4457호 | 56번째 기관차[1] | |
4458호 | 57번째 기관차[1] | |
4459호 | 2004년 12월 |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 기관차, 58번째 기관차[1] |
4460호 | 백두대간협곡열차 전용 기관차, 59번째 기관차[1] |
5. 기타
EBS와 서울특별시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띠띠뽀 띠띠뽀'에는 이 차량을 모델로 한 '세터'라는 캐릭터가 등장하고 있다.
참조
[1]
기술보고서
검수시설 일반사항
http://krnetwork.or.[...]
한국철도시설공단
2012-12-05
[2]
웹인용
차량도감 - 4400호대
http://www.kric.or.k[...]
2015-10-26
[3]
보고서
제52회 2014 철도통계연보
http://www.kric.or.k[...]
한국철도공사·공항철도·한국철도시설공단
201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