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산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백제 시대에는 마서량현, 신라 시대에는 옥구현으로 불렸다. 1899년 개항 이후 호남 평야의 쌀 적출항으로 발전하여 1906년 옥구부로 승격되었고, 1910년 군산부로 개칭되었다. 1949년 군산시로 변경되었으며, 1995년 옥구군과 통합하여 현재의 군산시가 되었다. 금강 하구에 위치하며, 고군산군도, 새만금 간척 사업 등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1988년 대규모 국영 산업단지 조성으로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와 재가동, 전기자동차 산업의 메카로의 발돋움 등 산업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고군산군도,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은파호수공원 등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재와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산시의 행정 구역 - 수송동 (군산시)
수송동은 군산시의 행정동으로, 1973년 옥구군 지역이 편입되면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소나무동산의 의미를 담아 수송으로 정해졌다. - 군산시의 행정 구역 - 월명동
월명동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동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식 동명 변경에 따라 개칭되었으며, 행정동 통합을 거쳐 현재 여러 동을 관할하고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군산시 - 월명공원
군산시에 위치한 월명공원은 군산 시내와 금강 하구 전경을 조망할 수 있는 수시탑, 은적사, 제일저수지, 천문대, 조각공원, 기념물, 그리고 벚꽃 개화 시기에 특히 아름다운 등나무와 벚나무 정원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공원이다. - 군산시 - 송웅재
송웅재는 군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군산시 부시장을 역임했으며, 2006년 지방 선거에서 군산시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익산시
익산시는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 유적과 고려 시대부터 사용된 지명을 갖고 있으며, 1995년 익산시로 설치되었고, 호남선 등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보석 가공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군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군산시 |
한국어 표기 | 한글: 군산시 한자: 群山市 |
로마자 표기 | Revised Romanization: Gunsan-si McCune–Reischauer: Kunsan-si |
지역 | 호남 |
관할 구역 | 전북특별자치도 |
면적 | 377.72 km² |
인구 | 264,656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auto |
방언 | 전라 방언 |
꽃 | 동백꽃 |
나무 | 은행나무 |
새 | 갈매기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0면, 19동 |
정치 | |
시장 | 강임준 (더불어민주당) |
기타 | |
지역 번호 | +82-63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추가 정보 | |
국회의원 | 군산시·김제시·부안군 갑: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군산시·김제시·부안군 을: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
시청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시청로 17 |
홈페이지 | 군산시 |
2. 역사
백제의 마서량현, 동부는 시산군이었으며 통일신라 시대 757년에 옥구현·임피군으로 개칭되었으나, 가난한 어촌이었다. 1899년 개항 이후 호남 평야의 쌀 적출항으로 급속히 발전하여 1906년 옥구부로 승격했다. 1910년 대한제국 병합 직후에는 군산부로 개칭했다.[15] 독립 후인 1949년 군산시로 개칭하였다. 시 이름의 유래는 조선 시대의 군산포에 있다.
- 1914년 4월 1일 - 기존 군산부가 분할되어, 군산부의 도시 지역을 새로운 군산부로, 농촌 지역은 옥구군에 편입하였다.
- 1940년 11월 1일 - 옥구군 미면, 개정면의 각 일부를 편입하였다.
- 1949년 8월 15일 - 군산부가 군산시로 개칭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옥구군 미면, 옥산면, 개정면, 성산면의 각 일부를 편입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 옥구군 미성읍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 1989년 1월 1일 - 옥구군 미성읍 및 옥도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 1일 - 군산시와 옥구군이 합병하여 군산시가 되었다(1읍 10면).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에 따라 임피군과 군산부의 농촌 지역, 함열군의 일부, 부안군의 일부(비안도), 전라남도 지도군의 일부(고군산면), 충청남도 옥천군의 일부(개야도·죽도·연도·어청도)를 '''옥구군'''으로 편성하였다. 1980년 12월 1일 옥구면과 미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6년 4월 1일에는 미성읍 미성출장소가 옥도면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 4월 1일 옥구읍 서부출장소가 옥서면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1월 1일 옥구군이 군산시와 합병하여 '''군산시'''가 발족하면서 옥구군은 폐지되었다.
2. 1. 선사시대
군산시에서 가장 오래된 선사시대 유적은 내흥동 구석기 유적이다. 발굴된 문화층의 추정 연대는 약 4만 년 - 2만 5천 년 전으로 규암이나 석영반암을 재료로 한 뗀석기가 발견되었다.[22] 내흥동 구석기 유적은 장항선의 장항역과 군산역 연결 공사 과정에 앞선 문화재 조사에서 발굴되었으며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 마한, 백제, 조선 시대에 해당하는 오랜 기간 동안 누적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23][24]금강과 서해가 만나는 군산은 해산물이 풍부하고 평야가 넓어 사람이 살기 좋다. 군산 앞바다의 크고 작은 여러 섬들과 군산 시내 곳곳에서 신석기 시대 유물이 발굴되어 이 지역이 선사 시대 이래 중요한 해양 거점이었음을 알게 해 준다. 고군산 군도와 선유도를 비롯하여 가도와 내초도, 노래섬, 띠섬, 비응도, 오식도, 개야도 등의 섬에서 약 30여 곳의 신석기 시대 조개무지가 발견되었다.[25]
2. 2. 삼국시대
군산은 청동기 시대에 구릉을 중심으로 한 국읍(國邑)이 들어섰으며, 마한에 속한 세 개의 소국이 있었다고 한다.[26][27] 삼국사기에는 온조왕이 마한을 병합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28] 군산이 백제에 편입된 것은 4세기 중엽 근초고왕 때로 추정된다.[29]백제는 군산 지역을 병합하고 시산군(屎山郡), 마서량현(馬西良縣), 부부리현(夫夫里縣)을 설치하였다.[29] 군산은 금강 입구에 위치하여 백제의 수도 사비성으로 들어가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군산 맞은 편인 장항에 있던 기벌포는 당나라 수군의 진입로였고, 백제 멸망 후 신라와 당나라가 해전을 벌인 곳이기도 하다.[30]
2. 3. 고려시대
군산이라는 이름은 고려사에 지금의 고군산군도를 가리키는 말로 처음 등장한다.[31] 신라 시대까지 군이었던 임피는 고려 시기 현으로 강등되었으나 여전히 군산 지역의 중심지였다. 고려의 군현 제도에서 현은 수령을 파견하는 영현(領縣)과 수령이 따로 임명되지 않은 속현(屬縣)으로 나뉘었는데, 임피현은 영현이었고 옥구현, 회미현, 부윤현, 만경현은 임피현에 딸린 속현이었다.[32]2. 4. 조선시대
조선은 회미현을 옥구현에 합치고 임피현과 옥구현에 각각 현령을 임명하였다.[33] 태조는 옥구현에 수군영을 설치하고 종3품의 병마첨절제사가 수장인 진을 구축하였다. 옥구의 진이 무안현으로 옮겨간 뒤 세종 시기에 옥구읍성이 축성되었고 옥구에 다시 군산진을 설치하였다.[34] 새롭게 군산진이 설치된 후 옛 군산도(群山島)는 고군산도라 불리게 되었다. 숙종 원년 선유도에 별도의 진이 설치되었다. 이렇게 여러 진이 설치된 것은 군산이 조운선이 다니는 주요 교통로였기 때문이다.[35] 중종 7년 용안의 득성창이 옮겨 온 군산창은 영광의 법성창과 함께 호남의 대표적인 조창으로 세곡의 집결지였다.[34]2. 5. 대한제국
1899년 5월 6일, 군산항이 개항되면서 옥구군 북면 일부가 '''옥구부'''가 되었다.[34] 개항 이후 군산은 무역항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2. 6.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개항으로 각국 거류지가 부령 제7호에 의하여 옥구부(府)에서 군산부(府)로 변경되었다.[15] 1914년 4월 1일, 군면폐합에 따라 옥구군 북면의 죽성, 경포, 장재, 신흥, 신창, 개복, 구복, 대정, 둔율의 9개 동리를 군산부로 병합하여 영정 외 15개정과 신흥동 외 5개동으로 개편하였다.[36] 나머지 지역은 임피군(현 임피면·대야면·개정면·성산면·서수면·나포면·조촌동·경암동·구암동·개정동),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충청남도 개야도·죽도·연도·어청도가 '''옥구군으로 통폐합'''되었다.[37]1932년 10월 1일에는 옥구군 미면 신풍, 둔율, 경장 등 3개 리의 각 일부와 개정면의 구암리 일부를 편입하여 영정 외 16개 정목으로 개편하였다. 1940년 11월 1일에는 옥구군 개정면 조촌, 구암리의 일부와 미면 신풍, 둔율리의 일부가 군산부에 편입되었다.[38]

2. 7. 대한민국
1949년 8월 15일 군산부가 '''군산시'''로 개칭되었다.[39]1973년 7월 1일 옥구군 미면 미룡, 신풍, 둔율, 경장리, 옥산면 사정, 지곡리, 개정면 개정리 및 성산면 내흥리가 군산시에 편입되었다.[40]
1983년 2월 15일 옥구군 미성읍 산북, 내초리의 일부가 군산시로 편입되었다.
1988년 10월 1일 해망동과 신흥동을 합쳐 해신동으로, 중앙2가동과 중동을 합쳐 중앙동으로, 중앙3가동과 미원동을 합쳐 중미동으로 각각 개편하고, 명산동을 선양동에, 중앙1가동을 월명동에 합동하였다.
1989년 1월 1일 옥구군 미성읍이 군산시로 편입되어 미성동이 되었다.[42]
1990년 10월 30일 길이 1814m 갑문 20개의 전북특별자치도와 충청남도를 잇는 금강하구둑이 준공되었다.
1994년 8월 1일 나운동을 나운1동과 나운2동으로 분동하였다.[43]
1995년 1월 1일 '''군산시'''와 '''옥구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군산시'''가 되었다.[44]
2003년 2월 17일 나운2동을 나운2동과 나운3동으로 분동하였다.[45]
2008년 2월 24일 오룡동을 삼학동에, 중미동을 흥남동에, 선양동을 월명동에 합동하였다.[46]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로 개편되었다.
3. 지리
금강 하류 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북쪽은 금강을 사이에 두고 충청남도 서천군과 마주하고,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남쪽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와, 동쪽은 익산시와 이웃한다. 황해 건너편에는 중국의 산둥반도가 가깝게 위치해 있다.
해안에는 고군산군도가 펼쳐져 있으며, 선유도의 면적은 2.12km2로 서울 여의도의 약 4분의 1 크기이고, 섬 해안선 길이는 약 12.8km이다.[9] 연안에는 김제시에서 남쪽 부안군까지 이어지는 새만금이라는 넓은 갯벌이 있는데, 이곳에서 한국 최대 규모의 간척 사업인 새만금 간척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3. 1. 지형
동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서쪽으로는 황해, 남쪽은 만경강을 경계로 김제시, 북쪽은 금강을 경계로 충청남도 서천군과 접하고 있다. 금강 하구와 만경강 하구로 둘러싸인 옥구반도와 서해의 도서들로 이루어져 있다. 군산 부근은 차령산맥의 침강으로 고군산군도와 기타 많은 도서군이 흩어져 매우 복잡한 해안을 이루었으나, 그 후 군산 부근의 도서들은 금강의 유수와 조수작용으로 토사가 퇴적되어 육계도(陸繫島)인 옥구반도가 형성되었다.이곳은 금강·만경강 양하천의 충적토(沖積土)에 덮여 있어 약간 구릉의 기복은 있으나 대평야로 한국의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다. 시내의 낮은 도상(島狀) 구릉지는 그 당시의 섬이었던 부분이다. 그러나 시가 정리로 인하여 대부분이 평탄화되고 시의 서남단과 시·군계 부근에 다소의 기복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이다. 지질은 대부분 결정편암계의 지질로 되어 있다. 해안선의 굴곡이 비교적 적고 완만하며 해안선 부근에는 해발고도 200m 이상의 산들이 산재해 있다. 섬은 모두 63개가 있으며, 이중 유인도가 16개, 무인도가 47개이다. 해안선은 363.9km이다. 금강과 만경강 하구 주변의 미성동·옥구읍·회현면·대야면·임피면에는 해발고도 50m 내외의 구릉이 산재하는 넓은 충적평야가 전개된다.
금강 하류 남안에 위치한다. 북쪽은 금강을 사이에 두고 충청남도 서천군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에 면한다. 남쪽은 전라북도 김제시와, 동쪽은 익산시와 접한다.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의 산둥반도와 가깝다.
해안에는 고군산군도가 있다. 연안에는 김제시를 거쳐 남쪽 부안군까지 펼쳐지는 새만금이라는 큰 갯벌이 있는데, 여기서 한국 최대 규모의 간척 사업인 새만금 간척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3. 2. 산지
군산시는 대부분 지역이 해발고도 50m 내외의 구릉이 산재한 넓은 충적평야이며, 100~200m의 낮은 산지가 일부 분포한다. 북동부인 나포면, 서수면, 성산면 등에 200m 내외의 산지가 분포하며, 그 외 남부와 서부 지역에 100m 내외의 산지가 있다.[1]시의 북동부의 일부 지역에만 망해산(230m) · 취성산(205m) · 오성산(228m) · 고봉산(153m) · 대초산(147m) 등 선캄브리아기의 편암과 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는 200m 내외의 낮은 산지가 분포하고 있다.[1]
금강 하구부에 위치한 시가지에 인접하여 차령산맥의 말단부인 장계산(110m) · 월명산(112m) · 천방산(120m) 등의 구릉성 산지가 있으며, 그 밖에 시의 남쪽에 금성산(125m), 남서쪽에 영병산(120m) 등이 있다.[1]
3. 3. 강과 하천
북쪽과 남쪽의 시계를 따라 금강과 만경강이 서쪽으로 흘러 황해로 흘러들며, 탑천이 시의 동부에서 남서쪽으로 흘러 대야면 광교리에서 만경강 하구 부근으로 흘러든다. 경포천과 구암천이 시가지를 흘러 금강에 합류하며, 어은천은 시의 동부에서 남쪽으로 흘러 만경강에 합류한다. 이들 하천은 감조구간이 길기 때문에 하류에 배수갑문을 설치하여 바닷물의 유입을 막고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다.[8]금강과 만경강의 하구에는 넓은 간석지가 잘 발달되어 있는데, 이들 간석지는 일제강점기 이후 간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현재에도 군장간척사업과 새만금 간척 사업이 진행 중으로 해안선이 황해 쪽으로 나가게 되어 있다.[8]
3. 4. 기후
군산시는 서해와 접해 있어 해양성 기후 특성을 보인다.[47] 남부 서해안형 기후로,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여름에는 온난 습윤하다. 연교차는 내륙 지방보다 작으며, 도서 지방은 더욱 작다. 연평균 강수량은 1202mm이고, 연평균 기온은 13℃이다. 1월 평균 기온은 -0.1℃ 내외, 8월 평균 기온은 25.9℃(평년값 기준)이다.[47]일일 최대 강수량은 261.1mm(1979년 8월 5일 기록), 1시간 최대 강수량은 81.0mm(2010년 7월 23일 기록)이다. 일일 최고 기온은 37.1℃(2018년 8월 24일 기록), 일일 최저 기온은 -15℃(2018년 1월 27일 기록)이다.[47]
연평균 풍속은 4.1㎧로, 2월 ~ 4월에 북서풍이 비교적 강하게 분다. 특히 해안 지역이라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데, 대부분 해무로 연간 평균 41일이나 된다. 겨울철 찬 대륙성 고기압이 확장될 때는 돌풍 현상과 벼락을 동반한 소나기성 눈이 자주 내리고, 폭설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47]
군산은 0℃ 등온선을 사용하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 ''Dfa'')와 -3℃ 등온선을 사용하는 보다 서늘한 습윤 아열대 기후(''Cfa'')를 갖고 있다. 전라북도 내에서는 바다에 접해 있기 때문에 혹한이 심하지 않다.
항목 | 내용 |
---|---|
연평균 강수량 | 1202mm |
일일 최대 강수량 | 261.1mm (1979년 8월 5일) |
1시간 최대 강수량 | 81.0mm (2010년 7월 23일) |
연평균 기온 | 13℃ |
일일 최고 기온 | 37.1℃ (2018년 8월 24일) |
일일 최저 기온 | -15℃ (2018년 1월 27일) |
연평균 풍속 | 4.1㎧ |
안개 발생 일수 | 연간 평균 41일 |
4. 행정 구역
군산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 16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산시의 면적은 395.9 km2이고,[51]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70,131 명, 118,264 가구이다.[52]
읍·면·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옥구읍 | 沃溝邑 | 38.30 | 3,287 | 1,677 |
옥산면 | 沃山面 | 16.73 | 4,814 | 1,957 |
회현면 | 澮縣面 | 38.34 | 3,549 | 1,558 |
임피면 | 臨陂面 | 21.97 | 2,758 | 1,446 |
서수면 | 瑞穗面 | 24.23 | 2,671 | 1,339 |
대야면 | 大野面 | 37.83 | 5,225 | 2,661 |
개정면 | 開井面 | 16.80 | 3,109 | 1,512 |
성산면 | 聖山面 | 27.41 | 3,019 | 1,409 |
나포면 | 羅浦面 | 31.80 | 2,289 | 1,136 |
옥도면 | 沃島面 | 23.56 | 3,629 | 1,865 |
옥서면 | 沃西面 | 20.88 | 3,199 | 1,626 |
해신동 | 海新洞 | 3.03 | 2,470 | 1,302 |
월명동 | 月明洞 | 1.14 | 6,062 | 3,191 |
신풍동 | 新豊洞 | 1.21 | 7,527 | 3,442 |
삼학동 | 三鶴洞 | 0.56 | 5,965 | 2,988 |
중앙동 | 中央洞 | 0.67 | 2,953 | 1,728 |
흥남동 | 興南洞 | 0.99 | 11,968 | 5,361 |
조촌동 | 助村洞 | 3.11 | 21,180 | 9,131 |
경암동 | 京岩洞 | 1.22 | 7,769 | 3,958 |
구암동 | 龜岩洞 | 5.63 | 5,579 | 2,322 |
개정동 | 開井洞 | 5.11 | 3,006 | 1,250 |
수송동 | 秀松洞 | 5.41 | 56,282 | 20,683 |
나운1동 | 羅雲洞 | 1.60 | 13,381 | 5,937 |
나운2동 | 0.81 | 24,463 | 9,715 | |
나운3동 | 8.55 | 33,509 | 13,660 | |
소룡동 | 小龍洞 | 33.48 | 17,251 | 8,240 |
미성동 | 米星洞 | 29.54 | 13,217 | 7,170 |
군산시 | 群山市 | 395.9 | 270,131 | 118,264 |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해신동 | 해망동, 신흥동, 금동 |
월명동 | 월명동, 신창동, 중앙로1가, 영화동, 장미동, 선양동, 둔율동, 창성동, 명산동, 송창동, 개복동 |
신풍동 | 문화동, 신풍동, 송풍동 |
삼학동 | 삼학동, 오룡동, 금광동 |
중앙동 | 중앙로2가, 영동, 신영동, 죽성동, 평화동, 중동, 금암동 |
흥남동 | 중앙로3가, 대명동, 장재동, 미원동, 동흥남동, 서흥남동 |
조촌동 | 조촌동, 경장동 |
경암동 | 경암동 |
구암동 | 구암동, 내흥동 |
개정동 | 개정동, 사정동 |
수송동 | 수송동, 미장동, 지곡동 |
나운1동 | 나운동 |
나운2동 | |
나운3동 | 미룡동, 신관동, 개사동 |
소룡동 | 소룡동, 벌교도동, 비응도동 |
미성동 | 산북동, 내초동, 개사동, 신관동 |
옥구읍 | 옥정리, 상평리, 이곡리, 수산리, 오곡리, 선제리, 어은리 |
옥도면 | 개야도리, 죽도리, 어청도리, 연도리, 선유도리, 무녀도리, 신시도리, 야미도리, 장자도리, 대장도리, 꾸리도리, 말도리, 비안도리, 두리도리 |
옥서면 | 옥봉리, 선연리 |
옥산면 | 옥산리, 당북리, 금성리, 남내리, 쌍봉리 |
회현면 | 고사리, 관원리, 금광리, 대정리, 마룡리, 세장리, 웅동리, 월연리, 증석리, 학당리, 화등리 |
임피면 | 읍내리, 웅산리, 미원리, 보석리, 술산리, 월하리, 영창리 |
서수면 | 서수리, 웅동리, 관원리, 마룡리, 화등리, 금암리 |
대야면 | 산월리, 지경리, 복교리, 광교리, 접산리, 죽산리, 보덕리 |
개정면 | 아동리, 운회리, 아산리, 통사리, 발산리, 옥석리 |
성산면 | 고봉리, 대명리, 도암리, 둔덕리, 산곡리, 성덕리, 여방리, 창오리 |
나포면 | 나포리, 장상리, 옥곤리, 부곡리, 주곡리, 서포리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49년 | 196,980명 | 군산시(74,447), 옥구군(122,533) |
1955년 | 213,039명 | 군산시(85,932), 옥구군(127,107) |
1960년 | 229,377명 | 군산시(90,437), 옥구군(138,940) |
1966년 | 250,753명 | 군산시(102,327), 옥구군(148,426) |
1970년 | 247,526명 | 군산시(110,140), 옥구군(137,386) |
1975년 | 271,986명 | 군산시(154,780), 옥구군(117,206) |
1980년 | 271,175명 | 군산시(165,317), 옥구군(105,858) |
1985년 | 280,913명 | 군산시(185,649), 옥구군(95,264) |
1990년 | 287,055명 | 군산시(218,205), 옥구군(68,850) |
1995년 | 266,569명 | 외국인: 229명 (0.1%) |
2000년 | 272,715명 | 외국인: 586명 (0.2%) |
2005년 | 250,011명 | 외국인: 799명 (0.3%) |
2010년 | 260,546명 | 외국인: 1,701명 (0.7%) |
2015년 | 275,155명 | 외국인: 6,432명 (2.3%) |
2019년 | 270,635명 | 외국인: 8,136명 (3.0%) |
6. 경제
1988년 대규모 국영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군산은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1995년에는 옥구군(沃溝郡)을 합병하여 시역이 확장되었다. 최근 중국과의 무역 발전에 따라 대중 무역항으로도 홍보하고 있다.
2010년 HD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가 가동을 시작했으나, 2015년 이후 조선업 불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울산조선소로의 집중화가 결정되었다. 2017년 7월 1일 군산조선소가 폐쇄되었다.[16]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가 부진해지자, 2018년 4월 이후 한국 정부는 군산시 등을 산업·고용 위기 지역으로 지정하고, 경영 안정 자금, 특별 보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17] 이후 조선업 경영 실적이 회복되면서, 2023년 1월을 목표로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이 결정되었다.[18]
6. 1. 산업
1990년대 이후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서해안 시대의 개막으로 중공업 위주의 2차 산업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두산인프라코어, 타타대우상용차, OCI 등 대규모의 중공업 관련 공장이 가동 중이다. 2018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새만금 산업단지에 OCI와 삼성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계획하고 있다.경기 침체로 현대중공업과 한국지엠이 군산에서 철수하여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때마침 전기자동차 확대에 힘입어 에디슨모터스 및 명신 등의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군산에 생산라인을 차리며 대한민국 전기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발돋움할 준비를 하고 있다.
1988년 대규모 국영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1995년에는 옥구군(沃溝郡)을 합병하여 시역이 확장되었다. 최근 중국과의 무역 발전에 따라 대중 무역항으로도 홍보하고 있다.
2010년 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가 가동을 시작했으나, 2015년 이후 조선업 불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울산조선소로의 집중화가 결정되었다. 2017년 7월 1일 군산조선소가 폐쇄되었다.[16]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부진이 심화되자, 2018년 4월 이후 한국 정부는 군산시 등을 산업·고용 위기 지역으로 지정하고, 경영 안정 자금, 특별 보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17] 이후 조선업 경영 실적이 회복되면서, 2023년 1월을 목표로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이 결정되었다.[18]
군산 이마트는 31번째 이마트 지점이자 전북 지역 세 번째 지점으로, 5.35ha의 부지에 1.32ha의 매장 면적과 1,100대 수용 가능한 주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하 1층을 포함한 4층 건물로, 한국에서 가장 큰 이마트이다.
군산 롯데마트는 총 매장 면적 13686m2으로 군산에서 가장 큰 할인점이며, 4층부터 7층까지 실내 주차장을 갖춰 쇼핑 편의성을 제공한다.
군산 어담시장은 90년 역사를 가진 한국 최초의 현대식 마트 형태 전통시장이다. 저렴한 먹거리와 옛날 대장간 등 다양한 볼거리가 풍부하다.
6. 2. 농업
호남평야의 중심을 이루는 곳으로 전형적인 쌀농사 지역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 나맥 등이다. 특산물로는 가물치, 마른꽃새우, 냉동대하, 멸치액젓, 물외장아찌, 흰찹쌀, 보리쌀 등이 유명하다.6. 3. 상업 및 수산업
군산은 회로 유명하다. 바닷가에 위치한 유명한 군산 수산물 직판장 외에도 구항 지역이 있으며, 금강 댐/교량 동쪽에는 새로운 해산물 센터가 건설 중이다. 군산에는 일급 수산시장도 있다. 바닷가에 있는 이 새롭고 밀폐된 시장에는 신선하고 냉동된 생선, 게, 조개류, 젓갈, 건어물 등이 있다. 윗층에는 다양한 스시(寿司|스시일본어) 레스토랑이 있다.군산 이마트는 31번째 이마트 지점이자 전북 지역 세 번째 지점으로, 5.35ha 부지에 1.32ha의 매장 면적과 1,100대 수용 가능한 주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하 1층 포함 4층 건물로, 한국에서 가장 큰 이마트이다.
군산 롯데마트는 총 매장 면적 13686m2으로 군산에서 가장 큰 할인점이며, 4층부터 7층까지 실내 주차장을 갖춰 쇼핑 편의성을 제공한다.
군산 어담시장은 90년 역사를 가진 한국 최초의 현대식 마트 형태 전통시장이다. 저렴한 먹거리와 옛날 대장간 등 다양한 볼거리가 풍부하다.

1988년 대규모 국영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공업 도시로 발전했으며, 1995년에는 옥구군을 합병하여 시역이 확장되었다. 최근 중국과의 무역 발전에 따라 대중 무역항으로도 홍보하고 있다.
2010년에는 HD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가 가동을 시작했으나, 2015년 이후 조선업 불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울산조선소로의 집중화가 결정되었다. 2017년 7월 1일, 군산조선소가 폐쇄되었다.[16]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부진이 심화되자, 2018년 4월 이후 한국 정부는 군산시 등을 산업·고용 위기 지역으로 지정하고, 경영 안정 자금, 특별 보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17]
이후 조선업 경영 실적이 회복되면서, 2023년 1월을 목표로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이 결정되었다.[18]
7. 관광
- 고군산군도: 옥도면이 관할하는 섬의 무리로, 무녀도, 선유도, 신시도 등 12개의 유인도와 46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경관이 빼어나 관광지로 유명하며, 몇몇 섬은 새만금 방조제 및 연도교(連島橋)로 이어져 있다.[54]
- 국립신시도자연휴양림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근대 건축관, 근대 미술관: 근대역사교육의 도시 군산에 자리한 군산의 근대문화 및 해양문화를 주제로 하는 특화 박물관이자 지역박물관으로서 2011년 9월에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은 해양물류역사관, 어린이박물관, 수장고, 2층은 근대자료규장각실, 3층은 근대생활관, 기획전시실, 세미나실로 구성되어 있다. 군산시의 근대 박물관, 근대 미술관, 근대 건축관은 자녀와 역사체험학습을 할 수 있다. 근대 박물관에서는 일제 강점기 당시의 역사를 보여주는 연극도 진행한다.[54]
- 은파호수공원: 본래 농업용 저수지였던 곳이 저수지를 중심으로 인근의 작은 산들을 포함한 2578524m2가 1985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순환도로가 완공되어 누구나 자동차를 타고 아흔아홉 구비라는 은파관광지의 주변을 모두 구경할 수 있게 되었다.[55]
- 이성당빵집: 1920년부터 오랜 전통을 이어온 빵집이다. 단팥빵과 야채빵이 유명하며, 특정 시간에 줄을 지어 사먹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현재는 다른 일부 지역에 체인점을 냈다.
- 자천대: 원래 옥구군 선연리의 동산에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 후기 군용비행장 안으로 편입되자 이를 상평마을로 옮기고 경현재라 하였다가 1967년 다시 지은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의 2층 누각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여러 가지 색으로 된 무늬를 곱게 칠해 놓았다.
- 철길마을(기차마을): 기차 선로에 집들이 바짝 붙어있는 마을로, 관광지로 재탄생했다. 현재는 기차가 다니지 않는다.
- 이당미술관: 1층에는 최신시설의 남녀 목욕탕이 있었고, 2층부터 4층까지는 20여 개의 객실을 갖추고 군산항을 찾는 국제여객을 맞이했다. 2008년 이후 상당 기간 빈 건물로 방치되었다가 2015년부터 현대식 미술관 및 예술가를 위한 작업공간으로 리모델링을 했다.
- 선유도 해수욕장: 명사십리, 삼도귀범 등 선유팔경이 유명하다. 바다낚시, 갯벌체험 등 체험관광이 가능한 전천후 관광지이다.
- 오성산
- 청암산
-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지스코)[56]
- 월명공원: 군산시 중심에 위치한 곳으로 시민의 안식처이자 관광지로써 봄에는 화려한 벚꽃과 동백꽃이 가을에는 아름다운 단풍이 시민들을 유혹하며, 정상에 오르면 금강과 서해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 진포해양공원: 군산 내항의 진포해양테마공원은 고려 말 최무선 장군이 최초로 화포를 이용하여 왜구를 물리친 진포대첩을 기념하며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의 체험학습의 장으로 활용, 올바른 역사의식 확립과 자긍심 고취를 위해 당시 전투현장이었던 내항 일대에 육·해·공군의 퇴역 장비 13종 16대를 전시하여 공원을 조성하였다.
- 금강철새조망대
- 금강호 시민공원
- 금강랜드
- 금강랜드생태습지공원
- 군산농수산물 쇼핑센터
- 군산컨트리클럽
- 옥구저수지
- 군산호수
- 새만금 방조제
- 임피역사
- 군산 은파호수공원에는 음악분수와 자전거 도로가 있다.
- 어린이 교통공원[3]
8. 교통
군산은 대외 수출항으로 발달하여 배후지와의 육로 교통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특히 호남고속도로가 전주와 익산 사이를 지나고, 전주-군산 간 도로 확장으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철도는 군산선이 2008년 1월 1일 장항선에 편입되고 장항-군산 간 철길이 단선으로 연결되면서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이용하여 익산, 대천, 천안, 서울 방면으로 갈 수 있다. 현재 군산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새마을호는 왕복 8회, 무궁화호는 왕복 9회 운행한다.[57]
군산항은 국내 각 항구는 물론 외국과도 연결되며, 군산공항에서는 제주 노선이 운행된다. 군산공항은 연간 26만 3천 명의 여행객이 이용하며, 물동량은 6,570톤이다.[57] 군산은 항만 교통의 중심지로, 외항에서는 수출입 물자가 운송되고 내항에서는 황해 도서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군산항은 토사 퇴적이 심하여 1926년부터 호안 축조와 도수제 축조 공사를 시행하였다. 그럼에도 토사 퇴적으로 대형 선박 출입이 불편하여 서남쪽 8km 지점에 12만 톤급 선박이 출입할 수 있는 외항을 건설하였다.
군산항은 일제강점기에 쌀 수출항으로 성장한 이후 전북특별자치도의 공업 발전 부진으로 해운 운송 실적이 미미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 수입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여, 1992년에는 전년의 3,353t에 비해 크게 증가한 633만 6,594t의 화물 운송 실적을 보였다. 군산 외항은 최대 2만 톤급 선박 12척이 동시에 머무를 수 있도록 건설되었고, 자동차 전용 부두 등 4개 부두가 건설되었다. 현재는 옥도면에 비응 관광어항이 신설되어 어항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중국 옌타이(烟台)와 칭다오(靑島) 직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또한 10만 톤급 선박 60여 척이 접안할 수 있는 새만금 신항만이 건설되고 있다.
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새만금-포항 간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다. 금강하구둑을 통해 서천군으로 갈 수 있으며, 군산시 해망동과 서천군 장항읍을 잇는 동백대교가 연결되어 금강하구둑을 이용하는 것보다 운행 거리는 11km, 운행 시간은 25분 단축되었다.
- 군산시의 시내버스
- 익산시의 시내버스[58]
- 서천군의 농어촌버스[59]
- 군산고속버스터미널
- 군산시외버스터미널
- 대야공용버스터미널
- 중국의 석도 ↔ 군산시 간 국제여객선이 운항 중이다.[60]
-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군산 나들목, 동군산 나들목)
- 국도: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 지방도: 지방도 제706호선, 지방도 제709호선, 지방도 제711호선, 지방도 제718호선, 지방도 제744호선
과거 군산선은 익산역에서 뻗어나가는 지선이었으나, 2008년 금강을 건너 장항선 장항역까지 연결하는 신선이 개통되어 장항선에 편입되었다.
신선 개통에 따라 군산역은 시가지에서 떨어진 곳으로 이전하였다. 군산역은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대야역은 일부 열차만 정차한다. 서울 용산역에서 직통으로 운행하는 새마을호 또는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3시간~3시간 30분 소요된다. 익산역에서는 약 20분 거리이며, 용산역 출발 한국고속철도(KTX)에 환승하면 최단 1시간 30분 정도면 이동할 수 있다.
- 한국철도공사
- * 장항선
- ** 군산역 - 대야역(전라북도)
- * 군산화물선
- ** 대야역 - 개정역 - 군산화물역(구 군산역)
- * 옥구선
- ** 군산옥산신호장 - 옥구역
- * 군산항선
- ** 대야역 - 군산옥산신호장 - 군산항역
- '''군산고속버스터미널''' 군산역에서 남서쪽으로 4km 떨어진 시가지에 위치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남부터미널)행만 운행하며, 낮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소요시간은 2시간 35분이다.
- '''군산시외버스터미널''' 고속버스터미널 옆에 위치한다. 동서울터미널행은 60~9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대전행은 60분 간격, 광주행은 4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대구행은 대구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운행한다. 그 외 인천국제공항·김제·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또한, 전주·익산행 노선은 1시간에 4회 이상으로 많으며, 터미널 건물은 일반 시외버스터미널 건물과 고속버스터미널 사이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 서해안고속도로(15호선)
- * 동군산 나들목 - 군산휴게소(목포 방향만) - 군산 나들목 - 군산휴게소(서울 방향만)
군산공항은 이스타항공의 기점 공항이다.
9. 교육
고등학교 |
---|
군산고등학교, 군산기계공업고등학교, 군산동고등학교, 군산상일고등학교, 군산여자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군산영광여자고등학교, 군산제일고등학교, 군산중앙고등학교, 군산중앙여자고등학교, 전북외국어고등학교, 한들고등학교 |
중학교 |
---|
군산금강중학교, 군산남중학교, 군산대성중학교, 군산동산중학교, 군산동원중학교, 군산산북중학교, 군산서흥중학교, 군산영광중학교, 군산월명중학교, 군산자양중학교, 군산제일중학교, 군산중앙중학교, 군산중학교, 군산진포중학교, 나포중학교, 선유도중학교, 옥구중학교, 임피중학교, 회현중학교 |
초등학교 |
---|
개야도초등학교, 개정초등학교, 군산경포초등학교, 군산구암초등학교, 군산금광초등학교, 군산나운초등학교, 군산남초등학교, 군산내흥초등학교, 군산동초등학교, 군산문화초등학교, 군산미성초등학교, 군산산북초등학교, 군산서초등학교, 군산서해초등학교, 군산소룡초등학교, 군산수송초등학교, 군산신풍초등학교, 군산신흥초등학교, 군산용문초등학교, 군산월명초등학교, 군산중앙초등학교, 군산지곡초등학교, 군산진포초등학교, 군산초등학교, 군산풍문초등학교, 군산흥남초등학교, 금암초등학교, 나포초등학교, 당북초등학교, 대야초등학교, 대야남초등학교, 마룡초등학교, 무녀도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미룡초등학교, 발산초등학교, 서수초등학교, 선유도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술산초등학교, 신시도초등학교, 어청도초등학교, 오봉초등학교, 옥구초등학교, 옥봉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임피초등학교, 전주교육대학교 군산부설초등학교, 창오초등학교, 해성초등학교, 회현초등학교, 군산아리울초등학교, 군산푸른솔초등학교, 군산미장초등학교 |
특수학교 |
---|
군산명화학교 |
도서관 |
---|
군산시립도서관, 금강도서관, 늘푸른도서관, 설림도서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대야분관 |
군산에는 약 39,539명의 학생이 다니는 154개의 초등학교와 4개의 중학교가 있다.
국제학교는 2개가 있는데, 하나는 라이트하우스 국제학교(Lighthouse International School)이고, 다른 하나는 군산화교소학교()이다.[7]
라이트하우스 국제학교(LIS)는 영어 사용 비즈니스, 군, 외교 커뮤니티의 교육적, 영적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학교에는 여러 영어권 국가 출신의 학생들이 다니며,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과정을 제공한다. LIS는 군에서 지원하는 가족들을 위해 NDSP 정부 지원금을 받을 자격이 있다.[8]
10. 공공 시설
- 월명종합경기장[61]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62]
11. 자매 결연 도시
군산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0]
국가 | 도시 |
---|---|
대한민국 | 경상북도 김천시 |
대한민국 | 대구광역시 동구 |
대한민국 | 전라남도 여수시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강남구 |
대한민국 | 충청북도 제천시 |
대한민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미국 | 워싱턴주 터코마 |
중화인민공화국 | 산둥성 웨이하이 |
인도 | 마하라슈트라 주 핌프리친치와드 |
인도 | 자르칸드 주 잠셰드푸르 |
캐나다 | 온타리오주 윈저 |
중화인민공화국 | 광서장족자치구 북해 |
중화인민공화국 | 산둥성 연태 |
중화인민공화국 | 장쑤성 곤산 |
12. 출신 인물
- 오지환(吳智煥), 대한민국 유격수, 야구 선수, LG 트윈스 소속.
- 이서원(李曙原), 대한민국 전 배우.
- 김수미(金守美) (본명: 김영옥|金英玉한국어), 대한민국 배우.
- 송새벽(宋새벽), 대한민국 배우.
- 병헌(李秉憲), 가수, 래퍼, 댄서, 배우, 모델, 사회자, K팝 아이돌, 틴탑 전 멤버.
- 예찬 (본명: 김예찬|金豫찬한국어), 가수, 댄서, K팝 아이돌, 핑크판타지 멤버.
- 조현 (본명: 신지원|申知原한국어), 가수, 래퍼, 댄서, 배우, K팝 아이돌, 베리굿 멤버.
- 채아 (이전 활동명: 체리, 본명: 김채영|金採楹한국어), 가수, 래퍼, 댄서, K팝 아이돌, 레드스퀘어 멤버, 굿데이 전 멤버.
- 캐서린 설기 강, 대한민국 출신 중앙아프리카 태권도 선수, 2012년 올림픽 출전.
- 이정현 (1999년생), 고양 캐롯 점퍼스 및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농구 선수.
- 이은주(李恩宙), 배우
- 고은(高銀), 시인, 작가
- 채만식(蔡萬植), 소설가
- 김성한(金城漢), 프로야구 선수, 해태 타이거즈 소속
- 김혁민(金赫珉), 프로야구 선수, 한화 이글스 소속
- 오지환(吳智煥), 프로야구 선수, LG 트윈스 소속
- 이진영(李晋暎), 프로야구 선수, KT 위즈 소속
- 전우엽(田玗曄), 프로야구 선수, KIA 타이거즈 소속
- 김상현(金相賢), 프로야구 선수, KIA 타이거즈 소속
- 이용규(李容圭), 프로야구 선수, 한화 이글스 소속
- 이승호(李承浩), 프로야구 선수, 롯데 자이언츠 소속
- 채병용(蔡秉龍), 프로야구 선수, SK 와이번스 소속
- 차우찬(車雨燦), 프로야구 선수, 삼성 라이온즈 소속
- 이우선(李宇善), 프로야구 선수, 삼성 라이온즈 소속
- 박명수(朴明洙), 개그맨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Gunsan Modern History Museum_Official Website
http://museum.gunsan[...]
[3]
웹사이트
Children's Transportation Park Mainpage
http://gstp.or.kr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7]
웹사이트
군산화교소학
http://www.isi.go.kr[...]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2016-03-30
[8]
웹사이트
Lighthouse International School
https://www.facebook[...]
[9]
웹사이트
Seonyudo Island (선유도)
https://english.visi[...]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Sisterhood Relationship Cities
http://www2.gunsan.g[...]
Gunsan
2020-04-14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뉴스
群山市
http://jeonju.jp/are[...]
2016-09-11
[1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군산(14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군산(140)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5]
서적
1909-10-01
[16]
뉴스
現代重工業、群山造船所の操業中断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7-07-04
[17]
웹사이트
融資を絶たれ行き詰まる韓国の地方中小企業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2-15
[18]
웹사이트
造船所の再稼働へ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02-24
[1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기타
[21]
기타
[22]
웹사이트
군산 내흥동유적
http://jgpm.ggcf.kr/[...]
[23]
웹사이트
군산 내흥동 유적 발굴조사
https://www.kras.or.[...]
[24]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5]
웹사이트
선사
http://gunsan.grandc[...]
[26]
웹사이트
국읍
http://contents.hist[...]
[27]
웹사이트
한광야 교수의 한국의 도시 (7) - 금강이 만들어낸 도시, 군산
https://www.dgupress[...]
동대신문
2015-09-21
[28]
웹사이트
마한을 기습하여 합병하다 ( 8년 10월(음) )
http://db.history.go[...]
삼국사기,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9]
웹사이트
삼국통일신라시대
https://www.kunsan.a[...]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
[30]
웹사이트
기벌포전투
http://www.cultureco[...]
문화콘텐츠닷컴
[31]
웹사이트
군산(群山)이란 이름은 어디서 왔을까?
http://www.hwangryon[...]
황룡닷컴
2011-03-02
[32]
웹사이트
고려시대
https://www.kunsan.a[...]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
[33]
웹사이트
조선시대
https://www.kunsan.a[...]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
[34]
웹사이트
군산 역사 연표
http://museum.gunsan[...]
군산근대역사박물관
[35]
웹사이트
조창의 모습
http://www.cultureco[...]
문화콘덴츠 닷컴
[36]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2004
[3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12-29
[3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1940-10-23
[39]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4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3-12
[41]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42]
법률
대통령령 제12557호
null
[43]
법률
군산시조례 제1566호,제1567호
1994-08-01
[44]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45]
법률
군산시조례 제566호, 제567호
2003-02-17
[46]
법률
군산시조례 제789호
2008-02-04
[47]
웹인용
군산 기상대
https://web.archive.[...]
2009-06-15
[48]
기타
[4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군산(14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5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군산(140)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51]
웹사이트
군산 현황
https://www.gunsan.g[...]
2020-09-18
[5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09-18
[53]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54]
웹사이트
http://museum.gunsan[...]
[55]
웹인용
홈페이지
http://tour.gunsan.g[...]
2014-05-19
[56]
웹인용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8-04-27
[57]
웹사이트
http://www.gunsan.go[...]
[58]
기타
[59]
기타
[60]
웹인용
석도훼리, 군산 ↔ 석도 간 운항
https://web.archive.[...]
2015-01-17
[61]
웹사이트
http://www.gunsan.go[...]
[62]
웹인용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8-04-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오늘의 SBS 8뉴스 예고 (9월 7일)
'하늘에 구멍 났나' 빗물에 도로 잠겨…제보영상으로 본 군산 상황
'올해 가장 강한 비' 내린 군산…시간당 152mm '피해 속출'
빗물에 잠긴 군산…시간당 152㎜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군산에 시간당 152.2㎜…2년 연속 ‘200년 빈도’ 극한호우
'올해 처음 보는 폭우' 군산 시간당 152㎜…전라선 열차 멈추고 도로 유실
군산 시간당 152㎜ ‘200년 만의 폭우’···전라선 익산-전주 열차 운행 중단
전세 불안·대출 규제에 분양가 상한제 단지 눈길
군산 섬 주민들이 직접 찍은 ‘필름 카메라’ 사진전
두돌 ‘군산 북페어’에 1만명 운집…지역 도서관·책방에 희망
전북,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 최대 15%로 확대
울릉도 오징어? 군산 오징어!…작년보다 3배 풍어
민주 신영대 전 선거 사무장 2심도 징역형 집유…확정시 당선 무효
신영대 민주당 의원 선거사무장 2심도 징역형…확정시 ‘당선 무효’
동료 선원 흉기로 찌른 40대 인도네시아인 체포
전북 10개 지역 호우특보…크고 작은 피해 이어져
전북 김제 밤새 102.5㎜ 폭우…인명·시설 피해 없어
전북 김제 100㎜ 폭우···8개 시·군 ‘호우특보’
군산해경 간부, 도박 혐의로 검찰 송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