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1년부터 도입된 대한민국 철도청의 디젤 기관차이다. 총 96량이 도입되었으며, 일부는 7100호대, 7200호대로 개조되었다. 7500호대는 GT26CW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후기형과 재생 차량은 GT26CW-2 모델을 따른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재생 작업을 거쳐 수명이 연장되었으며, 2012년부터 2019년까지는 빨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현재 노후화로 인해 순차적으로 퇴역 중이며, 일부는 이란으로 수출되었다. 2025년 기준 34량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부터 도입된 GE PowerHaul 기반의 전기식 디젤 기관차로, 대한민국 특대형 디젤 기관차 최초로 양방향 운전실을 갖추고 VVVF 인버터 제어를 통해 연료 효율을 높여 총 25량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디젤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75년부터 1985년까지 총 90량 도입되어 초기에는 미국 수출입은행 차관으로, 이후 현대중공업에서 국산화 제작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여 해외 수출되거나 기념으로 보존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 | |
---|---|
차량 정보 | |
차량명 | 7500호대 디젤 기관차 (GT26CW, GT26CW-2) |
![]() | |
엔진 | EMD 16-645E3 |
차륜 배열 | Co-Co |
영업 최고 속도 | 105 |
설계 최고 속도 | 105 |
견인력 | 3,000 HP |
용도 | 화물용 |
전장 | 20,787 |
전폭 | 3,127 |
전고 | 4,254 |
차량 중량 | 291010.186 (LB) 132 |
기어비 | 62:15 |
축중 | 22 |
궤간 | 1,435 |
보안 장치 | ATS, ATP(봄바르디어) |
제동 방식 | 공기 제동, 발전제동 |
제작사 | GMC/EMD |
제작사 (추가) | '현대차량' (→현대로템) '현대로템' (→현대로템) '한국철도차량' (→현대로템) |
제작 연도 | 1971년~1980년, 1996년~1998년 |
도입 단가 | 338,187달러 (1971년) 540,000달러 (1975년) 650,000,000원 (1980년초) 880,000,000원/770,000,000원 (1980년말) 1,990,000,000원 (1996년) 2,662,000,000원 (1998년) |
운영 회사 |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
생산량 | 83 |
2. 역사
1967년 GMC/EMD에서는 해외 수출용 기관차 모델인 '''GT26CW'''를 출시하였고, 이에 5000호대와 같이 미국 국내 운행용인 대형 기관차를 도입하였던 철도청에서도 해당 모델을 구입하여 운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970년 5월 14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차관을 체결하여 50량의 기관차를 수입하게 되었고[1], 이 50량은 1971년 7월에 7501~7550호로 도입되었다.[2]
1975년 5월에는 미국수출입은행(EXIM)과 차관을 맺어 50량을 추가 도입을 확정하였으며[3], 같은 해 12월에 7551~7590호와 7101~7110호로 도입되었다.[2] 이후 7581~7590호는 7111~7120호로 변경되었다. 1979년 8월 15일에는 현대차량이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디젤 기관차 7581호를 제작 완료하였으며[4], 9월 18일에 서울역에서 운행식을 진행하였다.[5][6] 이후 현대차량에서는 국산 기관차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여, 1979년, 1980년 1월과 12월에 7581~7586호와 7587~7596호가 각각 16량 도입되었다.[4][7]
1986년경 철도청의 열차 고속화 정책에 의하여, 7548~7596호 가운데 40량이 여객용으로 개조되어 7201~7240호로 차량 번호가 바뀌었으며, 나머지 9량은 7548~7556호로 재배치되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GT26CW-2''' 모델인 7557~7583호를 추가 도입하였다. 7501~7544호 사이의 운용 중인 차량은 1999년 12월부터 2003년까지 언더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재생 작업을 거쳐 수명이 연장된 것으로, 총괄제어 장치가 추가되었으며 GT26CW-2 모델과 형식상 동일해졌으며 부산철도차량정비창과 로템에서 제작되었다. 2012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남아 있는 7500호대 기관차 전체를 화물 기관차 도색에 맞춰 빨간색으로 재도색하고 있다.
2. 1. 도입 배경
1960년대 말, 대한민국 철도청은 노후화된 증기 기관차를 대체하고 늘어나는 수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디젤 기관차 도입을 추진했다.[1][2][3][4][5][6][7] 1967년, 제너럴 모터스(GMC)/일렉트로 모티브 디젤(EMD)에서 해외 수출용 기관차 모델인 GT26CW를 출시하였고, 철도청은 5000호대와 같이 미국 국내 운행용인 대형 기관차를 도입하는 대신 해당 모델을 구입하여 운용하기로 결정하였다.1970년 5월 14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차관을 체결하여 50량의 기관차를 수입하게 되었고[1], 1971년 7월에 7501~7550호로 도입되었다.[2] 1975년 5월에는 미국수출입은행(EXIM)과 차관을 맺어 50량을 추가 도입을 확정하였으며[3], 같은 해 12월에 7551~7590호와 7101~7110호로 도입되었다.[2] 이후 7581~7590호는 7111~7120호로 변경되었다.
1979년 8월 15일에는 현대차량이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디젤 기관차 7581호를 제작 완료하였으며[4], 9월 18일에 서울역에서 운행식을 진행하였다.[5][6] 이후 현대차량에서는 국산 기관차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여, 1979년, 1980년 1월과 12월에 7581~7586호와 7587~7596호가 각각 16량 도입되었다.[4][7]
1986년경 철도청의 열차 고속화 정책에 따라, 7548~7596호 가운데 40량이 여객용으로 개조되어 7201~7240호로 차량 번호가 바뀌었으며, 나머지 9량은 7548~7556호로 재배치되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GT26CW-2 모델인 7557~7583호를 추가 도입하였다. 7501~7544호 사이의 운용 중인 차량은 1999년 12월부터 2003년까지 언더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재생 작업을 거쳐 수명이 연장되었으며, 총괄제어 장치가 추가되었고 GT26CW-2 모델과 형식상 동일해졌으며 부산철도차량정비창과 로템에서 제작되었다. 2012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남아 있는 7500호대 기관차 전체를 화물 기관차 도색에 맞춰 빨간색으로 재도색하고 있다.
2. 2. 초기 도입 (1971년 ~ 1975년)
1967년 GMC/EMD에서는 해외 수출용 기관차 모델인 '''GT26CW'''를 출시하였고, 이에 5000호대와 같이 미국 국내 운행용인 대형 기관차를 도입하였던 철도청에서도 해당 모델을 구입하여 운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970년 5월 14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과 차관을 체결하여 50량의 기관차를 수입하게 되었고[1], 이 50량은 1971년 7월에 7501~7550호로 도입되었다.[2]1975년 5월에는 미국수출입은행(EXIM)과 차관을 맺어 50량을 추가 도입하였으며[3], 같은 해 12월에 7551~7590호와 7101~7110호로 도입되었다.[2] 이후 7581~7590호는 7111~7120호로 변경되었다.
2. 3. 국산화 노력과 추가 도입 (1979년 ~ 1998년)
1979년 8월 15일에는 현대차량이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디젤 기관차 7581호를 제작 완료하였으며[4], 9월 18일에 서울역에서 운행식을 진행하였다.[5][6] 이후 현대차량에서는 국산 기관차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여, 1979년, 1980년에 7581~7596호가 도입되었다.[4][7]1986년경 철도청의 열차 고속화 정책에 의하여, 7548~7596호 가운데 40량이 여객용으로 개조되어 7201~7240호로 차량 번호가 바뀌었으며, 나머지 9량은 7548~7556호로 재배치되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GT26CW-2''' 모델인 7557~7583호를 추가 도입하였다.
2. 4. 재생 및 퇴역 (1999년 ~ 현재)
1999년 12월부터 2003년까지 7501~7544호 사이의 운용 중인 차량은 언더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재생 작업을 거쳤다.[4][7] 이 과정에서 총괄제어 장치가 추가되었으며, GT26CW-2 모델과 형식상 동일해졌다. 재생 작업은 부산철도차량정비창과 로템에서 진행되었다. 2012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남아 있는 7500호대 기관차 전체를 화물 기관차 도색에 맞춰 빨간색으로 재도색하였다.노후화로 인해 순차적으로 퇴역이 진행 중이며, 일부 차량은 이란으로 수출되기도 했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 7501~7544호가 폐차될 예정이다. 7531호는 2024년 12월 31일에 퇴역하였다. 2026년 12월에는 7557, 7559~7562, 7564~7566, 7573~7576호가, 2028년 5월에는 7577~7583호가 퇴역할 예정이다.
3. 기술적 사양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기본적 사양은 동일하나 기어비를 높여 105km/h의 최고 속도와 높은 견인력을 가지고 있다. 후기에 도입된 타입과 재생 기관차 타입은 73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한 '''GT26CW-2'''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총괄제어 회로등을 갖추고 있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
7573~7576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ATC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ATP는 고속선 진입시 'Level STM 전이' 후 'ATS/ATC모드'로 전환된다.
3. 1. 기본 사양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기본적 사양은 동일하나 기어비를 높여 105km/h의 최고 속도와 높은 견인력을 가지고 있다. 후기에 도입된 타입과 재생 기관차 타입은 73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한 GT26CW-2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총괄제어 회로등을 갖추고 있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7573~7576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ATC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ATP는 고속선 진입시 'Level STM 전이' 후 'ATS/ATC모드'로 전환된다.
3. 2. GT26CW-2 모델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기본적 사양은 동일하나 기어비를 높여 105km/h의 최고 속도와 높은 견인력을 가지고 있다. 후기에 도입된 타입과 재생 기관차 타입은 73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한 '''GT26CW-2'''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총괄제어 회로등을 갖추고 있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7573~7576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ATC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ATP는 고속선 진입시 'Level STM 전이' 후 'ATS/ATC모드'로 전환된다.
3. 3. 외형 특징
한국철도공사 7100호대 디젤 기관차와 기본적 사양은 동일하나 기어비를 높여 105km/h의 최고 속도와 높은 견인력을 가지고 있다. 후기에 도입된 타입과 재생 기관차 타입은 7300호대 디젤 기관차와 동일한 GT26CW-2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총괄제어 회로등을 갖추고 있다. 일부 차량은 앞 문이 없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앞 문이 있었던 일부 차량들도, 개량 작업으로 앞 문이 제거되었다.3. 4. 고속선 구원기
7573~7576호 4량은 고속선 구원기로 사용되며,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고속선 진입 시 자동 열차 방호 장치(ATP)는 'Level STM 전이' 후 'ATS/ATC 모드'로 전환된다.4. 차량 현황
총 96량이 도입되었는데, 10량은 7100호대 디젤 기관차로, 40량은 7200호대 디젤 기관차로 각각 개조되었다. 2025년 기준 34량이 운행되고 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창문이 쇠창틀로 교체되었다.
4. 1. 개요
4. 2. GT26CW (7501호~7556호)
GT26CW 모델은 1971년 7월 26일부터 도입된 초기 모델이다.[9][10][11] 7501호부터 7556호까지 총 56량이 도입되었다. 이 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16량(7501, 7502, 7504, 7511~7514, 7516, 7527, 7530, 7533, 7534, 7538, 7541, 7544호)이며, 모두 재생 과정을 거쳤다. 7501~7544호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폐차될 예정이다.7528호는 1995년 10월 11일 중앙선 단촌역 구내에서 7123호와 충돌하여 대파되어 1995년 12월 19일 폐차되었다.[12] 7547호는 1997년 8월 14일 영동선 통리역 ~ 심포리역 구간 운행 중 탈선 및 추락 사고로 대파되어 폐차되었다.
퇴역한 차량 중 일부는 이란으로 수출되었다.[8] 7503, 7505, 7506, 7508~7510, 7515, 7517~7520, 7522, 7524~7526, 7529, 7532, 7535, 7536, 7540, 7542, 7543, 7545, 7553, 7554호 등이 이란으로 매각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운행이 만료되어 고철 매각되었다. 7507호는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3년 이란으로, 7515호는 영주역에 보존되었다가 2012년 이란으로 수출 매각되었다. 7519호는 영화 권순분 여사 납치사건에 등장하기도 했다. 7546호는 영주역에 무궁화호 객차와 함께 보존되었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 7548호, 7549호, 7550호, 7551호, 7556호는 7567호, 7568호, 7571호, 7572호, 7565호에서 개번[13]된 차량으로, 2013년 6월 30일에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이후 김천역에 유치되었다가 고철 매각되었다.[14][15] 7552호, 7553호, 7554호, 7555호는 각각 7582호, 7583호, 7585호, 7586호에서 개번된 차량이다.
7531호는 1999년 12월에 재생되었으나, 2024년 12월 31일에 퇴역하였다.
4. 3. GT26CW-2 (7557호~7583호)
1996년에 도입된 7557호부터 7576호까지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으로, 7573호~7576호는 KTX 비상 견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다.[16] 7557, 7559~7562, 7564~7566, 7573~7576호는 2026년 12월에 퇴역할 예정이다. 7558호는 2021년 11월 14일에, 7563호는 2021년 12월 31일에, 7567~7569호는 2022년 3월 24일에, 7570~7572호는 2022년 4월 30일에 각각 퇴역하였다.[16]1998년에 도입된 7577호부터 7583호까지는 국가철도공단 소속 차량이다. 이 차량들은 철도청 CI 도색을 적용한 채로 공단에 인도되어 현재도 옛 도색을 유지하고 있다.
4. 4. 폐차 및 매각
5. 갤러리
참조
[1]
뉴스
세은 철도차관서명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0-05-14
[2]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3]
뉴스
미수출은·ADB·서독서 재정차관 6천4백만불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5-09
[4]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5]
뉴스
「근대사의 애환」을 싣고… 철마 80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9-09-18
[6]
뉴스
철도사의 새 장-국산 디젤기관차 운행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9-09-18
[7]
서적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철도차량기술검정단
1999
[8]
웹인용
Project - p strong 2011 may strong locomotives shipment from south korea to iran 5 units 1 350 cbm p
http://www.etamad.co[...]
2020-02-15
[9]
웹인용
EMD 37200 to 37299
http://www.trainweb.[...]
2016-07-03
[10]
웹인용
EMD 713500 to 713599
http://www.trainweb.[...]
2016-07-03
[11]
웹인용
Korean National Locomotives
https://www.thediese[...]
2017-03-12
[12]
뉴스
열차끼리 정면충돌 26명 부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10-11
[13]
웹인용
비공개 포스트 입니다.
http://blog.naver.co[...]
2016-07-04
[14]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98,454kg (7량)
http://www.onbid.co.[...]
2018-05-23
[15]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헌 디젤기관차(고철매각용 14량) 1,048,895
http://www.onbid.co.[...]
2018-07-03
[16]
웹인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폐 디젤기관차 12량 989,343Kg 매각
http://www.onbid.co.[...]
2022-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