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로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로템은 철도 차량, 방위 사업, 플랜트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이다. 1999년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의 철도차량 부문이 통합되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2001년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되었다. 이후 사명을 로템, 현대로템으로 변경했다. 철도 사업 부문에서는 KTX 고속열차, 전동차 등 다양한 철도 차량을 제작하며, 방위 사업 부문에서는 K1, K2 흑표 전차를 생산한다. 플랜트 사업 부문에서는 제철 설비, 프레스, 자동차 생산 설비 등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차량 제작사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차량 제작사 - 다원시스
    다원시스는 1996년 설립되어 2001년 사명을 변경하고 2010년 코스닥에 상장한 전력변환장치 전문업체로, 국내 철도 차량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친환경 고효율 전력변환장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수산업체 - 세아베스틸
    세아베스틸은 1955년 설립되어 2003년 세아그룹에 편입된 대한민국의 특수강 제조 기업으로, 특수강, 대형 단조품 등을 생산하며 스테인리스 특수강, 알루미늄 소재 사업과 함께 원자력, 항공, 방산 등 고부가가치 사업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수산업체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그룹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대우그룹 -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67년 대우실업으로 설립되어 2000년 (주)대우 무역 부문에서 분할된 대한민국의 종합상사로, 섬유, 철강 무역에서 시작해 플랜트, 자원 개발, 에너지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2010년 포스코 그룹에 편입, 2023년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여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성장 중이나, 미얀마 가스전 사업, 파푸아뉴기니 팜유 사업 등으로 논란이 있다.
현대로템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회사명현대 로템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Hyeondae Rotem Jusikhoesa
영문 회사명Hyundai Rotem Company
로고
본사 위치경기도 의왕시
본사 주소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삼동)
이전 회사명한국철도차량 (1999–2001)
로템 (2002–2007)
설립일1999년 7월 1일
모기업현대자동차
산업 분야방위 산업
제조업
철도 산업
주요 제품공장
군용 차량
철도 차량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주요 인물이용배 (최고경영자)
사업 지역전 세계
종업원 수3,800명
자회사EUROTEM
재무 정보 (2022년)
매출액3조 1,633억
영업이익1,475억
순이익1,945억
자산 총액4조 8,239억
자본1조 4,915억
주주 정보
주요 주주현대자동차 (33.77%)
국민연금공단 (6.97%)
종업원 지주 (0.34%)
기타 (0.01%)

2. 연혁

현대로템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99년 7월: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의 철도차량 제조 부문이 통합되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한국철도차량한국어)로 설립되었다. 약칭은 코로스(KOROS)였다.[3]
  • 2001년 10월: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가 되었다.
  • 2002년 1월 1일: 사명을 '''주식회사 로템'''(로템한국어, Rotem영어)으로 변경하였다. 'Rotem'은 "RailrOading Technology systEM"의 약자이다.[3] 군용 무기, 플랜트, 우주 사업 부문을 인수하였다.
  • 2007년: 사명을 '''현대로템주식회사'''(현대로템한국어, Hyundai Rotem Company영어)로 변경하였다.[3]

2. 1. 통합 이전

1977년 현대정공(주)의 창업 시기를 공식적으로 현대로템(주)의 창립시기로 기록하고 있으나, 실제 현재의 법인은 1999년 7월 1일 3사 철차사업부 통합법인으로 출범한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가 시초이다. 통합 이전에는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등이 각각 철도차량사업을 진행하였다.
현대정공 철도차량사업부 시절1976년 7월 현대조선 중공업(주) "철도차량사업부"가 디젤전기기관차와 전기기관차의 제조업체로 지정받으면서 본격적인 철도차량 생산체계를 구축하였다.[3]

1978년 현대조선 중공업(주)의 철도차량사업부문 분리, 현대차량주식회사로 발족하였다.[3]

1979년 국내 최초 국산 디젤기관차 생산.[3]

1980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저항제어방식 전동열차 납품.(1개편성 4량)[3]

1983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초퍼제어방식 전동열차 납품.[3]

1984년 한국형 K1전차 개발.[3]

1985년 4월 현대차량(주) 대표이사로 정몽구 선임. 현대정공(주)에 피합병되어 철도차량사업부문으로 재편.[3]

1985년 7월 19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국내최초로 스테인리스전동차 제작납품.(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3]

1986년 7월 12일 유선형 신형기관차 개발.[3]

1987년 10월 1일 한국형 88전차 개발.[3]

1988년 1월 12일 푸쉬풀(PUSH - PULL) 새마을 동차납품 개시.[3]

1989년 3월 항공사업 참여.[3]

1991년 2월 자기부상열차 개발. 한국 고속철도차량 주 제작사로 선정.[3]

1993년 2월 자기부상열차 개발 완료.[3]

1993년 3월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열차 납품.(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3]

1993년 11월 고속철도차량 주 조립업체로 선정.[3]

1994년 5월 철도차량 ISO 인증획득.[3]

1994년 1월 항공사업부 신설법인 현대우주항공(주)로 분할.[3]

1995년~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열차 납품.(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3]

1996년 국내 최초 경전철 수주(필리핀 마닐라).[3]

1998년 1월 2일 경부고속전철(KTX) 국산화 생산 착수.[3]

1998년~1999년 서울 지하철 1호선 신형전동차 납품.(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3]

1998년 9월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모델 개발.[3]
대우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 시절1963년 5월 국영기업체 한국기계공업(주)로 발족하였다. 1964년 11월 철도차량 사업에 참여하였다. 1968년 9월 신진자동차공업(주)가 경영에 참여하였다. 1973년 6월 부곡차량(주)을 인수 합병하여 철도 전문공장을 건설하였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주)가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30일 대우기계(주)를 합병 후 대우중공업(주)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6년 12월 31일 SMSC 1호선 전동차를 개발하였다.

1979년 3월 새마을호 객차 및 우등객차를 제작 납품하였고, 우등 디젤전기 동차 5량 2개편성을 제작 납품하였다. 1980년 장거리용 우등형 전동차(EEC)를 철도청에 납품하였다. 1983년 2호선 쵸퍼제어 방식(GEC제휴) 전동차를 최초로 납품하였다. 1985년 자기부상열차 개발에 착수하였다. 1992년 자기부상열차 시험모델 DMV92를 개발하였다. 1996년 4월 통근형 디젤동차(CDC)를 철도청에 납품하였다. 1998년 9월 30일 고속전철 객차 조립공장을 준공하였다.

1999년 2월 3일 대우중공업(주)의 철도차량 사업부문이 현대, 한진과 통합되어 한국철도차량(주) 신설법인으로 이관되었다.[3]
한진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 시절1937년 7월 10일 조선중공업(주)이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국영기업 대한조선공사가 되었다. 1964년 9월 철도차량사업을 시작했고, 1968년 11월 6일 주식회사 대한조선공사로 민영화되었다. 1985년 12월 다대포공장을 신축하여 철도차량공장 및 플랜트사업을 이전하였다. 1986년 11월 부산지하철 전동차 6량을 제작납품하기 시작했고, 현대정공에서 12량을 하청받았다. 1989년 5월 15일 (주)대한조선공사 및 4개 계열사가 한진그룹에 편입되었으며, 1990년 6월 16일 (주)한진중공업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서울지하철공사 2, 3, 4호선용 전동차 64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3년 12월 과천선 전동차 24량을 제작 납품하였고, 1994년 7월 분당선 전동차 52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6년 회사정리절차가 종결되어 법정관리가 해제되었다. 1997년 8월 대구지하철 1호선 전동차 216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9년 서울도시철도공사 7, 8호선용 전동차 88량을 제작납품하였다. 같은 해, 한진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는 대우중공업, 현대정공의 철도차량 부문과 합병되어 한국철도차량(주)(KOROS)로 변경되었다.[3]

2. 1. 1. 현대정공 철도차량사업부 시절

1976년 7월 현대조선 중공업(주) "철도차량사업부"가 디젤전기기관차와 전기기관차의 제조업체로 지정받으면서 본격적인 철도차량 생산체계 구축.[3]

1978년 현대조선 중공업(주)의 철도차량사업부문 분리, 현대차량주식회사로 발족.[3]

1979년 국내 최초 국산 디젤기관차 생산.[3]

1980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저항제어방식 전동열차 납품.(1개편성 4량)[3]

1983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초퍼제어방식 전동열차 납품.[3]

1984년 한국형 K1전차 개발.[3]

1985년 4월 현대차량(주) 대표이사로 정몽구 선임. 현대정공(주)에 피합병되어 철도차량사업부문으로 재편.[3]

1985년 7월 19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국내최초로 스테인리스전동차 제작납품.(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3]

1986년 7월 12일 유선형 신형기관차 개발.[3]

1987년 10월 1일 한국형 88전차 개발.[3]

1988년 1월 12일 푸쉬풀(PUSH - PULL) 새마을 동차납품 개시.[3]

1989년 3월 항공사업 참여.[3]

1991년 2월 자기부상열차 개발. 한국 고속철도차량 주 제작사로 선정.[3]

1993년 2월 자기부상열차 개발 완료.[3]

1993년 3월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열차 납품.(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3]

1993년 11월 고속철도차량 주 조립업체로 선정.[3]

1994년 5월 철도차량 ISO 인증획득.[3]

1994년 1월 항공사업부 신설법인 현대우주항공(주)로 분할.[3]

1995년~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열차 납품.(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3]

1996년 국내 최초 경전철 수주(필리핀 마닐라).[3]

1998년 1월 2일 경부고속전철(KTX) 국산화 생산 착수.[3]

1998년~1999년 서울 지하철 1호선 신형전동차 납품.(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3]

1998년 9월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모델 개발.[3]

2. 1. 2. 대우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 시절

1963년 5월 국영기업체 한국기계공업(주)로 발족하였다. 1964년 11월 철도차량 사업에 참여하였다. 1968년 9월 신진자동차공업(주)가 경영에 참여하였다. 1973년 6월 부곡차량(주)을 인수 합병하여 철도 전문공장을 건설하였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주)가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30일 대우기계(주)를 합병 후 대우중공업(주)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76년 12월 31일 SMSC 1호선 전동차를 개발하였다.

1979년 3월 새마을호 객차 및 우등객차를 제작 납품하였고, 우등 디젤전기 동차 5량 2개편성을 제작 납품하였다. 1980년 장거리용 우등형 전동차(EEC)를 철도청에 납품하였다. 1983년 2호선 쵸퍼제어 방식(GEC제휴) 전동차를 최초로 납품하였다. 1985년 자기부상열차 개발에 착수하였다. 1992년 자기부상열차 시험모델 DMV92를 개발하였다. 1996년 4월 통근형 디젤동차(CDC)를 철도청에 납품하였다. 1998년 9월 30일 고속전철 객차 조립공장을 준공하였다.

1999년 2월 3일 대우중공업(주)의 철도차량 사업부문이 현대, 한진과 통합되어 한국철도차량(주) 신설법인으로 이관되었다.[3] 이 회사는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1999년 한진중공업, 대우중공업, 현대정공의 철도차량 부문이 합병되면서 한국철도차량(주)(KOROS)로 변경되었다.[3]

2. 1. 3. 한진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 시절

1937년 7월 10일 조선중공업(주)이 설립되었다. 1945년 12월 국영기업 대한조선공사가 되었다. 1964년 9월 철도차량사업을 시작했고, 1968년 11월 6일 주식회사 대한조선공사로 민영화되었다. 1985년 12월 다대포공장을 신축하여 철도차량공장 및 플랜트사업을 이전하였다. 1986년 11월 부산지하철 전동차 6량을 제작납품하기 시작했고, 현대정공에서 12량을 하청받았다. 1989년 5월 15일 (주)대한조선공사 및 4개 계열사가 한진그룹에 편입되었으며, 1990년 6월 16일 (주)한진중공업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서울지하철공사 2, 3, 4호선용 전동차 64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3년 12월 과천선 전동차 24량을 제작 납품하였고, 1994년 7월 분당선 전동차 52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6년 회사정리절차가 종결되어 법정관리가 해제되었다. 1997년 8월 대구지하철 1호선 전동차 216량을 제작 납품하였다. 1999년 서울도시철도공사 7, 8호선용 전동차 88량을 제작납품하였다. 같은 해, 한진중공업 철도차량사업부는 대우중공업, 현대정공의 철도차량 부문과 합병되어 한국철도차량(주)(KOROS)로 변경되었다.[3]

2. 2. 국내 철차제조사 통합 (1999년~2001년)

1997년 외환위기 직후 정부의 중복투자사업 구조조정 계획에 따라 1999년 7월 1일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의 철도차량 사업부문이 통합되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KOROS)가 설립되었다.[3] 1999년 5월 3일 철차 3사(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는 합작계약을 체결하였다. 1999년 11월 25일 대만철도청 전동차 56량을 수주하였다. 2000년 2월 5일에는 열차종합제어장치(TCMS), 열차자동제어시스템(ATC/ATO)을 개발하였고, 2000년 12월 16일 필리핀 마닐라 전동차 72량을 수주하였다. 2000년 12월 31일 당시 대우종합기계(주) 39.2%, (주)한진중공업 21.6%, 현대자동차 39.2% 지분을 소유하였다.

2001년 5월 22일 인도 델리 지하철 1호선DMRC 전동차 240량을 수주하였고, 2001년 9월 29일 대우종합기계(주) 지분이 현대자동차에 매각되었다. 2001년 11월 1일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되었으며, 2001년 11월 30일 부산공장이 폐쇄되고 의왕·창원공장으로 이원화되었다. 2002년 1월 1일 사명을 주식회사 로템(Rotem)으로 변경하였고,[3] 2007년 12월에는 현대로템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3]

2. 3. 현대자동차그룹 편입 (2001년~현재)

2001년 10월 현대자동차에 인수된 후, 같은 해 12월 28일 (주)로템으로 재출범하였다. 새로운 사명인 로템(Rotem)은 철도기술을 뜻하는 'Railroading Technology'와 복합적인 체계의 통일성을 의미한 'System'을 결합시킨데서 유래하며, 과거 한국철도차량(주)을 뜻하는 KOROS의 기업이미지 개선 차원에서 사명 변경이 이루어졌다.[31] 2006년 10월 16일에 한진중공업이 로템 보유지분을 매각하면서, 2007년 11월 15일 현대(HYUNDAI) 브랜드 가치를 활용하고자 사명을 현대로템(주)로 바꾸었다. 현재 현대로템(주)는 현대자동차(주)가 최대주주로 43.3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3]

현대자동차그룹 편입 이후, 현대로템은 국내외 철도 사업 수주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였다. 2001년 10월 6일 인도 델리 지하철 1호선 전동차 수주를 시작으로, 2002년 9월 5일 그리스 아테네 전동차 126량, 2003년 3월 5일 브라질 살바도로 지하철 1호선 전동차를 수주하였다. 2004년에는 6월 1일 홍콩전동차 32량, 10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 120량, 11월 1일 이란 디젤동차 120량을 수주했다. 2005년에는 1월 31일 아일랜드 디젤동차 120량, 10월 31일 캐나다 무인경전철 40량을 수주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다.

2002년 2월 국내 최초 알루미늄 전동차 개발 및 국내 최초 고속차량(佛 알스톰 TGV 기반) KTX-I를 출고하였으며, 국산 동력집중식 시험고속차량연구개발 HSR-350(G7) 개발에 성공하였다. 2004년 대한민국 산업자원부 선정 2003 대한민국 10대 신기술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에 선정되었다. 2008년 3월 1일에는 국내 동력집중식 고속차량 KTX-산천을 첫 출고(세계 4번째)하였다.

2008년 현대자동차 러시아공장 풀라인 자동차생산설비, 2008년 7월 29일 터키 차기전차 기술지원사업을 수주하는 등 사업 다각화에도 힘썼다. 2010년 3월 2일에는 한국형 KTX-산천 고속열차 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2012년에는 국내 동력집중식 시험고속차량 HEMU-430X 연구 개발에 성공했다.

2013년 10월 30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하였다. 2013년 호남고속철 고속차량을 출고하였고, 2015년 SR 고속차량을 출고하였다. 2019년에는 국산 동력분산식 고속차량 KTX-이음을 첫 출고(세계 4번째)하였으며, 2022년 320km/h급 동력분산식 고속차량 KTX-청룡을 출고하였다. 2024년 우즈베키스탄 수출 계약으로 국산 고속차량 첫 해외 수출 (모델: 아프로시욥 EMU-250)을 달성하였다.

3. 주요 사업 부문

현대로템은 철도, 방위, 플랜트 사업을 주요 사업 부문으로 한다.
철도 사업현대로템의 철도 사업은 철도차량 제작을 주력으로 하며, 철도 관련 신호, 통신,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도 포함한다.[32] 고속열차, 통근형 전동차, 기관차, 경전철용 전동차, 디젤동차, 자기부상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를 생산하며, 홍콩, 대만, 미국, 터키, 브라질, 인도 등 세계 각지에 철도차량을 수출했다.[32]

1999년 철차 3사 통합 이후 국내 철도차량 생산을 사실상 독점해왔으나, 2015년 다원시스/로윈 컨소시엄이 서울교통공사 2호선 신형 전동차 수주에 성공하며 독점 체제가 깨졌다.[32] 세계 시장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선진 업체와의 경쟁으로 인해 점유율이 12위(2.4%)로 하락했다.[32][33] 중국 철도차량 업체는 중국 내 고속철도망 확충, 가격 경쟁력, 저렴한 인건비, 국가적 지원에 힘입어 성장했으며, 중국중쳐로 합병되어 30% 이상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33]

현대로템은 한국철도공사(Korail)의 KTX 고속열차, 전동차(EMU), 전기 기관차를 포함한 한국 내 대부분의 철도 차량을 공급했다.[4]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노선, 신분당선 차량도 공급했다. 해외에서는 홍콩 지하철(MTR)의 K-Stock 및 R-Stock 전동차(EMU), 대만의 통근형 전동차(EMU), 델리 지하철용 열차, 캐나다 라인용 자동 열차 등을 공급했다.[4] 필라델피아(Philadelphia, Pennsylvania) 지역의 SEPTA 지역 철도(SEPTA Regional Rail)에 실버라이너 V(Silverliner V) 통근 열차 120량과 지역 교통 지구(RTD)의 A선에 실버라이너 V 66량을 납품했다.[4]

고속철도 KTX


미국 로스앤젤레스 근교를 운행하는 메트롤링크의 2층 제어차


대한민국의 KTX-이음


바르샤바(Warsaw)의 현대로템 트램


이포역(Ipoh railway station)의 KTM ETS 91형 전동차

방위 사업현대로템의 방위 사업 핵심은 지상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이다. 국내 지상무기분야 시장은 현재 현대로템, 두산DST(구.대우중공업), 한화테크윈(구.삼성항공) 등 3개사가 나눠 갖고 있으며, 현대로템의 방위사업은 구 현대정공(주) 중기사업부를 거쳐 2002년 현재의 사업부로 재편됐다.

현대로템은 K1 전차, K1A1 성능개량 전차, 계열전차인 구난전차, 교량전차 등을 생산해왔으며, 차기전차인 K2 흑표 전차를 개발했다. 그밖에도 차륜형전투차량, 유무인무기체계, 로봇, 첨단무기체계 등의 연구개발을 지속함으로써 국내 방산업체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 K1 전차 (MBT)
  • K1 장갑복구차 (ARV)
  • K2 흑표 전차 MBT
  • K600 라이노 전투 공병차량 (CEV)
  • K808 백호 장갑차 (APC)
  • K806 백호 APC
  • 오염제거 장비
  • 60톤 중장비 수송차량 (HET)
  • K1 전차 사격 훈련 장비
  • 정비창 정비
  • 통합 물류 시스템


K1 전차


K2 흑표 전차

플랜트 사업현대로템의 플랜트 사업은 제철 설비, 프레스, 자동차 생산 설비, 환경 설비 기술 등을 제공한다. 국내외 대형 제철소에 다양한 설비를 공급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생산성을 자랑하는 프레스 기술과 국내 유일의 풀 라인 공급 능력을 보장하는 자동차 생산 설비 기술을 갖추고 있다. 2006년에는 현대모비스로부터 수처리, 폐기물 처리 등의 환경 설비 사업을 양수받았다.

주요 설비로는 기계식 및 유압 프레스, 자동화 선반 시스템, 전기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 제련로, 용강로(Ladle furnace), 크레인, 여객탑승교(Passenger boarding bridges) 등이 있으며, 플랜트 건설 사업도 진행한다.

3. 1. 철도 사업

현대로템의 철도 사업은 철도차량 제작을 주력으로 하며, 철도 관련 신호, 통신,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도 포함한다.[32] 고속열차, 통근형 전동차, 기관차, 경전철용 전동차, 디젤동차, 자기부상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를 생산하며, 홍콩, 대만, 미국, 터키, 브라질, 인도 등 세계 각지에 철도차량을 수출했다.[32]

1999년 철차 3사 통합 이후 국내 철도차량 생산을 사실상 독점해왔으나, 2015년 다원시스/로윈 컨소시엄이 서울교통공사 2호선 신형 전동차 수주에 성공하며 독점 체제가 깨졌다.[32] 세계 시장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선진 업체와의 경쟁으로 인해 점유율이 12위(2.4%)로 하락했다.[32][33] 중국 철도차량 업체는 중국 내 고속철도망 확충, 가격 경쟁력, 저렴한 인건비, 국가적 지원에 힘입어 성장했으며, 중국중쳐로 합병되어 30% 이상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33]

현대로템은 한국철도공사(Korail)의 KTX 고속열차, 전동차(EMU), 전기 기관차를 포함한 한국 내 대부분의 철도 차량을 공급했다.[4]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노선, 신분당선 차량도 공급했다. 해외에서는 홍콩 지하철(MTR)의 K-Stock 및 R-Stock 전동차(EMU), 대만의 통근형 전동차(EMU), 델리 지하철용 열차, 캐나다 라인용 자동 열차 등을 공급했다.[4]

2008년 11월, 현대로템은 이스탄불마르마라이 프로젝트 철도 차량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11] 440량의 차량은 Eurotem에서 현지 생산될 예정이며, 2011년부터 2014년 6월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터키에서 총 804량, 16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완료했다.

2024년 9월 9일, 현대로템은 수소전기트램의 상세 제원을 공개했다.[34] 수소전기트램은 1회 수소 충전으로 150km 이상 주행 가능하며, 충전 시간은 약 15분이다.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공기정화 효과가 있고,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차선이 필요 없다.[35] 설계 최고 속도는 시속 70km이며, 최대 승차 인원은 300명 이상이다.[35] 2023년 10월 울산광역시에서 성능 검증을 완료했으며,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도입될 예정이다.[36]

3. 2. 방위 사업

현대로템의 방위 사업 핵심은 지상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이다. 국내 지상무기분야 시장은 현재 현대로템, 두산DST(구.대우중공업), 한화테크윈(구.삼성항공) 등 3개사가 나눠 갖고 있으며, 현대로템의 방위사업은 구 현대정공(주) 중기사업부를 거쳐 2002년 현재의 사업부로 재편됐다.

현대로템은 K1 전차, K1A1 성능개량 전차, 계열전차인 구난전차, 교량전차 등을 생산해왔으며, 차기전차인 K2 흑표 전차를 개발했다. 그밖에도 차륜형전투차량, 유무인무기체계, 로봇, 첨단무기체계 등의 연구개발을 지속함으로써 국내 방산업체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3. 3. 플랜트 사업

현대로템의 플랜트 사업은 제철 설비, 프레스, 자동차 생산 설비, 환경 설비 기술 등을 제공한다. 국내외 대형 제철소에 다양한 설비를 공급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생산성을 자랑하는 프레스 기술과 국내 유일의 풀 라인 공급 능력을 보장하는 자동차 생산 설비 기술을 갖추고 있다. 2006년에는 현대모비스로부터 수처리, 폐기물 처리 등의 환경 설비 사업을 양수받았다.

주요 설비로는 기계식 및 유압 프레스, 자동화 선반 시스템, 전기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 제련로, 용강로(Ladle furnace), 크레인, 여객탑승교(Passenger boarding bridges) 등이 있으며, 플랜트 건설 사업도 진행한다.

4. 생산 제품


  • 철도 차량


현대로템은 경전철, 전동차, 한국형 표준전동차, 고속열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등 다양한 철도 차량을 제작한다. 1996년 터키 아다나시 경전철 수출을 시작으로,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여러 국가에 철도차량을 수출하고 있다.[37] 특히 터키에서는 2008년 11월, 440량 규모의 보스포러스 전동차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전동차 수주 계약을 따냈다.[37]

국내에서는 한국철도공사의 KTX 고속열차, 전동차, 전기 기관차를 비롯한 대부분의 철도 차량을 공급했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노선, 신분당선 등의 차량도 공급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차량

  • 전차


현대로템은 한국형 K1A1 전차K2 흑표를 생산한다.[37] K1 전차는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이다.[37]

  • 플랜트 산업


현대로템은 제철설비, 플랜트설비, 탑승교, 대형 프레스 등 다양한 플랜트 산업 분야에 진출해 있다.[37]

4. 1. 철도 차량

현대로템은 경전철, 전동차, 한국형 표준전동차, 고속열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등 다양한 철도 차량을 제작한다. 1996년 터키 아다나시 경전철 수출을 시작으로,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여러 국가에 철도차량을 수출하고 있다.[37] 특히 터키에서는 2008년 11월, 440량 규모의 보스포러스 전동차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전동차 수주 계약을 따냈다.[37]

국내에서는 한국철도공사의 KTX 고속열차, 전동차, 전기 기관차를 비롯한 대부분의 철도 차량을 공급했다.[4] 또한,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노선, 신분당선 등의 차량도 공급했다.[4]

해외에서는 홍콩 지하철의 K-Stock 및 R-Stock 전동차, 대만 통근형 전동차, 인도 델리 지하철용 열차,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용 자동 열차 등을 공급했다.[4] 미국 필라델피아 지역의 Silverliner V 통근 열차 120량과 덴버 지역의 A선에 Silverliner V 66량을 납품하기도 했다.[4]

4. 2. 전차

현대로템은 한국형 K1A1 전차K2 흑표를 생산한다.[37] K1 전차는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이다.[37]

4. 3. 플랜트 산업

현대로템은 제철설비, 플랜트설비, 탑승교, 대형 프레스 등 다양한 플랜트 산업 분야에 진출해 있다.[37] 기계식 프레스, 유압 프레스, 자동화 선반 시스템을 생산하며, 전기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 제련로, 용강로(Ladle furnace), 크레인, 여객탑승교(Passenger boarding bridges) 등을 제작, 설치한다. 또한 플랜트 건설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5. 본점 및 지점

현대로템의 본점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488 (대원동)에 위치하고 있다. 의왕지점은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삼동)에, 당진지점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북부산업로 1480에, 강원지점은 강원도 삼척시 언장1길 27, 206호 (교동, 에너지방재지원센터)에 위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YUNDAI ROTEM 064350 https://comp.fnguide[...] FnGuide 2022-01-26
[2] 웹사이트 Hyundai Rotem News: 현대로템㈜ '08년 해외수주 2조원 진입 http://www.rotem.co.[...] 2007-12-04
[3] 웹사이트 HYUNDAI ROTEM http://www.hyundai-r[...] 2017-04-26
[4] 뉴스 Philly railcar maker Hyundai Rotem gives up and leaves town https://www.inquirer[...] 2018-08-17
[5] 웹사이트 Hyundai Rotem Pemenang Tender Rolling Stock LRT DKI Jakarta https://ekonomi.bisn[...] 2017-02-02
[6] 웹사이트 LRT Jakarta https://www.lrtjakar[...]
[7] 웹사이트 Korean website http://www.yonhapnew[...]
[8] 웹사이트 韩国现代Rotem获颁裕廊区域线62列列车合约 https://www.zaobao.c[...] 2020-02-06
[9] Youtube Taipei Metro to acquire new state-of-the-art trains from South Korea|Taiwan News https://www.youtube.[...] 2024-03-26
[10] 웹사이트 Hyundai Rotem Wins $664MM LA Metro Order https://www.railjour[...] 2024-02-06
[11] 뉴스 Metro rail goes on first automatic trial run http://www.thehindu.[...]
[12] 웹사이트 MBTA threatens to cancel $190m deal for rail cars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13] 웹사이트 MBTA's new rail cars heading for a retooling https://www.bostongl[...] Boston Globe
[14] 서적 ポケット図解 韓国鉄道の今と昔をとことん楽しむ本 秀和システム
[15] 뉴스 ロテム、「現代ロテム」に社名変更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7-11-16
[16] 뉴스 電聯車採購內幕追擊-自由時報 http://www.libertyti[...] 自由時報
[17] 뉴스 台鐵標案前帳未清 韓商圖解套叩關-自由時報 http://www.libertyti[...] 自由時報
[18] 뉴스 현대로템, 대만서 9098억 규모 전동차 사업 수주 https://www.hyundai-[...] 現代ロテム 2018-06-04
[19] 뉴스 臺北捷運採購韓國現代樂鐵高運量電聯車 首列原型車預計115年交貨 117年完成全數測試驗收 https://www.metro.ta[...] 臺北大眾捷運股份有限公司 2024-03-21
[20] 뉴스 インドに地下鉄240両を供給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2-12-25
[21] 뉴스 ロテム、トルコから軽便鉄道車両34両を受注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5-08-02
[22] 뉴스 ロテム、サンパウロの地下鉄車両を提供へ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7-08-20
[23] 뉴스 ロテム、無人自動運転車両をカナダへ初輸出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7-11-05
[24] 뉴스 ロテム、ニュージーランドに電車70両を輸出へ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07-11-14
[25] 뉴스 双日グループ、韓国・現代ロテム社と共同で米国ボストン向け二階建て鉄道車両190億円で受注 http://www.sojitz.co[...] 双日グループ 2008-05-28
[26] 뉴스 The Trains Have Arrived: Commuter Rail Gets First Shipment of Bi-Level Vehicles http://bostinno.com/[...] BostInno
[27] 뉴스 Medford MBTA chief in South Korea, still no assurances on train delivery http://www.wickedloc[...] Wicked Local Medford
[28] 뉴스 Hyundai Rotem blasted for sloppy handling of U.S. rail car project http://khnews.kheral[...] The Korea Herald 2013-01-17
[29] 보도자료 FMCB Approves the Procurement of 80 New Commuter Rail Bi-Level Coaches https://mbta.com/new[...]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9-09-23
[30] 기타
[31] 기타
[32] 뉴스인용 [현대로템 추락]① "중국 저가 공세·정부 무관심 속 현대로템은 침몰 중" http://biz.chosun.co[...] 조선경제i 2015-11-30
[33] 뉴스인용 서울시, 중국서 전동차 수입 가능할까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4-11-16
[34] 뉴스인용 300명 태우고 시속 70㎞ 주행…현대로템, 수소트램 공개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4-09-09
[35] 웹인용 인포그래픽 https://www.facebook[...]
[36] 뉴스 ‘수소트램’ 제작 착수…대전 도심 달릴 모습은? https://news.kbs.co.[...] KBS 2024-08-27
[37] 뉴스 현대로템, 창사 이래 최대 전동차 공급 계약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08-11-11
[38] 각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