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남군은 조선 세종의 서자이자, 11남으로 혜빈 양씨의 소생이다. 1442년과 1451년에 한남군에 봉해졌으나, 세조 즉위 후 금성대군 등과 역모를 꾀했다는 죄로 유배되었다. 함양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중 1459년에 사망했으며, 묘는 경상남도 함양군에 위치해 있다.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유겸이 한남군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9년 출생 - 젠틸레 벨리니
 젠틸레 벨리니는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화가로, 베네치아 출신의 유명 예술가 가문에서 성장하여 초상화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초상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육종영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 육종영 - 화의군
 화의군 이영은 세종의 아들로 태어나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문란한 사생활과 단종 복위 운동 가담으로 고초를 겪었지만, 단종에 대한 충절을 인정받아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1459년 사망 - 레 인종
 레 인종은 1442년 즉위하여 섭정과 친정을 거치며 과거 제도 개혁과 참파 침공 격퇴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에 의해 살해당한 베트남 레 왕조의 황제이다.
- 1459년 사망 - 잔노초 마네티
 잔노초 마네티는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자 인문학자로, 고전 연구, 번역, 역사 저술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외교적 성과를 이루고 그리스어 고전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르네상스 시기 지식 보급에 공헌했으며, 인간의 존엄성을 옹호하는 사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저작 번역으로 후대 인문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남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남군 | 
| 한자 표기 | 漢南君 | 
| 휘 | 이어(李𤥽) | 
| 작위 | 조선 세종의 왕자 | 
| 출생일 | 1429년 10월 14일 |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 사망일 | 1459년 7월 8일 | 
| 사망지 | 조선 경상도 함양 | 
| 배우자 | 양원군부인 안동 권씨 | 
| 자녀 | 1남 1녀 이중생(아들), 이수리(딸) | 
| 부친 | 세종 | 
| 모친 | 혜빈 양씨 | 
| 시호 | 정도(貞悼) | 
2. 생애
세종의 서자(庶子)이자, 11남으로 생모는 혜빈 양씨(惠嬪 楊氏) 청주 양씨(淸州 楊氏)이다. 1429년 10월 5일(음력 9월 8일)에 태어났고 1459년 6월 29일(음력 5월 29일)에 졸하였다. 정부인으로는 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자녀로는 정부인 권씨가 낳은 장남 이중생(李衆生)이 있고 장녀 이수리(李修理)가 있다. 1442년(세종 24) 7월 3일 과 1451년(문종 1) 5월 4일 한남군(漢南君)으로 봉하여졌다.[1][2] 세조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역모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윤6월 11일에 금산(錦山)에 유배되었고[3], 아산(牙山)에 이배되었다가 세조 2년인 1456년 음력 6월 27일에는 함양(咸陽)으로 옮겨졌다.
함양에서의 방금(防禁)조건이 실록에 전해지고 있다.[4]
:1. 난장(欄墻) 밖에 녹각성(鹿角城)을 설치하소서.
:1. 외문(外門)은 항상 자물쇠로 잠그고 조석거리는 10일에 한 차례씩 주며, 또 담안에 우물을 파서 자급(自給)하게 하고 외인(外人)으로 하여금 서로 통하지 못하게 하소서.
:1. 외인이 왕래하여 교통(交通)하거나 혹 물품을 주는 자가 있으면, 불충(不忠)한 자에 견주어 논단하게 하소서.
:1. 수령(守令)이 불시에 점검하고, 문을 지키는 자가 혹 비위(非違) 사실이 있으면 율문(律文)에 의하여 죄를 과단(科斷)하게 하소서.
그 뒤 세조는 1456년(세조 2) 6월 3일에는 함양 목사(牧使)에게 치서(馳書)하기를, "건장하고 부지런하며 조심성 있는 사람을 골라서 이어(李𤥽)의 배소(配所) 네 모퉁이를 나누어 지키게 하고, 당자와 잡인(雜人)의 출입을 엄하게 금방(禁防)하되, 힘써 안정(安靜)을 기하여 놀라지 말게 하라."는 유시를 하기도 하였고,[5] 1457년(세조 3) 6월 28일에는 순흥 부사(順興府使)에게 유시(諭示)하기를, "도내 함양(咸陽)에 안치(安置)된 이어(李𤥽) 금방(禁防)을 허술하게 하면 수령(守令)은 진실로 죄를 받을 것이고, 감사(監司)도 또한 죄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니 다시 금방을 엄하게 더하라."[6] 하였다.
그 뒤 모든 전토와 노비를 몰수당하고 1459년 음력 5월 29일 병사하였다.[7][8]
2. 1. 세조 즉위와 유배
세종의 서자(庶子)이자, 11남으로 생모는 혜빈 양씨(惠嬪 楊氏) 청주 양씨(淸州 楊氏)이다. 1442년(세종 24) 7월 3일 과 1451년(문종 1) 5월 4일 한남군(漢南君)으로 봉하여졌다.[1][2] 세조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역모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윤6월 11일에 금산(錦山)에 유배되었고[3], 아산(牙山)에 이배되었다가 1456년 음력 6월 27일에는 함양(咸陽)으로 옮겨졌다.함양에서의 방금(防禁)조건이 실록에 전해지고 있다.[4]
:1. 난장(欄墻) 밖에 녹각성(鹿角城)을 설치하소서.
:1. 외문(外門)은 항상 자물쇠로 잠그고 조석거리는 10일에 한 차례씩 주며, 또 담안에 우물을 파서 자급(自給)하게 하고 외인(外人)으로 하여금 서로 통하지 못하게 하소서.
:1. 외인이 왕래하여 교통(交通)하거나 혹 물품을 주는 자가 있으면, 불충(不忠)한 자에 견주어 논단하게 하소서.
:1. 수령(守令)이 불시에 점검하고, 문을 지키는 자가 혹 비위(非違) 사실이 있으면 율문(律文)에 의하여 죄를 과단(科斷)하게 하소서.
그 뒤 세조는 1456년(세조 2) 6월 3일에는 함양 목사(牧使)에게 치서(馳書)하기를, "건장하고 부지런하며 조심성 있는 사람을 골라서 이어(李𤥽)의 배소(配所) 네 모퉁이를 나누어 지키게 하고, 당자와 잡인(雜人)의 출입을 엄하게 금방(禁防)하되, 힘써 안정(安靜)을 기하여 놀라지 말게 하라."는 유시를 하기도 하였고,[5] 1457년(세조 3) 6월 28일에는 순흥 부사(順興府使)에게 유시(諭示)하기를, "도내 함양(咸陽)에 안치(安置)된 이어(李𤥽) 금방(禁防)을 허술하게 하면 수령(守令)은 진실로 죄를 받을 것이고, 감사(監司)도 또한 죄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니 다시 금방을 엄하게 더하라."[6] 하였다. 그 뒤 모든 전토와 노비를 몰수당하고 1459년 음력 5월 29일 병사하였다.[7][8]
2. 2. 유배 생활과 죽음
세종의 서자(庶子)이자, 11남으로 생모는 혜빈 양씨(惠嬪 楊氏) 청주 양씨(淸州 楊氏)이다. 세조가 즉위하자 금성대군(錦城大君), 영풍군(永豊君), 혜빈 양씨와 함께 역모를 꾀하였다는 죄로 1455년 윤6월 11일에 금산(錦山)에 유배되었고[3], 아산(牙山)에 이배되었다가 세조 2년인 1456년 음력 6월 27일에는 함양(咸陽)으로 옮겨졌다.함양에서의 방금(防禁)조건이 실록에 전해지고 있다.[4]
:1. 난장(欄墻) 밖에 녹각성(鹿角城)을 설치하소서.
:1. 외문(外門)은 항상 자물쇠로 잠그고 조석거리는 10일에 한 차례씩 주며, 또 담안에 우물을 파서 자급(自給)하게 하고 외인(外人)으로 하여금 서로 통하지 못하게 하소서.
:1. 외인이 왕래하여 교통(交通)하거나 혹 물품을 주는 자가 있으면, 불충(不忠)한 자에 견주어 논단하게 하소서.
:1. 수령(守令)이 불시에 점검하고, 문을 지키는 자가 혹 비위(非違) 사실이 있으면 율문(律文)에 의하여 죄를 과단(科斷)하게 하소서.
그 뒤 세조는 1456년(세조 2) 6월 3일에는 함양 목사(牧使)에게 치서(馳書)하기를, “건장하고 부지런하며 조심성 있는 사람을 골라서 이어(李𤥽)의 배소(配所) 네 모퉁이를 나누어 지키게 하고, 당자와 잡인(雜人)의 출입을 엄하게 금방(禁防)하되, 힘써 안정(安靜)을 기하여 놀라지 말게 하라."는 유시를 하기도 하였고,[5] 1457년(세조 3) 6월 28일에는 순흥 부사(順興府使)에게 유시(諭示)하기를, “도내 함양(咸陽)에 안치(安置)된 이어(李𤥽) 금방(禁防)을 허술하게 하면 수령(守令)은 진실로 죄를 받을 것이고, 감사(監司)도 또한 죄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니 다시 금방을 엄하게 더하라.”[6] 하였다.
그 뒤 모든 전토와 노비를 몰수당하고 1459년 음력 5월 29일 병사하였다.[7][8]
2. 3. 사후
그의 묘는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리 산 755-11 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경상남도 기념물 제165호로 지정되었다.2006년에는 묘소 앞 장명등이 도난되는 수난도 있었다.[9]
그의 아들 이중생은 1476년(성종 7) 나이가 찼다 하여 경기도 연천으로 유배됐다가 1485년(성종 26년) 6월 29일 상소를 올려 고신과 전민을 돌려줄 것을 상소, 성종이 들어주어 수용되었다. 1485년 아들 이중생(李衆生)과 영풍군 이전 의 딸 이 조이(李召史), 문종의 후궁 숙빈 홍씨(肅嬪 洪氏)가 성종에게 상소하여 속공 노비(屬公奴婢)를 줄 것을 청하니, 이중생과 이 조이에게는 각각 노비 20구(口)를 주고, 홍씨에게는 80구를 하사했다.
3. 가족 관계
세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혜빈 양씨이다. 수춘군 이현, 영풍군 이전과 동복 형제이다. 부인은 양원군부인 안동 권씨로, 권격의 딸이다. 장녀 이수리(1457 ~ ?), 장남 흥안군 이중생(1458 ~ 1501)을 두었다. 흥안군의 부인은 김해 김씨와 금천 계씨이며, 김해 김씨는 김현석의, 금천 계씨는 계훈의 딸이다. 흥안군의 손녀는 이가지(1481 ~ ?)이다. 흥안군은 노비 출신 측실에게서 서손자 호천군 이옥근(1491 ~ 1576)과 이인도정 이숙근(1500 ~ ?)을, 이름 미상의 측실에게서 홍의손의 처가 된 서손녀를 두었다.
4. 관련 작품
4. 1. 드라마
2011년부터 2012년까지 JTBC에서 방영한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배우 유겸이 한남군 역을 연기했다.참조
[1] 
실록
 
이계린·민신·노귀상·금유·윤상·이익박·배환·이사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illok.histor[...] 
[2] 
실록
 
이사철·허후·조혜·이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illok.histor[...] 
[3] 
실록
 
혜빈 양씨·상궁 박씨 등을 귀양보내다. 노산군이 세조에게 선위하다
 
http://sillok.histor[...] 
[4] 
실록
 
의금부에서 건의한 화의군 이영 등에 대한 금방 조건(禁防條件)
 
http://sillok.histor[...] 
[5] 
실록
 
금성 대군등의 배소를 지켜 당자와 잡인의 출입을 금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6] 
실록
 
경상·전라 관찰사에게 도내에 안치된 종친의 금방을 엄하게 할 것을 명하다
 
http://sillok.histor[...] 
[7] 
실록
 
함양에 안치된 이어가 병으로 죽다
 
http://sillok.histor[...] 
[8]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남군
 
http://encykorea.aks[...] 
2021-01-19
 
[9] 
웹사이트
 
한남군 묘 장명등 도난 공지사항
 
http://www.cha.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