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분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분순은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수필가이며 언론인이다. 서라벌예술대학교(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국민신문 기자, 월간지 부장, 편집국 부국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문인협회 이사, 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197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이후 한국시조문학상, 정운시조문학상, 한국문학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집, 시조집, 소설집, 수필집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다.

2. 이력

한분순은 서라벌예술대학교(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국민신문』, 『한국문학』, 『서울신문』, 『세계일보』, 『스포츠투데이』 등에서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였다. 197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옥적'이 당선되어 등단하였고, '시법' 창간 동인으로 참여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한국여성문학인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가람시조문학상, 구상문학상, 노산문학상 등의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2. 1. 학력 및 언론계 활동

한분순한국어은 1966년 서라벌예술대학교(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1966년부터 1975년까지 『국민신문』 기자로 활동했다. 1976년에는 월간 문예지 『한국문학』 부장을 맡았다. 1987년 Mbc '그때를 아십니까'에 방송 출연하였다. 1988년에는 여원사에서 발행하는 여성 월간지 『뷰티라이프』 주간을 맡았다. 1990년 『서울신문』 퀸 편집부장, 1992년 『서울신문』 출판국 부국장을 역임했다. 1997년 『세계일보』 편집국 부국장 겸 문화부장, 1999년 『스포츠투데이』 신문 편집국 문화부 국장을 맡았다.

2. 2. 문단 활동

2. 3. 심사 및 기타 활동

연도내용
2004년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심사위원장, 가람시조문학상 운영위원, 행정자치부 제9회 공무원문예대전 심사위원
2006년제16회 이호우·이영도 시조문학상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2008년가람시조문학 제1회 신인상 심사위원, 제18회 이호우, 제22회 이영도 시조문학상, 제2회 이호우·이영도 시조문학상 신인상 심사위원장
2010년제22회 한국시조시인협회 협회상 및 신인상 심사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진흥기금 문학부문 심사, 조선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심사위원
2011년가람시조문학상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장, 제14회 현대불교문학상 심사, 조선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심사위원, 중앙일보 제28회 중앙시조대상 및 제20회 중앙시조 신인상 심사위원, 제2회 이상시문학상 심사위원
2013년구상선생기념사업회 구상문학상 심사위원장, 농민신문사 신춘문예 심사위원
2015년제35회 가람시조문학상 심사위원장, KBS 제36회 근로자문학제 작품 심사, 국세청문예공모 심사, 신라문학대상 심사, 농민신문사 신춘문예 심사
2016년제36회 가람시조문학상 및 제8회 가람시조문학 신인상 심사위원장, 제1회 노산문학상 심사위원장, 제2회 정완영문학상 심사위원, 제21회 중앙대학교문학상 심사위원장
2017년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특집 글 - 불멸의 기획전 (백석대학교 주최)
2018년이은상백일장 심사(충북 옥천군), 마로니에백일장 심사


3.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70년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옥적 당선
1985년한국시조문학상
1990년제10회 정운시조문학상
1993년한국시조시인협회상
1994년서울신문사 공로상
1999년자랑스러운 보성인상 예술분야
2001년제38회 한국문학상
2009년제14회 현대불교문학상
2012년제1회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제1회 송운시조문학상
2013년한국시조시인협회 공로패
2014년제46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2015년제20회 중앙대문학상, 최충천년시조문학상
2017년제31회 예총예술문화상(문)대상
2018년제17회 성가곡 별처럼 비추는 꽃이 되게 하소서 (한국가톨릭작곡가협회), 우리 시 우리 노래 소녀 (문학의 집 서울)
2021년제19회 유심작품상 특별상 (만해사상실천선양회)


4. 주요 작품

한분순은 시, 시조,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시 및 시조집

제목출판사출판연도비고
실내악을 위한 주제한국문학사1979시집
서울 한낮문학세계사1987제2시집
소녀태학사2001제3 시조집
손톱에 달이 뜬다목언예원2012제4시집
언젠가의 연애편지목언예원2012제5시화집
서정의 취사시인생각2013시조집 (한국대표 명시선 100)
저물 듯 오시는 이인간과문학사2014시조집 (빛나는 시 100인선)
시인은 하이힐을 신는다현대시학2021시조집 (현대시학 기획시인선 11)


  • 「생명」, 「어머니」 외 다수, 『동광』, 1964.5, 시.
  • 「점사(點寫)」, 『현대시조』, 1970.1, 시.
  • 「이미지 산책」, 『현대시학』, 1970.4, 시.
  • 「연기(煙氣)의 추상」, 『월간문학』, 1970.9, 시.
  • 「한 개의 귤잎」, 『월간문학』, 1971.3, 시.
  • 「종(鐘)」, 『현대시학』, 1971.10, 시.
  • 「소식」 외, 『현대시학』, 1972.8, 시.
  • 「실내악을 위한 주체」, 『월간문학』, 1972.12, 시.
  • 「산(山)풀 서정」, 『풀과별』, 1973.4, 시.
  • 「청자상감당초문완」, 『시문학』, 1973.6, 시.
  • 「주제」, 『시조문학』, 1973.6, 시.
  • 「눈빛소묘(素描)」, 『현대시학』, 1973.10, 시.
  • 「주제(主題)」, 『시문학』, 1974.6, 시.
  • 「벽화」, 『한국문학』, 1974.7, 시.
  • 「한 오후」, 『시조문학』, 1974.11, 시.
  • 「그대 눈빛은」, 『시문학』, 1976.1, 시.
  • 「밤바다에서」, 『현대시학』, 1976.7, 시.
  • 「기적(汽笛)」, 『시문학』, 1976.11, 시.
  • 「어머니」, 『현대문학』, 1977.9, 시.
  • 「청(靑)」 외, 『한국문학』, 1978.3, 시.
  • 「비가(悲歌)」, 『문학사상』, 1978.6, 시.
  • 「눈물을 꿰고」 외, 『한국문학』, 1979.1, 시.
  • 「영하(零下)」, 『세대』, 1979.7, 시.
  • 「기원(祈願)」, 『한국문학』, 1979.9, 시.
  • 「눈」, 『현대시학』, 1980.4, 시.
  • 「은행나무 아래서」, 『한국문학』, 1980.9, 시.
  • 「고적(孤寂)」 외, 『한국문학』, 1981.4, 시.
  • 「동해 바다」, 『한국문학』, 1982.4, 시.
  • 「달맞이꽃」 외, 『현대문학』, 1983.6, 시.
  • 「잠」, 『신동아』, 1984.7, 시.
  • 「미련(未練)」, 『현대문학』, 1984.8, 시.
  • 「무대를 내리며」, 『한국문학』, 1985.1, 시.
  • 「단상(斷想) 15」 외, 『월간문학』, 1985.8, 시.
  • 「밤에」 외, 『문예중앙』, 1985.9, 시.
  • 「단상(斷想) 7-놀빛 고(攷)」, 『현대문학』, 1985.10, 시.
  • 「벽」 외, 『한국문학』, 1985.10, 시.
  • 「별 7」, 『현대문학』, 1985.10, 시.
  • 「악수」, 『한국문학』, 1986.3, 시.
  • 「산행 20」 외, 『월간문학』, 1986.5, 시.
  • 「달팽이」, 『동서문학』, 1986.6, 시.
  • 「산행 17」, 『예술계』, 1986.7, 시.
  • 「푸념조」 외, 『현대문학』, 1986.7, 시.
  • 「야상(夜想)」, 『월간문학』, 1986.11, 시.
  • 「여(旅)」, 『시조문학』, 1986.11, 시.
  • 「눈의 미학」, 『시문학』, 1987.1, 시.
  • 「새」, 『동서문학』, 1987.5, 시.
  • 「설계(設計)」 외, 『현대문학』, 1987.7, 시.
  • 「이후(以後)」, 『시조문학』, 1987.9, 시.
  • 「소묘(素描)」, 『월간경향』, 1987.11, 시.
  • 「겨울노래」, 『월간문학』, 1987.11, 시.
  • 「출범기(出帆記)」 외, 『심상』, 1988.1, 시.
  • 「고목」 외, 『심상』, 1988.7, 시.
  • 「그 사람」 외, 『월간문학』, 1988.7, 시.
  • 「빈 뜨락」, 『문학정신』, 1988.7, 시.
  • 「장미」, 『동서문학』, 1988.7, 시.
  • 「산행(山行) 1」, 『동양문학』, 1988.10, 시.
  • 「그 사람 3」, 『동양문학』, 1988.11, 시.
  • 「섣달을 가며」 외, 『심상』, 1988.12, 시.
  • 「파조(破調) 2」 외, 『현대문학』, 1989.4, 시.
  • 「비룡폭포」 외, 『심상』, 1989.8, 시.
  • 「갈대」, 『문학사상』, 1989.11, 시.

4. 2. 소설

제목출판사출판일비고
직각으로의 연인명지사1990년단편
밤바다 환상곡명지사1993년단편
세 여자의 몽환명지사1994년단편
룸펜의 아내명지사1995년단편
라이벌명지사1996년단편
흑장미고려원미디어1997년장편
화가와 러브호텔명지사2000년단편
사랑은 파도를 넘어태동2000년단편
숨은 사랑청어2010년 12월 20일공저
날아라 빛청어2014년 11월 10일공저
길을 세우다신아2018년 9월 21일공저


4. 3. 수필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한줄기 사랑으로 네 가슴에우석1986년
어느날 문득 사랑 앞에서홍익출판사1988년
소박한 날의 청춘현대문학사1990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