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성주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성주보는 1886년 1월 25일 발행된 최초의 한글 신문이다. 갑신정변으로 한성순보 발행이 중단된 후, 고종의 지시와 이노우에 가쿠고로의 주도로 신문 재발행이 추진되었다. 이노우에는 일본에서 인쇄기와 한글 활자를 구입하여 한글 신문 발행을 실현하는 데 기여했으나, 그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평가도 존재한다. 1888년 재정난으로 인해 신문 발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자 신문 - 매일신보
    매일신보는 대한매일신보를 전신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기관지 역할을 하며 일제 정책을 선전하고 황국신민화를 강요하는 도구로 이용되었으나, 한국 최초 신춘문예 시행 및 여기자 채용 등 한국 언론사에 기록을 남긴 일간지이다.
  • 한자 신문 - 경성일보
    경성일보는 1906년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 창간되어 통감부와 총독부의 기관지로 사용된 일본어 신문이며, 친일적 성격을 띠고 조선일보 등 민간 신문보다 규모와 영향력이 컸으나 1945년 폐간되었다.
  • 1886년 창간 - 코스모폴리탄 (잡지)
    코스모폴리탄은 1886년 미국에서 창간되어 여성의 성적 해방을 다루며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잡지이나, 선정적인 내용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886년 창간 - 스포팅 뉴스
    스포팅 뉴스는 1886년 앨프레드 H. 스핑크가 창간한 미국의 스포츠 주간 신문으로, 야구, 경마 등을 다루며 전국 야구 신문으로 성장하여 메이저 리그 올해의 선수상을 제정하고 디지털 전용 출판물로 변경되었다.
한성주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01번째 호 표지 (1888년 2월 6일)
창립자김윤식
창간일1886년 1월 25일
폐간일1888년 7월 7일
발행 국가조선
언어한국어

2. 역사

1883년부터 1884년까지 발행되던 한성순보의 후신으로, 갑신정변 당시 시설이 전소되었다.[2][1] 정변 이후 혼란이 가라앉자 정부 내에서 새로운 신문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1885년 5월 12일, 고종은 김윤식에게 신문 창간을 감독하도록 지시했다.[1]

한성순보한문으로만 발행된 것과 달리, 한성주보는 주로 국한문혼용으로 발행되었으며, 1886년 2월 22일 자 지면에는 독일 상사인 세창양행(Edward Meyer & Co.)의 광고가 게재되었는데, 이것이 조선 최초의 근대적 상업 광고였다.

1888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7월 7일, 신문 발행이 중단되었다.[3]

2. 1. 창간 배경

1884년 갑신정변 실패로 한성순보를 발행하던 시설이 불타면서 신문 발행이 중단되었다.[2][1] 정변 이후 혼란이 가라앉자 정부 내에서는 새로운 신문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1885년 5월 12일, 고종은 김윤식에게 신문 창간을 감독하도록 지시했다.[1]

당초에는 3월에 설립된 사설 인쇄소 광인사가 신문 제작을 맡았으나,[3][1] 6월 12일, 광인사가 신문 발행을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이 내려져 정부가 직접 인쇄기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1] 인쇄기와 활자는 일본에서 들여왔다.[1] 갑신정변 당시 일본으로 피신했던 일본 언론인 겸 자문 이노우에 가쿠고로는 신문 재개를 돕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3] 이들은 이전 직원들을 다시 고용하고 6명을 더 고용했으며, 신문 발행 이후 3명을 추가로 고용했다.[3]

이노우에 가쿠고로갑신정변에 개입했다가 실패하여 김옥균, 박영효 등과 함께 일본으로 돌아갔으나, 정변의 사후 처리를 위한 이노우에 가오루와 조선 정부 간의 협상 중재자로서 곧 조선으로 돌아왔다. 이때 이노우에는 조선 국왕에게 한글 사용의 새 신문을 발행할 것을 요구하는 문서를 김윤식에게 제출했다. 김윤식은 이 요구서에 강한(姜韓)이 고안한 한자·한글 혼용문의 사본을 첨부하여 고종에게 제출했고, 1885년 5월 12일, 신문 복간 허가가 내려졌다.

박문국 총재에 김윤식이 임명되었고, 이노우에 가쿠고로박문국 주임으로 유임하게 되었다. 1885년 6월, 김윤식은 신문 재발행을 위해 새로운 인쇄기와 한글 활자 구입을 이노우에 가쿠고로에게 의뢰했고, 이노우에 가쿠고로는 일본에 일시 귀국하여 인쇄기와 한글 활자를 구입했다. 이 한글 활자는 한성순보 발행 당시 한글 채택을 요구했던 후쿠자와 유키치가 築地の活版소에서 제작해 두었던 것을 이노우에 가쿠고로가 사들였고, 부족한 활자는 새로 주조한 것이었다. 1885년 11월, 이노우에 가쿠고로는 모든 것을 준비하여 한성으로 돌아왔다.

2. 2. 발행 과정

1884년 갑신정변 실패로 한성순보를 발행하던 박문국 시설이 전소되었다.[2][1] 정변 이후 혼란이 가라앉자 정부는 새 신문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1885년 5월 12일, 고종은 김윤식에게 신문 창간을 감독하도록 지시했다.[1]

처음에는 3월에 설립된 사설 인쇄소 광인사가 신문 제작을 맡았으나,[3][1] 6월 12일, 광인사가 신문 발행을 감당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직접 인쇄기를 일본에서 구입하기로 결정했다.[1] 이노우에 가쿠고로가 신문 재개에 도움을 주고자 이전 직원들을 다시 고용하고 1886년 1월 25일 창간까지 9명을 추가 고용하였다.[3]

1886년 1월 25일, 한지로 인쇄된 한성주보가 발행을 시작했다.[3] 각 페이지는 16줄, 줄마다 40자씩 배열되었고, 각 호는 16쪽 또는 18쪽으로 구성되었다. 크기는 16.5cm x 22.5cm였다.[1]

한성순보한문으로만 발행된 것과 달리, 『한성주보』는 주로 국한문혼용으로 발행되었다.[3] 이는 대중의 관심과 채택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을 것이다. 농업, 공업, 상업 등 다양한 분야의 개인 구독자 확보에도 노력을 기울였다.[3] 1886년 2월 22일 자 지면에는 독일 상사인 세창양행(Edward Meyer & Co.)의 광고가 게재되었는데, 이것이 조선 최초의 근대적 상업 광고였다.

1888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7월 7일, 신문 발행이 중단되었다.[3]

2. 2. 1. 이노우에 가쿠고로의 역할

갑신정변 실패 후 김옥균(金玉均), 박영효(朴泳孝) 등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했던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郎)는 한성순보 편집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었다.[3] 그는 곧 조선으로 돌아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와 조선 정부 간의 협상 중재자 역할을 맡았다. 이때 이노우에는 조선 국왕에게 한글 사용의 새 신문을 발행할 것을 요구하는 문서를 김윤식(金允植)에게 제출했다.[1]

김윤식(金允植)은 이노우에의 제안을 받아들여 고종(高宗)에게 신문 복간을 요청했고, 1885년 5월 12일, 고종은 이를 허가했다. 김윤식은 박문국 총재에 임명되었고, 이노우에도 박문국 주임으로 유임되었다.[1] 1885년 6월, 김윤식은 신문 재발행을 위해 새로운 인쇄기와 한글 활자 구입을 이노우에에게 의뢰했다. 이노우에는 일본에 일시 귀국하여 인쇄기와 한글 활자를 구입했는데, 이 한글 활자는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築地(쓰키지) 활판소에서 제작해 두었던 것이었다.[3] 이노우에는 부족한 활자를 새로 주조하여 1885년 11월, 모든 준비를 마치고 한성으로 돌아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886년 1월 25일, 국한문혼용체의 『한성주보』 제1호가 발행될 수 있었다.[3]

이노우에 가쿠고로의 역할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한국 언론사의 최준(崔俊) 등은 강한(姜韓)을 비롯한 조선 측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郎) 등 일본 측의 노력으로 한글 사용 신문 발행이 실현되었다고 평가한다. 반면, 후쿠자와·이노우에 등 일본 측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한국의 연구자들도 존재한다.

2. 3. 폐간

1888년 조선 정부는 재정난에 직면하여 더 이상 신문 발행을 지원할 수 없게 되면서, 1888년 7월 7일 한성주보는 발행이 중단되었다.[3]

3. 특징

한성순보의 후속지로, 보문국이 발행했으며, 이노우에 각고로도 편집 및 발행에 관여했다. 크기는 22.5×16.5cm로, 16면 또는 18면이었다. 한성순보와 달리 한문, 국한문, 한글 전용의 세 가지 종류의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조선 최초로 상업 광고가 게재되었다.

1888년 7월 7일 보문국이 적자 재정으로 폐쇄되면서 함께 폐간되었다.[4]

3. 1. 사용된 문자

한성순보는 모두 한문으로 쓰였지만, 한성주보는 한문, 국한문(일반적인 한자와 한글 혼용 문체와는 달리, 일본의 한자훈독문을 바탕으로 이노우에 각고로가 제안하고, 그걸 토대로 조선 유학자들이 창안한 것), 한글 전용의 세 가지 종류가 사용되었다. 이는 조선의 신문에서 한글이 채택된 최초의 사례이다.[4]

3. 2. 광고 게재

1886년 2월 22일자 지면에는 독일 상사인 세창양행(Edward Meyer & Co.)의 광고가 게재되었는데, 이것이 조선 최초의 근대적 상업 광고였다.[4]

4. 평가

갑신정변 실패 후 한성순보 발행이 중단되었으나, 이노우에조선 국왕에게 한글 신문 발행을 요구했고, 김윤식(金允植)은 고종(高宗)에게 이를 전달하여 신문 복간 허가를 받았다.[4] 박문국(博文局) 총재에 김윤식이, 주임에 이노우에가 임명되었고, 이노우에는 일본에서 인쇄기와 한글 활자를 구해 1886년 1월 25일 『한성주보』 제1호를 발행했다.[4]

이는 한글 신문 발행을 실현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일본 측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비판적 시각이 공존하는 평가를 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한성순보의 후속지로, 정부 기관인 보문국이 발행했으며, 일본의 이노우에 가쿠고로도 편집 및 발행에 관여했다.[4] 한성순보는 모두 한문으로 쓰여졌지만, 한성주보는 한문, 국한문(일반적인 한자와 한글 혼용 문과는 달리, 일본의 한자훈독문을 바탕으로 이노우에가 제안하고, 그걸 토대로 조선 유학자들이 창안한 것), 한글 전용의 세 가지 종류가 사용되었다. 조선의 신문에서 한글이 채택된 최초의 사례이다.[4] 이는 한글 사용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근대적 지식을 보급하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1886년 2월 22일 자 지면에는 독일 상사인 세창양행(Edward Meyer & Co.)의 광고가 게재되었는데, 이것이 조선 최초의 근대적 상업 광고였다.[4] 이는 근대적 상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로 이어진다.

4. 2. 부정적 평가

후쿠자와 유키치·이노우에 가쿠고로 등 일본 측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한국의 연구자들도 존재한다.[4]

5. 영향

한성주보(漢城周報)일본어는 이후 한국 언론과 사회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갑신정변 실패 이후에도 일본 측의 노력으로 한글 사용 신문 발행이 지속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1885년 5월 12일 신문 복간 허가가 내려졌고, 1886년 1월 25일에는 한성주보일본어 제1호가 발행되었다.[1]

이러한 한글 신문 발행은 강한(姜韓)을 비롯한 조선 측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郎) 등 일본 측의 노력으로 실현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 그러나, 후쿠자와·이노우에 등 일본 측 인물들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한국 연구자들도 있다.[1]

5. 1. 언론에 미친 영향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돌아갔던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郎)는 조선 국왕에게 한글 사용 신문 발행을 요구했고, 1885년 5월 12일 신문 복간 허가가 내려졌다.[1] 김윤식(金允植)이 박문국 총재로, 이노우에는 박문국 주임으로 유임되었다.[1] 1885년 6월, 김윤식은 신문 재발행을 위해 이노우에에게 한글 활자 구입을 의뢰했고, 이노우에는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만들어 두었던 한글 활자를 사들여 1885년 11월 조선으로 돌아왔다.[1] 이듬해 1886년 1월 25일, 『한성주보(漢城周報)』 제1호가 발행되었다.[1]

이러한 한글 사용 신문 발행은 강한(姜韓)을 비롯한 조선 측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郎) 등 일본 측의 노력으로 실현되었다는 평가도 있지만,[1] 후쿠자와·이노우에 등 일본 측의 침략성을 지적하는 한국의 연구자들도 존재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한성주보 (漢城周報) https://encykorea.ak[...] 2024-02-09
[2] 웹사이트 한성순보(漢城旬報) https://encykorea.ak[...] 2024-02-09
[3] 웹사이트 박문국의 설치와≪한성순보≫·≪한성주보≫의 간행 http://contents.hist[...] 2024-02-09
[4] 서적 222頁
[5] 백과사전 한성주보(漢城周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