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모라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모라벡은 로봇 공학, 인공지능, 미래 기술 분야에 기여한 학자이다. 그는 몬트리올 로욜라 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텔레비전 장착 로봇으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카네기 멜론 대학교 로봇 연구소에서 연구 과학자로 활동하며 Seegrid Corporation을 공동 설립했다. 모라벡은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하고,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과 로봇 발전에 대한 예측을 제시했다. 그는 저서 《마음의 아이들》에서 로봇의 진화와 인공 종의 등장을 예견했으며, '마음의 아이들'이라는 로봇이 지구를 지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봇공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로봇공학자 - 데니스 홍
    데니스 홍은 한국계 미국인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교수 겸 로봇 연구소 소장으로, 시각장애인 운전 자동차, 휴머노이드 로봇, 재난 구조 로봇 개발 등 로봇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 미래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미래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웨스턴온타리오 대학교 동문 - 앨리스 먼로
    캐나다 출신 단편 소설 작가 앨리스 먼로는 "현대 단편 소설의 거장"으로 인정받으며 201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최근 딸의 성적 학대 폭로로 유산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웨스턴온타리오 대학교 동문 - 스티브 바이어스
    죄송합니다. 제공된 정보가 불충분하여 "스티브 바이어스"에 대한 위키백과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한스 모라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스 P. 모라베크
출생일1948년 11월 30일
출생지오스트리아 카우첸
국적캐나다(미국 영주권자)
분야컴퓨터 과학
로봇 공학
인공지능
직장카네기 멜런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학력학사: 아카디아 대학교
석사: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박사: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존 매카시
박사 학위 논문 제목보는 로봇 로버에 의한 실제 세계에서의 장애물 회피 및 항법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80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주요 업적모라베크 코너 검출 알고리즘
모라베크의 역설
부시 로봇
점유 격자 매핑
양자 자살과 불멸
회전 스카이훅
로토베이터
스탠퍼드 카트
기타

2. 경력 및 학력

한스 모라벡은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캐나다에서 성장한 로봇 공학 및 인공지능 연구자이자 기술 관련 작가이다. 머신 비전(Machine Vision)의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결정하는 기법을 개발했으며, 유사한 기법으로는 셔먼 드 포레스트(Sherman de Forest)와 소벨(Sobel)이 개발한 것이 있다.

2. 1. 학력

한스 모라벡은 몬트리올 로욜라 대학교에서 2년 동안 공부하다가 아카디아 대학교로 편입하여 1969년에 수학 이학사(BSc) 학위를 받았다. 1971년에는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이학석사(MSc)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80년에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존 매카시 교수의 지도 하에 텔레비전이 달린 무선 조종 로봇을 개발하여 컴퓨터과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2]

2. 2. 경력

한스 모라벡은 1969년 아카디아 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1971년 웨스턴온타리오 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에는 존 매카시 교수의 지도 하에 스탠퍼드 대학원에서 텔레비전이 달린 무선 조종 로봇(스탠퍼드 카트[2])을 개발하여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로봇은 복잡한 장애물 코스를 통과할 수 있었다. 그는 로봇 공학에서 3D 점유 격자와 같은 로봇 공간 표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발견했으며, 덤불 로봇의 개념을 개발하기도 했다.

모라벡은 1980년 새로 설립된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로봇 연구소에 연구 과학자로 합류하여 1995년 연구 교수가 되었고, 2005년부터 겸임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1]

2003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4]에 있는 로봇 회사인 Seegrid Corporation[3]을 공동 창립했다. 이 회사는 인간의 개입 없이 환경을 자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완전 자율 로봇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주계류장치[5]에 대한 연구로도 알려져 있다.

3. 주요 연구 및 활동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했다.[2]

3. 1. 머신 비전

한스 모라벡은 머신 비전(Machine Vision)에서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결정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유사한 기법으로는 셔먼 드 포레스트(Sherman de Forest)와 소벨(Sobel)이 개발한 것이 있다.

3. 2. 로봇 공학

모라벡은 1980년 대형 컴퓨터로 원격 제어되는 텔레비전(TV) 장착 로봇(스탠퍼드 카트[2])으로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이 로봇은 복잡한 장애물 코스를 통과할 수 있었다. 로봇 공학에서 또 다른 업적은 3D 점유 격자와 같은 로봇 공간 표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발견한 것이다. 그는 또한 덤불 로봇의 개념을 개발했다.

1980년,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에서 대형 컴퓨터로 원격 조작되는 TV 장착 로봇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 로봇은 불규칙한 장애물 코스를 주행할 수 있었다. 로봇 공학에 대한 다른 기여로는 로봇의 공간 인식에 관한 새로운 방법의 발견이 있다. 또한 부시 로봇(Bush robot)의 고안자이기도 하다.

모라벡은 1980년에 새로 설립된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로봇 연구소에 연구 과학자로 합류하여 1995년에는 연구 교수가 되었다. 그는 2005년부터 연구소의 겸임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1]

2003년, SEEGRID라는 로봇 기업을 공동 설립했다. 이 회사는 완전히 자율적으로 주변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로봇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라벡은 2003년에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4]에 있는 로봇 회사인 Seegrid Corporation[3]의 공동 창립자였다. 이 회사의 목표 중 하나는 인간의 개입 없이 환경을 자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완전 자율 로봇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는 우주계류장치[5]에 대한 연구로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로봇 공학 및 인공지능 연구자이며, 기술 관련 작가이기도 하다.

머신 비전(Machine Vision)의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결정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유사한 기법으로는 Sherman de Forest와 Sobel이 개발한 것이 있다.

3. 3. 모라벡의 역설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했다.

4. 미래 예측

한스 모라벡은 그의 저서들을 통해 미래 사회와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한 예측을 제시했다.

1988년 출간된 《마인드 칠드런》(Mind Children)[7]에서 모라벡은 무어의 법칙과 인공 생명체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제시한다. 그는 로봇이 2030년대에서 2040년대 경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인공 으로 진화한다는 시나리오와 그에 대한 시간표를 제시했다.[8][9][10]

모라벡은 또한 《마인드 칠드런》에서 "신경 치환 논증"을 제시했는데, 이는 데이비드 차머스가 유사한 주장을 발표하기 7년 전의 일이다.

1998년 저서 ''로봇: 단순 기계에서 초월적 마음으로(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한국어판 『셰이키의 아이들—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로봇 탄생은 있는가』)에서는 로봇 지능에 대해 더욱 자세히 고찰하고 있다.

4. 1. 무어의 법칙과 인공지능

한스 모라벡은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의 미래를 예측했다. 1998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마음의 아이들》과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에서 그는 무어의 법칙을 집적 회로 이전 기술에까지 확장하여 적용하고, 이를 통해 로봇과 인공지능의 발달을 전망했다.[14]

모라벡은 인간 지능의 작동에 필요한 계산량을 초당 명령어 수로 추정하고, 무어의 법칙에 따른 컴퓨터 계산 능력의 발전을 고려하여, 2020년대 중반에는 1000달러(1997년 기준 달러)[6] 정도의 비용으로 인간 뇌와 유사한 성능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이러한 예측을 바탕으로 2020년대에는 인간과 유사한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6]

또한, 모라벡은 《마음의 아이들》에서 로봇이 2030년에서 2040년 사이에 새로운 인공 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8][9][10] 그는 21세기 후반에는 인간보다 뛰어난 지능을 가진 로봇이 지배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이며, 인류의 지식, 문화, 가치관을 물려받은 '마음의 아이들'인 로봇이 지구의 주인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즉, 인류의 미래는 인간의 마음을 물려받은 기계인 '마음의 아이들'에게 계승될 것이며, 포스트 휴먼이 인류 진화의 방향이라고 주장했다.[15]

1999년 저서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에서 모라벡은 무어의 법칙을 집적 회로 이전의 기술에도 일반화하여, 급속히 발전하는 초지능의 "마음의 불꽃"을 예측했다.

아서 C. 클라크는 모라벡의 ''Robot''에 대해 "제가 접해 본 가장 놀라운 통제된 상상력의 작품"이라고 평가했으며,[11] 데이비드 브린은 "모라벡은 어려운 과학적 실용성과 예언자의 혜안을 절묘하게 조화시켰다"고 칭찬했다.[12] 반면, 콜린 맥긴은 뉴욕 타임즈에 기고한 서평에서 모라벡의 주장을 "기이하고, 혼란스럽고,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라고 비판하며, 그가 의식을 추상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의 구분을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13]

4. 2. 신경 치환 논증

모라벡은 1988년 출간된 그의 저서 《마인드 칠드런》(Mind Children)에서 "신경 치환 논증"을 제시했다.[7] 이는 데이비드 차머스가 그의 논문 "[http://consc.net/papers/qualia.html Absent Qualia, Fading Qualia, Dancing Qualia]"에서 유사한 주장을 발표하기 7년 전의 일이다. 신경 치환 논증은 의식적인 뇌의 각 뉴런을 동일한 행동을 하는 전자적 대체물로 순차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생물학적 의식이 전자 컴퓨터로 매끄럽게 전이될 것이며, 따라서 의식은 생물학에 의존하지 않고 추상적인 계산 가능한 과정으로 취급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4. 3. 초지능과 마음의 불꽃

Mind Children영어은 한스 모라벡이 1998년에 출판한 저서로,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인공지능이라는 측면에서 미래의 타임라인의 윤곽을 잡는다. 모라벡에 따르면 로봇이 진화하여 2030년에서 2040년 사이에 인공 이 등장하고,[14] 21세기 후반에는 인간보다 지능이 높은 로봇이 지배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인류의 정신적인 자산인 지식, 문화, 가치관 등을 모두 물려받아 다음 세대로 넘겨줄 '마음의 아이들'이라는 로봇이 지구의 주인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다시 말해 이 책은 인류의 미래가 사람의 마음을 물려받은 기계인 '마음의 아이들'에 계승될 것이며, 포스트 휴먼이 인류 진화의 방향이라는 것을 주장한다.[15]

1998년에 출판된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영어에는 인공지능의 발달이 로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무어의 법칙을 집적 회로 이전의 기술에까지 확장시켜 그 결과를 예측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1999년에 출판된 이 책에서 모라벡은 진화하는 로봇 지능의 의미를 더 자세히 고려하여, 무어의 법칙을 집적 회로 이전의 기술에도 일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급속히 확장되는 초지능의 다가오는 "마음의 불꽃"을 예측한다.

아서 C. 클라크는 이 책에 대해 "『로봇』은 제가 접해 본 가장 놀라운 통제된 상상력의 작품입니다. 한스 모라벡은 제 정신을 극한까지 밀어붙였습니다."라고 썼다.[11] 데이비드 브린 또한 이 책을 칭찬하며 "모라벡은 어려운 과학적 실용성과 예언자의 혜안을 절묘하게 조화시켰다."고 말했다.[12] 반면, 콜린 맥긴은 뉴욕 타임즈에 이 책을 비교적 좋지 않게 평가했다. 맥긴은 "모라벡은 … 의식을 수와 같이 추상적인 것으로, 단순한 뇌 활동의 '해석'으로 보는 기이하고, 혼란스럽고,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그의 추측이 장엄하게 일관성을 잃으면서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의 구분을 놓친다."라고 썼다.[13]

5. 저서


  • '''마음의 아이들 (Mind Children)''' (1988)


한스 모라벡이 1988년에 쓴 책으로,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모라벡은 인공지능이라는 측면에서 미래의 타임라인의 윤곽을 잡았다. 그는 로봇이 2030년에서 2040년 사이에 인공 으로 진화하며,[14] 21세기 후반에는 인간보다 지능이 높은 로봇이 지배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인류의 정신적인 자산인 지식, 문화, 가치관 등을 모두 물려받아 다음 세대로 넘겨줄 '마음의 아이들'이라는 로봇이 지구의 주인이 될 것이라고 그는 예측한다. 즉, 이 책은 인류의 미래가 사람의 마음을 물려받은 기계인 '마음의 아이들'에 계승될 것이며, 포스트 휴먼이 인류 진화의 방향이라는 것을 주장한다.[15]

모라벡은 이 책에서 "신경 치환 논증"을 제시했는데, 이는 데이비드 차머스가 유사한 주장을 발표하기 7년 전의 일이다. 신경 치환 논증은 의식적인 뇌의 각 뉴런을 동일한 행동을 하는 전자적 대체물로 순차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생물학적 의식이 전자 컴퓨터로 매끄럽게 전이될 것이며, 따라서 의식은 생물학에 의존하지 않고 추상적인 계산 가능한 과정으로 취급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 (1998)


1998년에 출판된 이 책에는 인공지능의 발달이 로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무어의 법칙집적 회로 이전의 기술에까지 확장시켜 그 결과를 예측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아서 C. 클라크는 이 책에 대해 "『로봇』은 제가 접해 본 가장 놀라운 통제된 상상력의 작품입니다. 한스 모라벡은 제 정신을 극한까지 밀어붙였습니다."라고 평가했다.[11] 데이비드 브린 또한 "모라벡은 어려운 과학적 실용성과 예언자의 혜안을 절묘하게 조화시켰다."고 칭찬했다.[12] 반면, 콜린 맥긴은 뉴욕 타임스에 서평을 기고하여 이 책에 대해 비교적 좋지 않게 평가했다. 맥긴은 "모라벡은 … 의식을 수와 같이 추상적인 것으로, 단순한 뇌 활동의 '해석'으로 보는 기이하고, 혼란스럽고,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그의 추측이 장엄하게 일관성을 잃으면서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의 구분을 놓친다."라고 썼다.[13]

  • '''When will computer hardware match the human brain?'''영어 (1998), Journal of Evolution and Technology, Vol. 1, No. 1

  • '''Sensor Fusion in Certainty Grids for Mobile Robots'''영어 (1988), AI Magazine, Vol. 9, No. 2, p. 61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 댄 시몬스의 SF 소설 ''Ilium''과 ''Olympos''에는 "moravecs"라고 불리는 자기 복제형 지각 사이보그가 등장한다.
  • 켄 맥라우드의 소설 ''The Cassini Division''(''The Fall Revolution'' 시리즈의 일부)에서는 부시 로봇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하드 SF 세계관을 공동으로 구축하려는 Orion's Arm 프로젝트에서는 로봇의 몸에 사는 인공 지능체를 "vecs"라고 부른다.
  • 찰스 스트로스의 SF 소설 ''Accelrando''에서는 ''Panulirus interruptus''(캘리포니아 가시 바닷가재) 유래의 신경계 상태 벡터가 인터넷에 업로드되어 인공 의식이 된다. 이때 최초의 뇌 스캔 기술을 "Moravec operation"이라고 부른다.
  • 로버트 L. 포워드의 SF 소설 『로슈월드』에는 모라벡에 대한 감사의 글이 책 말미에 실려 있다. 동서에 나오는 "크리스마스 부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ans P. Moravec https://www.frc.ri.c[...] 2023-06-03
[2] 웹사이트 The Stanford Cart and The CMU Rover https://apps.dtic.mi[...] 1983-02-24
[3] 웹사이트 Seegrid Corporation website https://www.seegrid.[...] 2020-10-06
[4] 웹사이트 FAST COMPANY Announces Seegrid as One of the 50 Most Innovative Companies of 2013 https://archive.toda[...] 2013-04-19
[5] 웹사이트 Momentum-Exchange Tethers https://web.archive.[...] 2007-07-22
[6] 논문 When will computer hardware match the human brain https://jetpress.org[...] 1998
[7] 서적 Mind Children: The Future of Robot and Human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8] 논문 When will computer hardware match the human brain? https://web.archive.[...] 2006-06-23
[9] 웹사이트 The Age of Robots http://www.frc.ri.cm[...] 1993-06
[10] 웹사이트 Robot Predictions Evolution http://www.frc.ri.cm[...] 2004-04
[11] 서적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
[12] 서적 Robot: Mere Machine to Transcendent Mind
[13] 뉴스 Hello, HAL https://www.nytimes.[...] 1999-01-03
[14] 웹인용 Robot Predictions Evolution http://www.frc.ri.cm[...] 2013-01-05
[15] 웹인용 책 소개: 마음의 아이들(로봇과 인공지능의 미래) http://book.naver.co[...] 네이버 책 2013-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