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부르거 S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거 SV(HSV)는 1887년 창단된 독일의 축구 클럽으로, 1963년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2018년까지 한 번도 강등되지 않아 '공룡'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를 누리며 분데스리가 6회, DFB-포칼 3회, 유러피언컵 1회, UEFA 컵위너스컵 1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7-18 시즌 2부 리그로 강등된 이후 2부 리그에서 승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역 라이벌 FC 장크트 파울리와 노르트 더비를 치른다. 함부르크 SV는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2군, 여자 축구팀, 야구, 배구, 크리켓, 럭비부 등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의 축구단 - FC 장크트파울리
    FC 장크트파울리는 1899년 함부르크에서 축구 팬 그룹으로 시작하여 1910년에 창단되었으며, 좌익 성향의 팬 문화를 특징으로 하고 2023-24 시즌 2. 분데스리가에서 우승하여 분데스리가로 승격했으며, 럭비 등 다른 스포츠 팀도 운영한다.
  • 함부르거 SV - 오쿠가와 마사야
    오쿠가와 마사야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교토 상가 FC 유소년팀을 거쳐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FC 아우크스부르크를 거쳐 현재 함부르크 SV에서 임대 선수로 뛰고 있으며, U-17, U-18, U-19 일본 대표팀 경력을 가진 드리블과 양발 프리킥이 뛰어난 "고도의 네이마르"라는 별명의 선수이다.
  • 함부르거 SV - 레빈 외즈투날르
    튀르키예계 독일인 축구 선수 레빈 외즈투날르는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독일 청소년 대표팀에서 UEFA U-19, U-21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고 분데스리가 클럽에서 뛰었으며 전 독일 국가대표 우베 젤러의 외손자이다.
  • 1887년 설립된 축구단 - 블랙풀 FC
    블랙풀 FC는 1887년 창단된 잉글랜드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53년 FA컵 우승과 2010-11 시즌 프리미어리그 승격,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와의 오랜 라이벌 관계, 블룸필드 로드를 홈 구장으로 사용, 2019년 사이먼 새들러의 구단주 취임 등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 1887년 설립된 축구단 - 킬메스 AC
    아르헨티나 킬메스에 연고를 둔 킬메스 AC는 1901년 창단되어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두 차례 우승하고 여러 하위 리그 타이틀과 190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명예컵 우승을 차지한 축구 클럽으로, CA 아르헨티노 데 킬메스와 라이벌 관계이며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닥터 호세 루이스 메이즈너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함부르거 SV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함부르거 SV 로고
로고
풀 네임Hamburger Sport-Verein e. V.
별칭Rothosen (붉은 바지)
Dinosaurier (공룡)
창단 연도SC 게르마니아 (1887년 9월 29일)
함부르거 SV (1919년 6월 2일)
홈구장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수용 인원56,889명
회장마르셀 얀젠
단장슈테판 쿤츠
감독슈테펜 바움가르트
대륙유럽 축구 연맹
리그2. 분데스리가
시즌2023-24
순위4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홈 유니폼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홈 유니폼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원정 유니폼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원정 유니폼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써드 유니폼
함부르거 SV 2024-25 시즌 써드 유니폼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함부르크 SV의 연간 성적


푸스볼-분데스리가가 출범한 1963년, 함부르크 SV는 첫 시즌에 참여한 16개 클럽 중 하나였다. 함부르크 SV는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한 번도 강등당하지 않은 유일한 팀이었다.

2004년 8월, HSV는 DFB-포칼 1라운드에서 SC 파더보른 07에 패배했는데, 이 경기는 주심 로베르트 호이처가 크로아티아 도박 업체로부터 돈을 받고 승부조작을 한 것으로 밝혀져 큰 논란이 되었다. 호이처는 파더보른에게 두 번의 페널티킥을 부여하고 함부르크의 에밀 음펜자를 퇴장시켰다. 이 사건은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앞둔 독일의 국가 위상에 큰 타격을 주었다.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에서 함부르크 SV는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리그에서도 시즌 전반기 동안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2007년 2월 후프 슈테벤스 감독 부임 후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전히 강등권에 머물렀고, 5월 5일 VfL 보훔에 패배했지만, 다른 팀들의 결과 덕분에 1부 리그 잔류를 확정 지었다.

2018-19 시즌부터 함부르크 SV는 2. 분데스리가에서 승격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2021-22 시즌과 2022-23 시즌에는 3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분데스리가 승격에는 실패했다.

2. 1. 초창기 (1887-1963)

1887년 9월 29일, 데어 호헨펠더 스포트클럽과 반츠벡 마린탈러 스포트 클럽이 통합하여 스포트클럽 게르마니아 추 함부르크가 탄생했다.[5]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으로 약화된 스포트클럽 게르마니아 추 함부르크, 함부르크 FC, FC 팔케 에펜도프가 통합되어 현재의 클럽명인 함부르거 슈포르트 페어아인(Hamburger Sport-Verein, HSV)으로 변경되었다.[5] 클럽의 유니폼 색은 한자 동맹의 적색이며 흰색은 함부르크 시의 명예를 상징하고, 파랑과 검은색은 가장 오래된 클럽인 게르마니아를 상징하는 동시에 팀 로고에도 사용된다.

함부르거 SV는 1922년 국가 결승전에서 3연패를 노리던 1. FC 뉘른베르크와 맞붙었다. 경기는 3시간 10분 만에 암전 사태로 중단되었고, 연장전 끝에 2-2 무승부로 끝났다. 재경기에서도 연장전까지 진행되었으나, 뉘른베르크 선수 2명이 부상, 2명이 퇴장당하여 7명으로 경기를 치르게 되자 주심은 뉘른베르크의 몰수패를 선언했다. 이 결정에 대해 논란이 있었고, 독일 축구 협회는 함부르크 SV에게 우승 타이틀을 주었지만, 함부르크 SV는 이를 거절하였다. 결국 해당 연도의 우승 팀은 공석으로 기록되었다.

1923년, 함부르크 SV는 우니온 오베르쇤네바이데를 꺾고 첫 국가 타이틀을 획득했다. 1924년에는 뉘른베르크에 패하며 2연패에 실패했지만, 1928년에 다시 빅토리아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제3제국 시기 동안, HSV는 가울리가 노르트마크(1942년까지)와 가울리가 함부르크에서 1937년, 1938년, 1939년, 1941년, 1945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지역 강자로 군림했으나, 국가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당시 가울리가의 주 라이벌은 아임스뷔텔러 TV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함부르크 SV는 슈타트리가 함부르크에서 1946년에 우승했고, 영국 점령기인 1947년과 1948년에도 우승을 차지했다.[6]

1947년 오베르리가 노르트 출범 이후, 함부르크 SV는 1962-63 시즌까지 16시즌 중 15번의 오베르리가 타이틀을 획득하며 지역 리그를 독주했다. 1953-54 시즌 11위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매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기 동안 1951년, 1955년, 1961년, 1962년 시즌에는 100골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가 챔피언십에서는 1928년 우승 이후 1957년, 1958년 결승 진출에 실패했고, 1960년까지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1961년 유러피언컵에서는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에 패배했지만, BSC 영 보이즈와 번리 FC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 2. 분데스리가 시대 (1963-2018)



1963년 독일의 프로축구 리그인 푸스볼-분데스리가가 출범하면서, 함부르크 SV는 첫 시즌에 참여한 16개 클럽 중 하나였다. 함부르크 SV는 현재까지 1부 리그에만 머무른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로, 1963년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한 번도 강등당하지 않았다. 1996년에는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98년까지는 1. FC 쾰른과 함께 이 기록을 유지했다. 2004년 8월 24일 분데스리가 40주년 기념 경기로 함부르크 SV와 FC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가 열렸다.

2004년 8월, HSV는 SC 파더보른 07에 패하며 DFB-포칼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이 경기는 주심 로베르트 호이처가 크로아티아 도박 업체로부터 돈을 받고 승부조작을 한 것으로 밝혀져 축구 역사상 가장 불명예스러운 경기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호이처는 파더보른에게 두 번의 페널티킥을 부여하고 함부르크의 에밀 음펜자를 퇴장시켰다. 이 스캔들은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를 앞둔 독일의 국가 위상에 큰 타격을 주었다.

함부르크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에 2000-01 시즌 이후 처음으로 참여했다. 2005-06 시즌 3위로 CA 오사수나와의 3차 예선에서 원정 다득점으로 승리하고 아스널 FC, FC 포르투, PFC CSKA 모스크바와 G조에 속했지만, 실망스러운 경기력으로 조 최하위로 탈락하였다.

리그에서는 시즌 전반기를 강등권 바로 위에서 맴돌며 단 한 번의 승리(바이어 04 레버쿠젠전 2-1 승리)만을 기록했다. 주전 수비수 할리드 불라루즈다니엘 판 바위턴의 이적, 선수들의 부상은 함부르크의 리그 성적에 큰 영향을 미쳤고, 팬들은 1부 리그 잔류 기록이 깨질까 우려했다. 시즌 전반기 이후 함부르크는 리그 최하위까지 떨어졌다.

2007년 2월 1일, 토마스 돌 감독이 경질되고 후프 슈테벤스가 새 감독으로 부임했다. 슈테벤스 감독의 지도 아래 HSV는 2007년 2월 10일부터 4월 7일까지 7경기 연속 무패(1실점)를 기록하며 반등했다. 이후 HSV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홈경기에서 첫 패배를 당했고, 노르트 더비의 숙적 SV 베르더 브레멘FC 샬케 04에게 연패했다.

하지만, 좋은 흐름에도 불구하고 HSV는 여전히 강등권이었다. 3월에는 12팀이 강등권에 있었고, 7위 하노버 96과 18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사이의 승점 차는 겨우 10점이었다.

HSV는 원정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두며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원정(시즌 종료 후 최하위로 강등), FC 바이에른 뮌헨 원정, 1. FC 뉘른베르크 원정에서 귀중한 승점을 획득했지만, 홈에서는 VfL 보훔, VfB 슈투트가르트와 함께 강등권을 맴돌던 1. FSV 마인츠 05에게 패했다. 5월 5일, 보훔에 3-0으로 패배했지만, 알레마니아 아헨(최종 16위)과 1. FSV 마인츠 05(최종 17위)가 동시에 패하면서 HSV는 승점 6점 차로 1부 리그 잔류를 확정 지었다.

잔류를 확정 지은 HSV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하노버 96,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VfL 보훔과 UEFA 인터토토컵 진출권을 놓고 경쟁했다. HSV는 1. FC 뉘른베르크를 2-0으로 꺾었다. 1주일 후, 알레마니아 아헨과의 홈경기에서 4-0으로 승리하며 4월 1일 이후 첫 홈 승리를 거두었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바이어 04 레버쿠젠에 2-1로 패하고 하노버 961. FC 뉘른베르크에 0-3으로 패함에 따라 리그 7위를 확정 지었다.

2. 3. 2. 분데스리가 시대 (2018-현재)

함부르크는 2018-19 시즌부터 2. 분데스리가에서 승격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2021-22 시즌과 2022-23 시즌에는 3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분데스리가 승격에는 실패했다.

3. 경기장

함부르크는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을 현재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이 구장은 임테흐 사와 스폰서십 계약을 맺어 임테흐 아레나(Imtech Arena)라고도 불렸으나, 2015-16 시즌부터 다시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53년의 구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터에 새로 지어졌으며, 2000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개장하였다. 현재 최대 수용 인원은 57,000명으로 47,000명이 좌석에, 10,000명이 입석으로 관람할 수 있다.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1974년 FIFA 월드컵UEFA 유로 1988을 개최하였고, UEFA로부터 5성급 경기장으로 인정받아 UEFA 유로파리그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을 개최할 수 있다.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4번의 조별리그 경기와 8강전 경기, 총 5경기를 개최하였으며, 당시 경기장 명칭은 함부르크 FIFA 월드컵 경기장이었다. 2010년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풀럼 FC 간의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을 개최하였다.[7]

함부르크 SV의 홈 구장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4. 라이벌 및 친선 관계

함부르크는 같은 함부르크를 연고지로 둔 FC 장크트 파울리와 라이벌 관계이며, 북부 독일의 또 다른 맹주 SV 베르더 브레멘과의 경기를 노르트 더비라고 한다.

1970년대부터 팬들 간의 교류를 통해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레인저스 FC와 오랜 친선 관계를 맺고 있다.[5] 함부르크 팬들은 레인저스 원정 경기에 동행하기도 하였으며, 아이브록스 스타디움의 형태에 감탄하였다고 한다. 하노버 96과 클럽 이니셜(HSV)이 같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두 클럽의 경기 전에는 상대팀 응원가를 부르는 전통이 있다.[5]

4. 1. 라이벌

함부르크는 같은 함부르크를 연고지로 둔 FC 장크트 파울리와 라이벌 관계이며, 북부 독일의 또 다른 맹주 SV 베르더 브레멘과의 경기를 노르트 더비라고 한다. 2009년 봄, 함부르크는 베르더 브레멘을 상대로 4번의 헤딩골을 넣었고, 3주 뒤, 브레멘은 함부르크를 UEFA 컵과 DFB-포칼 준결승에서 탈락시켰다.

함부르크는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에 속한 레인저스 FC와 친선 관계에 있다. 함부르크는 레인저스 클럽 로고와 합성하여 유럽대항전 원정 경기에 사용한다. 이 두 클럽 간의 관계는 197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함부르크 레인저스 서포터스' 클럽이 레인저스 원정에 간 함부르크 팬들에 의해 형성되었고, 아이브록스 스타디움의 형태에 감탄하였다. 이 두 클럽 간의 관계는 레인저스가 함부르크의 외르크 알베르츠를 UEFA 컵에서 레인저스의 라이벌 셀틱 FC를 꺾은 후에 성사됨에 따라 더욱 가까워졌다. 한편, 셀틱 FC는 함부르크의 라이벌 FC 장크트 파울리와 아무런 관계는 없다.

함부르크는 하노버 96과 똑같은 이니셜(HSV)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두 클럽의 경기 때에는 원정팀 응원가를 경기 전에 부른다.

4. 2. 친선 관계

1970년대부터 팬들 간의 교류를 통해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레인저스 FC와 오랜 친선 관계를 맺고 있다.[5] 함부르크 팬들은 레인저스 원정 경기에 동행하기도 하였으며, 아이브록스 스타디움의 형태에 감탄하였다고 한다. 하노버 96과 클럽 이니셜(HSV)이 같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두 클럽의 경기 전에는 상대팀 응원가를 부르는 전통이 있다.[5]

5. 선수

함부르크 SV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Uwe Seeler|우베 젤러de: 1954년부터 1970년까지 서독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공격수이다. 함부르크에서 1960년, 1962-63 시즌 DFB-포칼 우승을 이끌었다.[1]
  • Kevin Keegan|케빈 키건영어: 잉글랜드 출신 공격수로, 1977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리버풀 소속으로 함부르크를 상대한 후 이적해왔다. 함부르크에서 1978-79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을 이끌었고, 1978년과 1979년에 발롱도르를 수상했다.[2]
  • Felix Magath|펠릭스 마가트de: 1982-83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끈 주역 중 한 명이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함부르크를 이끌기도 했다.[3]
  • Rafael van der Vaart|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nl: 네덜란드 출신 미드필더로, 뛰어난 패싱력과 득점력을 바탕으로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2000년대 함부르크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4]
  • 손흥민: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격수이다. 함부르크 유소년팀을 거쳐 2010-11 시즌 성인팀에 데뷔하여 2012-13 시즌까지 활약하며 성장했다. 이후 레버쿠젠을 거쳐 토트넘으로 이적하여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5]
  • Христо Стоичков|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bg: 1995-1996, 불가리아의 스트라이커[6]

5. 1. 현재 선수 명단

참고de: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기준 선수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크리스티안 마테니아
2DF데니스 디크마이어
4DF릭 반 드롱겔렌
5DF머르김 마브라이
6DF더글라스
7FW바비 우드
8MF루이스 홀트비
9DF키리아코스 파파도풀로스
11FW안드레 한
12MF왈라스
13GK율리안 폴레스벡
14MF아론 훈트
15FW루카 발드슈미트
16MF바실리에 얀지치치
17MF필리프 코스티치
18MF바카리 자타
19FW스벤 쉽록
20MF알빈 에크달
22DF비야르네 토엘케
23MF세야드 살리호비치
24DF사카이 고토쿠
25MF쾨흘레르트
26FW퇴를레스 크뇔
27MF니콜라이 뮐러
28MF기드온 융
30GK안드레아스 히르첼
36GK톰 미켈
38DF요나스 베호넥
40FW얀 피에테 아르프
43MF이토 타츠야


5. 2. 주요 역대 선수


  • Uwe Seeler|우베 젤러de: 1954년부터 1970년까지 서독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전설적인 공격수이다. 우베 젤러는 함부르크에서 1960년, 1962-63 시즌 DFB-포칼 우승을 이끌었다.[1]
  • Kevin Keegan|케빈 키건영어: 잉글랜드 출신 공격수로, 1977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리버풀 소속으로 함부르크를 상대한 후 이적해왔다. 함부르크에서 1978-79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을 이끌었고, 1978년과 1979년에 발롱도르를 수상했다.[2]
  • Felix Magath|펠릭스 마가트de: 1982-83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끈 주역 중 한 명이다.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함부르크를 이끌기도 했다.[3]
  • Rafael van der Vaart|라파엘 판 데르 파르트nl: 네덜란드 출신 미드필더로, 뛰어난 패싱력과 득점력을 바탕으로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2000년대 함부르크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4]
  • 손흥민: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격수이다. 함부르크 유소년팀을 거쳐 2010-11 시즌 성인팀에 데뷔하여 2012-13 시즌까지 활약하며 성장했다. 이후 레버쿠젠을 거쳐 토트넘으로 이적하여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5]
  • Христо Стоичков|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bg: 1995-1996, 불가리아의 스트라이커[6]

6. 역대 감독



2007년 2월 1일, 토마스 돌 감독이 경질되었고 네덜란드인 후프 슈테벤스가 새 감독으로 내정되었다.[1]

7. 역대 성적



함부르거 SV(HSV)는 1887년 9월 29일 데어 호헨펠더 스포트클럽과 반츠벡 마린탈러 스포트 클럽이 통합되어 탄생한 스포트클럽 게르마니아 추 함부르크를 전신으로 한다. 현재의 클럽명은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약화된 세 팀(스포트클럽 게르마니아 추 함부르크, 함부르크 FC, FC 팔케 에펜도프)의 통합으로 만들어졌다.[5]

1922년, 함부르거 SV는 1. FC 뉘른베르크와의 국가 결승전에서 논란 끝에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1923년에는 우니온 오베르쇤네바이데를 꺾고 첫 국가 타이틀을 획득했고, 1928년에도 우승했다.

제3제국 시기 동안 HSV는 지역 리그에서 1937년, 1938년, 1939년, 1941년, 1945년에 우승했지만, 국가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전쟁 후, 함부르크는 1947년과 1948년에 영국 점령기 리그에서 우승했다.[6] 1947년 오베르리가 노르트 출범 이후 1962-63 시즌까지 16시즌 중 15번 우승하며 지역 리그를 지배했다. 그러나 국가 타이틀은 1960년에야 다시 획득했다. 1961년 유러피언컵에서는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에 패했다.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에는 2000-01 시즌 이후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함부르크 SV의 분데스리가 및 2. 분데스리가 역대 순위는 다음과 같다.

시즌리그순위
1999–00분데스리가3위
2000–01분데스리가13위
2001–02분데스리가11위
2002–03분데스리가4위
2003–04분데스리가8위
2004–05분데스리가8위
2005–06분데스리가3위
2006–07분데스리가7위
2007–08분데스리가4위
2008–09분데스리가5위
2009–10분데스리가7위
2010–11분데스리가8위
2011–12분데스리가15위
2012–13분데스리가7위
2013–14분데스리가16위
2014–15분데스리가16위
2015–16분데스리가10위
2016–17분데스리가14위
2017–18분데스리가17위 (강등)
2018-192. 분데스리가4위
2019-202. 분데스리가4위
2020-212. 분데스리가4위
2021-222. 분데스리가3위
2022-232. 분데스리가3위
2023-242. 분데스리가4위


7. 1. 국내 대회

함부르거 SV는 독일 챔피언십 및 1 분데스리가에서 6번 우승하였다. 우승 연도는 1923년, 1928년, 1959-60 시즌, 1978-79 시즌, 1981-82 시즌, 1982-83 시즌이다. 또한, 준우승도 8번 기록했다. (1924, 1956–57, 1957–58, 1975–76, 1979–80, 1980–81, 1983–84, 1986–87 )[5]

DFB-포칼에서는 3번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연도는 1962-63 시즌, 1975-76 시즌, 1986-87 시즌이다. 준우승은 3번 기록했다. (1955-56 시즌, 1966-67 시즌, 1973-74 시즌)

DFL-슈퍼컵에서는 준우승만 3번 기록했다. (1977, 1982, 1987)

DFB-리가포칼에서는 2번 우승했다. (1972-73, 2003)

7. 2. 국제 대회

함부르거 SV의 국제 대회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우승준우승
유러피언컵 / UEFA 챔피언스리그1982-831979-80
UEFA 컵위너스컵1976-771967-68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1981-82
UEFA 슈퍼컵1977, 1983
인터콘티넨털컵1983
UEFA 인터토토컵2005, 2007


8. 클럽 문화

함부르거 SV의 유니폼은 전통적으로 한자 동맹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흰색을 사용하며, 이는 함부르크 시를 대표한다. 또한 가장 오래된 클럽인 게르마니아를 상징하는 파란색과 검은색도 사용하며, 이는 팀의 로고에도 반영되어 있다.[5]

클럽의 엠블럼은 파란색, 검은색, 흰색이 조합된 다이아몬드 형태이다.

함부르크 SV의 마스코트는 "헤르만"(Hermann)이라는 이름의 공룡이었다. 이 마스코트는 분데스리가에서 가장 오래 잔류한 클럽을 상징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2018년 팀이 강등되면서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함부르크가 분데스리가에 머무른 시간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시계가 경기장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강등으로 인해 현재는 멈춘 상태이다.

9. 기타

함부르크 SV는 독일 내에서도 손꼽히는 유소년 육성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많은 유망주를 배출하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사회 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웹인용 Die Entstehungsgeschichte des Hamburger Sport-Vereins https://www.hsv.de/u[...] 2024-11-02
[2] 웹인용 Bundesliga club-by-club historical guide: Hamburger SV https://www.bundesli[...] 2024-11-02
[3] 웹인용 Supporters Club - Allgemeine Informationen https://www.hsv-ev.d[...] 2024-11-02
[4] 웹인용 The World's Most Valuable Soccer Teams 2014 https://www.forbes.c[...] 2024-11-02
[5] 웹사이트 #16 Hamburg SV http://www.forbes.co[...] 2007-03-29
[6] 간행물 독일 키커지 1990
[7] 웹사이트 Dead football fans get home ground advantage http://www.meeja.com[...] 2008-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