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발롱도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발롱도르는 1956년에 제정된 권위 있는 축구 시상으로, 처음에는 유럽 국적의 선수로 제한되었으나, 1995년 국적 제한이 폐지되었고, 2007년에는 전 세계 선수로 확대되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FIFA 올해의 선수와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로 시상되었으며, 2016년부터 프랑스 풋볼에서 다시 발롱도르를 시상하고 있다. 수상자는 프랑스 풋볼에서 발표한 후보를 대상으로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2018년에는 여자 발롱도르, 코파 트로피가 신설되었고, 2019년에는 야신 트로피가 추가되었다. 발롱도르는 역사적으로 여러 특별상과 부문을 추가했으며, 2022년부터는 인도주의적 활동을 하는 선수에게 수여하는 소크라테스 상과 올해의 클럽 상을 신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축구단 - 즐라트코 자호비치
    즐라트코 자호비치는 NK 마리보르 유스팀 출신으로 슬로베니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UEFA 유로 2000 본선 진출에 기여한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은퇴 후 NK 마리보르 단장으로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 포르투갈의 축구단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챔피언스리그는 유럽 축구 연맹 주관으로 유럽 최상위 리그의 우수 클럽들이 참가하여 유럽 최강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유러피언컵에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으며 레알 마드리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올해의 축구 선수상 - 아시아 최고의 축구 선수
    아시아 최고의 축구 선수상은 타이탄 스포츠가 제정한 상으로, 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지역연맹 소속 기자들의 투표로 수상자를 결정하며, 손흥민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올해의 축구 선수상 - 오세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
    오세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에서 매년 선정하여 오세아니아 대륙 최고의 축구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8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선수들이 주로 수상하였다.
  • 발롱도르 - 스탠리 매슈스
    스탠리 매슈스는 1915년에 태어나 2000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56년 발롱도르를 수상하고 1965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잉글랜드 국가대표로 54경기에 출전했고, 은퇴 후에는 감독과 유소년 축구 지도자로 활동했다.
  • 발롱도르 - 레프 야신
    레프 야신은 F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22년간 활약하며 소련 리그 우승 5회 등을 달성하고 1963년 발롱도르를 수상한 소련의 전설적인 축구 골키퍼로, 소련 국가대표팀으로서 올림픽 금메달,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등을 경험했으며, 혁신적인 '스위퍼 키퍼' 스타일로 "검은 거미"라는 별명을 얻었다.
발롱도르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색 축구공 트로피
발롱도르 트로피
이름발롱도르
로마자 표기Ballon d'Or
의미금빛 공
일본어バロンドール
시상 내역
주관프랑스 풋볼
목적남자 세계 연간 최우수 선수
창설1956년
최근 수상자로드리 (1회 수상)
최다 수상자리오넬 메시 (8회 수상)
최다 후보 지명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8회 지명)
웹사이트프랑스 풋볼 발롱도르 웹사이트
이전 시상2024년
다음 시상2025년
관련 시상추가 시상

2. 역사

1956년에 신설된 발롱도르는 초기에는 '유럽 국가의 축구 클럽'에서 활약하는 '유럽 국적 선수'에게만 수상 자격이 주어졌다. 1995년에 국적 제한이 폐지되었고, 2007년에는 전 세계로 후보 선정 범위가 확대되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FIFA와 발롱도르가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가 시상되었다. 2016년부터는 다시 《프랑스 풋볼(France Football)》이 발롱도르를 시상하고 있으며, UEFA는 2011년에 UEFA 올해의 선수를 신설했다.

발롱도르 투표는 《프랑스 풋볼》이 후보를 발표하고 기자단이 수상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후보 수는 1995년 50명에서 2008년 30명, 2010년 23명으로 축소되었다가 2016년에 다시 30명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에는 여자 발롱도르와 코파 트로피, 2019년에는 야신 트로피가 신설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시상식이 취소되었다.

2022년에는 발롱도르 규정이 수정되어 축구 시즌의 업적을 기준으로 FIFA 남자 랭킹 상위 100개국 대표 기자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UEFA는 2024년부터 시상식을 공동 주최한다.

2. 1. 제정 및 초기 (1956년 ~ 1994년)

발롱도르는 1956년에 신설되었는데, 처음에는 '유럽 국가의 축구 클럽'에서 뛰는 '유럽 국적 선수'에게만 수상 자격이 주어졌다. 잉글랜드의 스탠리 매튜스가 이 상을 처음으로 받았다.

스탠리 매튜스는 이 상을 최초로 수상했으며, 역대 최고령 수상자이다.


루이스 수아레스는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미드필더였다.


레프 야신은 이 상을 수상한 유일한 골키퍼이다.


요한 크라위프는 이 상을 3번 수상한 최초의 선수였다.


프란츠 베켄바워는 이 상을 2번 수상한 유일한 수비수이다.


지아니 리베라가 1969년 발롱도르를 들어 올리는 모습.


카를하인츠 루메니게는 1980년과 1981년에 2년 연속 수상했다.


미셸 플라티니는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년 연속 수상했다.


1995년에는 상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유럽 클럽에서 뛰는 모든 선수로 자격이 확대되었다. 라이베리아조지 웨아는 그 해에 이 상을 받은 유일한 아프리카 선수가 되었다. 2년 후, 브라질의 호나우두가 최초의 남미 출신 수상자가 되었고, 그는 21세 96일로 역대 최연소 수상자이다.

발롱도르의 투표 방식은 프랑스 풋볼에서 후보를 발표하고, 기자단이 수상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었다. 초기 발롱도르 후보는 50명이었으나, 2008년에 30명으로 줄었다.

발롱도르 수상자
연도순위선수점수
발롱도르 (1956–2009)
19561위 스탠리 매튜스블랙풀47
2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Alfredo Di Stéfano|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레알 마드리드44
3위 레이몽 코파 Raymond Kopa|레몽 코파프랑스어레알 마드리드33
colspan="5"|
19571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Alfredo Di Stéfano|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레알 마드리드72
2위 빌리 라이트 Billy Wright|빌리 라이트영어울버햄튼 원더러스19
3위 덩컨 에드워즈 Duncan Edwards|덩컨 에드워즈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16
레이몽 코파 Raymond Kopa|레몽 코파프랑스어레알 마드리드
colspan="5"|
19581위 레이몽 코파 Raymond Kopa|레몽 코파프랑스어레알 마드리드71
2위 헬무트 란 Helmut Rahn|헬무트 란de로트바이스 에센40
3위 쥐스트 퐁텐 Just Fontaine|쥐스트 퐁텐프랑스어랭스23
colspan="5"|
19591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Alfredo Di Stéfano|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레알 마드리드80
2위 레이몽 코파 Raymond Kopa|레몽 코파프랑스어랭스42
3위 존 찰스 John Charles|존 찰스영어유벤투스24
colspan="5"|
19601위 루이스 수아레스 Luis Suárez|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es바르셀로나54
2위 페렌츠 푸스카스 Puskás Ferenc|푸슈카시 페렌츠hu레알 마드리드37
3위 우베 젤러 Uwe Seeler|우베 젤러de함부르크33
colspan="5"|
19611위 오마르 시보리 Omar Sívori|엔리케 오마르 시보리it유벤투스46
2위 루이스 수아레스 Luis Suárez|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es인테르40
3위 조니 헤인즈 Johnny Haynes|조니 헤인즈영어풀럼22
colspan="5"|
19621위 요제프 마소푸스트 Josef Masopust|요세프 마소푸스트cs두클라 프라하65
2위 에우제비우 Eusébio|에우제비우 다 실바 페헤이라pt벤피카53
3위 카를하인츠 슈넬링거 Karl-Heinz Schnellinger|카를하인츠 슈넬링거de쾰른33
colspan="5"|
19631위 레프 야신 Лев Яшин|레프 이바노비치 야신ru디나모 모스크바73
2위 지아니 리베라 Gianni Rivera|잔니 리베라it밀란55
3위 지미 그리브스 Jimmy Greaves|지미 그리브스영어토트넘 홋스퍼50
colspan="5"|
19641위 데니스 로 Denis Law|데니스 로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61
2위 루이스 수아레스 Luis Suárez|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es인테르43
3위 아만시오 아마로 Amancio Amaro|아만시오 아마로 바렐라es레알 마드리드38
colspan="5"|
19651위 에우제비우 Eusébio|에우제비우 다 실바 페헤이라pt벤피카67
2위 자친토 파케티 Giacinto Facchetti|자친토 파케티it인테르59
3위 루이스 수아레스 Luis Suárez|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es인테르45
colspan="5"|
19661위 보비 찰턴 Bobby Charlton|보비 찰턴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81
2위 에우제비우 Eusébio|에우제비우 다 실바 페헤이라pt벤피카80
3위 프란츠 베켄바워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바이에른 뮌헨59
colspan="5"|
19671위 플로리안 알베르트 Albert Flórián|얼베르트 플로리안hu페렌츠바로시68
2위 보비 찰턴 Bobby Charlton|보비 찰턴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40
3위 지미 존스톤 Jimmy Johnstone|지미 존스톤영어셀틱39
colspan="5"|
19681위 조지 베스트 George Best|조지 베스트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61
2위 보비 찰턴 Bobby Charlton|보비 찰턴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53
3위 드라간 자이치 Драган Џајић|드라간 자이치sr츠르베나 즈베즈다46
colspan="5"|
19691위 지아니 리베라 Gianni Rivera|잔니 리베라it밀란83
2위 지지 리바 Gigi Riva|루이지 리바it칼리아리79
3위 게르트 뮐러 Gerd Müller|게르트 뮐러de바이에른 뮌헨38
colspan="5"|
19701위 게르트 뮐러 Gerd Müller|게르트 뮐러de바이에른 뮌헨77
2위 보비 무어 Bobby Moore|보비 무어영어웨스트햄 유나이티드70
3위 지지 리바 Gigi Riva|루이지 리바it칼리아리65
colspan="5"|
19711위 요한 크라위프 Johan Cruijff|요한 크라위프nl아약스116
2위 산드로 마촐라 Sandro Mazzola|산드로 마촐라it인테르57
3위 조지 베스트 George Best|조지 베스트영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56
colspan="5"|
19721위 프란츠 베켄바워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바이에른 뮌헨81
2위 게르트 뮐러 Gerd Müller|게르트 뮐러de바이에른 뮌헨79
귄터 네처 Günter Netzer|귄터 네처de묀헨글라트바흐
colspan="5"|
19731위 요한 크라위프 Johan Cruijff|요한 크라위프nl바르셀로나96
2위 디노 초프 Dino Zoff|디노 초프it유벤투스47
3위 게르트 뮐러 Gerd Müller|게르트 뮐러de바이에른 뮌헨44
colspan="5"|
19741위 요한 크라위프 Johan Cruijff|요한 크라위프nl바르셀로나116
2위 프란츠 베켄바워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바이에른 뮌헨105
3위 카지미에시 데이나 Kazimierz Deyna|카지미에시 데이나pl레기아 바르샤바35
colspan="5"|
19751위 올레흐 블로힌 Олег Блохін|올레흐 볼로디미로비치 블로힌uk디나모 키이우122
2위 프란츠 베켄바워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바이에른 뮌헨42
3위 요한 크라위프 Johan Cruijff|요한 크라위프nl바르셀로나27
colspan="5"|
19761위 프란츠 베켄바워 Franz Beckenbauer|프란츠 베켄바워de바이에른 뮌헨91
2위 롭 렌센브링크 Rob Rensenbrink|로프 렌센브링크nl안데를레흐트75
3위 이보 빅토르 Ivo Viktor|이보 빅토르cs두클라 프라하52
colspan="5"|
19771위 알란 시몬센 Allan Simonsen|알란 시몬센da묀헨글라트바흐74
2위 케빈 키건 Kevin Keegan|케빈 키건영어함부르크71
3위 미셸 플라티니 Michel Platini|미셸 플라티니프랑스어낭시70
colspan="5"|
19781위 케빈 키건 Kevin Keegan|케빈 키건영어함부르크87
2위 한스 크랑클 Hans Krankl|한스 크랑클de바르셀로나81
3위 롭 렌센브링크 Rob Rensenbrink|로프 렌센브링크nl안데를레흐트50


2. 2. 국제화 (1995년 ~ 2006년)

1995년, 발롱도르는 유럽 클럽에서 뛰는 모든 선수에게 수상 자격을 확대하면서 국제적인 상으로 변모했다. 라이베리아의 조지 웨아는 이 규칙 변경의 첫 수혜자가 되어, 아프리카 출신 선수로는 유일하게 1995년 발롱도르를 수상했다. 2년 후, 브라질의 호나우두가 최초의 남미 출신 수상자가 되었고, 21세 96일로 역대 최연소 수상 기록을 세웠다.

2007년에는 전 세계 모든 프로 축구 선수에게 수상 자격이 주어지면서, 발롱도르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적인 상'이 되었다. 국가대표팀 감독과 주장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졌으나, 2016년부터는 다시 기자들만 투표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공격적인 포지션의 선수들이 주로 수상했으며, 수상자는 주로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리그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2. 3. 세계화 (2007년 ~ 2009년)

2007년 발롱도르부터 발롱도르 수상 자격이 전 세계 모든 프로 축구 선수로 확대되었다. 이전에는 주로 유럽 올해의 선수상으로 알려졌으나, 2007년 이후에도 유럽에서 시작된 상이라는 점 때문에 그 이름으로 자주 불렸다. FIFA 올해의 선수상과 통합되기 전까지는 그 이름으로 불리다가, 새로운 세계적인 상으로 자리매김했다.

수상자 선정은 국가대표팀 감독과 주장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졌으나, 2016년 발롱도르부터는 다시 기자들만 투표하게 되었다.

2. 4. FIFA 발롱도르 (2010년 ~ 2015년)

2010년부터 2015년까지 FIFA는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를 통합한 FIFA 발롱도르를 시상했다. FIFA와 ''프랑스 풋볼''(France Football)이 통합 계약을 유지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FIFA 발롱도르는 폐지되고 세계 최고의 남자 선수에게 수여되던 상은 다시 발롱도르로 시상하게 되었다. FIFA 발롱도르를 공동 수상한 선수들은 두 시상 기구 모두에서 수상자로 간주된다.

2. 5. 발롱도르 복귀 (2016년 ~ 현재)

2010년부터 2015년까지 FIFA는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를 통합한 FIFA 발롱도르를 시상했다. 또한 UEFA는 발롱도르의 명맥을 잇고자 2011년에 UEFA 올해의 선수를 신설했다. 2016년부터는 프랑스의 축구 전문지인 《프랑스 풋볼(France Football)》이 발롱도르를 시상하고 있다.

발롱도르의 투표 방식은 먼저 《프랑스 풋볼》에서 특정한 후보를 발표하고 그 후에 기자단이 발롱도르 수상자를 선정한다. 발롱도르 후보의 수는 1995년 이후에 50명이었으나 2008년에 30명으로 축소되었고 2010년에 FIFA 발롱도르로 개편하면서 23인으로 축소되었다. 2016년에 발롱도르로 재개편하면서 다시 30명으로 바뀌었다.

2018년에는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상인 여자 발롱도르(Ballon d'Or Féminin), 올해의 21세 이하 남자 축구 선수상인 코파 트로피(Kopa Trophy)가 신설되었다. 2019년에는 올해의 골키퍼 선수상인 야신 트로피가 신설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시상식이 취소되었다.

FIFA와 ''프랑스 풋볼''(France Football)이 통합 계약을 유지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FIFA 발롱도르는 종료되었고, FIFA 발롱도르를 공동 수상한 선수들은 두 시상 기구 모두에서 수상자로 간주된다. 2011년 이후, UEFA는 유럽 출신 축구 선수에게 특별히 상을 수여하는 원래 발롱도르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UEFA 올해의 유럽 선수상을 제정했다. 2020년에는 ''프랑스 풋볼''이 속한 아모리 그룹(Groupe Amaury)이 코로나19 범유행의 축구계 영향으로 인해 해당 연도에는 상을 수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프랑스 풋볼''은 2022년에 발롱도르 규정을 수정했다. 달력 연도의 업적이 아닌, 축구 시즌의 업적에 대해 상을 수여하도록 시기를 변경했다. 또한, 최신 FIFA 남자 랭킹 상위 100개국에서 각 국가당 한 명의 대표로 구성된 전문 기자들로 구성된 국제 심사위원단이 상의 수상자를 결정하기로 결정했다; UEFA는 2024년부터 발롱도르 갈라를 공동 주최하며, ''프랑스 풋볼''은 투표 시스템과 발롱도르 명칭을 유지한다.

3. 수상자

오마르 시보리* (1961)
리오넬 메시 (2009, 2010, 2011, 2012, 2015, 2019, 2021, 2023)독일75게르트 뮐러 (1970)
프란츠 베켄바워 (1972, 1976)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1980, 1981)
로타어 마테우스 (1990)
마티아스 자머 (1996)네덜란드73요한 크라위프 (1971, 1973, 1974)
뤼트 휠릿 (1987)
마르코 판 바스턴 (1988, 1989, 1992)프랑스75레몽 코파 (1958)
미셸 플라티니 (1983, 1984, 1985)
장피에르 파팽 (1991)
지네딘 지단 (1998)
카림 벤제마 (2022)포르투갈73에우제비우 (1965)
루이스 피구 (2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8, 2013, 2014, 2016, 2017)이탈리아55오마르 시보리* (1961)
잔니 리베라 (1969)
파올로 로시 (1982)
로베르토 바조 (1993)
파비오 칸나바로 (2006)잉글랜드54스탠리 매슈스 (1956)
보비 찰턴 (1966)
케빈 키건 (1978, 1979)
마이클 오언 (2001)브라질54호나우두 (1997, 2002)
히바우두 (1999)
호나우지뉴 (2005)
카카 (2007)소련33레프 야신 (1963)
올레흐 블로힌 (1975)
이고르 벨라노프 (1986)스페인33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957, 1959)
루이스 수아레스 (1960)
로드리 에르난데스 (2024)체코슬로바키아11요세프 마소푸스트 (1962)스코틀랜드11데니스 로 (1964)헝가리11얼베르트 플로리안 (1967)북아일랜드11조지 베스트 (1968)덴마크11알란 시몬센 (1977)불가리아11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4)라이베리아11조지 웨아 (1995)체코11파벨 네드베트 (2003)우크라이나11안드리 셰우첸코 (2004)



### 클럽별 수상 횟수

클럽수상 횟수수상자 수수상한 선수
레알 마드리드128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957, 1959)
레몽 코파 (1958)
루이스 피구 (2000)
호나우두 (2002)
파비오 칸나바로 (2006)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13, 2014, 2016, 2017)
루카 모드리치 (2018)
카림 벤제마 (2022)
바르셀로나126루이스 수아레스 (1960)
요한 크라위프 (1973, 1974)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4)
히바우두 (1999)
호나우지뉴 (2005)
리오넬 메시 (2009, 2010, 2011, 2012, 2015, 2019)
유벤투스86오마르 시보리 (1961)
파올로 로시 (1982)
미셸 플라티니 (1983, 1984, 1985)
로베르토 바조 (1993)
지네딘 지단 (1998)
파벨 네드베트 (2003)
밀란86잔니 리베라 (1969)
뤼트 휠릿 (1987)
마르코 판 바스턴 (1988, 1989, 1992)
조지 웨아 (1995)
안드리 셰우첸코 (2004)
카카 (2007)
바이에른 뮌헨53게르트 뮐러 (1970)
프란츠 베켄바워 (1972, 1976)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1980, 198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44데니스 로 (1964)
보비 찰턴 (1966)
조지 베스트 (196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8)
디나모 키이우22올레흐 블로힌 (1975)
이고르 벨라노프 (1986)
인테르22로타어 마테우스 (1990)
호나우두 (1997)
함부르크21케빈 키건 (1978, 1979)
아약스11요한 크라위프 (1971)
벤피카11에우제비우 (1965)
블랙풀11스탠리 매슈스 (1956)
두클라 프라하11요세프 마소푸스트 (1962)
디나모 모스크바11레프 야신 (1963)
페렌츠바로시11얼베르트 플로리안 (1967)
보루시아 MG11알란 시몬센 (1977)
마르세유11장피에르 파팽 (1991)
도르트문트11마티아스 자머 (1996)
리버풀11마이클 오언 (2001)
파리 생제르맹11리오넬 메시 (2021)
인터 마이애미11리오넬 메시 (2023)
맨체스터 시티11로드리 (2024)


3. 1. 연도별 수상자

선수해당 시점까지 선수가 이 상을 수상한 횟수를 나타낸다(다수 수상 선수의 경우).



{| class="wikitable sticky-header"

|+발롱도르 수상자

!연도

!순위

!선수

!팀

!점수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colspan=5 |발롱도르 (1956–2009)

|-

|align="center" rowspan="3"|'''1956'''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스탠리 매튜스'''

| '''블랙풀'''

|align="center"|'''4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4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레몽 코파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3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4"|'''1957'''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7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빌리 라이트

| 울버햄튼 원더러스

|align="center"|19

|-

|rowspan="2"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덩컨 에드워즈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rowspan="2" align="center"|16

|-

| 레몽 코파

| 레알 마드리드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58'''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레몽 코파'''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7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헬무트 란

| 로트바이스 에센

|align="center"|4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쥐스트 퐁텐

| 랭스

|align="center"|2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59'''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8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레몽 코파

| 랭스

|align="center"|4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존 찰스

| 유벤투스

|align="center"|24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0'''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루이스 수아레스'''

| '''바르셀로나'''

|align="center"|'''5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페렌츠 푸스카스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3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우베 젤러

| 함부르크

|align="center"|3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1'''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오마르 시보리'''

| '''유벤투스'''

|align="center"|'''4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루이스 수아레스

| 인테르

|align="center"|4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조니 헤인즈

| 풀럼

|align="center"|22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2'''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요제프 마소푸스트'''

| '''두클라 프라하'''

|align="center"|'''65'''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에우제비우

| 벤피카

|align="center"|53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카를하인츠 슈넬링거

| 쾰른

|align="center"|3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3'''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레프 야신'''

| '''디나모 모스크바'''

|align="center"|'''73'''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지아니 리베라

| 밀란

|align="center"|55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지미 그리브스

| 토트넘 홋스퍼

|align="center"|50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4'''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데니스 로'''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6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루이스 수아레스

| 인테르

|align="center"|43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아만시오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38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5'''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에우제비우'''

| '''벤피카'''

|align="center"|'''6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자친토 파케티

| 인테르

|align="center"|59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루이스 수아레스

| 인테르

|align="center"|45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6'''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보비 찰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8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에우제비우

| 벤피카

|align="center"|8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59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7'''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플로리안 알베르트'''

| '''페렌츠바로시'''

|align="center"|'''68'''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보비 찰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4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지미 존스톤

| 셀틱

|align="center"|39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8'''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조지 베스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6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보비 찰턴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53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드라간 자이치

| 츠르베나 즈베즈다

|align="center"|46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69'''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지아니 리베라'''

| '''밀란'''

|align="center"|'''83'''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지지 리바

| 칼리아리

|align="center"|79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게르트 뮐러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38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0'''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게르트 뮐러'''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7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보비 무어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align="center"|7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지지 리바

| 칼리아리

|align="center"|65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1'''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요한 크라위프'''

| '''아약스'''

|align="center"|'''11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산드로 마촐라

| 인테르

|align="center"|5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조지 베스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align="center"|56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2'''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81'''

|-

|rowspan="2"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게르트 뮐러

| 바이에른 뮌헨

|rowspan="2" align="center"|79

|-

| 귄터 네처

| 묀헨글라트바흐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3'''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요한 크라위프'''

| '''바르셀로나'''

|align="center"|'''9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디노 조프

| 유벤투스

|align="center"|4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게르트 뮐러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44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4'''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요한 크라위프'''

| '''바르셀로나'''

|align="center"|'''11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105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카지미에시 데이나

| 레기아 바르샤바

|align="center"|35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5'''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올레흐 블로힌'''

| '''디나모 키이우'''

|align="center"|'''12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4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요한 크라위프

| 바르셀로나

|align="center"|27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6'''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9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롭 렌센브링크

| 안데를레흐트

|align="center"|75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이보 빅토르

| 두클라 프라하

|align="center"|52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7'''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알란 시몬센

|

|align="center"|'''7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케빈 키건

| 함부르크

|align="center"|7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미셸 플라티니

| 낭시

|align="center"|70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8'''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케빈 키건

| '''함부르크'''

|align="center"|'''8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한스 크랑클

| 바르셀로나

|align="center"|8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롭 렌센브링크

| 안데를레흐트

|align="center"|50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79'''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케빈 키건

| '''함부르크'''

|align="center"|'''118'''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5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뤼트 크롤

| 아약스

|align="center"|41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0'''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12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베른트 슈스터

| 바르셀로나

|align="center"|3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미셸 플라티니

| 생테티엔

|align="center"|3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1'''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10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파울 브라이트너

| 바이에른 뮌헨

|align="center"|6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베른트 슈스터

| 바르셀로나

|align="center"|39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2'''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파올로 로시

| '''유벤투스'''

|align="center"|'''115'''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알랭 지레스

| 보르도

|align="center"|6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 유벤투스

|align="center"|5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3'''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미셸 플라티니'''

| '''유벤투스'''

|align="center"|'''11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케니 달글리시

| 리버풀

|align="center"|2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알란 시몬센

| 바일레

|align="center"|25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4'''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미셸 플라티니'''

| '''유벤투스'''

|align="center"|'''128'''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장 티가나

| 보르도

|align="center"|5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프레벤 엘키에르 라르센

| 엘라스 베로나

|align="center"|48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5'''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미셸 플라티니'''

| '''유벤투스'''

|align="center"|'''12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프레벤 엘키에르 라르센

| 엘라스 베로나

|align="center"|7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베른트 슈스터

| 바르셀로나

|align="center"|46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6'''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이호르 벨라노프

| '''디나모 키이우'''

|align="center"|'''8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게리 리네커

| 바르셀로나

|align="center"|62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59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7'''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뤼트 굴리트

| '''밀란'''

|align="center"|'''106'''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파울루 푸트레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align="center"|91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 레알 마드리드

|align="center"|61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8'''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마르코 판 바스턴

| '''밀란'''

|align="center"|'''129'''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뤼트 굴리트

| 밀란

|align="center"|88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프랑크 레이카르트

| 밀란

|align="center"|45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89'''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마르코 판 바스턴

| '''밀란'''

|align="center"|'''119'''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프랑코 바레시

| 밀란

|align="center"|80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프랑크 레이카르트

| 밀란

|align="center"|43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3"|'''1990'''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로타어 마테우스

| '''인테르나치오날레'''

|align="center"|'''137'''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살바토레 스킬라치

| 유벤투스

|align="center"|84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cc9966"|3위

| 안드레아스 브레메

| 인테르나치오날레

|align="center"|68

|-

!colspan="5"|

|-

|align="center" rowspan="4"|'''1991'''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gold"|'''1위'''

| 장피에르 파팽

| '''마르세유'''

|align="center"|'''141'''

|-

|rowspan="3"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silver"|2위

| 데얀 사비체비치

| 츠르베나 즈베즈다

|rowspan="3" align="center"|42

|-

| 다르코 판체프

| 츠르베나 즈베즈다

|-

| 로타어 마테우스

| 인테르나치오날레

|-

!colspan="5"|

|-

|align="center

3. 2. 선수별 수상 횟수

오마르 시보리* (1961)
리오넬 메시 (2009, 2010, 2011, 2012, 2015, 2019, 2021, 2023)독일75게르트 뮐러 (1970)
프란츠 베켄바워 (1972, 1976)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1980, 1981)
로타어 마테우스 (1990)
마티아스 자머 (1996)네덜란드73요한 크라위프 (1971, 1973, 1974)
뤼트 휠릿 (1987)
마르코 판 바스턴 (1988, 1989, 1992)프랑스75레몽 코파 (1958)
미셸 플라티니 (1983, 1984, 1985)
장피에르 파팽 (1991)
지네딘 지단 (1998)
카림 벤제마 (2022)포르투갈73에우제비우 (1965)
루이스 피구 (2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8, 2013, 2014, 2016, 2017)이탈리아55오마르 시보리* (1961)
잔니 리베라 (1969)
파올로 로시 (1982)
로베르토 바조 (1993)
파비오 칸나바로 (2006)잉글랜드54스탠리 매슈스 (1956)
보비 찰턴 (1966)
케빈 키건 (1978, 1979)
마이클 오언 (2001)브라질54호나우두 (1997, 2002)
히바우두 (1999)
호나우지뉴 (2005)
카카 (2007)소련33레프 야신 (1963)
올레흐 블로힌 (1975)
이고르 벨라노프 (1986)스페인33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957, 1959)
루이스 수아레스 (1960)
로드리 에르난데스 (2024)체코슬로바키아11요세프 마소푸스트 (1962)스코틀랜드11데니스 로 (1964)헝가리11얼베르트 플로리안 (1967)북아일랜드11조지 베스트 (1968)덴마크11알란 시몬센 (1977)불가리아11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4)라이베리아11조지 웨아 (1995)체코11파벨 네드베트 (2003)우크라이나11안드리 셰우첸코 (2004)

3. 3. 국가별 수상 횟수

오마르 시보리* (1961)
리오넬 메시 (2009, 2010, 2011, 2012, 2015, 2019, 2021, 2023)독일75게르트 뮐러 (1970)
프란츠 베켄바워 (1972, 1976)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1980, 1981)
로타어 마테우스 (1990)
마티아스 자머 (1996)네덜란드73요한 크라위프 (1971, 1973, 1974)
뤼트 휠릿 (1987)
마르코 판 바스턴 (1988, 1989, 1992)프랑스75레몽 코파 (1958)
미셸 플라티니 (1983, 1984, 1985)
장피에르 파팽 (1991)
지네딘 지단 (1998)
카림 벤제마 (2022)포르투갈73에우제비우 (1965)
루이스 피구 (2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8, 2013, 2014, 2016, 2017)이탈리아55오마르 시보리* (1961)
잔니 리베라 (1969)
파올로 로시 (1982)
로베르토 바조 (1993)
파비오 칸나바로 (2006)잉글랜드54스탠리 매슈스 (1956)
보비 찰턴 (1966)
케빈 키건 (1978, 1979)
마이클 오언 (2001)브라질54호나우두 (1997, 2002)
히바우두 (1999)
호나우지뉴 (2005)
카카 (2007)소련33레프 야신 (1963)
올레흐 블로힌 (1975)
이고르 벨라노프 (1986)스페인33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1957, 1959)
루이스 수아레스 (1960)
로드리 에르난데스 (2024)체코슬로바키아11요세프 마소푸스트 (1962)스코틀랜드11데니스 로 (1964)헝가리11얼베르트 플로리안 (1967)북아일랜드11조지 베스트 (1968)덴마크11알란 시몬센 (1977)불가리아11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4)라이베리아11조지 웨아 (1995)체코11파벨 네드베트 (2003)우크라이나11안드리 셰우첸코 (2004)

3. 4. 클럽별 수상 횟수

레몽 코파 (1958)
루이스 피구 (2000)
호나우두 (2002)
파비오 칸나바로 (2006)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13, 2014, 2016, 2017)
루카 모드리치 (2018)
카림 벤제마 (2022)바르셀로나126루이스 수아레스 (1960)
요한 크라위프 (1973, 1974)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4)
히바우두 (1999)
호나우지뉴 (2005)
리오넬 메시 (2009, 2010, 2011, 2012, 2015, 2019)유벤투스86오마르 시보리 (1961)
파올로 로시 (1982)
미셸 플라티니 (1983, 1984, 1985)
로베르토 바조 (1993)
지네딘 지단 (1998)
파벨 네드베트 (2003)밀란86잔니 리베라 (1969)
뤼트 휠릿 (1987)
마르코 판 바스턴 (1988, 1989, 1992)
조지 웨아 (1995)
안드리 셰우첸코 (2004)
카카 (2007)바이에른 뮌헨53게르트 뮐러 (1970)
프란츠 베켄바워 (1972, 1976)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1980, 1981)맨체스터 유나이티드44데니스 로 (1964)
보비 찰턴 (1966)
조지 베스트 (196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008)디나모 키이우22올레흐 블로힌 (1975)
이고르 벨라노프 (1986)인테르22로타어 마테우스 (1990)
호나우두 (1997)함부르크21케빈 키건 (1978, 1979)아약스11요한 크라위프 (1971)벤피카11에우제비우 (1965)블랙풀11스탠리 매슈스 (1956)두클라 프라하11요세프 마소푸스트 (1962)디나모 모스크바11레프 야신 (1963)페렌츠바로시11얼베르트 플로리안 (1967)보루시아 MG11알란 시몬센 (1977)마르세유11장피에르 파팽 (1991)도르트문트11마티아스 자머 (1996)리버풀11마이클 오언 (2001)파리 생제르맹11리오넬 메시 (2021)인터 마이애미11리오넬 메시 (2023)맨체스터 시티11로드리 (2024)


4. 추가 시상 부문

발롱도르는 여러 부문으로 나뉘어 시상된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FIFA 올해의 선수상과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라는 이름으로 최고의 남자 선수에게 수여되었다. 프랑스 풋볼과 FIFA의 통합 계약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분리되었다. 2011년부터 UEFA는 UEFA 올해의 유럽 선수상을 제정하여 유럽 선수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축구계 영향으로 인해 시상이 취소되었는데, 많은 사람들은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수상했어야 한다고 അഭിപ്을 밝혔다.

2022년에는 발롱도르 규정이 변경되어, 달력 연도 대신 축구 시즌의 업적을 기준으로 시상하고, FIFA 남자 랭킹 상위 100개국 대표 기자단이 수상자를 결정하게 되었다. UEFA는 2024년부터 발롱도르 시상식을 공동 주최한다.

'''발롱도르 드림팀'''은 2020년 12월 ''프랑스 풋볼''이 발표한 역대 최고의 축구 선수들로 구성된 올스타 팀이다.

발롱도르 드림팀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1팀
레프 야신 카푸
프란츠 베켄바우어
파올로 말디니
사비
로타어 마테우스
디에고 마라도나
펠레
리오넬 메시
호나우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팀
잔루이지 부폰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프랑코 바레시
호베르투 카를루스
안드레아 피를로
프랑크 레이카르트
지네딘 지단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가린샤
요한 크루이프
호나우지뉴
3팀
마누엘 노이어 필리프 람
세르히오 라모스
파울 브라이트너
요한 네스켄스
디디
미셸 플라티니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조지 베스트
마르코 반 바스텐
티에리 앙리


4. 1. 여자 발롱도르

주어진 소스에 여자 발롱도르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4. 2. 코파 트로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코파 트로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코파 트로피' 관련 내용이 추가되어야 작성이 가능합니다.

4. 3. 야신 트로피

주어진 원문 소스에 '야신 트로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발롱도르' 문서의 '야신 트로피' 섹션에는 어떤 내용도 추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4. 4. 게르트 뮐러 트로피

게르트 뮐러 트로피는 해당 문서의 섹션 내용이 아니므로 출력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은 빈 텍스트가 맞습니다.

4. 5. 소크라테스 상

Sócrates Award영어는 사회 공헌 활동을 한 축구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4. 6. 올해의 클럽

이전 출력에서 언급했듯이, '올해의 클럽'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원본 소스에 없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반환한다.

4. 7. 요한 크루이프 트로피

요한 크루이프 트로피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5. 특별상

발롱도르는 축구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가치 있는 개인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56년 스탠리 매튜스가 초대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1995년에는 유럽 클럽에서 활동하는 모든 선수로 자격이 확대되면서 조지 웨아가 아프리카 출신 선수로는 유일하게 수상하였다. 2년 후, 호나우두가 최초의 남미 출신 수상자가 되었으며, 그는 21세 96일로 역대 최연소 수상자이다.

리오넬 메시는 8번의 발롱도르 수상으로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5번 수상자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18번의 후보 지명으로 최다 후보 지명 기록을 가지고 있다. 요한 크루이프, 미셸 플라티니, 마르코 판 바스텐은 각각 3번씩 수상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FIFA 올해의 선수와 통합되어 FIFA 발롱도르로 수여되었으며, 2011년 이후, UEFA는 UEFA 올해의 유럽 선수상을 제정하여 유럽 선수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시상식이 취소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가 수상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에는 발롱도르 규정이 수정되어 축구 시즌의 업적을 기준으로 수상자를 선정하고, FIFA 랭킹 상위 100개국 대표 기자단이 투표에 참여하게 되었다. 2024년부터는 UEFA가 발롱도르 시상식을 공동 주최한다.

리오넬 메시는 8회 수상으로 발롱도르 최다 수상자이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발롱도르 후보로 18번 지명되었으며, 5회 수상했다.


조지 웨아는 유일한 아프리카 출신 수상자이자 최초의 비유럽인 수상자였다.


호나우두는 발롱도르를 수상한 최초의 남아메리카 선수이며, 21세 96일로 역대 최연소 수상자이다.


로드리는 현재 발롱도르 수상자이다.


1995년 이전에는 유럽 선수만이 수상 자격이 있었기 때문에, 2016년 프랑스 풋볼은 1995년 이전의 상에 대한 재평가를 발표했다. 그 결과 펠레, 디에고 마라도나 등 남미 선수 12명이 소급하여 수상자로 인정되었으나, 원래 수상자는 변경되지 않았다.

연도원래 수상자재평가에 따른 수상자
1958레몽 코파펠레
1959알프레도 디 스테파노펠레
1960루이스 수아레스펠레
1961오마르 시보리펠레
1962요제프 마소푸스트가린샤
1963레프 야신펠레
1964데니스 로펠레
1970게르트 뮐러펠레
1978케빈 키건마리오 켐페스
1986이호르 벨라노프디에고 마라도나
1990로타어 마테우스디에고 마라도나
1994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호마리우


5. 1. 20세기 최고의 선수

1999년, ''프랑스 풋볼''은 이전 수상자들에게 20세기 최고의 축구 선수를 투표하도록 요청했다. 이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세기 최고의 선수
순위선수국적득표수
1펠레17
2디에고 마라도나16
3요한 크라위프15
4알프레도 디 스테파노,9
5미셸 플라티니4
5프란츠 베켄바워4
7페렌츠 푸스카스3
8조지 베스트2
8마르코 판 바스텐2
10에우제비우1
10레프 야신1
10보비 찰턴1
10스탠리 매튜스1
10게르트 뮐러1
10지지뉴1
10레오니다스 다 시우바1
10후안 알베르토 스치아피노1


5. 2. 발롱도르 드림팀

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하고, 표(Table) 양식에 맞게 수정한다.

```

포지션선수
골키퍼레프 야신
오른쪽 풀백카푸
왼쪽 풀백파올로 말디니
센터백프란츠 베켄바우어
수비형 미드필더사비 에르난데스
수비형 미드필더로타어 마테우스
공격형 미드필더펠레
공격형 미드필더디에고 마라도나
오른쪽 윙어리오넬 메시
왼쪽 윙어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센터 포워드호나우두


참조

[1] 뉴스 Kaka wins 2007 award http://news.bbc.co.u[...] BBC Sport 2020-05-21
[2] 웹사이트 FIFAによる公式発表 http://www.fifa.com/[...] FIFA 2010-07-06
[3] 웹사이트 フランス・フットボール公式サイト:受賞者リスト https://www.francefo[...] 프랑스・풋볼 2020-05-26
[4] 웹사이트 No.962 バロンドールの日 http://www.soccertal[...] サッカーの話をしよう 2013-12-18
[5] 뉴스 カンナヴァーロの2006年バロンドール受賞が発表される http://www.afpbb.com[...] AFP通信 2006-11-27
[6] 웹사이트 THE BALLON D’OR® WILL NOT BE AWARDED IN 2020 https://blog.lequipe[...] L'Equipe 2020-07-20
[7] 웹사이트 On a refait le palmarès http://www.francefoo[...] 2020-10-19
[8] 웹사이트 Ballon d'Or Dream Team : Découvrez les révélations de ce onze de légende ! https://www.francefo[...] France Football 2020-12-15
[9] 웹사이트 Messi, Ronaldo, Beckham, Ronaldinho up for Dream Team place https://en.as.com/en[...] as.com 2020-12-15
[10] 웹사이트 https://www.cambridg[...]
[11] 웹사이트 https://www.sportbib[...]
[12] 웹사이트 https://en.as.com/so[...]
[13] 뉴스 ‘발롱도르 지존’ 메시, 한국 축구를 어떻게 볼까?[최규섭의 청축탁축(淸蹴濁蹴)] https://m.sports.nav[...] OSEN 2021-12-01
[14] 웹인용 La liste complête des lauréats du Ballon d'or, de 1956 à nos jours http://www.francefoo[...] 2016-01-14
[15] 웹인용 FIFA Awards – World Player of the Year http://www.rsssf.com[...]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5-02-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