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행성접근통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성 접근 통과는 우주선이 특정 행성에 근접하여 비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변경하거나 속도를 높이는 중력 보조를 수행하기도 한다. 1960년대부터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금성, 화성 탐사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마리너 2호가 1962년 최초로 금성 근접 통과에 성공했다. 이후 보이저 1, 2호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 근접 통과하며 태양계 외곽을 탐사했고, 갈릴레오, 카시니-호이겐스, 로제타, 뉴 호라이즌스 등 다양한 탐사선들이 중력 보조를 활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일본, 유럽 우주국(ESA),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행성 접근 통과를 활용한 우주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비행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우주 비행 - 발사 및 초기 궤도 단계
    우주선의 발사 및 초기 궤도 단계는 발사 후 초기 궤도 진입까지의 과정으로, 일부 우주선은 이 단계에서 초기 작동 점검을 위한 자율 시운전을 수행한다.
행성접근통과
개요
유형우주 탐사
목적행성, 왜행성 또는 기타 천체 근접 통과
관련 분야천문학, 우주 과학, 행성 과학
설명우주 탐사선이 특정 행성 또는 천체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나가는 방식
특징
장점비교적 적은 연료 소비
단기간에 다양한 천체 탐사 가능
단점통과 시 짧은 시간 동안만 데이터 수집 가능
궤도 변경 어려움
활용행성의 대기, 자기장, 표면 특징 연구
중력 보조를 이용한 궤도 변경
역사
최초의 행성 접근 통과마리너 2호의 금성 접근 통과 (1962년 12월 14일)
주요 임무
뉴 허라이즌스명왕성 및 카이퍼 벨트 천체 탐사
마리너 계획금성, 화성, 수성 탐사
보이저 계획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탐사
관련 개념
중력 도움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탐사선의 속도와 궤도를 변경하는 기술
궤도 역학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

2. 행성 근접 통과 목록

근접 통과 날짜발사 날짜운영 주체우주선세부 정보임무 결과
11961년 5월 19일1961년 2월 12일베네라 1호최초의 금성 근접 통과 (근접 통과 전에 통신 두절)[5]실패
21962년 12월 14일1962년 8월 27일마리너 2호최초의 성공적인 비달 착륙 행성 접근 및 최초의 성공적인 금성 근접 통과[6]성공
31963년 6월 19일1962년 11월 1일마르스 1호최초의 화성 근접 통과 (통신 두절)[7]실패
41964년 7월 19일1964년 4월 2일존드 1호금성 근접 통과 (통신 두절)[8]실패
51965년 7월 15일1964년 11월 28일마리너 4호최초의 성공적인 화성 근접 통과[9]성공
61965년 8월 6일1964년 11월 30일존드 2호화성 근접 통과 (통신 두절)[10]실패
71966년 2월 27일1965년 11월 12일베네라 2호금성 근접 통과 (통신 두절)[11]실패
81967년 10월 19일1967년 6월 14일마리너 5호금성 근접 통과[12]성공
91969년 7월 31일1969년 2월 25일마리너 6호화성 근접 통과[13]성공
101969년 8월 5일1969년 3월 27일마리너 7호화성 근접 통과[14]성공
111973년 12월 3일1972년 3월 3일파이오니어 10호최초의 목성 근접 통과[15]성공
121974년 2월 5일1973년 11월 4일마리너 10호금성 근접 통과; 최초의 행성 간 중력 보조[16]성공
131974년 2월 10일1973년 7월 21일마르스 4호화성 근접 통과 (부주의함; 화성 궤도선 시도)[17]실패
141974년 3월 9일1973년 8월 9일마르스 7호화성 근접 통과 (부주의함; 화성 착륙선 시도)[18]실패
151974년 3월 12일1973년 8월 5일마르스 6호화성 근접 통과 (근접 통과는 성공했지만 착륙선 실패)[19]실패
161974년 3월 29일1973년 11월 4일마리너 10호최초의 수성 근접 통과[16]성공
171974년 9월 21일1973년 11월 4일마리너 10호수성 근접 통과[16]성공
181974년 12월 3일1973년 4월 5일파이오니어 11호목성 근접 통과[20]성공
191975년 3월 16일1973년 11월 4일마리너 10호수성 근접 통과[16]성공
201978년 12월 19일1978년 9월 14일베네라 12호금성 근접 통과 및 착륙선[21]성공
211978년 12월 25일1978년 9월 9일베네라 11호금성 근접 통과 및 착륙선[22]성공
221979년 3월 5일1977년 9월 5일보이저 1호목성 근접 통과[23]성공
231979년 7월 9일1977년 8월 20일보이저 2호목성 근접 통과[24]성공
241979년 9월 1일1973년 4월 5일파이오니어 11호최초의 토성 근접 통과[20]성공
251980년 11월 12일1977년 9월 5일보이저 1호토성 근접 통과[23]성공
261981년 8월 25일1977년 8월 20일보이저 2호토성 근접 통과[24]성공
271982년 3월 1일1981년 10월 30일베네라 13호금성 근접 통과 및 착륙선[25]성공
281982년 3월 5일1981년 11월 4일베네라 14호금성 근접 통과 및 착륙선[26]성공
291985년 6월 11일1984년 12월 15일베가 1호금성 근접 통과, 착륙선 및 최초의 기구[27]성공
301985년 6월 15일1984년 12월 21일베가 2호금성 근접 통과, 착륙선 및 기구[28]성공
311986년 1월 24일1977년 8월 20일보이저 2호최초이자 유일한 천왕성 근접 통과[24]성공
321989년 8월 25일1977년 8월 20일보이저 2호최초이자 유일한 해왕성 근접 통과[24]성공
331990년 2월 10일1989년 10월 13일갈릴레오금성 근접 통과, 목성으로 향하는 세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29]성공
341990년 7월 2일1985년 7월 2일지오토최초의 지구 근접 통과, 26P/Grigg–Skjellerup로의 연장 임무를 위한 중력 보조[30]성공
351990년 10월 8일1989년 10월 13일갈릴레오지구 근접 통과, 목성으로 향하는 세 번의 중력 보조 중 두 번째[29]성공
361992년 1월 8일1985년 1월 7일사키가케지구 근접 통과[31]성공
371992년 2월 8일1990년 10월 6일율리시스목성 근접 통과, 태양 임무를 위한 경사 변화 중력 보조[32]성공
381992년 12월 8일1989년 10월 13일갈릴레오지구 근접 통과, 목성으로 향하는 세 번의 중력 보조 중 마지막[29]성공
391993년 8월 24일1992년 9월 25일마스 옵저버화성 근접 통과 (부주의함; 화성 궤도선 시도)[33]실패
401998년 1월 23일1996년 2월 17일NEAR 슈메이커지구 근접 통과, 433 에로스로의 중력 보조[34]성공
411998년 4월 26일1997년 10월 15일카시니-호이겐스금성 근접 통과,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35]성공
421999년 6월 24일1997년 10월 15일카시니-호이겐스금성 근접 통과,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두 번째[36]성공
431999년 8월 18일1997년 10월 15일카시니-호이겐스지구 근접 통과,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세 번째[37]성공
442000년 12월 30일1997년 10월 15일카시니-호이겐스목성 근접 통과,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마지막[38]성공
452001년 1월 15일1999년 2월 27일스타더스트지구 근접 통과, 81P/와일드로의 중력 보조[39]성공
462002년 4월 21일1998년 7월 4일노조미지구 근접 통과, 화성으로 향하는 두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40]성공
472003년 6월 19일1998년 7월 4일노조미지구 근접 통과, 화성으로 향하는 두 번의 중력 보조 중 마지막[40]성공
482003년 12월 14일1998년 7월 4일노조미화성 근접 통과 (부주의함; 계획된 화성 궤도선)[40]실패
492004년 5월 19일2003년 5월 9일하야부사지구 근접 통과, 25143 이토카와로의 중력 보조[41]성공
502005년 3월 4일2004년 3월 2일로제타지구 근접 통과,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42]성공
512005년 8월 2일2004년 8월 3일메신저지구 근접 통과, 수성으로 향하는 첫 번째 중력 보조[43]성공
522006년 1월 15일1999년 2월 27일스타더스트지구 근접 통과 및 샘플 반환 캡슐 재진입[39]성공
532006년 10월 24일2004년 8월 3일메신저금성 근접 통과, 수성으로 향하는 두 번째 중력 보조[43]성공
542007년 2월 25일2004년 3월 2일로제타화성 근접 통과,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두 번째[42]성공
552007년 2월 28일2006년 1월 19일뉴 호라이즌스목성 근접 통과, 명왕성/카론 시스템으로의 중력 보조성공
562007년 6월 5일2004년 8월 3일메신저금성 근접 통과, 수성으로 향하는 세 번째 중력 보조. 또한 행성의 대기를 특성화했습니다.[43]성공
572007년 11월 13일2004년 3월 2일로제타지구 근접 통과,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세 번째[42]성공
582007년 12월 31일2005년 1월 12일딥 임팩트 (EPOXI)지구 근접 통과[44]성공
592008년 1월 14일2004년 8월 3일메신저수성 근접 통과, 궤도 삽입 및 주요 임무 전 네 번째 중력 보조[43]성공
602008년 10월 6일2004년 8월 3일메신저수성 근접 통과, 궤도 삽입 및 주요 임무 전 다섯 번째 중력 보조[43]성공
612008년 12월 29일2005년 1월 12일딥 임팩트 (EPOXI)지구 근접 통과[44]성공
622009년 1월 14일1999년 2월 27일스타더스트지구 근접 통과, 9P/템펠로의 중력 보조[39]성공
632009년 2월 18일2007년 9월 27일화성 근접 통과, 4 베스타로의 중력 보조[45]성공
642009년 6월 29일2005년 1월 12일딥 임팩트 (EPOXI)지구 근접 통과 (원거리)[46]성공
652009년 9월 29일2004년 8월 3일메신저수성 근접 통과, 궤도 삽입 및 주요 임무 전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중력 보조[43]성공
662009년 11월 13일2004년 3월 2일로제타지구 근접 통과,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 중 마지막[42]성공
672009년 12월 28일2005년 1월 12일딥 임팩트 (EPOXI)지구 근접 통과 (원거리)[46]성공
682010년 6월 27일2005년 1월 12일딥 임팩트 (EPOXI)지구 근접 통과[44]성공
692010년 12월 6일2010년 5월 20일아카츠키금성 근접 통과 (부주의함; 궤도 삽입을 의도했음; 나중에 2015년에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함)[47]실패
702010년 12월 8일2010년 5월 20일IKAROS금성 근접 통과, 탐사선은 아카츠키와 함께 발사된 기술 시연기였다.[48]성공
712013년 10월 9일2011년 8월 5일주노지구 근접 통과, 목성으로의 중력 보조[49]성공
722015년 7월 14일2006년 1월 19일뉴 호라이즌스최초이자 유일한 명왕성/카론 근접 통과[50][51]성공
732015년 12월 3일2014년 12월 3일하야부사 2호지구 근접 통과, 162173 류구로의 중력 보조[52]성공
742017년 9월 22일2016년 9월 8일OSIRIS-REx지구 근접 통과, 101955 벤누로의 중력 보조성공
752018년 10월 3일2018년 8월 12일파커 태양 탐사선금성 근접 통과성공
762018년 11월 26일2018년 5월 5일마스 큐브 원화성 근접 통과성공
772020년 4월 10일2018년 10월 20일베피콜롬보지구 근접 통과성공
782020년 7월 23일~2021년 2월 10일톈원 1호 배치 가능한 카메라화성 근접 통과성공
792020년 10월 15일2018년 10월 20일베피콜롬보금성 근접 통과성공
802020년 12월 5일2014년 12월 3일하야부사 2호지구 근접 통과, 98943 토리후네로의 중력 보조성공
812020년 12월 27일2020년 2월 10일솔라 오비터금성 근접 통과성공
822021년 8월 9일2020년 2월 10일솔라 오비터금성 근접 통과성공
832021년 8월 10일2018년 10월 20일베피콜롬보금성 근접 통과성공
842021년 10월 1일2018년 10월 20일베피콜롬보수성 근접 통과성공
852021년 11월 27일2020년 2월 10일솔라 오비터지구 근접 통과성공
862022년 6월 23일2018년 10월 20일베피콜롬보수성 근접 통과성공


2. 1. 초기 탐사 (1960년대 ~ 1970년대)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은 우주 개발 경쟁을 벌이며 금성과 화성 탐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 시기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많은 임무가 실패했지만, 행성 근접 통과를 통해 중요한 과학적 발견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 소련의 초기 시도


소련은 우주 개발 경쟁에서 미국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행성 탐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초기 시도는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실패가 잦았다.

이처럼 소련의 초기 행성 근접 통과 시도는 대부분 통신 문제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이는 당시 소련의 우주 기술이 아직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우주 기술을 발전시켜 나갔다.

  • 미국의 초기 성공


마리너 2호는 1962년 12월 14일 '''최초로 성공적인 비달 착륙 행성 접근 및 최초의 성공적인 금성 근접 통과'''를 달성했다.[6] 마리너 4호는 1965년 7월 15일 '''최초의 성공적인 화성 근접 통과'''를 기록했다.[9] 이후 1967년 10월 19일, 마리너 5호가 금성 근접 통과에 성공했다.[12] 1969년에는 마리너 6호가 7월 31일에,[13] 마리너 7호가 8월 5일에 각각 화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14]

파이오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3일 '''최초로 목성 근접 통과'''에 성공했다.[15]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5일 금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으며, 이는 최초의 행성 간 중력 보조였다.[16] 또한,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최초로 수성 근접 통과'''를 달성했고,[16] 같은 해 9월 21일과 1975년 3월 16일에도 수성 근접 통과를 추가로 수행했다.[16]

2. 1. 1. 소련의 초기 시도

소련은 우주 개발 경쟁에서 미국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행성 탐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초기 시도는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실패가 잦았다.

이처럼 소련의 초기 행성 근접 통과 시도는 대부분 통신 문제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이는 당시 소련의 우주 기술이 아직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우주 기술을 발전시켜 나갔다.

2. 1. 2. 미국의 초기 성공

마리너 2호는 1962년 12월 14일 '''최초로 성공적인 비달 착륙 행성 접근 및 최초의 성공적인 금성 근접 통과'''를 달성했다.[6] 마리너 4호는 1965년 7월 15일 '''최초의 성공적인 화성 근접 통과'''를 기록했다.[9] 이후 1967년 10월 19일, 마리너 5호가 금성 근접 통과에 성공했다.[12] 1969년에는 마리너 6호가 7월 31일에,[13] 마리너 7호가 8월 5일에 각각 화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14]

파이오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3일 '''최초로 목성 근접 통과'''에 성공했다.[15]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5일 금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으며, 이는 최초의 행성 간 중력 보조였다.[16] 또한,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최초로 수성 근접 통과'''를 달성했고,[16] 같은 해 9월 21일과 1975년 3월 16일에도 수성 근접 통과를 추가로 수행했다.[16]

2. 2. 태양계 외곽 탐사 (1970년대 후반 ~ 1990년대)

1977년 9월 5일 발사된 보이저 1호1979년 3월 5일 목성에 근접 통과하였고,[23] 1980년 11월 12일에는 토성에 근접 통과하였다.[23] 1977년 8월 20일 발사된 보이저 2호1979년 7월 9일 목성에 근접 통과하였고,[24] 1981년 8월 25일에는 토성에 근접 통과하였다.[24] 또한, 보이저 2호1986년 1월 24일 '''최초이자 유일한 천왕성 근접 통과'''를 수행하였고,[24] 1989년 8월 25일에는 '''최초이자 유일한 해왕성 근접 통과'''를 수행하였다.[24] 보이저 1, 2호는 모두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영했다.

1973년 4월 5일 발사된 파이오니어 11호는 1974년 12월 3일목성을 근접 통과했고,[20] 1979년 9월 1일에는 최초로 토성을 근접 통과했다.[20]

2. 2. 1. 보이저 계획

1977년 9월 5일 발사된 보이저 1호1979년 3월 5일 목성에 근접 통과하였고,[23] 1980년 11월 12일에는 토성에 근접 통과하였다.[23] 1977년 8월 20일 발사된 보이저 2호1979년 7월 9일 목성에 근접 통과하였고,[24] 1981년 8월 25일에는 토성에 근접 통과하였다.[24] 또한, 보이저 2호1986년 1월 24일 '''최초이자 유일한 천왕성 근접 통과'''를 수행하였고,[24] 1989년 8월 25일에는 '''최초이자 유일한 해왕성 근접 통과'''를 수행하였다.[24] 보이저 1, 2호는 모두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영했다.

2. 2. 2. 기타 탐사선

1973년 4월 5일 발사된 파이오니어 11호는 1974년 12월 3일목성을 근접 통과했고,[20] 1979년 9월 1일에는 최초로 토성을 근접 통과했다.[20]

2. 3. 중력 보조 활용 (1990년대 ~ 현재)

1989년 10월 13일에 발사된 갈릴레오1990년 2월 10일 금성을 근접 통과했고, 이는 목성으로 향하는 세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였다.[29] 이후 1990년 10월 8일과 1992년 12월 8일에 지구를 두 차례 더 근접 통과하며 중력 보조를 받았다.[29]

1997년 10월 15일에 발사된 카시니-호이겐스는 1998년 4월 26일과 1999년 6월 24일에 금성을 두 차례 근접 통과했고, 1999년 8월 18일에는 지구를, 2000년 12월 30일에는 목성을 근접 통과하며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를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했다.[35][36][37][38]

2004년 3월 2일에 발사된 로제타2005년 3월 4일, 2007년 11월 13일, 2009년 11월 13일에 지구를 세 차례, 2007년 2월 25일에는 화성을 한 차례 근접 통과하며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를 받았다.[42]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된 뉴 호라이즌스는 2007년 2월 28일 목성을 근접 통과하여 명왕성/카론 시스템으로의 중력 보조를 받았고, 2015년 7월 14일 명왕성과 카론을 최초이자 유일하게 근접 통과했다.[50][51]

2. 3. 1. 중력 보조를 활용한 주요 임무

1989년 10월 13일에 발사된 갈릴레오1990년 2월 10일 금성을 근접 통과했고, 이는 목성으로 향하는 세 번의 중력 보조 중 첫 번째였다.[29] 이후 1990년 10월 8일과 1992년 12월 8일에 지구를 두 차례 더 근접 통과하며 중력 보조를 받았다.[29]

1997년 10월 15일에 발사된 카시니-호이겐스는 1998년 4월 26일과 1999년 6월 24일에 금성을 두 차례 근접 통과했고, 1999년 8월 18일에는 지구를, 2000년 12월 30일에는 목성을 근접 통과하며 토성으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를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했다.[35][36][37][38]

2004년 3월 2일에 발사된 로제타2005년 3월 4일, 2007년 11월 13일, 2009년 11월 13일에 지구를 세 차례, 2007년 2월 25일에는 화성을 한 차례 근접 통과하며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로 향하는 네 번의 중력 보조를 받았다.[42]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된 뉴 호라이즌스는 2007년 2월 28일 목성을 근접 통과하여 명왕성/카론 시스템으로의 중력 보조를 받았고, 2015년 7월 14일 명왕성과 카론을 최초이자 유일하게 근접 통과했다.[50][51]

2. 4. 기타 근접 통과

1985년 1월 7일에 발사된 사키가케1992년 1월 8일 지구에 근접 통과했다.[31]

1998년 7월 4일에 발사된 노조미는 2002년 4월 21일2003년 6월 19일에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화성으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두 번 받았다.[40] 2003년 12월 14일, 노조미는 화성에 근접 통과했지만,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40] 이는 일본 민주당 정부 시절 추진된 우주 개발 계획의 실패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2003년 5월 9일에 발사된 하야부사2004년 5월 19일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25143 이토카와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받았다.[41]

2010년 5월 20일에 발사된 아카츠키는 2010년 12월 6일 금성에 근접 통과했지만,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47] 이후 2015년에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2010년 5월 20일에 아카츠키와 함께 발사된 기술 시연기인 IKAROS2010년 12월 8일 금성에 근접 통과했다.[48]

2014년 12월 3일에 발사된 하야부사 2호는 2015년 12월 3일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162173 류구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받았고,[52] 2020년 12월 5일 다시 지구에 근접통과하여 98943 토리후네로 향하는 중력보조를 받았다.

2. 4. 1. 일본

1985년 1월 7일에 발사된 사키가케1992년 1월 8일 지구에 근접 통과했다.[31]

1998년 7월 4일에 발사된 노조미는 2002년 4월 21일2003년 6월 19일에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화성으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두 번 받았다.[40] 2003년 12월 14일, 노조미는 화성에 근접 통과했지만,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40] 이는 일본 민주당 정부 시절 추진된 우주 개발 계획의 실패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2003년 5월 9일에 발사된 하야부사2004년 5월 19일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25143 이토카와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받았다.[41]

2010년 5월 20일에 발사된 아카츠키는 2010년 12월 6일 금성에 근접 통과했지만, 궤도 진입에는 실패했다.[47] 이후 2015년에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2010년 5월 20일에 아카츠키와 함께 발사된 기술 시연기인 IKAROS2010년 12월 8일 금성에 근접 통과했다.[48]

2014년 12월 3일에 발사된 하야부사 2호는 2015년 12월 3일 지구에 근접 통과하여 162173 류구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받았고,[52] 2020년 12월 5일 다시 지구에 근접통과하여 98943 토리후네로 향하는 중력보조를 받았다.

2. 4. 2. 유럽 우주국 (ESA)

1990년 7월 2일, 지오토지구를 최초로 근접 통과했다. 이는 26P/Grigg-Skjellerup로의 연장 임무를 위한 중력 보조였다.[30] 1992년 2월 8일, 미국과 공동 개발한 율리시스목성을 근접 통과하여 태양 임무를 위한 경사 변화 중력 보조를 받았다.[32]

2018년 10월 20일에 발사된 베피콜롬보는 2020년 4월 10일 지구를, 2020년 10월 15일과 2021년 8월 10일에는 금성을, 2021년 10월 1일과 2022년 6월 23일에는 수성을 근접 통과했다.

2020년 2월 10일에 발사된 솔라 오비터는 2020년 12월 27일과 2021년 8월 9일에 금성을, 2021년 11월 27일에 지구를 근접 통과했다.

2. 4. 3. 미국

1998년 1월 23일, NEAR 슈메이커는 433 에로스로 가기 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를 근접 통과했다.[34]

2001년 1월 15일 스타더스트는 81P/와일드로 가기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39] 2006년 1월 15일에는 지구 근접 통과와 함께 샘플 반환 캡슐 재진입이 이루어졌다.[39] 2009년 1월 14일 스타더스트는 9P/템펠로 가기 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39]

2005년 8월 2일 메신저는 수성으로 가기 위한 첫 번째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43] 이후 2006년 10월 24일2007년 6월 5일에는 금성 근접 통과를 통해 수성으로 향하는 중력 보조를 수행했다.[43] 2008년 1월 14일10월 6일, 2009년 9월 29일에는 수성을 근접 통과하여 궤도 삽입 및 주요 임무를 위한 중력 보조를 수행했다.[43]

2007년 12월 31일, 2008년 12월 29일, 2009년 6월 29일 (원거리), 2009년 12월 28일 (원거리), 2010년 6월 27일 딥 임팩트 (EPOXI)는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44][46]

2009년 2월 18일 4 베스타로 가기 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화성을 근접 통과했다.[45]

2013년 10월 9일 주노목성으로 가기 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49]

2017년 9월 22일 OSIRIS-REx는 101955 벤누로 가기 위한 중력 보조를 위해 지구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

2018년 10월 3일 파커 태양 탐사선금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

2018년 11월 26일 마스 큐브 원화성 근접 통과를 수행했다.

2. 4. 4. 중국

2020년 7월 23일 발사된 중국톈원 1호에 탑재된 배치 가능한 카메라가 ~2021년 2월 10일 화성에 근접 통과했다. 이 임무는 성공적이었다.

3. 한국의 우주 탐사 현황과 전망

4. 추가 정보


참조

[1] 웹사이트 Flyby | Define Flyby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015-07-15
[2] 웹사이트 First Planetary Flyby Occurred 50 Years Ago Today http://www.space.com[...] 2012-12-14
[3] 간행물 The energy transfer process in planetary flybys https://doi.org/10.1[...] 2007-07
[4] 웹사이트 New Horizons: The First Mission to the Pluto System and the Kuiper Belt http://www.nasa.gov/[...] 2020-07-10
[5] 웹사이트 Venera 1 https://nssdc.gsfc.n[...] 2015-12-23
[6] 웹사이트 Mariner 2 https://nssdc.gsfc.n[...] 2015-12-23
[7] 웹사이트 Mars 1 https://nssdc.gsfc.n[...] 2015-12-23
[8] 웹사이트 Zond 1 https://nssdc.gsfc.n[...] 2015-12-23
[9] 웹사이트 Mariner 4 https://nssdc.gsfc.n[...] 2015-12-23
[10] 웹사이트 Zond 2 https://nssdc.gsfc.n[...] 2015-12-23
[11] 웹사이트 Venera 2 https://nssdc.gsfc.n[...] 2015-12-23
[12] 웹사이트 Mariner 5 https://nssdc.gsfc.n[...] 2015-12-23
[13] 웹사이트 Mariner 6 https://nssdc.gsfc.n[...] 2015-12-23
[14] 웹사이트 Mariner 7 https://nssdc.gsfc.n[...] 2015-12-23
[15] 웹사이트 Pioneer 10 https://nssdc.gsfc.n[...] 2015-12-23
[16] 웹사이트 Mariner 10 https://nssdc.gsfc.n[...] 2015-12-23
[17] 웹사이트 Mars 4 https://nssdc.gsfc.n[...] 2015-12-23
[18] 웹사이트 Mars 7 https://nssdc.gsfc.n[...] 2015-12-23
[19] 웹사이트 Mars 6 https://nssdc.gsfc.n[...] 2015-12-23
[20] 웹사이트 Pioneer 11 https://nssdc.gsfc.n[...] 2015-12-23
[21] 웹사이트 Venera 12 https://nssdc.gsfc.n[...] 2015-12-23
[22] 웹사이트 Venera 11 https://nssdc.gsfc.n[...] 2015-12-23
[23] 웹사이트 Voyager 1 https://nssdc.gsfc.n[...] 2015-12-23
[24] 웹사이트 Voyager 2 https://nssdc.gsfc.n[...] 2015-12-23
[25] 웹사이트 Venera 13 https://nssdc.gsfc.n[...] 2015-12-23
[26] 웹사이트 Venera 14 https://nssdc.gsfc.n[...] 2015-12-23
[27] 웹사이트 Vega 1 https://nssdc.gsfc.n[...] 2015-12-23
[28] 웹사이트 Vega 2 https://nssdc.gsfc.n[...] 2015-12-23
[29] 웹사이트 Galileo - In Depth {{!}} Mission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olarsystem.n[...] 2015-12-23
[30] 웹사이트 Giotto https://nssdc.gsfc.n[...] 2015-12-23
[31] 웹사이트 Sakigake https://nssdc.gsfc.n[...] 2015-12-23
[32] 웹사이트 Ulysses - In Depth {{!}} Missions -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http://solarsystem.n[...] 2015-12-23
[33] 웹사이트 Mars Observer https://nssdc.gsfc.n[...] 2015-12-23
[34] 웹사이트 NEAR Shoemaker https://nssdc.gsfc.n[...] 2015-12-23
[35] 웹사이트 Cassini Completes First Venus Flyby http://saturn.jpl.na[...] 2015-12-23
[36] 웹사이트 Cassini Completes Second Venus Flyby http://saturn.jpl.na[...] 2015-12-23
[37] 웹사이트 Cassini Completes Earth Flyby http://saturn.jpl.na[...] 2015-12-23
[38] 뉴스 Press release: Cassini Celebrates 10 Years Since Jupiter Encounter https://www.nasa.gov[...] NASA 2010-12-29
[39] 웹사이트 Stardust/NExT https://nssdc.gsfc.n[...] 2015-12-23
[40] 웹사이트 Nozomi https://nssdc.gsfc.n[...] 2015-12-23
[41] 웹사이트 Hayabusa https://nssdc.gsfc.n[...] 2015-12-23
[42] 웹사이트 Rosetta https://nssdc.gsfc.n[...] 2015-12-23
[43] 웹사이트 MESSENGER https://nssdc.gsfc.n[...] 2015-12-23
[44] 웹사이트 Deep Impact/EPOXI https://nssdc.gsfc.n[...] 2015-12-23
[45] 웹사이트 Dawn https://nssdc.gsfc.n[...] 2015-12-23
[46] 웹사이트 NASA - EPOXI Mission - Mission http://epoxi.umd.edu[...] 2015-12-23
[47] 웹사이트 Akatsuki https://nssdc.gsfc.n[...] 2015-12-23
[48] 웹사이트 IKAROS https://nssdc.gsfc.n[...] 2016-01-05
[49] 웹사이트 Juno https://nssdc.gsfc.n[...] 2015-12-23
[50] 문서
[51] 웹사이트 New Horizons Pluto Kuiper Belt Flyby https://nssdc.gsfc.n[...] 2015-12-23
[52] 웹사이트 Hayabusa 2 https://nssdc.gsfc.n[...] 2015-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