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내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내격은 핀란드어, 리투아니아어 등에서 사용되는 격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핀란드어에서는 접미사 '-hVn'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방언에 따라 'h'의 유무에 차이가 있다. 리투아니아어에서는 단수형은 'n', 복수형은 'sna'로 끝나며, 문어에서는 드물지만 구어에서 자주 사용된다.
핀란드어에서 향내격은 어미 '-hVn'을 추가하여 형성된다. 이때 'V'는 마지막 모음을 나타내며, 간단한 장모음이 생길 경우 'h'를 제거한다. 오스트로보트니아 방언에서는 'h'가 제거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1]
리투아니아어에서 향내격은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격으로, 현대 표준어에서는 덜 쓰이지만 구어체, 특히 특정 방언에서 흔히 사용된다. 단수 형태가 복수 형태보다 더 자주 사용되며, 책이나 신문 등에서도 나타난다. 대부분의 리투아니아어 명사는 향내격 어미를 가질 수 있다.
2. 핀란드어
2. 1. 핀란드어의 향내격 형성
핀란드어에서 향내격은 접미사 '-hVn'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V'는 단어의 마지막 모음과 같으며, 단순 장모음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h'를 제거한다. 예를 들어 'talo + Vn'은 장모음 'oo'와 함께 'taloon'이 된다. 하지만 'maa + hVn'은 h가 사라지지 않고 'maahan'이 된다.[1] 이러한 복잡한 방식은 이 접미사의 재구된 형태인 유성 경구개 마찰음으로 설명할 수 있다. 현대 핀란드어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고, h 또는 s로 변한다.[1] 오스트로보트니아 방언, 특히 남오스트로보트니아에서는 h가 제거되지 않으며, 'taloon' 대신 'talohon'과 같이 말한다. 핀란드 본토와 Kymenlaakso의 일부 방언에서도 비슷한 특징이 나타난다.[1]
몇몇 경우에는 '-seen'이 추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huone'(방)과 'Lontoo'(런던)에는 각각 'huoneeseen'과 'Lontooseen'과 같이 붙는다.[1]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의 다른 장소격은 다음과 같다.
2. 2. 다른 위치격과의 관계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에서 사용되는 다른 위치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 리투아니아어
20세기 초부터 대부분의 문법책과 교과서에서 표준 리투아니아어 격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오늘날에는 이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전치사 구문 į+대격이 더 자주 사용된다. 다니엘 클라인의 첫 번째 리투아니아어 문법책은 향내격과 į+대격을 모두 언급했지만, 향내격 사용을 "더 우아하다"고 칭했다. 이후, 빈카스 크레베-미츠케비치우스와 같은 작가들의 텍스트에 자주 등장했다.
표준어에는 vardan|바르단lt ("~을 위해" 또는 "~의 이름으로", 예를 들어, 정당 "Vardan Lietuvos", "리투아니아를 위하여")과 같은 특정 고정 구문이 향내격으로 사용된다.
3. 1. 리투아니아어 향내격의 특징
리투아니아어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향내격은 문어에서는 드물지만, 특히 여러 방언의 구어에서는 보편적이다. 단수 향내격은 복수 향내격보다 더 자주 쓰이며, 책, 신문 등에서 나타난다. 대개의 리투아니아어 명사는 향외격 조사를 취할 수 있는데, 이는 묘사적 관점에서 향내격이 여전히 리투아니아어의 격으로 취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20세기 초부터 이 격은 대개의 문법서와 교과서에 리투아니아어의 격으로 실려 있지 않았고, 전치격 구조 į+대격이 방향을 나타내는 데 더 많이 쓰인다. 옛 리투아니아어에서 이 격이 더 많이 쓰여서, 다니엘 클라인의 첫 리투아니아어 문법서에서는 향내격과 i-대격 형태가 둘 다 쓰이지만, 향내격이 더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에 향외격은 Dzūkija나 동 Aukštaitija에서 자란 빈카스 크레베-미츠케비치우스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자주 쓰였다.
리투아니아어의 향내격은 명사 부류에 따라 규칙적이지만 다른 접미사들이 붙는다. 단수 향내격 접미사는 ''n''로 끝나고, 복수 향내격 접미사는 ''sna''로 끝난다.
patraukti atsakomybėn|기소하다lt, dešinėn!|우회전lt과 같은 여러 관용표현에는 향내격이 여전히 쓰인다.
rowspan=2 | | 주격 | 향내격 | 의미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남성 | karaslt | karailt | karanlt | karuosnalt | 전쟁(들) |
lokyslt | lokiailt | lokinlt | lokiuosnalt | 곰(들) | |
akmuolt | akmenyslt | akmeninlt | akmenysnalt | 돌(들) | |
여성 | upėlt | upėslt | upėnlt | upėsnalt | 강(들) |
jūralt | jūroslt | jūronlt | jūrosnalt | 바다(들) | |
obelislt | obelyslt | obelinlt | obelysnalt | 사과 나무(들) |
3. 2. 향내격 어미
리투아니아어의 향내격은 명사 부류에 따라 규칙적이지만 다른 접미사가 붙는다. 단수 향내격 접미사는 ''n''로 끝나고, 복수 향내격 접미사는 ''sna''로 끝난다.patraukti atsakomybėn|파트라욱티 아차코미볜lt ("기소하다"), dešinėn!|데시넨lt ("우회전")과 같은 여러 관용표현에는 향내격이 여전히 쓰인다.
다음은 향내격 접미사의 예시이다.
주격 | 향내격 | 의미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karas|카라스lt | karai|카라이lt | karan|카란lt | karuosna|카루오스나lt | 전쟁(들) |
lokys|로키스lt | lokiai|로캬이lt | lokin|로킨lt | lokiuosna|로큐오스나lt | 곰(들) |
akmuo|아크무오lt | akmenys|아크메니스lt | akmenin|아크메닌lt | akmenysna|아크메니스나lt | 돌(들) |
upė|우페lt | upės|우페스lt | upėn|우펜lt | upėsna|우페스나lt | 강(들) |
jūra|유라lt | jūros|유로스lt | jūron|유론lt | jūrosna|유로스나lt | 바다(들) |
obelis|오벨리스lt | obelys|오벨리스lt | obelin|오벨린lt | obelysna|오벨리스나lt | 사과 나무(들) |
3. 3. 향내격 사용 예시
리투아니아어에서 향내격은 문어에서는 드물지만, 특히 여러 방언의 구어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단수 향내격은 복수 향내격보다 더 자주 쓰이며, 책, 신문 등에서 나타난다. 20세기 초부터 향내격은 대개의 문법서와 교과서에 리투아니아어의 격으로 실려 있지 않았고, 방향을 나타내는 데에는 전치사 구조 į+대격이 더 많이 쓰인다.향내격은 ''patraukti atsakomybėn''(patraukti atsakomybėnlt, "기소하다"), ''dešinėn!''(dešinėn!lt, "우회전")과 같은 여러 관용 표현에 여전히 쓰인다.
다음은 향내격 접미사의 예시이다.
rowspan=2 | | 주격 | 향내격 | 의미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남성 | karaslt | karailt | karanlt | karuosnalt | 전쟁(들) |
lokyslt | lokiailt | lokinlt | lokiuosnalt | 곰(들) | |
akmuolt | akmenyslt | akmeninlt | akmenysnalt | 돌(들) | |
여성 | upėlt | upėslt | upėnlt | upėsnalt | 강(들) |
jūralt | jūroslt | jūronlt | jūrosnalt | 바다(들) | |
obelislt | obelyslt | obelinlt | obelysnalt | 사과 나무(들) |
4. 한국어와의 관련성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 출력된 결과물이 없으므로, '향내격' 문서의 '한국어와의 관련성' 섹션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