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접격은 핀란드어, 헝가리어, 발트어파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격으로, 대상의 표면에 정지 상태, 소유, 도구적 사용, 시간, 공간적 근접성 등을 나타낸다. 핀란드어의 경우 -lla 또는 -llä 접미사를 사용하여 명사나 형용사에 붙여 표현하며, 헝가리어는 -nál/nél 접미사를 사용한다. 핀란드어는 6종류의 장소격을 가지며, 헝가리어는 10종류의 장소격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격 - 주격
주격은 문법에서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할 때 사용되는 격으로,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며 많은 언어에서 발견된다. - 격 - 여격
여격은 문법의 한 종류로, 간접 목적어, 소유, 방향 등을 표현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고, 주어의 감정, 능력, 경험 등을 나타내거나 윤리 여격 형태로 이해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근접격 | |
---|---|
기본 정보 |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
어파 | 핀우그리아어파 |
어군 | 발트핀어군 |
음운 정보 | |
음소 문자 | 로마자 |
문법 정보 | |
유형 | 교착어 |
격 | 주격 대격 소유격 분격 내재격 외재격 향외격 탈재격 접근격 도구격 공동격 원인격 |
태그 | |
한국어 품사 태그 | E EC ECP ETN ETD J JC JK JKC JKG JKO JKS JKV JX MAG MAJ MM MMD MMG MMV N NB NC NCG NCN NN NNG NNP NP NR VV VA VC VX VCP VCN XPN XSA XSN XSV XVA XVS |
언어별 명칭 | |
영어 | adessive case |
한국어 | 접근격, 닿음자리 |
일본어 | 接格 |
핀란드어 | adessiivi |
에스토니아어 | adessiiv |
헝가리어 | adessivus |
사용 언어 | |
사용 언어 |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
2. 핀란드어의 근접격
핀란드어의 근접격(adessive case)은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명사와 관련 형용사에 접미사 -lla|fin 또는 -llä|fin를 붙여 나타낸다.[6] 이 격은 어떤 것의 표면 위에 있음, 소유, 도구/수단, 시간, 공간적/시간적 근접성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용법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근접격과 유사한 격은 다른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리투아니아어[9], 레즈기아어[10], 훈지브어[11], 고대 및 현대 오세트어[12]와 같은 북동캅카스어족 언어들이 근접격을 가지고 있다. 헝가리어에는 10가지 장소격이 있으며, 그중 '곁에서'를 의미하는 접격(adessive)은 격어미 -nál|hun/-nél|hun을 사용한다.[5] 발트어파 언어 중 고대 리투아니아어 및 일부 방언에서는 처격 뒤에 후치사 -pi|lit를 붙여 이차적으로 발달한 접격이 존재하기도 했다.[7]
2. 1. 핀란드어 근접격의 용법
핀란드어의 근접격(adessive case)은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명사와 관련 형용사에 접미사 `-lla` 또는 `-llä`를 붙여 나타낸다.근접격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용법으로 사용된다.
- 위치 (표면 위 정지): 어떤 사물의 표면 위에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 `Kynä on pöydälläfin` - ''펜이 탁자 위에 있다.''
- 소유: 동사 `olla`('이다', '있다')와 함께 존재 구문에서 소유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영어의 'have' 동사에 해당하는 표현 방식이다.[6]
- `Meillä on koirafin` - ''우리는 개를 가지고 있다.'' (직역: '우리에게 개가 있다')
- 도구/수단: 어떤 행위를 할 때 사용되는 도구나 수단을 나타낸다.
- `Hän meni Helsinkiin junallafin` - ''그는 기차로 헬싱키에 갔다.''
- `Hän osti sen eurollafin` - ''그는 그것을 1EUR에 샀다.''
- 시간: 특정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에 사용된다.
- `aamullafin` - ''아침에''
- `keväälläfin` - ''봄에'' 또는 ''봄 동안''
- 근접성 (공간/시간): 특정 장소나 시간대에 가까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내격(inessive case)이 더 구체적인 내부 위치를 나타내는 것과 구별된다.
- `poikani on koulullafin` - ''내 아들은 학교에 있다.'' (학교 건물 근처나 부지 내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비교) 내격: `poikani on koulussafin` - ''내 아들은 학교 안에 있다.'' (학교 건물 내부에 있음을 명확히 나타낸다.)
- `hän on ruokatunnillafin` - ''그는 점심시간에 있다.'' (직역: '점심시간에')
- 분위기: 사람의 기분이나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 `Janne oli huonolla tuulellafin` - ''Janne는 기분이 좋지 않았다.''
3. 헝가리어의 근접격
헝가리어에는 장소격이 10종류가 있으며, 그 중 정지적인 격은 "……안에서"(내격), "……위에서"(상격), "……곁에서"(접격)의 3종류를 구별한다.[5] 접격은 격어미 -nál/nél (모음조화)를 붙여 나타내며, 예를 들어 hajó(배)에 대해 hajónál(배 곁에서)과 같이 된다.
4. 기타 언어의 근접격
근접격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격은 다른 언어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랄어족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고대 리투아니아어[9][7], 북동캅카스어족에 속하는 레즈기아어[10][2]와 훈지브어[11][2], 그리고 고대 및 현대의 오세트어[12][3][4] 등이 이에 해당한다.
헝가리어에는 총 10종류의 장소격이 있는데, 이 중 정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격은 '…안에서'를 의미하는 내격, '…위에서'를 의미하는 상격, 그리고 '…곁에서'를 의미하는 접격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5] 헝가리어의 접격은 모음조화에 따라 격어미 '-nál' 또는 '-nél'을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배'를 뜻하는 hajó에 접격 어미를 붙이면 '배 곁에서'라는 의미의 'hajónál'이 된다.[5]
핀란드어에는 6종류의 장소격이 있으며, 정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격으로는 내부 장소를 나타내는 내격과 외부 장소를 나타내는 접격을 구별한다. 핀란드어의 접격은 격어미 '-llä' 또는 '-ll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공간적으로는 pöydällä(테이블 위에), seinällä(벽에)처럼 어떤 대상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6] 그 외에도 동작이 일어난 시간이나 사용된 도구를 나타내거나, 소유를 표현하는 구문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isällä on suuri saari'는 "아버지에게는 큰 섬이 있다" 즉, "아버지는 큰 섬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6]
발트어파 언어 중 일부에서도 핀란드어와 유사하게 장소격을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고대 리투아니아어 및 일부 방언에서는 처격 형태 뒤에 후치사 '-pi'를 덧붙여 이차적으로 발달한 접격이 존재했다.[7]
참조
[1]
문장
[2]
서적
A grammar of Lezgian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993
[3]
서적
A Grammar of Hunzib (with Texts and Lexicon)
https://books.google[...]
Lincom Europa, München
1995
[4]
논문
On the Historical Phonology of Ossetic
https://www.jstor.or[...]
2003-01-03
[5]
서적
1987
[6]
서적
1987
[7]
서적
2001
[8]
문장
[9]
문장
[10]
서적
A grammar of Lezgian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993
[11]
서적
A Grammar of Hunzib (with Texts and Lexicon)
https://books.google[...]
Lincom Europa, München
1995
[12]
논문
On the Historical Phonology of Ossetic
https://www.jstor.or[...]
2003-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