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싱키 항만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싱키 항만 철도는 1891년에 건설되어 헬싱키의 항만과 도시를 연결하는 화물 운송을 담당했다. 1893년 에텔라사타마로 가는 노선이 개통되었고, 이후 카타야노카까지 연장되었다. 주요 사용 목적은 화물 운송이었으며, 공식적인 역이나 정류장은 없었다. 1972년 에텔라사타마 지선 폐쇄를 시작으로, 1980년대에는 카타야노카, 1990년대에는 살미사리 및 조선소 지선이 폐쇄되었다. 2009년에는 란시사타마의 항만 시설이 부오사리 항으로 이전되면서 남은 선로가 철거되었고, 철도 부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인 바나(Baana)로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싱키의 역사 - 비아포리 반란
    1906년 핀란드 스베아보리 요새에서 러시아 군인들이 열악한 환경과 수당 미지급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비아포리 반란은 볼셰비키 지지 하급 장교들의 주도와 핀란드 노동군과의 연계 시도에도 불구하고 헬싱키와 발트 함대의 지원 실패 및 핀란드 노동군의 역량 부족으로 60시간 만에 진압되었으며, 핀란드 독립 운동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 핀란드의 철도 노선 - 헬싱키-리히매키선
    헬싱키-리히매키선은 헬싱키에서 출발하여 케라바를 거쳐 리히매키로 이어지는 핀란드 장거리 열차의 핵심 노선으로, 주요 장거리 열차와 헬싱키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
  • 폐지된 철도 노선 - 산림철도
    산림철도는 벌목된 통나무 운반을 위해 숲 속에 건설된 철도로, 험한 산악 지형에 적합하도록 협궤 철도와 특수한 기관차가 사용되었으며, 20세기 후반부터 쇠퇴하여 일부는 박물관이나 관광 시설로 활용된다.
  • 폐지된 철도 노선 - 시드니 모노레일
    시드니 모노레일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달링 하버 재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88년에 개통되었으며, 시내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2013년 운행이 중단되고 철거되었다.
헬싱키 항만철도
노선 정보
노선 종류화물선
기점헬싱키 중앙역
종점헬싱키 서항 및 한사ari
전체 길이약 7km
폐지 구간약 3km (베사리 항구)
역사
개통1901년
폐쇄2017년 (여객 운송)
운영
운영 주체VR 그룹

2. 초기 역사 및 확장

헬싱키 항만 철도 건설에 대한 첫 구상은 1870년대에 시작되었으나, 실제 건설은 1891년에 착수되었다. 에텔라사타마까지의 첫 운행은 1893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1894년 4월에는 마켓 광장 인근까지, 1895년 9월에는 카타야노카까지 노선이 확장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 총 길이는 5.49km에 달했으며, 핀란드 최초의 철도 터널(카이보푸이스토 터널)과 콘크리트 다리(만네르헤임티에 아래) 같은 주요 시설을 포함했다. 초기 노선은 헬싱키 중앙역에서 시작하여 루오홀라티, 히에탈라티, 메리사타마를 거쳐 카타야노카까지 이어졌으며, 여러 항구 지역에 측선이 설치되었다. 또한, 선박 통행을 위해 회전교가 설치되기도 했다.

주된 용도는 화물 운송이었으며, 여객 운송은 필요에 따라 별도로 이루어졌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헬싱키 항만 철도 건설에 대한 첫 계획은 1870년에 세워졌으나, 실제 건설은 1891년에 시작되었다. 에텔라사타마로 가는 첫 열차는 1893년 12월에 운행되었으며, 다음 해 봄인 1894년 4월 8일에는 마켓 광장 근처의 구 시장 홀까지 노선이 공식 개통되었다. 카타야노카까지의 연장은 1895년 9월에 완료되었다.

개통 당시 철도의 총 길이는 5.49km였으며, 이 중 4.292km는 측선이었다. 이 노선에는 핀란드 최초의 철도 터널인 74m 길이의 카이보푸이스토 터널과 핀란드 최초의 콘크리트 다리인 만네르헤임티에 아래 다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1930년 철도와 측선의 모습 (빨간색으로 표시)


원래 철도 노선은 헬싱키 중앙역의 철도 기지와 VR 창고에서 시작하여, 당시 헤이킨카투(겨울 전쟁 이후 만네르헤임티에로 개칭) 아래를 지나 절개지를 통해 루오홀라티로 이어졌다. 루오홀라티에서는 히에탈라티를 거쳐 텔라카투 중간에 있는 메리사타마(울란린나)로 갔고, 거기서 다시 카이보푸이스토 가장자리를 따라 카타야노카 끝까지 연결되었다. 당시 노선 길이는 약 7km였다.

측선이 설치된 곳은 루오홀라티, 렌시사타마, 메리사타마, 에텔라사타마, 카타야노카 등 총 5곳이었다. 이 중 카타야노카, 에텔라사타마, 메리사타마의 측선은 노선 건설 당시 함께 만들어졌으며, 루오홀라티와 렌시사타마 측선은 이후 렌시사타마가 개발되면서 추가로 건설되었다.

철도에는 올림피아터미날리 남쪽에 터널이 있었고, 마켓 광장에는 콜레라 분지와 카타야노카 운하 위에 두 개의 회전교가 있었으며, 히에탈라티에도 회전교가 하나 있었다. 노선 시작 지점부터 약 1.5km 구간은 절개지 안으로 운행했기 때문에 건널목이 없었지만, 루오홀라티와 카타야노카 사이 구간에는 여러 개의 건널목이 존재했다.

2. 2. 초기 노선 개통 (1893-1895)



헬싱키 항만 철도 건설은 1891년에 시작되었으나, 철도에 대한 첫 계획은 1870년에 이미 세워졌다. 에텔라사타마로 가는 첫 열차는 1893년 12월에 운행되었고, 이듬해 봄인 1894년 4월 8일에 노선이 공식 개통되어 마켓 광장 인근의 구 시장 홀까지 도달했다. 카타야노카까지의 연장 공사는 1895년 9월에 완료되었다.

개통된 철도의 길이는 5.49km였으며, 4.292km의 측선이 포함되었다. 이 철도에는 카이보푸이스토에 핀란드 최초의 74m 길이 철도 터널과 만네르헤임티에 아래를 지나는 다리가 건설되었는데, 이 다리는 핀란드 최초의 콘크리트 다리였다.

초기 노선은 헬싱키 철도 기지와 VR 창고에서 시작하여 헤이킨카투(겨울 전쟁 이후 만네르헤임티에로 개칭) 아래를 지나 절개지를 통해 루오홀라티로 이어졌다. 루오홀라티에서 철도는 히에탈라티를 거쳐 텔라카투 중간의 메리사타마(울란린나)로 갔고, 거기서부터 카이보푸이스토 가장자리를 따라 카타야노카 끝까지 이어졌다. 노선 건설 당시 카타야노카, 에텔라사타마, 메리사타마에 측선이 건설되었다. 철도에는 올림피아터미날리 남쪽에 터널이 있었고, 마켓 광장에는 콜레라 분지와 카타야노카 운하 위에 두 개의 회전교가 설치되었으며, 히에탈라티에도 회전교가 하나 있었다. 노선 시작 지점부터 약 1.5km 구간은 절개지 안으로 운행하여 건널목이 없었지만, 루오홀라티와 카타야노카 사이에는 여러 개의 건널목이 있었다.

2. 3. 초기 시설 및 특징



2007년 마리아 병원 인근의 옛 철도 기지 모습 (남쪽 방향)


헬싱키 항만 철도의 건설은 1891년에 시작되었으며, 에텔라사타마로 가는 첫 열차는 1893년 12월에 운행되었다. 노선은 1894년 4월 8일에 공식 개통되어 마켓 광장 근처의 구 시장 홀까지 이어졌다. 카타야노카까지의 연장은 1895년 9월에 완료되었다. 개통 당시 철도의 총 길이는 5.49km였으며, 4.292km의 측선이 포함되었다.

이 철도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초기 시설이 있었다. 카이보푸이스토에는 핀란드 최초의 74m 길이 철도 터널이 건설되었고, 만네르헤임티에 (당시 헤이킨카투, 겨울 전쟁 이후 개칭) 아래에는 핀란드 최초의 콘크리트 다리가 놓였다.

초기 노선은 헬싱키 철도 기지와 VR 창고에서 시작하여 만네르헤임티에 아래를 지나 절개지를 통해 루오홀라티로 이어졌다. 처음 1.5km 구간은 절개지 안으로 건설되어 건널목이 없었다. 루오홀라티에서 철도는 히에탈라티를 거쳐 텔라카투 중간의 메리사타마(울란린나)로 이어졌고, 카이보푸이스토 가장자리를 따라 카타야노카 끝까지 운행되었다. 당시 총 길이는 약 7km였다.

측선은 총 5곳에 설치되었다.

측선 설치 위치비고
루오홀라티렌시사타마 개발과 함께 나중에 건설
렌시사타마렌시사타마 개발과 함께 나중에 건설
메리사타마노선 건설 시 동시 건설
에텔라사타마노선 건설 시 동시 건설
카타야노카노선 건설 시 동시 건설



또한, 히에탈라티, 마켓 광장의 콜레라 분지, 카타야노카 운하에는 회전교가 설치되어 선박 통행을 가능하게 했다.

루오홀라티와 카타야노카 사이 구간에는 여러 개의 건널목이 존재했는데, 특히 카이보푸이스토에 있던 보행자 건널목이 유명했다. 1913년 5월, 이 건널목에서 어린이 2명이 열차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1980년대까지) 누군가가 사고 현장의 침목 사이 자갈에 십자가를 만들어 놓았다고 전해지며, 이 십자가 사진이 다수 남아있다. 십자가를 만든 이가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

디젤 엔진이 항만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2007년 해체 전 메리사타마의 측선 모습

2. 4. 운영 방식

헬싱키 항만철도는 주로 화물 운송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공식적인 역이나 정류장은 없었다. 여객 운송은 필요할 때마다 별도의 열차 발송자를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합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합의 장소는 주로 카타야노카였다.

1950년대에는 무거운 석탄 화물을 실은 주간 마지막 열차가 얘트카사리에서 파실라까지 증기 기관차 Vr3 2대에 의해 견인되기도 했다. 이 열차 운행 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에두스쿤타탈로(핀란드 국회 의사당)의 창문이 흔들릴 정도였으며, 두 개의 평행한 라우티에티엔카투(철도 거리) 사이의 절개지는 검은 석탄 연기로 가득 찼다고 전해진다.

1970년대 중반까지도 항만 감독 기관차가 마켓 광장 한가운데서 카타야노카에서 온 화물차를 운반하거나, 마켓 광장의 회전교 위로 길게 늘어선 화물차를 밀고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후에는 디젤 기관차 등이 화물 수송에 투입되었다.

3. 에텔라사타마 지선 폐쇄

에텔라사타마가 여객 수송 중심으로 기능이 바뀌면서 항만 철도 시설은 점차 축소되었다. 1970년대부터 크레인과 철로가 해체되기 시작했으며, 한때 여객 열차 운행 계획도 있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카타야노카 방면 화물 수송은 1980년에 완전히 중단되었고, 이후 여러 단계에 걸쳐 철로가 철거되었다. 카타야노카 운하의 회전교는 보행자용 다리로 바뀌었으며, 카이보푸이스토 인근 철도도 사라졌다. 현재는 터널 일부와 마켓 광장의 짧은 선로, 그리고 몇몇 기념 시설 등이 남아 과거 항만철도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3. 1. 배경

카타야노카로 가는 화물 수송에 사용되었던 버려진 철로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에텔라사타마가 여객 수송 전용으로 지정된 후, 1972년에 항만 크레인과 철로가 해체되었다. 여객선 ''핀젯''이 건조되었을 때, 투르쿠와 유사하게 항만 철도를 여객용으로 활용하려는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77년 카타야노카의 핀젯 터미널 앞에서 노선 일부가 먼저 해체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카타야노카로 가는 화물 수송은 1980년 5월 1일에 최종적으로 종료되었다.

에텔라사타마 지선은 메리사타마 철도 조차장의 동쪽 끝에 정지 표지판이 설치되면서 폐쇄되었지만, 에텔라사타마로 이어지는 철로는 수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채 방치되었다. 카타야노카로 가는 철로는 1985년까지 해체되었고, 1989년에는 카타야노카 운하를 건너는 회전교가 보행자 다리로 교체되었다. 같은 시기에 카이보푸이스토 가장자리에 있던 철도 구간도 해체되었다. 철도 터널 자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메리사타마 쪽 입구는 메워진 상태이다. 카타야노카를 마지막으로 운행한 여객 열차는 특별 요청에 따라 운행된 Dm9 열차였다. 메리사타마부터 철로가 대부분 해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철로 구간이 마켓 광장에 남아 있다.

과거 철도를 기념하는 시설로는 기념 명판이 부착된 카타야노카의 급수 크레인과 보존된 콜레라 분지의 회전교가 있다. 이 회전교는 겨울에는 폐쇄되고, 얼음이 없는 계절에는 항상 열려 있다.

3. 2. 폐쇄 과정



에텔라사타마가 여객 수송 전용으로 지정된 후, 1972년에 항만 크레인과 철로가 해체되었다. ''핀젯''이 건조되었을 때, 투르쿠와 유사한 방식으로 항만 철도를 여객용으로 사용할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1977년에 카타야노카의 핀젯 터미널 앞에서 노선의 첫 부분이 해체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카타야노카로 가는 화물 수송은 1980년 5월 1일에 최종적으로 종료되었다.

에텔라사타마 지선은 메리사타마 철도 야드의 동쪽 끝에 정지 표지판을 설치하여 폐쇄되었지만, 에텔라사타마로 이어지는 철로는 수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카타야노카로 가는 철로는 1985년까지 해체되었고, 1989년에는 카타야노카 운하를 건너는 회전교가 보행자 다리로 교체되었다. 동시에 카이보푸이스토 가장자리에 있던 철도 부분도 해체되었다. 터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메리사타마 쪽 끝은 메워졌다. 카타야노카를 방문한 마지막 여객 열차는 요청에 따라 운행된 Dm9 열차였다. 메리사타마부터 철로가 해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철로가 마켓 광장에 남아 있다.

철도를 기념하는 것으로는 기념 명판이 부착된 카타야노카의 급수 크레인과 보존된 콜레라 분지의 회전교가 있다. 회전교는 겨울에는 폐쇄되고, 얼음이 없는 계절에는 항상 개방된다.

3. 3. 폐쇄 후 잔존 시설



헬싱키 항만철도 폐쇄 이후에도 일부 시설은 남아있다. 카타야노카로 이어지던 터널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메리사타마 쪽 터널 입구는 메워졌다. 카타야노카에는 기념 명판이 부착된 급수 크레인이 철도를 기념하며 보존되어 있다. 콜레라 분지의 회전교 역시 보존되어 있는데, 겨울철에는 폐쇄되지만 얼음이 없는 계절에는 개방된다. 또한, 마켓 광장에는 과거 화물 수송에 사용되었던 짧은 철로 구간이 남아있다.

4. 살미사리 및 조선소 지선 폐쇄

헬싱키 항만철도의 일부 지선들은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걸쳐 폐쇄되었다. 살미사리로 이어지던 지선과 얘트캐사리 동쪽 가장자리의 항만 선로는 1990년대에 철거되었다. 루오홀라티에서 히에탈라티 조선소로 이어지던 지선은 2005년까지 사용되다가 2008년에 최종적으로 철거되었다.

4. 1. 살미사리 지선

1925년에는 루오홀라티에서 살미사리까지 이어지는 측선이 건설되었다. 이 선로는 알코 공장과 노키아 케이블 공장의 화물 운송에 주로 사용되었다. 해당 측선은 1990년부터 1993년 사이에 철거되었다.

4. 2. 조선소 지선

루오홀라티에서 메리사타마 측선을 거쳐 히에탈라티 조선소로 이어지는 지선은 2005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선로는 2008년 7월에 철거되었으나, 히에탈라티의 회전교는 보존되었다. 현재 히에탈라티 분지에는 소형 선박을 위한 항구가 운영되고 있으며, 얼음이 얼지 않는 시기 동안에는 항상 개방된다.

5. 항만 철도 전체 폐쇄

헬싱키 항만 철도는 마지막 운행 구간이었던 란시사타마 노선마저 부오사리 항으로 항만 기능이 이전됨에 따라 2009년 5월을 기점으로 완전히 폐쇄되었다. 이후 철거된 철도 부지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계획이 논의되었으며, 일부는 실제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5. 1. 배경

헬싱키 항만철도는 최근 몇 년 동안 란시사타마 항만만을 운행했으며, 주로 컨테이너 운송을 담당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마리아 병원 근처의 측선 수는 줄어들었고, 마지막 몇 년 동안에는 하나의 통과 선로만 사용되었다. 란시사타마의 항만 기능이 부오사리 항으로 이전되면서, 2009년 5월 선로의 남은 부분이 철거되었다.

철거된 구간 중 포흐요이넨 라우타티엔카투와 에텔라이넨 라우타티엔카투(북부 철도 거리와 남부 철도 거리) 사이의 깊은 절개지에 대해서는 여러 활용 계획이 논의되었다. 차량 통행을 위한 헬싱키 센터 터널 계획에 포함되었으나 터널 건설은 연기되었다. 그 외에도 자전거 및 보행자 통로 또는 경전철 노선 건설 등이 제안되었다.

한편, 조선소 분기점에서 간선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에이라 노선은 전체 노선이 철거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히에탈라티에서 에이란란타까지의 철도 경로는 대부분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로 전환되었으며, 메리사타마의 이전 측선 부지는 공원으로 바뀌었다. 이 부지는 마지막 철도가 철거되기 전까지 보트 겨울 보관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5. 2. 폐쇄 과정

지난 몇 년 동안 항만 철도는 란시사타마fi만을 운행했으며, 주로 컨테이너 운송을 담당했다. 마리아 병원 근처의 측선 수는 줄어들었고, 마지막 몇 년 동안에는 하나의 통과 선로만 사용되었다. 항만 시설이 란시사타마fi에서 부오사리 항fi으로 이전된 후, 선로의 남은 부분은 2009년 5월에 철거되었다.

Pohjoinen Rautatienkatu|포흐요이넨 라우타티엔카투fi(북부 철도 거리)와 Eteläinen Rautatienkatu|에텔라이넨 라우타티엔카투fi(남부 철도 거리) 사이의 깊은 절개지에 대한 미래 사용 계획이 많이 있었다. 절개지는 차량 통행을 위한 헬싱키 센터 터널 계획에 포함되었지만, 터널 건설은 연기되었다. 다른 계획으로는 자전거 및 보행자 통로 또는 경전철 노선 건설 등이 있었다.

조선소 분기점에서 간선 분기점까지의 에이라 노선은 전체 노선이 철거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Hietalahti|히에탈라티fi에서 에이란란타fi까지의 철도 경로는 대부분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으로 전환되었으며, Merisatama|메리사타마fi의 이전 측선 부지는 공원으로 바뀌었다. 마지막 철도가 철거되기 전에는 보트 겨울 보관소로 사용되었다.

5. 3. 폐쇄 후 부지 활용 계획

포흐요이넨 라우타티엔카투(Pohjoinen Rautatienkatu)와 에텔라이넨 라우타티엔카투(Eteläinen Rautatienkatu) 사이의 깊은 절개지 활용 방안으로 여러 계획이 있었다. 차량 통행을 위한 헬싱키 센터 터널 계획에 이 부지가 포함되었지만, 터널 건설은 연기되었다. 다른 대안으로는 자전거 및 보행자 통로 또는 경전철 노선 건설이 검토되었다.

한편, 히에탈라티에서 에이란란타까지의 철도 경로는 대부분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로 전환되었다. 메리사타마의 이전 측선 부지는 공원으로 바뀌었으며, 철거 전에는 보트 겨울 보관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5. 4. 에이란란타(Eiranranta) 노선

조선소 분기점에서 간선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에이라 노선은 전체 항만 철도가 철거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이후 히에탈라티에서 에이란란타까지의 철도 경로는 대부분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로 바뀌었다. 메리사타마에 있던 이전 측선 부지는 공원으로 조성되었는데, 철도가 철거되기 전까지는 보트의 겨울철 보관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6. 바나(Baana)

헬싱키 항만 철도 부지는 여러 논의 끝에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로 변경되었으며, 바나라는 이름으로 2012년 6월 12일 헬싱키 데이에 개통되었다.

6. 1. 개요

헬싱키 항만 철도 부지를 활용하는 여러 계획 중, 최종적으로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를 건설하는 안이 채택되었다. 이 부지를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로 변경하는 작업에는 수년이 소요되었다. 새로운 도로의 이름인 '바나'는 이름 공모전을 통해 정해졌다. '바나'는 스웨덴어 banasv독일어 Bahnde에서 유래한 핀란드어 헬싱키 슬랭으로 '철도'를 의미한다. 바나는 2012년 6월 12일 헬싱키 데이에 맞춰 개통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6. 2. 명칭

이 노선의 이름인 바나는 이름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다. '바나'(banaswe, Bahndeu에서 유래)는 핀란드 헬싱키 슬랭으로 '철도'를 의미한다. 바나는 2012년 6월 12일 헬싱키 데이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6. 3. 개통

기존 철도 부지를 활용하는 세 가지 계획 중, 최종적으로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 도로를 만들기로 결정되었다. 이 부지를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로 바꾸는 데는 여러 해가 걸렸다. 새로운 도로의 이름은 공모전을 통해 '바나'(Baana|fi)로 정해졌다. '바나'는 스웨덴어 'bana'와 독일어 'Bahn'에서 유래한 헬싱키 슬랭으로 '철도'를 의미한다. 바나는 2012년 6월 12일 헬싱키 데이에 맞춰 일반 시민에게 개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Vailla selitystä: Kuka piirsi ristit Kaivopuiston radalle? http://www.iltasanom[...]
[2] 웹사이트 Baana avataan pyörille Helsinki-päivänä http://www.hs.fi/ka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