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림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림철도는 벌목된 통나무를 운반하기 위해 숲 속에 건설된 철도를 의미한다. 18세기부터 말과 나무 레일을 이용한 궤도가 사용되었지만, 증기 기관차와 철제 레일의 발명으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다. 험한 산악 지형에 적합하도록 협궤 철도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셰이 기관차와 같은 특수한 기어식 기관차가 개발되기도 했다. 20세기 후반부터 도로 운송에 밀려 쇠퇴하여 대부분 사라졌으나, 일부는 박물관 철도나 관광 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자원 조달을 위해 다수 건설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폐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철도 노선 - 시드니 모노레일
    시드니 모노레일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달링 하버 재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1988년에 개통되었으며, 시내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2013년 운행이 중단되고 철거되었다.
  • 폐지된 철도 노선 - 센토사 모노레일
    싱가포르 센토사 섬에서 운영되었던 센토사 모노레일은 섬 내부 교통을 담당했으나, 센토사 익스프레스 개통 후 2005년에 폐쇄되었다.
  • 임업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 임업 - 벌채
    벌채는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여 나무를 베어내는 행위로, 산업적 방식과 원목 처리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산림철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임업 철도
다른 이름산림 철도
삼림 철도
벌목 철도
종류철도
산업 철도
역사
목적삼림에서 벌채된 목재의 수송
광산에서 채굴한 광물의 수송
농장에서 수확한 농산물의 수송
여객 수송
발달 배경수력이나 축력으로 작동하는 임업용 철도, 목재 궤도
대규모 벌목, 광물 채굴, 농업 생산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 발달
등장 시기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주요 사용 지역유럽
북미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특징좁은 궤간
경사진 지형을 따라 설치
험준한 지형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공법 사용
가벼운 철도 차량 사용
쇠퇴 원인자동차 및 트럭 등 새로운 운송 수단의 발달
도로망 확장
임업 및 광업의 쇠퇴
구조 및 운행
궤간좁은 궤간 (600mm ~ 1067mm)
선로간이식 선로
침목 위에 레일을 직접 설치
구동 방식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동물
인력
차량화차 (목재, 광물, 농산물 운반)
객차 (여객 운송)
보존 및 활용
보존역사적 가치 인정
박물관에 전시
관광 자원으로 활용
재활용레저 철도
관광 철도
테마파크 운영
주요 국가별 임업 철도
독일다양한 협궤 임업 철도 운영
일부 노선은 관광용으로 활용
오스트리아산악 지형에 특화된 임업 철도 발달
일부 노선은 관광 노선으로 운영
스위스산악 지형에 특화된 임업 철도 발달
일부 노선은 관광 노선으로 운영
일본목재 수송을 위한 삼림 철도 발달
폐선된 노선이 많음
대한민국일제강점기 벌목을 위해 산림 철도 건설
광산 철도와 통합 운행되기도 함
폐선된 노선이 많음

2. 역사

철도가 발명되기 전, 통나무는 강을 따라 운반되었으나 목재 손상 및 유실 문제가 잦았고, 산악 지형에서는 강 이용이 어려웠다.[1]

18세기부터 말과 나무 레일을 이용한 궤도(Wagonway)가 사용되었고, 증기 기관차와 철제 레일 발명으로 산림 철도가 본격화되었다. 숲 속 험한 지형에는 공간 절약, 건설 용이성, 급커브 설치가 가능한 협궤 철도가 선호되었다. 그러나 미국 북서부처럼 넓은 숲이나 큰 나무가 많은 곳에서는 표준궤 산림 철도도 건설되었다. 셰이, 클라이맥스 등 특수 기어식 기관차는 거친 선로에서 높은 견인력을 위해 개발되었다.[1]

철도 설치가 어렵거나 임시적인 경우, 통나무를 박아 폴로드를 만들기도 했다. 19세기 말 미국 남동부에서는 최대 약 32.19km 폴로드에 특수 증기 기관차가 사용되었다.[1]

증기 외 디젤, 가솔린 기관차가 동물 운송을 대체했고, 중력 이용 노선도 있었다. 목재 차량은 중력으로 내리막길을, 빈 차량은 말을 이용해 언덕 위로 이동했다.[1]

20세기 후반, 산림 철도는 도로 운송에 밀려 쇠퇴, 1960년대 말 서유럽에서 거의 사라졌다.[1] 동유럽, 러시아 등은 더 오래 생존했다. 현재는 대부분 폐선, 일부는 박물관 철도나 관광용으로 활용된다.

아시아,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산림 철도 역사도 유럽과 비슷, 1960년대 대부분 자동차 운송으로 전환되거나 폐쇄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에는 이전 노선 기관차 등이 남아있다.

2. 1. 초기 역사

철도가 발명되기 전에는 통나무를 강을 따라 운반했지만, 목재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문제가 많았고, 산악 지형에서는 강을 이용하기 어려웠다.[1]

18세기부터 말과 나무 레일을 이용한 궤도(Wagonway)가 사용되었으나, 증기 기관차와 철제 레일의 발명으로 산림 철도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숲 속의 험한 지형 때문에 공간을 덜 차지하고, 건설이 용이하며, 급커브를 설치할 수 있는 협궤 철도가 선호되었다. 그러나 미국 북서부처럼 숲이 넓거나 큰 나무가 많은 곳에서는 표준궤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산림 철도가 건설되기도 했다. 셰이나 클라이맥스와 같은 특수한 기어식 기관차는 거친 선로에서 높은 견인력을 발휘하도록 개발되었다.[1]

미국 산림 철도(해버 스프링스 철도(Harbor Springs Railway))의 셰이 기관차


케멘체 산림 박물관 철도(Kemence Forest Museum Railway)의 관광 열차와 협궤 박물관


철도 설치가 어렵거나 임시적인 경우에는 통나무를 땅에 박아 폴로드를 만들기도 했다. 폴로드는 규모가 클 수 있었으며, 19세기 말 미국 남동부에서는 최대 약 32.19km에 달하는 폴로드에서 특수 제작된 증기 기관차가 사용되었다.[1]

폴로드 증기 기관차 ''Perdido''


증기 동력 외에도 디젤 및 가솔린 기관차가 사용되어 동물 운송을 대체했다. 중력만을 이용하는 노선도 있었는데, 목재를 실은 차량이 중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오고, 빈 차량은 말을 이용해 다시 언덕 위로 올라갔다.[1]

2. 2. 한국의 산림철도

일제강점기에 자원 수탈을 목적으로 많은 산림철도가 건설되었다. 주로 협궤(762mm)를 사용하였으며, 영림서가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였다. 1960년대까지 국산 목재를 주로 사용하던 시기에는 목재 운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었다.[12]

1970년대 이후 외국산 목재 수입이 증가하고 자원 고갈, 자동차 발달 및 임도 정비 등으로 인해 폐선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1975년 기소 삼림철도(한국 내 마지막)가 폐선되면서, 삭도, 트럭, 포워더, 헬리콥터 등이 목재 운반을 대체하게 되었다. 현재는 모두 폐선되어 흔적만 일부 남아있다.

  • 가곡천 산림철도: 삼척 가곡천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금강송 벌목 및 반출이 목적이었다.[12]
  • 마읍천 산림철도: 삼척 마읍천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동해중부선과 입체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 1951년 8월 29일: 홋카이도 산림 관리국 이와미자와 영림서의 목재 운반 열차가 이쿠스프베쓰 역 인근 다리에서 탈선하여 7명이 사망하고 14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였다.[11]

2. 3. 일본의 산림철도

메이지 시대 후반, 일본은 서구 열강에 맞서기 위해 부국강병과 척산흥업에 힘썼고, 이에 따라 국산 목재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전통적인 뗏목을 이용한 목재 운송은 분실과 사고 위험이 커서 안정적인 물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전국적으로 삼림철도 건설이 추진되었다. 또한, 수력발전을 위한 댐 건설로 인해 수상 운송이 불가능해지면서 전력회사 주도로 삼림철도가 건설되기도 했다.

일본 삼림철도의 역사는 1909년 12월 20일 쓰가루 삼림철도 개통으로 시작된다. 이후 나가노현의 기소 삼림철도, 고치현의 우오리아세 삼림철도 등 전국 각지의 임산지에 다양한 삼림철도가 건설되었다. 당시 일본의 일부였던 타이완에도 알리산 삼림철도 등이 건설되었다.

대부분의 삼림철도는 762mm 궤간(협궤)을 사용했다. 이는 영림서가 762mm를 표준으로 정하고, 예외적으로 610mm 궤간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508mm 궤간은 소규모 노선에서도 채택되지 않았는데, 이는 운재대차와 기관차의 호환성, 목재 운반 시 전복 방지 등의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1960년대까지 일본은 국산 목재를 중심으로 많은 양의 목재를 생산했다. 그러나 열악한 임도망과 성능이 낮은 트럭 등으로 인해 철도가 주요 운반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미야자키현에는 당시 일본국유철도의 영업 거리를 넘는 길이의 삼림철도가 존재하기도 했다.

1970년대 들어 외국산 목재 수입이 본격화되면서 채산성이 악화되고 자원 고갈이 진행되자, 삼림철도는 급속히 쇠퇴했다. 자동차 발달과 임도 정비도 폐선에 영향을 미쳤다. 1975년 본토 마지막 기소 삼림철도가 폐선되면서 삼림철도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후 집재·운재 방법으로는 험준한 지형을 중심으로 삭도를 이용한 가선 집재가 사용되었고, 도로망 정비에 따라 트럭과 포워더(운재용 고성능 임업 기계)를 이용한 반출이 널리 사용되었다.[10] 부가가치가 높은 목재는 헬리콥터를 이용해 반출하기도 했다.

21세기에도 전국의 많은 곳에 삼림철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일부는 도로나 산책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임업으로 번성했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광과 차량 보존을 통해 지역 발전을 꾀하고 있다.

현재도 운행 중인 삼림철도는 다음과 같다.

  • 안방 삼림궤도(安房森林軌道)(가고시마현(鹿児島県)쿠마게군(熊毛郡)(가고시마현)야쿠시마정(屋久島町)): 발전소 정비와 야쿠스기(屋久杉) 매몰목 운반, 관광 시설 물자 수송 등에 사용된다.
  • 교토대학 연습림 궤도(京都大学演習林軌道)(교토부(京都府)): 매우 불규칙적으로 운행된다.


동태 보존되고 있는 삼림철도는 다음과 같다.

  • 마무로가와 온천 우메사토엔(야마가타현 마무로가와정 2014년은 4월 29일부터 토, 일, 공휴일에 운행. 평일은 10명 이상 예약 시 운행)
  • 마루세부 삼림공원 이코이노모리(홋카이도 엔가루정 마루세부) - 공원 내에 무리이 삼림철도의 노반을 일부 사용한 총 길이 2km의 삼림철도 규격의 궤도를 설치.
  • 마쓰바라 스포츠 공원(나가노현 오타키촌)
  • 아카자와 자연휴양림(나가노현 아게마쓰정)
  • 나시모토 테이샤바(나가노현 이이다시)
  • 마루야마 공원(고치현 마지촌)


과거 일본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삼림철도가 존재했다.

  • 홋카이도
  • * 하보로 삼림철도
  • * 온네유 삼림철도
  • * 오키토 삼림철도
  • * 아시키시 삼림철도
  • * 도만 삼림철도
  • * 토마베쓰 삼림철도
  • * 쓰베쓰 삼림철도
  • * 무리이 삼림철도
  • * 정산계 삼림철도
  • * 아시베쓰 삼림철도
  • * 후루타니베쓰 삼림철도
  • * 이쿠하루베쓰 삼림철도
  • * 주오유바리 삼림철도・시오유바리 삼림철도
  • * 오지 경편철도(오지제지 소유)
  • 아오모리현
  • * 쓰가루 삼림철도
  • * 가와우치 삼림철도
  • * 오오하타 삼림철도
  • 이와테현
  • * 미즈사와 삼림철도
  • 아키타현
  • * 나가기자와 삼림철도
  • * 타카나스 삼림철도
  • * 스기자와 삼림철도
  • * 니베쓰 삼림철도
  • * 모리요시 삼림철도
  • * 타마가와 삼림철도
  • 미야기현
  • * 정의 삼림철도
  • * 신카와 삼림철도
  • 후쿠시마현
  • * 나미에 삼림철도
  • 군마현
  • * 네리 삼림철도
  • 사이타마현
  • * 무슈 나카쓰가와 삼림철도
  • * 도쿄대학 연습림 궤도
  • * 이리가와 삼림철도
  • 가나가와현
  • * 세즈케 삼림철도
  • 시즈오카현
  • * 센토 삼림철도
  • * 미즈쿠보 삼림철도
  • * 키타 삼림철도
  • * 쿠마기리 삼림철도
  • 나가노현
  • * 키소 삼림철도
  • * 우라 삼림철도
  • * 쿠로가와우치 삼림철도
  • * 토오야마 삼림철도
  • * 아테라 경편철도
  • 아이치현
  • * 세쓰라 삼림철도
  • ** 타미네 삼림철도
  • ** 타구치 삼림철도
  • * 타구치 철도
  • 기후현
  • * 츠케치 삼림철도
  • * 소로쿠・가나키도 삼림철도
  • * 유후네자와 삼림철도 (기후현・나가노현)
  • * 에나산 삼림궤도
  • * 사카가와 철도 - 폐지 후, 영림국에 양도. 사카시타 삼림철도의 일부가 됨.
  • * 나나소 삼림철도
  • * 고사카 삼림철도
  • 미에현
  • * 오오스기다니 삼림철도
  • 와카야마현
  • * 고야산 삼림철도
  • * 토바 연락용 궤도
  • 효고현
  • * 하가 삼림철도
  • 고치현
  • * 교료세 삼림철도
  • 쿠마모토현
  • * 나이대진 삼림철도
  • ** 칸모츠다이 수목원에 기관차가 보존되어 있다.
  • 미야자키현
  • * 아야 삼림철도
  • * 스노우라 삼림철도 스노우라 선 16.8km 오오하타 선 12.0km. 기리시마산의 국유림을 고바야시역 (미야자키현)까지 반출하기 위해 건설. 운행 중지 시기는 1965년경

2. 4. 세계의 산림철도

20세기 후반부터 산림 철도는 도로 운송에 밀려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1960년대 말 서유럽에서 거의 사라졌다.[1] 동유럽, 러시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더 오래 생존했다. 현재는 대부분 폐선되었으며, 일부는 박물관 철도나 관광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산림 철도가 운영되었거나 운영 중이다.

철도 이름노선궤간 (mm)길이 (km)견인 방식출발도착운영 기관비고
바이에른
라이히스발트 숲 철도제발더 라이히스발트해체됨
에버스베르크 숲 철도에버스베르크해체됨
루프폴딩-라이트 임 빙클 주립 숲 철도루프폴딩-라이트 임 빙클10002319221936/37해체됨
슈피겔라우 숲 철도슈피겔라우-핀스터라우600100+19091960해체됨
츠비젤라우 숲 철도츠비젤라우-부헨아우60014.519301958해체됨
배헨탈반750~ 10국경 횡단 (티롤 참조)
브란덴부르크
쇼르프하이데 숲 철도쇼르프하이데, 됭크루크-회펜600
라인란트-팔츠
바스가우 숲 철도분덴탈-룸바흐60014.519211930해체됨
작센
무스카우 숲 철도바이스바서-바트 무스카우60050+1895박물관 철도



오스트리아에서는 다음과 같은 산림 철도가 운영되었거나 운영 중이다.

철도 이름노선궤간 (mm)길이 (km)견인 방식기점종점운영사비고
부르겐란트주
도어플 삼림 철도 (WbD)도어플6009.419241933WbD
그로스뷔어비슈 삼림 철도 (WbG)(알죄뢰뇌크-) 국경 그로스뷔어비슈 - 라이나스도르퍼 바흐760~7.519351937WbG헝가리 내 4km 구간 해체
그로스페터스도르프-룸퍼스도르프 삼림 철도 (WGR)그로스페터스도르프 - 룸퍼스도르프760~13.51920~1933WGR
귀싱 - 로어 임 부르겐란트 삼림 철도 (WGR)귀싱 - 로어 임 부르겐란트760~27.019131921WGR
귀싱 - 노이베르크 임 부르겐란트 삼림 철도 (WGN)귀싱 - 노이베르크 임 부르겐란트760~14.019131921WGN
로켄하우스 삼림 철도 (WbL)로켄하우스60014.919261956WbL
푸니츠 삼림 철도 (WbP)푸니츠 - 푸니츠어 게마인데발트600~9.0마차1905~1933WbP
니더외스터라이히주
하젤바흐 삼림 철도파하라펠트 근처: 포르스트하우스 - 호흐비제600~2.5중력식, 소, 가솔린 기관차19151918BMF해체
클라우스발트 삼림 철도 (WbK)클라우스발트, 푸헨슈투벤 근처600 ?4.519301937WbK
랑가우 - 라켄호퍼 회페 삼림 철도 (WbLL)랑가우-라켄호프1000~ 6.7마차~18451867WbLL
룬츠-랑가우-자우뤼젤보덴 삼림 철도 (WbLL)룬츠암제 - 랑가우 - 자우뤼젤보덴70012.2디젤19201974WbLL제한된 일반 여객 서비스 제공, 해체
룬츠-랑가우-자우뤼젤보덴 삼림 철도 (WbLL) 지선랑가우 - 라켄호퍼 회에700~6.6디젤19201974WbLL제한된 일반 여객 서비스 제공, 해체
나스발트 삼림 철도슈바르차우 임 게비르게, 나스발트6000.6디젤, 축전지1985박물관 철도, 신선로
바스트람 발트 - 휘너코겔 삼림 철도 (WbW)바스트람 발트600~ 3.919341945WbW
바인스베르거 포르스트 삼림 철도 (WWF)마르틴스베르크-구텐브룬 - 베어글루케760~35.919201933WWF
오베뢰스터라이히주
오펜제 삼림 철도 (WbO)오펜제, 슈타인코글 - 슈타이바흘80013.918991954WbO
오펜제 삼림 철도 (WbO)슈타이바흘 - 오베레 모스아우8001.618991954WbO
라이히람잉 삼림 철도 (WbRr)샬라우-마이어알름-한지그라벤76016.519201971WbRr
라이히람잉 삼림 철도 (WbRr)마이어알름-운터바이스바서76013.019201971WbRr
라이히람잉 삼림 철도 (WbRr)라이히람잉 -힌터게비르게76032.7디젤19201971WbRr제한된 일반 여객 서비스 제공, 해체
잘츠부르크주
친켄바흐 삼림 철도 (WbZ)친켄바흐, 라거플라츠 훈트슬라이텐-쾨니히스바찰름7006.7디젤19211967WbZ여객 운송 없음, 해체
슈타이어마르크주
도이칠란츠베르크 삼림 철도 (WbD)도이칠란츠베르크 - 프라이란트 바이 도이칠란츠베르크7609.9증기WbD여객 운송 없음, 해체
도이칠란츠베르크 삼림 철도 (WbD)쿠퍼-베렌탈6008.5증기WbD해체, 프라이란트와 쿠퍼 사이 3.1km 길이의 케이블카 연결 (해체)
도이칠란츠베르크 삼림 철도 (WbD)쿠퍼-호프바우어6009.4증기WbD삼림 철도, 여객 운송 없음, 해체
프라우엔발트 삼림 철도 (WbF)슈타인하우스 암 제머링- 레텐에크60022.0증기19021958WbF제한된 일반 여객 서비스 제공, 해체, 두 개의 경사식 리프트 포함
프론라이트 삼림 철도 (WbF)프론라이트-트라닌거-로스슈탈76012.419251951WbF해체
프론라이트 삼림 철도 (WbF) 지선트라닌거-디오니수스7605.619251951WbF해체
군더스도르프 삼림 철도 (WbG)군더스도르프, 담프제게-횔라인7604.0WbG해체
잉게링 삼림 철도 (WbI)잉게링 -제보덴720~10.5~18851938WbI해체
라드머 삼림 철도 (WbRa)히플라우-라드머-노이하우스830~14.019201967WbRa
라드머 삼림 철도 (WbRa)히플라우-라드머-노이하우스900~14.0직류 1200V19671979
트리벤 삼림 철도 (WbT)트리벤 - 라거 자이프리트800~ 10.81900~1939WbT
티롤주
클람바흐 삼림 철도아헨키어히7606.619141960클람바흐발트반
베헨탈 삼림 철도베헨탈반75010.219301956바이에른주 참조



프랑스에는 다음과 같은 산림 철도가 있었다.


  • 아브레슈빌레 삼림 철도: 옛날 보주 산맥에 광범위하게 펼쳐졌던 삼림 철도 네트워크의 잔해로, 박물관 철도이기도 하다.
  • 랑드 삼림 철도: 주로 랑드 숲의 임업 산업을 위해 건설된 여러 개의 단선 철도 그룹이다.
  • 벨슈브루흐 삼림 철도: 독일 제국이 알자스를 지배하던 시대에 건설 및 사용되었으며, 목재를 바르 계곡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이지리아에는 라고스-이바단 철도는 숲을 통과하는 광범위한 철도망이 있었다.[2]

폴란드에는 다음과 같은 산림 철도가 있었다. (폴란드 동부 국경의 모든 노선, 북쪽에서 남쪽으로)

  • 플워치츠노(Płociczno, Podlaskie Voivodeship) - 브리즈겔(Bryzgiel) 산림 철도 (1923년부터)
  • 차르나 비아우오스토츠카(Czarna Białostocka) 산림 철도 (1919년부터)
  • 하이누프카(Hajnówka) 산림 철도, 박물관 철도
  • 비에시차디 산림 철도(Bieszczady Forest Railway)


쓰가루 삼림철도


기소 삼림철도


일본에서는 1909년 쓰가루 삼림철도를 시작으로, 기소 삼림철도, 우오리아세 삼림철도 등 전국 각지에 삼림 철도가 건설되었다. 1960년대까지 목재 운반 수단으로 철도가 널리 이용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외국산 목재 수입 증가, 자원 고갈, 자동차 발달 등으로 인해 폐선이 급속히 진행되었다. 1975년 기소 삼림철도를 마지막으로 본토의 삼림 철도는 모두 폐선되었다.

국유림 임도 연장 (Km)
연도철도(1급)궤도(2급)삭도자동차도차도목마도우마도합계
19471,9644,63910-9,3941,4954,17821,680
19482,3713,75284,9105,1931,2733,96421,471
19492,4213,751155,0484,7791,1763,95021,140
19502,4883,643175,4444,7881,0983,90021,378
19512,5923,602226,0714,4221,0123,93221,653
19522,6923,491256,7864,3329273,85022,103
19532,1033,930257,5604,2438323,84022,533
19542,1123,848268,5154,0017223,51422,738
19551,8194,103289,4233,7527083,33123,164
19561,7433,9143110,4973,6236733,28523,766
19571,7403,8762910,5273,6156733,28623,746
19581,6053,7363311,4103,5185693,17424,045
19591,4743,3483412,3833,4285213,14224,330
19601,3523,0334113,5353,4324983,11225,003
19611,1642,7374014,5353,4413802,76025,057
19621,0492,4663815,6023,0453281,89224,420
19639002,0953617,0102,8592901,62824,818
19647501,7563018,2522,6922641,45425,198
19656021,2852119,5362,6902321,31725,683
19664389982120,9202,5371371,15026,201
19673267791722,0522,3688192626,549
19682615801423,1232,2006179927,038
1969170321924,3472,1425465327,696


  • 1947년도의 차도는 자동차도 포함
  • 일본임업기술협회 편, 『임업기술사』 제4권, 일본임업기술협회, 1974년, 318페이지


타이완에는 알리산 산림철도와 타이핑산 산림철도가 있으며, 과거 일본의 일부였던 시대에 건설되어 일본의 산림 철도와 유사한 규격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헝가리, 루마니아, 러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멕시코, 미국 등에서 산림 철도가 운영되었거나 운영 중이다.

3. 산림철도의 특징

산림철도는 주로 목재 운반을 위해 운영되었지만, 일부는 여객 운송도 함께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강을 이용한 목재 운반이 일반적이었으나, 목재 손상 및 유실, 얕은 물로 인한 좌초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산악 지형에서는 적절한 강을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철도가 대안으로 등장했다.[1]

일부 산림철도는 벌채된 숲 지역이 농업이나 레크리에이션 용도로 전환되면서 일반 운송업자가 되기도 했다. 20세기 후반부터 산림철도는 도로 운송에 밀려 1960년대 말 서유럽에서 사라졌다. 동유럽 국가에서는 더 오래 생존했으며, 러시아에서는 현재까지도 일부가 운영되고 있다. 헝가리에도 현재 몇몇 산림철도가 운영 중이며, 관광용으로도 활용된다. 루마니아의 산림철도는 대부분 1990년대에 폐쇄되었고, 서유럽에는 박물관 철도로 보존된 곳이 드물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도 산림철도는 비슷한 운명을 겪어, 1960년대에 대부분 자동차 운송으로 전환되거나 폐쇄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박물관과 박물관 철도에는 이전 노선의 기관차와 유물이 남아 있다.

산림철도는 크게 1급선(산림철도)과 2급선(산림궤도), 작업궤도로 구분되며, 1급선과 2급선을 토목궤도라고도 한다. 1953년 산림청에서 정한 규격에 따른 구분은 다음과 같다.

구분최소 곡선 반경구배 한도궤조도상 두께
1급선(산림철도)30m 이상40‰10 - 22kg100mm
2급선(산림궤도)10m 이상50‰9kg70mm
작업궤도가설적으로 시설된 간이 구조의 궤도. 노반이 없는 것이 많고, 벌채 진척에 따라 가설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벌채 종료 후에 철거되지만, 정비되어 1급선, 2급선이 되는 것도 있다.


3. 1. 기술적 특징

증기 기관차와 철제 레일의 발명으로 산림업에 철도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숲 속의 험한 지형 때문에 공간을 덜 차지하고, 더 가볍고 건설이 용이하며, 급커브를 설치할 수 있는 협궤 철도가 선호되었다. 특히 미국 북서부처럼 숲의 면적이 매우 넓거나 유난히 큰 나무가 많은 숲에서는 산림 작업을 위해 전용으로 표준궤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산림 철도가 건설되기도 했다. 셰이(Shay locomotive)와 클라이맥스(Climax locomotive)와 같은 특수한 기어식 기관차는 거친 선로에서 높은 견인력을 위해 개발되었다.[1]

철도 자체가 매우 단기간으로 여겨지거나 지역 접근이 극히 어려운 경우에는 철제 레일과 침목을 설치하는 비용과 물류 문제보다는 통나무를 땅에 박아 폴로드로 만드는 것이 흔했다. 폴로드는 규모가 클 수 있었다. 19세기 말 미국 남동부의 여러 사례에서 최대 약 32.19km에 달했으며 특수 제작된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다.[1]

증기 동력 외에도 나중에는 디젤 및 가솔린 기관차도 사용되었다. 이는 산림 철도에서 동물 운송을 대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중력만을 이용하는 노선도 흔했다. 목재를 실은 차량은 중력의 작용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내리막길을 따라 내려왔다. 임업 종사자들도 이를 이용했는데, 때로는 제동수로서 생명의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 빈 차량은 다시 말을 이용해 언덕 위로 올라갔다.[1]

3. 2. 운영 방식

산림철도는 주로 목재 운반을 위해 운영되었지만, 일부는 여객 운송도 함께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강을 이용한 목재 운반이 일반적이었으나, 목재 손상 및 유실, 얕은 물로 인한 좌초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산악 지형에서는 적절한 강을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철도가 대안으로 등장했다.[1]

18세기부터 말과 나무 레일을 이용한 궤도(Wagonway)가 사용되었고, 증기 기관차와 철제 레일의 발명으로 산림업에 철도가 도입되었다. 숲 속의 험한 지형 때문에 공간을 덜 차지하고, 가볍고 건설이 용이하며, 급커브 설치가 가능한 협궤 철도가 선호되었다. 특히 미국 북서부처럼 숲이 넓거나 큰 나무가 많은 지역에서는 산림 작업을 위해 전용 표준궤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산림 철도가 건설되기도 했다. 셰이(Shay locomotive)와 클라이맥스(Climax locomotive)와 같은 특수한 기어식 기관차는 거친 선로에서 높은 견인력을 발휘했다.

철도 자체가 단기간만 운영되거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는 통나무를 땅에 박아 폴로드를 만들기도 했다. 폴로드는 규모가 클 수 있었으며, 19세기 말 미국 남동부에서는 최대 약 32.19km에 달하는 폴로드가 특수 제작된 증기 기관차와 함께 사용되었다.[1]

증기 동력 외에도 디젤 및 가솔린 기관차가 사용되어 동물 운송을 대체했다. 중력을 이용하는 노선도 흔했는데, 목재를 실은 차량은 중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갔고, 임업 종사자들은 제동수 역할을 했다. 빈 차량은 말을 이용해 언덕 위로 올라갔다.

일부 산림 철도는 벌채된 숲 지역이 농업이나 레크리에이션 용도로 전환되면서 일반 운송업자가 되기도 했다. 20세기 후반부터 산림 철도는 도로 운송에 밀려 1960년대 말 서유럽에서 사라졌다. 동유럽 국가에서는 더 오래 생존했으며, 러시아에서는 현재까지도 일부가 운영되고 있다. 헝가리에도 현재 몇몇 산림 철도가 운영 중이며, 관광용으로도 활용된다. 루마니아의 산림 철도는 대부분 1990년대에 폐쇄되었고, 서유럽에는 박물관 철도로 보존된 곳이 드물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도 산림 철도는 비슷한 운명을 겪어, 1960년대에 대부분 자동차 운송으로 전환되거나 폐쇄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박물관과 박물관 철도에는 이전 노선의 기관차와 유물이 남아 있다.

3. 3. 산림철도와 산림궤도

산림철도는 크게 1급선(산림철도)과 2급선(산림궤도), 작업궤도로 구분되며, 1급선과 2급선을 토목궤도라고도 한다.

1953년 산림청에서 정한 규격에 따른 구분은 다음과 같다.

구분최소 곡선 반경구배 한도궤조도상 두께
1급선(산림철도)30m 이상40‰10 - 22kg100mm
2급선(산림궤도)10m 이상50‰9kg70mm
작업궤도가설적으로 시설된 간이 구조의 궤도. 노반이 없는 것이 많고, 벌채 진척에 따라 가설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은 벌채 종료 후에 철거되지만, 정비되어 1급선, 2급선이 되는 것도 있다.


4. 사회적, 문화적 영향

(참조할 원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관련 사건/사고

1951년 8월 29일, 홋카이도 산림 관리국 이와미자와 영림서의 목재 운반 열차가 이쿠스프베쓰 역에서 3km 정도 떨어진 다리 위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고 1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11]

참조

[1] 간행물 Pole Road Locomotives of the Early Days Trains 1948-02-01
[2] 뉴스 Passengers 'Stuck In The Forest' As Lagos-Ibadan Train Reportedly Runs Out Of Fuel https://www.channels[...] Channels TV 2022-03-10
[3] 웹사이트 Sudbury Area Mining Railways http://www.trainweb.[...] 2020-11-28
[4] 뉴스 Remember This? Did you know there was a railway on St. Joseph Island? https://www.sootoday[...] 2017-01-15
[5] 웹사이트 Category:Springfield Railway - HSWwiki http://hswdpi.ca/wik[...] 2021-04-14
[6] 웹사이트 Remains of Nova Scotia's New France http://yarmouthhisto[...] 2021-04-14
[7] 서적 Log and Lumber Railroads of New England The 470 Railroad Club 1982
[8] 웹사이트 Eagle Lake & West Branch Railroad http://www.eaglelake[...] Richard N. Symonds, Jr. 2012-12-20
[9] 서적 Tall Trees, Tough Men W.W.Norton & Company 1999
[10] 웹사이트 路網整備の推進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3-04-02
[11]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2010-09-27
[12] 뉴스 숲에 on:삼척 풍곡리 산림철도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09-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