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파이어 클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파이어 클럽은 18세기 영국에서 등장한 사교 클럽으로, 초기에는 필립 워턴 공작이, 후기에는 프랜시스 대시우드 경이 주도했다. 워턴 공작의 클럽은 종교 풍자와 남녀 평등을 특징으로 했으며, 정치적 반대 세력에 의해 해산되었다. 대시우드 경의 클럽은 "원하는 대로 하라"는 모토 아래 외설적인 의식과 난교를 즐겼으며, 재무 장관 임명과 관련된 스캔들로 인해 폐쇄되었다. 헬파이어 클럽은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옥스퍼드 대학교의 피닉스 소사이어티에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비밀결사 - 케임브리지 사도회
    케임브리지 사도회는 1820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설립된 지적 단체로, 철학, 정치 등을 토론하며, 알프레드 테니슨,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이 회원으로 활동했고, 20세기에는 케임브리지 스파이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 친목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친목단체 - 동호회
    동호회는 공통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친목을 도모하고 활동하는 모임으로, 클럽이라는 용어는 모임 비용 갹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17세기 후반 영국에서 발전하여 전 세계로 확산, 다양한 형태의 단체로 분화되었다.
헬파이어 클럽

2. 초기 헬파이어 클럽 (워튼 공작)

워턴 경은 조지 1세에게서 공작 작위를 받았으며,[7] 문학가이자 술주정뱅이, 폭도, 불신자, 플레이보이로도 알려진 인물이었다.[8] 그의 헬파이어 클럽은 종교를 풍자하는 "신사 클럽"으로, 당시 영국에 퍼져 있던 신성모독 경향을 따랐다.[9][11] 이들은 악마를 숭배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악마라 칭했으며,[12] 남녀를 동등하게 대우했다.[11]

2. 1. 워튼 공작의 클럽



워턴 경은 조지 1세에 의해 공작이 되었으며,[7] 문학가이자 동시에 술주정뱅이, 폭도, 불신자, 플레이보이로 알려진 인물이었다.[8] 워턴 클럽의 회원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마크 블랙켓-오드는 워턴의 측근들, 즉 사촌인 힐스버러 백작, 리치필드 백작, 에드워드 오브라이언 경 등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당시 런던은 신사 클럽의 시대였고, 시, 철학, 정치 등 다양한 관심사를 위한 모임들이 있었다.[9][10] 블랙켓-오드에 따르면 워턴의 헬파이어 클럽은 종교를 조롱하는 풍자적인 "신사 클럽"이었으며, 당시 영국 사회에 만연했던 신성모독 경향을 따랐다.[9][11] 이 클럽은 종교나 도덕에 대한 진지한 공격보다는 외부 세계에 충격을 주기 위한 농담에 가까웠다. 회원들은 악마를 숭배하는 대신 스스로를 악마라고 칭했으며,[12] 다른 클럽들과 달리 남녀를 동등하게 받아들였다.[11]

클럽은 일요일마다 런던 주변의 여러 장소에서 모임을 가졌다. 그레이하운드 선술집이 정기적인 모임 장소 중 하나였지만, 여성은 선술집에 출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회원들의 집이나 워턴의 승마 클럽에서도 모임이 열렸다.[13][11]

회원들의 활동에는 가짜 종교 의식과 "성령 파이", "비너스의 가슴", "악마의 허리"와 같은 음식을 먹고 "헬 파이어 펀치"를 마시는 것이 포함되었다고 한다.[13][14] 또한 클럽 회원들은 성경 속 등장인물 복장을 하고 모임에 참석했다고 한다.[14]

워턴의 클럽은 1721년 조지 1세가 헬파이어 클럽을 겨냥한 "끔찍한 불경죄"(또는 부도덕)에 대항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해산되었다.[2][15] 이는 로버트 월폴을 비롯한 워턴의 정치적 적들의 영향 때문이었다. 워턴의 정치적 반대 세력은 그의 클럽 회원 자격을 이용하여 그를 정치적 동맹과 대립하게 만들어 국회에서 몰아냈다.[15] 클럽 해산 후, 워턴은 프리메이슨이 되었고, 1722년에는 잉글랜드의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다.[16]

3. 프랜시스 대시우드 경의 클럽

프랜시스 대시우드 경은 1740년대 후반 성 프랜시스 기사단을 창설하여 헬파이어 클럽의 전통을 이어갔다.[18] 그는 젊은 시절부터 방탕한 생활을 즐기는 풍류객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1753년 친구에게서 시토회 수도원 폐허를 넘겨받아 호화로운 비밀 대저택으로 개조했다.

이 클럽에는 존 몬태규, 윌리엄 호가스, 존 윌크스 등 다양한 인물들이 회원으로 참여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도 자주 방문했다. 회원들은 수도사를 흉내내며 '하위 성직자'와 '상위 성직자'로 나뉘었고, '수녀'라고 불린 여성들도 있었다. 이들은 악마 숭배 의식을 흉내 냈지만, 실제로는 유흥을 위한 놀이였다.

클럽은 1762년 대시우드가 재무 장관에 임명되면서 폐쇄되었고, 관련 서류는 모두 소각되어 정확한 실태는 불분명하다.

3. 1. 클럽의 창설과 활동

프랜시스 대시우드 경이 창설한 클럽은 프랑수아 라블레의 소설에 나오는 "원하는 대로 하라(Fais ce que tu voudras)"를 모토로 삼았다.[19][20] 초기에는 12명의 회원으로 시작했으나, 점차 회원이 증가했다.[21] 벤자민 프랭클린,[22] 윌리엄 호가스[23][24] 등 유명 인사들도 이 클럽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시우드는 1751년 친구로부터 템스강에 있는 메드먼 수도원[23][30]을 임대하여 대대적인 공사를 통해 18세기 고딕 리바이벌 양식으로 재건축했다.[19] 클럽의 모토는 건물 출입구 스테인드글라스에 새겨졌다. 이후 회의 장소는 웨스트 와이콤 언덕의 터널과 동굴로 옮겨졌으며, 신화적 주제, 남근 숭배 상징, 성적인 물건들로 장식되었다.[31]

회원들은 종교 의식을 외설적으로 흉내 냈으며,[32] 호레이스 월폴에 따르면 디오니소스와 비너스를 숭배하는 이교도적 관행을 따랐다.[33] 대시우드의 정원에는 여러 신들의 조각상과 신전이 있었다.[33]

회의는 한 달에 두 번 열렸고, 6월 또는 9월에는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연례 총회(AGM)가 있었다.[35] 회원들은 서로를 "형제"라고 불렀고, 지도자는 "수도원장"이라고 불렀다. 회원들은 흰색 의복을, "수도원장"은 붉은색 의복을 착용했다.[36] 여성 "손님"은 "수녀"라고 불렸다.[37] 클럽 회의에는 가짜 의식, 외설적인 물건, 음주, 난잡함, 연회가 포함되었다.[37]

클럽은 1762년 대시우드가 재무 장관으로 임명되면서[17] 폐쇄되었고, 관련 서류는 소각되었다.[26]

3. 2. 클럽의 몰락

프랜시스 대시우드가 1762년 재무장관으로 임명되면서 클럽은 쇠퇴하기 시작했다.[38] 그는 전임자가 사망한 후 바론 르 데스펜서라는 칭호를 얻어 귀족원에 앉게 되었다.[39] 대시우드는 "다섯 자리 숫자의 술집 청구서"를 이해할 수 없다는 평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재무장관에 임명되었으며, 다음 해 사이다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여 거의 폭동을 일으킨 후 사임했다.[38]

1763년 초, 존 윌크스 체포 사건이 있었다. 일반 영장으로 승인된 수색 과정에서 윌크스가 사용했던 인쇄소에서 ''여성에 대한 에세이''가 발견되었다.[40] 이 작품은 토마스 포터가 쓴 것으로 추정되며, 악의적이고 신성 모독적이며 명예 훼손적인 내용이었지만 외설적인 내용은 아니었다.[40] 정부는 이 작품을 빌미로 윌크스를 추방했다.

1760년에서 1765년 사이에 출판된 찰스 존스턴의 ''Chrysal, or the Adventures of a Guinea''에는 메드먼햄 수도원과 관련된 이야기가 실려 있었고, 이는 헬파이어 클럽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증폭시켰다.[41] 이 무렵, 많은 회원들이 사망하거나 멀리 이주하여 클럽은 예전처럼 운영되기 어려웠다.[42] 1766년에 메드먼햄 수도원에서의 모임은 중단되었고, 클럽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폴 화이트헤드는 메드먼햄의 단서 서기이자 집사였다. 1774년 그가 사망했을 때, 그의 유언에 따라 그의 심장은 웨스트 와이콤에 있는 항아리에 안치되었다. 이 심장은 때때로 방문객에게 보여주기 위해 꺼내졌지만, 1829년에 도난당했다.[5][23]

4. 헬파이어 클럽의 유산

헬파이어 클럽은 그 비밀스러움과 파격적인 행태로 인해 대중문화에서 자주 다뤄지는 소재가 되었다.

4. 1. 현대 사회에서의 헬파이어 클럽

옥스퍼드 대학교 브래스노즈 칼리지 학부생이었던 조셉 앨더슨(Joseph Alderson)은 1781년에 피닉스 소사이어티(후에 피닉스 커먼 룸으로 알려짐)를 창립했지만, 1786년에 이르러서야 소규모 친구 모임이 공식적인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45] 피닉스는 1781년에 사망한 프랜시스 경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대시우드의 이전 기관(헬파이어 클럽)의 잿더미에서 상징적으로 부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늘날까지 이 사교 모임은 헬파이어 클럽의 많은 원칙을 따른다. uno avulso non deficit alterla(하나가 찢겨 나가도 다른 하나가 이어진다)라는 모토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권에서 따온 구절로, 졸업생과 학부생 회원의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사회의 연속성을 확립하는 관행을 의미하며, 희생을 통해 빼앗긴 생명이 주인의 명령에 따라 영혼을 통해 되돌려지는 연금술적 카발라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피닉스 커먼 룸의 지속적인 역사는 1954년, 칼리지에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 보고되었다.[46]

참조

[1] 웹사이트 Hellfire Holidays: Damnation, Members Only http://www.slate.com[...]
[2] 서적 Ashe p. 48
[3] 서적 Blackett-Ord p. 46
[4] 서적 Ashe p. 111
[5] 웹사이트 Paul Whitehead https://web.archive.[...] The Twickenham Museum 2010-01-11
[6] 서적 Ashe p. 60
[7] 서적 Ashe p. 52
[8] 서적 Blackett-Ord p. 70
[9] 서적 Blackett-Ord p. 43
[10] 서적 Ashe p. 46
[11] 서적 Ashe p. 48
[12] 서적 Blackett-Ord pp. 44-6
[13] 서적 Blackett-Ord p. 44
[14] 서적 Ashe p. 49
[15] 서적 Blackett-Ord p. 70
[16] 서적 Ashe p. 62
[17] 서적 The Hell-Fire Clubs: A History of Anti-Morality https://archive.org/[...] Sutton Publishing
[18] 웹사이트 The Hellfire Club https://web.archive.[...] 2010-01-10
[19] 서적 Ashe
[20] 문서 Alamantra
[21] 서적 Ashe p. 115
[22] 서적 Ashe p. 113
[23] 웹사이트 High politics and Hellfire: William Hogarth's portrait of Francis Dashwood http://www.gresham.a[...] Gresham College 2008-11-03
[24] 문서 Coppens
[25] 서적 Ashe p. 120
[26] 방송 City of Blood, Cities of the Underworld History Channel 2 (H2) 2008
[27] 서적 Ashe p. 121
[28] 서적 Ashe p.111
[29] 서적 Ashe p. 112
[30] 서적 Ashe p.118
[31] 웹사이트 Medmenham Abbey – Home of the Notorious Secret Society ‘Hellfire Club’ https://www.thevinta[...]
[32] 웹사이트 The Thames Path: National Trail from London to the river's source https://books.google[...]
[33] 서적 Ashe p. 114
[34] 웹사이트 Parishes: Medmenham Pages 84–89 A History of the County of Buckingham: Volume 3 https://www.british-[...]
[35] 서적 Ashe p. 125
[36] 서적 Ashe p 125
[37] 서적 Ashe p. 133
[38] 서적 Ashe p. 155
[39] 서적 Ashe p. 157
[40] 서적 Ashe p. 158
[41] 서적 Ashe p. 177
[42] 서적 Ashe p. 167
[43] 웹사이트 Hell-fire Caves United Kingdom | the Temple Trail https://thetempletra[...]
[44] 서적 City of Laughter: Sex and Satire in Eighteenth-Century London Walker and Company 2006
[45] 서적 A Century of the Phoenix Common Room, Brasenose College, Oxford, 1786–1886 Oxford 1888
[46] 간행물 Brasenose College http://www.british-h[...] 1954
[47] 웹사이트 Hellfire Holidays: Damnation, Members Only http://www.slate.com[...] 2009-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