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상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천상제는 중국 도교에서 숭배되는 신으로, 북쪽과 겨울을 상징하는 현무의 다른 이름이다. 그는 거북이와 뱀이 얽혀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검은색 황실 복장을 한 전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현천상제의 기원과 관련하여 정락국 왕자 설화와 정육점 주인 설화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만공과 만마 장군과 함께 묘사되기도 하며,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 숭배받고 있다. 특히 태국에서는 '차오 포 수아'로 불리며, 고전 소설 《서유기》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의 신 - 직녀
옥황상제의 딸 직녀는 견우와 사랑에 빠져 결혼했지만 옥황상제의 명령으로 헤어져 별이 되었고, 칠석날 까치들이 놓은 다리에서 일 년에 한 번 견우와 만나는 동아시아 설화의 주인공으로, 사랑하는 부부를 상징한다. - 별의 신 - 아스타르테
아스타르테는 가나안과 페니키아에서 숭배받던 여신으로, 전쟁, 성, 왕권, 아름다움, 치유 등 다양한 역할과 상징을 지니며 페니키아인들의 해상 무역을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숭배가 확산되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 수성의 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수성의 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천공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천공신 - 하느님
하느님은 한국어로 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하늘에 존칭 접미사 '-님'이 붙은 어원을 가지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기독교의 신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현천상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현무 |
로마자 표기 | Xuánwǔ (병음) Hiân-bú (POJ) Yùhn móuh (광둥어) Jyun4 mou5 (예일 로마자) |
다른 이름 | 현제 |
로마자 표기 | Xuándì (병음) Hiân-tè (POJ) Yùhn dai (광둥어) Jyun4 Dai3 (예일 로마자) |
다른 이름 | 진무 |
로마자 표기 | Zhēnwǔ (병음) Chin-bú (POJ) Yùhn dai (광둥어) Zan1 mou5 (예일 로마자) |
다른 이름 | 진무대제 |
로마자 표기 | Zhēnwǔ dàdì (병음) Chin-bú tāi-tè (POJ) Yùhn dai (광둥어) Zan1 mou5 daai6 dai3 (예일 로마자) |
다른 이름 | 대노야 |
로마자 표기 | Dàlǎoyé (병음) Tōa lāu-iâ (POJ) Yùhn dai (광둥어) Daai6 lou5 je4 (예일 로마자) |
한국어 | 현천상제 |
태국어 | เจ้าพ่อเสือ |
인도네시아어 | Xuan Tian Shang Di |
베트남어 | Trấn Vũ |
추가 이름 | 흑제 |
신화 | |
속성 | 물, 북쪽 |
상징 | 검, 거북이, 뱀 |
동물 | 검은 거북 |
배우자 | 도교의 여신 |
숭배 | |
숭배 장소 | 도교 사원 |
숭배 지역 | 중국 |
역할 | |
역할 | 도교의 물의 신, 명나라의 수호신 |
2. 명칭 및 상징
중국 천문의 사신 중 하나로, 북쪽과 겨울을 상징한다. 보통 거북이와 뱀이 서로 얽혀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현천상제의 기원 설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황제 시대 허베이 성 북부 정락국의 왕자였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많은 동물을 무자비하게 죽인 정육점 주인이었다는 설이다. 정육점 주인 설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도를 닦기 위해 외딴 산으로 은퇴했다고 한다.
3. 기원 설화
3. 1. 정락국 왕자 설화
황제 시대에 허베이성 북부 정락국의 왕자였다.[1] 그는 성장하면서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슬픔과 고통을 느끼고, 도교 수행을 위해 외딴 산으로 은퇴하고 싶어했다.[1]
3. 2. 정육점 주인 설화
현무는 원래 많은 동물을 무자비하게 죽인 정육점 주인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행동에 대해 뉘우치게 되었다. 뉘우친 그는 정육점 일을 그만두고 도를 닦기 위해 외딴 산으로 은퇴했다.
어느 날, 그는 출산하는 여성을 돕고 근처 강에서 피 묻은 옷을 빨던 중, "현천상제(玄天上帝)"(Xuántiān Shàngdì)라는 글귀가 눈앞에 나타났다. 출산 중이던 여성은 관세음보살의 화신이었다. 자신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그는 자신의 위와 창자를 꺼내 강에서 씻었다. 강물은 이내 어둡고 탁해졌다. 얼마 후, 강물은 다시 맑고 깨끗하게 흘렀다.
현무는 강에서 위와 창자를 씻는 동안 그것들을 잃었다. 옥황상제는 그의 진실함과 죄를 씻으려는 결심에 감동하여 그를 ''Xuántiān Shàngdì''라는 칭호의 불멸자로 만들었다.
그가 불멸자가 된 후, 그의 위와 창자는 대지의 정수를 흡수했다. 그의 내장은 악마 거북이와 악마 뱀으로 변했고, 사람들을 해치기 시작했다. 아무도 그 악마 동물을 제압할 수 없었다. 결국 현무는 그들을 제압하기 위해 다시 땅으로 돌아왔다. 그들을 물리친 후, 그는 나중에 그들을 부하로 삼았다.
3. 3. 잃어버린 내장 설화
현무는 원래 많은 동물을 무자비하게 죽인 정육점 주인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의 행동에 대해 뉘우치게 되었다. 뉘우친 그는 정육점 일을 그만두고 도를 닦기 위해 외딴 산으로 은퇴했다.
어느 날, 그는 출산하는 여성을 돕고 근처 강에서 피 묻은 옷을 빨던 중, "현천상제(玄天上帝)''(Xuántiān Shàngdì)라는 글귀가 눈앞에 나타났다. 출산 중이던 여성은 관세음보살의 화신이었다. 자신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그는 자신의 위와 창자를 꺼내 강에서 씻었다. 강물은 이내 어둡고 탁해졌다. 얼마 후, 강물은 다시 맑고 깨끗하게 흘렀다.
현무는 강에서 위와 창자를 씻는 동안 그것들을 잃었다. 옥황상제는 그의 진실함과 죄를 씻으려는 결심에 감동하여 그를 ''Xuántiān Shàngdì''라는 칭호의 불멸자로 만들었다.
그가 불멸자가 된 후, 그의 위와 창자는 대지의 정수를 흡수했다. 그의 내장은 악마 거북이와 악마 뱀으로 변했고, 사람들을 해치기 시작했다. 아무도 그 악마 동물을 제압할 수 없었다. 결국 현무는 그들을 제압하기 위해 다시 땅으로 돌아왔다. 그들을 물리친 후, 그는 나중에 그들을 부하로 삼았다.
4. 다른 신들과의 관계
현천상제는 만공(萬公) 장군과 만마(萬媽) 장군을 양 옆에 대동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 두 장군은 여러 지역 문제를 처리하는 신이다.
4. 1. 두 장군: 만공(萬公)과 만마(萬媽)
현무는 때때로 그의 옆에 두 장군, 만공(萬公) 장군과 만마(萬媽) 장군을 세워 묘사된다. 이 두 장군은 어린이의 출생, 약물, 가족 문제뿐만 아니라 풍수 상담과 같은 많은 지역 문제를 처리하는 신이다.4. 2. 여동빈과의 관계
현천상제는 검은색 황실 복장을 한 전사로 묘사되며, 왼손은 관우의 수인과 비슷한 "삼산인(三山印)"을 들고 있고, 오른손은 팔선 중 한 명인 여동빈의 것으로 알려진 검을 들고 있다.[1]다른 전설에 따르면, 현천상제가 강한 악마를 제압하기 위해 여동빈에게서 검을 빌렸는데, 성공한 후 검의 힘을 보고 돌려주기를 거부했다고 한다. 현천상제가 검을 놓으면 검은 마법처럼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그는 항상 검을 꽉 쥐고 놓을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현천상제는 여동빈보다 신성함에서 우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여동빈보다 더 오래되었기 때문에 이 주장은 의심받는다.[1]
5. 숭배
현천상제는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지에서 널리 숭배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에서는 거의 모든 도교 사원에서 현천상제를 위한 제단을 마련하고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를 처음으로 숭배한 사원은 중앙 자바 제파라의 웰라한 타운에 있는 사원이다. 그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원으로는 중앙 자바 스마랑 시의 게라젠과 부가난에 있는 사원이 있다. 그의 축제는 음력 2월 25일에 매년 기념된다. 특히 틱 리옹 티안 사원, 동 자바 로고잠피, 바뉴왕기 군의 진부진인 숭배자들은 현천상제가 그들의 수호신이라고 믿는다.
- 현무는 태국인들에게 ''차오 포 수아''(호랑이 신) 또는 테오추 방언에 따라 ''투아 라오 야''(大老爷, "큰 신")로 알려져 있다.[2] 태국에는 현무를 숭배하는 많은 사당이 있으며, 가장 유명한 사당은 자이언트 스윙과 삼 프랭 인근에 위치한 산 차오 포 수아 사당이다.[2] 이 사당은 태국인과 중국인, 특히 중국 설날에 널리 숭배받고 있다.
5. 1. 중국
5. 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거의 모든 도교 사원에서 현천상제를 위한 제단을 마련하고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를 처음으로 숭배한 사원은 중앙 자바 제파라의 웰라한 타운에 있는 사원이다. 그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원으로는 중앙 자바 스마랑 시의 게라젠과 부가난에 있는 사원이 있다. 그의 축제는 음력 2월 25일에 매년 기념된다. 특히 틱 리옹 티안 사원, 동 자바 로고잠피, 바뉴왕기 군의 진부진인 숭배자들은 현천상제가 그들의 수호신이라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사원의 중앙 방, 즉 주요 신을 위해 항상 비워두는 공간에 진부진인의 제단 오른쪽에 그의 제단을 둔다.5. 3. 태국
현무는 태국인들에게 ''차오 포 수아''(호랑이 신) 또는 테오추 방언에 따라 ''투아 라오 야''(大老爷, "큰 신")로 알려져 있다.[2] 태국에는 현무를 숭배하는 많은 사당이 있으며, 가장 유명한 사당은 자이언트 스윙과 삼 프랭 인근에 위치한 산 차오 포 수아 사당이다.[2] 이 사당은 태국인과 중국인, 특히 중국 설날에 널리 숭배받고 있다.6. 대중문화 속 현무
고전 소설 《서유기》에서 현무는 북쪽을 다스리는 왕으로, 휘하에 거북 장군과 뱀 장군 두 명의 장군을 두고 있었다. 그는 무당산(호북성)에 사당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호북성 성도인 우한의 강 반대편에 거북산과 뱀산이 있다.
6. 1. 서유기
고전 소설 《서유기》에서 현무는 북쪽의 왕으로, 휘하에 거북 장군과 뱀 장군 두 명의 장군을 두고 있었다. 이 왕은 무당산(호북성)에 사당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호북성 성도인 우한의 강 반대편에 거북산과 뱀산이 존재한다.참조
[1]
서적
Mooncakes and Hungry Ghosts: Festivals of China
China Books & Periodicals
1991
[2]
웹사이트
http://topicstock.pa[...]
2011-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