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동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동빈은 학문적이고 지혜로운 인물로 묘사되며, 도교 신선 중 한 명으로, 도를 배우도록 돕는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당나라 시대에 태어난 그는 시인이자, 금단교의 창시자로도 여겨진다. 여동빈은 종리권의 제자가 되기 위한 시험을 거치고, 다양한 전설과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그는 민간 신앙에서 치유, 시험, 재물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특히 중국 남부 지역에서 숭배가 활발했다. 또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도 등장하며,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그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교 - 태극
    태극은 만물의 근원이자 음양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중국 사상의 개념으로, 우주 생성론의 핵심이며 한국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다.
  • 도교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여동빈
기본 정보
여동빈 초상화
여동빈 초상화
이름여동빈 (呂洞賓)
출생796년
사망1016년 (추정)
직업시인, 학자, 도교 팔선 중 한 명
종교도교
관련 정보
스승종리권
제자류해섬, 왕중양
숭배 대상도교 신앙
다른 이름여암 (呂巖), 여조 (呂祖), 순양자 (純陽子)
사당여조관 (呂祖觀), 함원전 (涵元殿)
전설
탄생지산시 성 루이청 현
깨달음종리권과의 만남을 통해
주요 활동악을 물리치고 병자를 치유하며, 세상에 도교를 전파
문화적 영향
문학수많은 시와 전설의 주인공
예술그림, 조각,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
민간 신앙재물과 건강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숭배

2. 생애와 전설

명나라 시대 작품, ''여동빈, 악마를 제압하다'' (작가 미상, 이전에는 이공린의 작품으로 여겨짐)


덩즈모의 ''날아다니는 검'' ()에 나오는 여동빈과 교룡의 대결


북송 시대부터 여동빈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 이야기들은 주로 여동빈이 다른 사람들이 도(道)를 배우도록 돕는 내용이다. 송사(宋史)에 따르면 여동빈은 태극도를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한 진단(陳摶)의 집을 여러 번 방문했다.[3]

여동빈의 선행은 중국 속담인 "개, 여동빈을 물다"( gǒu yǎo Lǚ Dòngbīn)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는 선(善)을 알아보지 못하고 호의를 악의로 갚는 것을 의미한다.[4]

리하르트 빌헬름에 따르면, 여동빈은 금단(金丹) 수련 학파인 금단교(金丹敎)의 창시자이자, ''태일금화종지''(), 즉 "황금의 꽃의 비밀"의 내용을 최초로 제시한 인물이다. 또한, 도교 전설에 따르면 무당산의 무술 보물 중 하나인 내공 무술 스타일 "팔선검"()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종리권은 불멸자가 되어 곧 천국으로 날아가려 했고, 여동빈에게 도(道)를 계속 수행하면 너도 곧 천국으로 날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동빈은 스승에게 지상의 모든 중생(다른 이야기에서는 그의 모든 친척)을 깨우친 후에야 하늘로 날아갈 것이라고 대답했다. ''팔선득도전''()에 따르면, 이전 환생에서 여동빈은 종리권의 스승인 도교 고승이었다.

도교 서적 ''역대신선통감''()에 따르면, 여동빈은 고대 현인- "황담씨"()의 환생이다.

쉬안화 스님에 따르면, 여동빈은 관세음보살 (관음보살)의 화신 중 하나이다.[5] 여동빈은 마법 검으로 여러 마리의 중국 용을 죽였다.[3]

2. 1. 초기 생애

그의 이름은 여엄(呂巖)이며, '엄'( 또는 또는 )은 이름이다. 동빈(洞賓)은 그의 이다. 그는 순양자( Chunyang Zi)라고 불렸으며, 일부 도교 신자, 특히 전진교 신자들은 그를 여조( lü zŭ)라고 불렀다. 당나라 경조부 ( Jīngzhào Fŭ)에서 796년경에 태어났으며, 음력 4월 14일이 그의 생일이라고 전해진다.[1]

태어날 때 향료가 방 안을 가득 채웠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매우 총명하여 많은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다. 한 이야기에 따르면, 20세가 되도록 결혼하지 않은 그는 관리가 되기 위해 두 번이나 최고 수준의 과거에 응시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

당 보력 원년(825년)에 잠시 학자였으며, 두 번이나 현의 현령을 지냈다. 그러나 곧 관료주의에 실망하여 관직을 버리고 산으로 은퇴했다. 장안의 한 술집에서 종리권 ( Zhong Liquan)을 만나 열 번의 시련을 겪었고, 종리권은 그에게 금단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그 결과 그는 도를 깨우쳐 불멸자가 되었다.[1]

원 무종은 13세기에 그를 "순양연정경화부우제군"으로 칭하며 정식 신선으로 인정했다. 이후 왕조에서도 신으로 공인되었으며, 도교에서는 '''부우제군'''으로 칭해진다.[13]

포주 영락현(현재의 산시성윈청 시예청 현) 출신이다. 조부는 의 예부시랑 여위이며, 부친은 해주자사 여양이다.

종남산에서 스승인 종리권에게 비법(비검을 날려 마귀를 퇴치하는 "천둔검법", 뇌우를 다루는 "뇌법")을 전수받아 도사가 되었다고 한다.

태어날 때부터 금형 목질(金形木質: 금의 형상과 나무의 성질)에 학의 정수리와 거북의 뼈를 가졌고, 왼쪽 눈썹의 뿔에 사마귀가 있는 등 기이한 모습을 보였다는 이상 탄생담이 있다.[13] 어머니가 하얀 백조 한 마리가 실내로 들어오는 꿈을 꾼 뒤에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하루에 만 자를 기록했다고 한다. 키는 8척 2촌이었으며, 화양건(華陽巾)을 즐겨 쓰고, 노란 란삼(襴衫)을 입고, 검은 판자를 걸고 다녔다. 20세가 되도록 아내를 맞이하려 하지 않았다.

출세를 목표로 과거 시험을 두 번 치렀으나 낙방했다. 장안의 술집에서 운방(雲房)이라는 도사(종리권)를 만나 수련을 권유받았으나, 출세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거절했다.

종리권이 황량(黃粱: 좁쌀밥)을 짓는 동안 여동빈은 깜빡 졸다가 꿈을 꾼다. 과거에 급제하여 출세하고, 명문가의 딸과 결혼하여 많은 자식을 낳았다. 그렇게 40년이 흘렀지만, 어느 날 중죄에 연루되어 재산을 몰수당하고 가족은 뿔뿔이 흩어져 좌천된다.

그때 잠에서 깨어났지만, 아직 황량은 다 익지 않았다. 속세의 덧없음을 깨닫고 종리권에게 제자가 되기를 청하여, 열 가지 시련을 겪게 된다. 이를 훌륭히 통과한 여동빈은 종리권의 제자가 되어 잠시 수련한 후, 선인이 되었다.[14]

이 이야기는 『침중기』의 「황량의 꿈」과 매우 흡사하며,[13] 「황량의 꿈」에 등장하는 여옹이 여동빈이라는 설도 있다.

2. 2. 주요 활동 및 전설

여동빈은 학문적이고 영리하며, 사람들이 지혜와 깨달음을 얻고 를 배우도록 돕고자 하는 진정한 열망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몇 가지 성격적인 "결함"을 가진 것으로도 묘사되는데, 이는 다채로운 도교 신선들에게 흔한 특징이다.[1]

  • 술에 취하는 모습을 종종 보이며, 이는 술을 좋아하는 도교 예술가들과 유사하다.
  • 신선이 된 직후 "어린" 신선으로서 매우 격렬한 성격을 가졌으며, 분노로 강둑을 변형시키기도 했다.
  • 신선이 된 후에도 여성 편력이 심했다고 전해지며, 낭만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에게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이는 도교 성적 수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다작의 시인이었으며, 그의 작품은 《전당시》에 수집되었다.


그의 이름은 '''여암'''(呂巖)이며, '''엄'''(巖, 岩, 喦)은 이름이다. 동빈(洞賓)은 그의 이다. 순양자( Chunyang Zi)라고 불리며, 일부 도교 신자, 특히 전진교 신자들은 그를 여조( lü zŭ)라고 부른다. 그는 당나라 시대인 796년경 경조부( Jīngzhào Fŭ)에서 태어났으며, 생일은 음력 4월 14일이라고 전해진다.[1]

송나라 시대의 ''도교 신선 여동빈이 동정호를 건너다''


여동빈의 탄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 향료가 방 안을 가득 채웠다고 한다.
  • 어릴 때부터 매우 총명했으며 많은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다.
  • 20세가 되도록 결혼하지 않은 그는 관리가 되기 위해 두 번이나 최고 수준의 과거에 응시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당 보력 원년(825년), 그는 잠시 학자였으며 두 번이나 현의 현령을 지냈다. 그러나 관료주의에 의해 망하게 되었고, 관직을 버리고 산으로 은퇴했다. 장안의 한 술집에서 종리권( Zhong Liquan)을 만나 열 번의 시련을 겪었고, 종리권은 그에게 금단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그 결과 그는 도를 깨우쳐 불멸자가 되었다.[14]

명나라 그림, ''도교의 불사 여동빈''

황량몽(黃粱夢) 전설한단의 한 여관에서 여동빈이 좁쌀밥을 짓는 동안 깜빡 잠이 들었다. 꿈속에서 과거에 급제하여 훌륭한 성적을 거두고 명예로운 관직을 받아 시랑( shìláng)이 되었다. 부유한 집안의 딸과 결혼하여 자녀를 낳고 재상까지 승진했지만, 다른 사람들의 질투로 관직을 잃고 모든 재산을 잃었다. 꿈속에서 길거리에서 죽어가던 그는 잠에서 깨어났다.

꿈속에서는 18년이 흘렀지만, 이 모든 꿈은 좁쌀이 익는 동안 일어났다. 그의 꿈 속 등장인물들은 사실 종리권이 여동빈에게 덧없는 영광과 성공에 너무 많은 가치를 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위해 연기한 것이었다. 여동빈은 종리권과 함께 를 발견하고 수련하게 되었다. 이 꿈은 "황량몽"( Huáng Liáng Mèng)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나라의 마지원이 쓴 글에 묘사되어 있다.

송나라 학자 이방의 ''태평광기'' 제82권에는 이 이야기의 더 오래된 버전이 있는데, 여동빈 대신 학생 노생( Lú Shēng)이, 종리권 대신 노옹( Lǚ Wēng)이 등장한다.
종리권의 열 가지 시험장안에서 여동빈은 종리권에게 10번의 시험을 통과해야만 제자로 받아들여져 불사신으로 수련할 수 있었다. 이 시험들은 여동빈이 순수하고 위엄 있는 사람임을 증명했고, 종리권은 여동빈을 난 산 허 링으로 데려가 생명의 비밀을 전수하고 "종-여 금단" 도교 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2]

여동빈이 종리권에게서 받은 열 가지 시련은 다음과 같다.[14]

순서시련 내용여동빈의 반응
첫 번째가족 전부가 병으로 죽음슬퍼하지 않고 장례 준비. 잠시 후 가족들이 살아났지만 이상하게 여기지 않음.
두 번째시장에서 물건값을 절반만 지불받음아무 말도 하지 않음.
세 번째거지에게 물건을 주었으나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며 욕설을 들음웃으며 사과함.
네 번째호랑이가 양 떼를 쫓아옴몸으로 호랑이를 막아섬.
다섯 번째절세 미녀가 나타나 유혹함끝까지 마음을 흔들리지 않음.
여섯 번째집의 재산이 모두 도둑맞음분노하지 않고 밭을 갈다가 수십 개의 금괴를 발견했지만 흙 속에 묻고 가지지 않음.
일곱 번째놋쇠 그릇을 샀는데 금으로 만들어짐즉시 판매자에게 돌려줌.
여덟 번째미친 도사의 약을 마심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아홉 번째강을 건너다 강이 범람하고 바람이 거세게 불었지만단정히 앉아 움직이지 않음.
열 번째기묘한 괴물들이 나타나 죽이려 하고, 피를 흘리는 사형수가 전생의 빚을 갚으라고 호소함두려워하지 않고 칼을 들어 자살하려 함.



북송 시대부터 여동빈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 이야기들은 주로 여동빈이 다른 사람들이 도(道)를 배우도록 돕는 내용이었다. 송사()에 따르면 여동빈은 진단()의 집을 여러 번 방문했는데, 진단은 태극도를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한 사람으로 여겨진다.[3]

여동빈의 선행은 중국 속담인 "개, 여동빈을 물다"( gǒu yǎo Lǚ Dòngbīn)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는 선(善)을 알아보지 못하고 호의를 악의로 갚는 것을 의미한다.[4]

리하르트 빌헬름에 따르면, 여동빈은 금단(金丹)의 수련 학파인 금단교(金丹敎)의 창시자이자, ''태일금화종지''(), 즉 "''황금의 꽃의 비밀''"의 내용을 최초로 제시한 인물이다. 또한, 도교 전설에 따르면 그는 내공 무술 스타일인 "팔선검"()의 창시자이며, 이는 무당산의 무술 보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여동빈의 스승인 종리권은 불멸자가 되어 곧 천국으로 날아가려 했고, 여동빈에게 도(道)를 계속 수행하면 너도 곧 천국으로 날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동빈은 스승에게 지상의 모든 중생(다른 이야기에서는 그의 모든 친척)을 깨우친 후에야 하늘로 날아갈 것이라고 대답했다. ''팔선득도전''()에 따르면, 그의 이전 환생에서 여동빈은 종리권의 스승이었던 도교의 고승이었다.

도교 서적인 ''역대신선통감''()에 따르면, 여동빈은 고대 현인- "황담씨"()의 환생이다.

존경하는 쉬안화 스님에 따르면, 여동빈은 관세음보살 (관음보살)의 화신 중 하나이다.[5]

여동빈은 그의 마법 검으로 여러 마리의 중국 용을 죽였다.[3]

회해극에서 려동빈과 백모란을 공연하는 모습

백모란과의 만남려동빈에 관한 가장 유명한 전설 중 하나는 그가 백모란(Bai Mudan)이라는 이름의 기생과 만났다는 이야기이다. 가장 유명한 버전은 소설 『동유기』에서 유래되었다.[6]

  • 려동빈은 뤄양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생 중 한 명인 백모란에게 크게 매료되었다.
  • 려동빈은 그녀와 여러 번 잠자리를 같이했지만, 양기를 잃고 싶지 않았기에 사정하지 않았다.
  • 려동빈의 동료 신선 이철괴와 하선고는 백모란에게 그의 사타구니를 간지럽혀서 사정하게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다.
  • 백모란은 려동빈을 사정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고, 그의 양기를 흡수했다. 이후 그녀는 수련하여 신선이 되었다.[7]


또 다른 버전은 소설 『팔선득도』에서 유래되었다.[8] 이 버전은 좀 더 은유적인 묘사로, 성관계는 묘사되지 않는다.

  • 신선 려동빈은 잘생긴 학자로 변신하여 유명한 기생 백모란에게 조언을 하려 한다.
  • 첫 만남에서 백모란은 열정적으로 그를 유혹했지만, 그는 잠자리를 거절한다.
  • 두 번째 만남에서 려동빈은 그녀와 잠자리를 갖기로 동의한다. 그러나 침대로 걸어가던 중 려동빈은 갑자기 배가 아프다고 울부짖으며 기절한다.
  • 백모란은 그의 상태를 매우 안타까워하며, 자신의 돈으로 의사를 부른다. 려동빈(사실 아픈 척을 하고 있었다)은 백모란의 자비로운 마음에 매우 기뻐한다.
  • 세 번째 만남에서 려동빈은 마침내 백모란을 설득하여 방탕한 삶을 청산하게 하는 데 성공한다. 그녀는 결국 신선이 된다.[7]


경극 버전에서는 백모란이 유혹적인 기생에서 약방 주인의 딸로 변경된다. 어느 날 려동빈이 그들의 가게에 와서 불가능한 약을 요구하며 소란을 피운다. 백모란은 아버지의 어려움을 알고 려동빈을 만나 그의 모든 질문에 답한다. 다투는 과정에서 그들은 마침내 연인이 된다.[9]

thumb의 샤용]]

'''여동빈(呂洞賓)의 월양루 삼취(三醉)'''는 연극, 소설 및 기타 형태의 예술에서 자주 묘사되는 잘 알려진 중국 도교 이야기이다.

  • 여동빈이 두 정령, 버드나무와 매화를 불멸자로 만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여동빈은 이들을 인간으로 환생시켜 결혼시킨 후, 많은 고난을 통해 그들의 헌신을 시험했다.
  • 여동빈이 월양루를 방문하여 신이 되기를 원했지만 나무 몸에 갇힌 버드나무 정령을 만난다.
  • 여동빈은 버드나무 정령에게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 30년 후에 돌아와 돕겠다고 약속했다.[10]


버드나무 정령은 곽마이(郭馬兒)로, 매화 정령은 하라매(何辣梅)로 다시 태어났다. 그들은 성장하여 결혼했고, 월양루 아래에 찻집을 열었다. 여동빈은 곽마이를 두 번 방문했지만, 곽마이는 그의 지시를 이해할 수 없었다. 세 번째 방문에서 여동빈은 곽마이에게 아내를 죽이고 승려가 되라고 지시했다. 곽마이는 그럴 수 없었지만, 하라매는 결국 죽었고, 그는 그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다. 그날 늦게 여동빈이 돌아와 하라매가 실제로 죽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자 재판관들은 그들 모두가 변장한 불멸자라는 것을 깨달았다. 곽마이는 자신이 환생한 버드나무 정령이고, 하라매는 매화 정령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함께 여동빈을 따라 도(道)에 들어가 불멸자가 되었다.[10]

중국 4대 누각 중 하나인 황학루의 전설에 등장하는 신선이 여동빈이라고도 한다.

또한 그는 양가장연의에도 등장한다. 송과 요나라가 다툴 때, 여동빈과 종리권이 말다툼을 했다. 화가 난 여동빈이 춘수(椿樹)의 정령을 데리고 세상에 내려와 요나라를 돕기로 하고, 이를 안 종리권은 송나라 편을 든다.

3. 사상과 영향

여동빈은 도교와 민간 신앙에서 중요한 인물로, 다양한 사상과 영향을 미쳤다.

종리권의 제자로, 종남산에서 비법을 전수받아 도사가 되었다고 전해진다.[14] 전진교에서는 왕중양에게 금단도의 구결을 전했다는 설화 때문에 여동빈을 특히 중요하게 여긴다.[13]

민간에서는 여동빈을 존경하여, 원나라 무종 때 "순양연정경화부우제군"이라는 칭호를 받아 정식 신선이 되었다. 이후 왕조에서도 신으로 공인되었으며, 도교에서의 보편적인 칭호는 '''부우제군'''이다.[13]

과거 시험에 응시했던 경험이 있으며, 교양 있는 출신으로 뛰어난 시를 여러 편 남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현대에도 여동빈이 지었다고 하는 수행서나 시가 작품이 많이 남아 있지만, 송나라 풍의 특징을 가진 작품이 많아 다른 작가가 그의 인기에 편승하여 이름을 빌려 쓴 것으로 추정된다.[13]

여동빈은 악정에 고통받는 민중을 돕기 위해 나타났다는 전승이 각지에 퍼져 있으며, 삼국 시대의 무장 관우와 견줄 만큼 인기가 높다. 치유, 무예, 시험, 재물, 오미쿠지, 이발사문구・유녀의 업신 등 다양한 분야의 신으로 숭배되며, 도교에서는 주신으로 모시는 사당도 많다.[13]

영락궁, 여동빈의 주요 사당이자 묘소

3. 1. 도교 사상

여동빈은 학문적이고 영리하며, 사람들이 지혜와 깨달음을 얻고 를 배우도록 돕고자 하는 진정한 열망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그는 몇 가지 성격적인 "결함"을 가진 것으로도 묘사되는데, 이는 다채로운 도교 신선들에게 흔한 특징이다.

  • 그는 종종 술에 취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한 여러 도교 예술가들과도 유사하다.
  • 한 이야기에 따르면, 신선이 된 직후 그는 매우 격렬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분노로 강둑을 변형시키기까지 했다.
  • 그는 신선이 된 후에도 여성 편력이 심했다고 전해지며, 이러한 이유로 낭만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에게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이는 일부 도교 성적 수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여동빈은 다작의 시인이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전당시》(Quan Tangshi)에 수집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여동빈은 장안에서 종리권에게 10번의 시험을 통과해야만 제자로 받아들여져 불사신으로 수련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10가지 시험은 다음과 같다.[2]

번호시험 내용
1일터에서 돌아와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슬픔이나 후회 없이 장례를 준비했다. 나중에 그의 사랑하는 사람은 다시 살아났지만, 여동빈은 슬픔이나 기쁨의 감정이 없었다.
2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있었는데, 한 구매자가 흥정을 걸었다. 가격에 합의한 후, 여동빈은 그에게 물건을 건네주었지만 구매자는 돈을 다 지불하지 않고 가버렸다. 여동빈은 다투지 않았다.
3음력 초하루, 여동빈은 거지와 만났다. 그에게 돈을 조금 주자 거지는 계속해서 더 요구하고 그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여동빈은 미소를 지으며 그 자리를 떠났다.
4여동빈은 양치기였다. 배고픈 호랑이가 그가 돌보는 염소들을 노리고 있었지만, 여동빈은 염소들을 언덕으로 보내고 호랑이 앞에 서서 염소들을 보호했다. 배고픈 호랑이는 두려워하며 여동빈을 해치지 않고 떠났다.
5여동빈은 산속 작은 오두막에서 공부하고 있었는데, 아름다운 여인이 와서 길을 잃었다며 하룻밤 묵을 수 있는지 물었다. 그날 밤, 이 여인은 여동빈과 관계를 가지려고 했지만, 여동빈은 유혹에 흔들리지 않았다.
6집에 돌아와 도둑이 들어 모든 소지품을 잃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화를 내는 대신 농사를 짓기 시작했고, 땅을 파다가 수많은 금 조각을 발견했지만, 금 한 조각도 가져가지 않고 흙을 덮었다.
7시장에서 청동 그릇을 샀지만, 집에 돌아와 보니 그 그릇들이 모두 금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그는 즉시 그것들을 판매자에게 돌려주었다.
8한 미친 도교인이 거리에서 약을 팔며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법 물약이 마시는 사람을 즉사시키거나 불멸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아무도 감히 시도하지 못했지만, 여동빈은 그 약을 사서 시도했고, 그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9폭우로 강 수위가 높아져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중 날씨가 악화되었다. 여동빈을 제외한 대부분의 승객들은 걱정했지만, 여동빈은 침착하게 대처하며 삶과 죽음에 대해 전혀 걱정하지 않았다.
10집에 혼자 있었는데 갑자기 귀신과 괴물들이 서로를 죽이고 여동빈에게도 똑같이 하려 했다. 여동빈은 두려움을 전혀 느끼지 않았다. 피투성이인 악마 무리가 전생에 여동빈이 그들의 목숨을 앗아갔으니 빚을 졌다고 말하며 그의 목숨을 빼앗으려 했지만, 여동빈은 “전생에 내가 당신의 목숨을 앗아갔으니, 당신도 내 목숨을 가져가세요. 이것이 공정합니다!”라고 말했다. 갑자기 하늘이 파랗게 변하고 귀신과 악마들이 사라졌다. 종리권은 이 모든 사건이 일어나는 동안 그를 지켜보며 웃었다.



이 10가지 시험은 여동빈이 순수하고 위엄 있는 사람임을 증명했고, 종리 스승은 여동빈을 난 산 허 링으로 데려가 그의 생명의 비밀을 전수하고 그 결과 "종-여 금단" 도교 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동빈은 그 비밀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고 대신 내면의 평화를 얻고 더 많은 인간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자신의 공식을 변경했다.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이 불사신이 되기 위해 그러한 길을 따랐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올바른 길을 걷도록 돕고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생활 조건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민간 신앙

여동빈은 학문적이고 영리하며, 사람들이 지혜와 깨달음을 얻고 를 배우도록 돕고자 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몇 가지 "결함"을 가진 것으로도 묘사되는데, 이는 도교 신선들에게 흔한 특징이다. 예를 들어, 술에 취하거나 격렬한 성격을 보이거나, 여성 편력이 심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3]

19세기 초부터 여동빈의 메시지는 부기(강신술)를 통해 전달되었으며, 이는 중국 전역에 여동빈 영서당(찬화궁(贊化宮)) 네트워크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영서당들은 의학적인 신탁과 치료 서비스도 제공했다. 홍콩과 광저우에 유명한 찬화궁이 설립되었다.[11] 19세기와 20세기 광둥에서는 여동빈에 대한 믿음이 강했으며, 부기(강신술) 강신회, 신들의 생일 축제, 장례 의식, 학교, 진료소 운영 및 재해 구호를 조직하는 사당들이 설립되었다.[12]

포주 영락현(현재의 산시성윈청 시예청 현) 출신으로, 스승 종리권에게서 비법을 전수받아 도사가 되었다고 한다. 등에 검을 멘 서생의 모습으로, 청년 혹은 중년 남성으로 묘사된다.

민간에서는 그를 경애하여, 13세기 원 무종으로부터 "순양연정경화부우제군" 칭호를 받아 정식 신선이 되었다. 이후 왕조에서도 신으로 공인되었으며, 도교에서의 보편적인 칭호는 '''부우제군'''이다.[13]

과거 수험자였으며, 교양 있는 출신이어서 뛰어난 시가를 여러 편 남겼다는 전승이 있다. 현대에도 여동빈이 지었다고 하는 수행서나 시가 작품이 다수 남아 있지만, 송나라 풍의 특징을 가진 작품이 많아, 다른 작가가 그 인기에 편승하여 가탁한 것으로 보인다.[13]

여동빈은 악정에 고통받는 민중을 돕기 위해 나타났다는 전승이 각지에 있으며, 삼국 시대의 무장 관우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인기가 있다. 치유, 무예, 시험, 재물, 오미쿠지, 이발사문구・유녀의 업신으로서, 도교에서는 주신으로 모시는 묘도 많다.[13]

전진교의 개조 왕중양에게 금단도의 구결을 전했다는 설화에서, 전진교에서는 특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13], 강남의 전진교 도사 묘선시는 송・원대 여동빈의 기적담을 묶어 '순양제군신화묘통기'를 편찬했다.

3. 3. 문학과 예술

여동빈은 보통 학문적이고 영리하며, 사람들이 지혜와 깨달음을 얻고 를 배우도록 돕고자 하는 진정한 열망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그는 몇 가지 성격적인 "결함"을 가진 것으로도 묘사되는데, 이는 다채로운 도교 신선들에게 흔한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신선들은 다양한 기이한 점을 가지고 있다.

  • 그는 종종 술에 취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종종 유쾌한 팔선에게는 드문 일이 아니었다. 이는 또한 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한 여러 도교 예술가들과도 유사하다.
  • 한 이야기에 따르면, 신선이 된 직후 그는 "어린" 신선으로서 매우 격렬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분노로 강둑을 변형시키기까지 했다.
  • 그는 신선이 된 후에도 (혹은 신선이 된 후에만) 여전히 여성 편력이 심했다고 전해지며, 이러한 이유로 낭만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에게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이는 또한 일부 도교 성적 수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여동빈은 또한 다작의 시인이었다. 그의 작품은 《전당시》(Quan Tangshi)에 수집되었다.


북송 시대부터 여동빈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이 이야기들은 주로 여동빈이 다른 사람들이 도(道)를 배우도록 돕는 내용이었다. 송사()에 따르면 여동빈은 진단()의 집을 여러 번 방문했는데, 진단은 태극도를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한 사람으로 여겨진다.[3]

여동빈의 선행은 중국 속담인 "개, 여동빈을 물다"( gǒu yǎo Lǚ Dòngbīn)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는 선(善)을 알아보지 못하고 호의를 악의로 갚는 것을 의미한다. 이 속담에 얽힌 이야기에 따르면, 여동빈은 한때 천궁에서 이랑신과 다투었고, 이로 인해 소천견은 여동빈에게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다. 어느 날, 소천견은 벌을 받아 인간 세상에 떨어졌고, 사람들에게 붙잡혀 개고기 가게에 팔리게 되었다. 그 무렵 여동빈도 인간 세상에 내려와 마침 그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그는 그 광경을 보고 그 개를 구해주었다. 그러나 그 개는 고마움을 나타내는 대신, 주인의 원한을 기억하고 그를 물었다.[4]

리하르트 빌헬름에 따르면, 여동빈은 금단(金丹)의 수련 학파인 금단교(金丹敎)의 창시자이자, ''태일금화종지''(), 즉 "''황금의 꽃의 비밀''"의 내용을 최초로 제시한 인물이다. 또한, 도교 전설에 따르면 그는 내공 무술 스타일인 "팔선검"()의 창시자이며, 이는 무당산의 무술 보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여동빈의 스승인 종리권은 불멸자가 되어 곧 천국으로 날아가려 했고, 여동빈에게 도(道)를 계속 수행하면 너도 곧 천국으로 날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동빈은 스승에게 지상의 모든 중생(다른 이야기에서는 그의 모든 친척)을 깨우친 후에야 하늘로 날아갈 것이라고 대답했다. ''팔선득도전''()에 따르면, 그의 이전 환생에서 여동빈은 종리권의 스승이었던 도교의 고승이었다.

도교 서적인 ''역대신선통감''()에 따르면, 여동빈은 고대 현인- "황담씨"()의 환생이다.

존경하는 쉬안화 스님에 따르면, 여동빈은 관세음보살 (관음보살)의 화신 중 하나이다.[5]

여동빈은 그의 마법 검으로 여러 마리의 중국 용을 죽였다.[3]

려동빈에 관한 가장 유명한 전설 중 하나는 그가 백모란(Bai Mudan)이라는 이름의 기생과 만났다는 이야기이다. 가장 유명한 버전은 소설 『동유기』에서 유래되었다.[6]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신선 려동빈은 뤄양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생 중 한 명인 백모란에게 크게 매료되었다고 한다. 려동빈은 그녀와 여러 번 잠자리를 같이했지만, 양기를 잃고 싶지 않았기에 사정하지 않았다. 불행히도 려동빈의 동료 신선 이철괴와 하선고는 백모란에게 그의 사타구니를 간지럽혀서 사정하게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다. 결국 백모란은 려동빈을 사정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고, 그의 양기를 흡수했다. 이후 그녀는 수련하여 신선이 되었다.[7]

또 다른 버전은 소설 『팔선득도』에서 유래되었다.[8] 이 버전은 좀 더 은유적인 묘사로, 성관계는 묘사되지 않는다. 어느 날, 신선 려동빈은 잘생긴 학자로 변신하여 유명한 기생 백모란에게 조언을 하려 한다. 첫 만남에서 백모란은 열정적으로 그를 유혹했지만, 그는 잠자리를 거절한다. 두 번째 만남에서 려동빈은 그녀와 잠자리를 갖기로 동의한다. 그러나 침대로 걸어가던 중 려동빈은 갑자기 배가 아프다고 울부짖으며 기절한다. 백모란은 그의 상태를 매우 안타까워하며, 그의 포주가 아픈 려동빈을 길에 버리라고 부추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돈으로 의사를 부른다. 려동빈(사실 아픈 척을 하고 있었다)은 백모란의 자비로운 마음에 매우 기뻐한다. 세 번째 만남에서 려동빈은 마침내 백모란을 설득하여 방탕한 삶을 청산하게 하는 데 성공한다. 그녀는 결국 신선이 된다.[7]

경극 버전에서는 백모란이 유혹적인 기생에서 약방 주인의 딸로 변경된다. 어느 날 려동빈이 그들의 가게에 와서 불가능한 약을 요구하며 소란을 피운다. 백모란은 아버지의 어려움을 알고 려동빈을 만나 그의 모든 질문에 답한다. 다투는 과정에서 그들은 마침내 연인이 된다.[9]

thumb]]

''여동빈(呂洞賓)의 월양루 삼취(三醉)''는 연극, 소설 및 기타 형태의 예술에서 자주 묘사되는 잘 알려진 중국 도교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두 정령, 버드나무와 매화를 불멸자로 만드는 여동빈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동빈은 이들을 인간으로 환생시켜 결혼시킨 후, 많은 고난을 통해 그들의 헌신을 시험했다. 이야기는 여동빈이 월양루를 방문하여 신이 되기를 원했지만 나무 몸에 갇힌 버드나무 정령을 만나는 것을 묘사한다. 여동빈은 버드나무 정령에게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 30년 후에 돌아와 돕겠다고 약속했다.[10]

버드나무 정령은 곽마이(郭馬兒)로, 매화 정령은 하라매(何辣梅)로 다시 태어났다. 그들은 성장하여 결혼했고, 월양루 아래에 찻집을 열었다. 여동빈은 곽마이를 두 번 방문했지만, 곽마이는 그의 지시를 이해할 수 없었다. 세 번째 방문에서 여동빈은 곽마이에게 아내를 죽이고 승려가 되라고 지시했다. 곽마이는 그럴 수 없었지만, 하라매는 결국 죽었고, 그는 그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져야 했다. 그날 늦게 여동빈이 돌아와 하라매가 실제로 죽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자 재판관들은 그들 모두가 변장한 불멸자라는 것을 깨달았다. 곽마이는 자신이 환생한 버드나무 정령이고, 하라매는 매화 정령임을 알게 되었다. 그들은 함께 여동빈을 따라 도(道)에 들어가 불멸자가 되었다.[10]

  • 텔레비전 쇼 ''성룡의 어드벤처''에서 여동빈은 불의 악마 션두를 봉인한 불멸자로 묘사되었다.
  • 성룡은 영화 ''포비든 킹덤''에서 여동빈을 연기했다.
  • 웹 소설 ''절대 무적''에서 여동빈은 진양 선인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중국 4대 누각(중국어: 四大名楼) 중 하나인 황학루의 전설에 등장하는 신선이 여동빈이라고도 한다.

4. 현대적 숭배

19세기 초부터 여동빈의 메시지는 부기(강신술)을 통해 전달되었으며, 이는 중국 전역에 여동빈 영서당 네트워크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영서당들은 찬화궁(贊化宮)이라고 불렸으며, 의학적인 신탁과 치료 서비스도 제공했다. 유명한 찬화궁은 홍콩과 광저우에 설립되었다.[11]

19세기와 20세기 광둥에서는 여동빈의 힘에 대한 믿음이 강했다. 1840년대 이후 백년 동안, 부기(강신술) 강신회, 신들의 생일 축제, 장례 의식, 학교, 진료소 운영 및 재해 구호를 조직하는 사당들이 추가로 설립되었다.[12]

여동빈은 악정에 고통받는 민중을 돕기 위해 나타났다는 전승이 각지에 있으며, 삼국 시대의 무장인 관우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인기가 있다. 치유의 신, 무신, 시험의 신, 재신(사금 채취의 신), 오미쿠지의 신, 이발사문구・유녀의 업신으로서, 도교에서는 주신으로 모시는 묘도 많다.[13]

또한, 전진교의 개조인 왕중양에게 시골 술집에서 금단도의 구결을 전했다는 설화에서, 전진교에서는 특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13] 강남의 전진교 도사였던 묘선시는 송・원대의 여동빈의 기적담을 묶어 '순양제군신화묘통기'를 편찬했다.

참조

[1] 서적 Mooncakes and Hungry Ghosts: Festivals of China China Books & Periodicals 1991
[2] 서적 The 49 Barriers of Cultivating the Dao Purple Cloud Press
[3] 서적 Discovering God: The Origins of the Great Religions and the Evolution of Belief HarperOne
[4] 서적 台灣俗語諺語辭典(精) https://books.google[...]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2022-07-01
[5] 간행물 Reflections in Water and Mirrors: Reversing the tide of destiny http://vbs.drbachine[...] 1995-05
[6] 웹사이트 Journey to the East (Dong You Ji)-Chinese text http://open-lit.com/[...]
[7] 서적 The Water God's Temple of the Guangsheng Monastery: Cosmic Function of Art, Ritual, and Theater https://books.google[...] BRILL 2021-10-01
[8] 웹사이트 Ba Xian Dedao http://guji.artx.cn/[...]
[9] 서적 Chinese Opera: Images and Stories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11-01
[10] 서적 八仙故事系统考论: 内丹道宗教神话的建构及其流变 https://books.google[...] 中華書局 2006
[11] 문서 Spirit Writing Groups in Modern China (1840–1937): Textual Production, Public Teachings, and Charity Brill
[12] 백과사전 Manifestations of Lüzu in Modern Guangdong: The Rise and Growth of Spirit Writing Cul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 문서 仙人の誕生:全真教と呂洞賓信仰を中心として 言叢社
[14] 웹사이트 伝説の仙人 呂洞賓が受けた10回の試練 https://archive.is/E[...] 株式会社大紀元, 特定非営利活動法人エポックメディア 2018-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