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모 루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모 루덴스는 네덜란드의 문화사가 요한 하위징아가 제시한 개념으로, 놀이를 인간의 본질적인 활동으로 간주하고, 놀이가 문화의 기원이며 본질적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하위징아는 인간을 지식인인 호모 사피엔스, 생산적인 호모 파베르와 더불어 놀이하는 인간, 즉 호모 루덴스로 정의하며, 놀이의 자유로운 특성, 현실과의 구분, 규칙과 질서의 창조, 물질적 이익과의 무관함을 강조했다. 또한, 놀이가 언어, 법, 전쟁, 예술, 철학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경쟁, 의례, 예술적 표현 등에서 놀이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현대 사회에서 여가와 소비 문화가 확산되면서 호모 루덴스적 경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게임, 인터넷 커뮤니티, 팬덤 활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책 - 동양 이야기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단편 소설집 《동양 이야기》는 동양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바탕으로 무소유, 공 등의 동양적 정서를 담아낸 작품으로, 서구적 해석의 한계와 문학적 역량에 대한 비평이 공존한다.
  • 1938년 책 - 혁명의 해부
    크레인 브린턴의 《혁명의 해부》는 영국, 프랑스, 러시아 혁명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혁명이 "희망과 온건함"에서 시작해 "공포 정치"를 거쳐 "독재"로 귀결되는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미국 혁명은 예외적인 사례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 놀이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 놀이 - 인형
    인형은 고대부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종교 의식, 놀이, 예술 작품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며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호모 루덴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랑스어판 표지, Gallimard
저자요한 하위징아
국가네덜란드
언어독일어
주제문화
사회
출판사Routledge & Kegan Paul, 런던, 1949년
Beacon Press, 보스턴, 1950년
Random House
출판일1938년
영어 출판일1949년

2. 역사적 배경

원래 인간은 지혜와 이성, 지식을 갖춘 호모 사피엔스(지식인)였으며, 생산과 노동에 정통한 호모 파베르(공작인)였다. 그런데 생산 또는 노동의 마당에서 소외된 인간성을 소비 또는 여가에서 찾으려고 하면서, 노동 윤리를 부정하고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을 적극적으로 쾌적하게 소비하려는 여가 윤리가 우세해졌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기분 풀이나 열광적인 광란 속에서 인생의 보람과 스릴을 느끼며 인간의 실존을 확인하려는 인간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1]

2. 1. 호모 사피엔스, 호모 파베르, 그리고 호모 루덴스

원래 인간은 지혜와 이성, 지식을 갖춘 호모 사피엔스(지식인)였으며, 생산과 노동에 정통한 호모 파베르(공작인)였다. 그런데 생산 또는 노동의 마당에서 소외된 인간성을 소비 또는 여가에서 찾으려고 하면서, 근검절약을 앞세우는 노동 윤리를 부정하고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을 적극적으로 쾌적하게 소비하려는 여가 윤리가 우세해졌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기분 풀이나 열광적인 광란 속에서 인생의 보람과 스릴을 느끼며 인간의 실존을 확인하려는 인간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1]

2. 2. 여가 윤리의 대두

근검절약을 중시하는 노동 윤리를 부정하고, 노동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을 적극적으로 쾌적하게 소비하려는 여가 윤리가 우세해졌다. 이에 따라 일시적인 기분 풀이나 열광적인 광란 속에서 인생의 보람과 스릴을 느끼며 인간의 실존을 확인하려는 인간이 등장하게 되었다.[1]

3. 놀이의 본질과 특성

하위징아는 놀이가 문화보다 오래되었으며, 동물들도 인간에게 놀이를 배우기 전부터 놀이를 했다고 주장한다. 놀이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재미이다.[7]

하위징아는 놀이가 가져야 할 5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8]

1. 놀이는 자유롭고, 사실상 자유 그 자체이다.

2. 놀이는 "일상" 또는 "현실"의 삶이 아니다.

3. 놀이는 장소와 지속 시간 면에서 "일상"의 삶과 구별된다.

4. 놀이는 질서를 만들고, 질서 그 자체이다. 놀이는 절대적이고 최고의 질서를 요구한다.

5. 놀이는 물질적인 관심과 관련이 없으며,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없다.[9]

하위징아는 의식 춤에서 한 사람이 캥거루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놀이라는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개념이 이 현상을 설명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판사의 가발은 단순한 시대착오적인 전문 복장의 유물이 아니라, 야만족의 춤추는 가면과 기능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것은 착용자를 또 다른 "존재"로 변모시킨다.[10]

하위징아는 다양한 언어에서 놀이를 나타내는 단어를 분석하여 놀이 개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탐구한다. 그는 특히 라틴어에서 놀이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인 ludusla가 로망스어에서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라졌다는 점에 주목한다.[12]

여러 자연 언어에서 놀이를 표현하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언어단어설명
그리스어[14]παιδιάgrc아이들의 놀이와 관련됨
ἄθυρμαgrc사소하고 하찮은 아이디어와 관련됨
ἀγώνgrc시합과 경기를 위해 사용됨
산스크리트어[15]krīdati동물, 어린이, 어른의 놀이를 나타냄
divyati도박, 주사위 놀이, 농담, 놀림 등을 나타냄
vilāsa빛남, 갑작스러운 등장, 놀이와 직업 추구 등을 나타냄
līlayati가볍고 사소하며 중요하지 않은 놀이의 측면을 나타냄
중국어[16] (wán)어린이의 놀이를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단어이며, 더 넓은 의미를 포괄함
(zhēng)경기에 관한 모든 것을 나타내며, 그리스어의 agon에 해당함
(sài)상을 위한 조직적인 경기를 나타냄
블랙풋어[17]koani모든 어린이의 놀이와 "애무"의 에로틱한 의미를 포함함
kachtsi조직적인 놀이를 나타냄
일본어[18]遊ぶ일본어 (asobu)놀이 기능을 위한 단일하고 매우 명확한 단어
셈어파 언어la’ab (어근, la’at와 동족어)놀이, 웃음, 조롱을 나타냄
la’iba (아랍어)일반적으로 놀이, 조롱, 놀리기를 나타냄[19]
la’ab (아람어)웃음과 조롱을 나타냄
sahaq (히브리어)웃음과 놀이를 나타냄
라틴어[20]luduslaluderela에서 파생되었으며, 놀이의 전체 영역을 포괄함


3. 1. 놀이의 정의와 특징

하위징아는 놀이가 문화보다 오래되었으며, 동물들도 인간에게 놀이를 배우기 전부터 놀이를 했다고 주장한다.[6] 놀이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재미이다.[7]

하위징아는 놀이가 가져야 할 5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8]

1. 놀이는 자유롭고, 사실상 자유 그 자체이다.

2. 놀이는 "일상" 또는 "현실"의 삶이 아니다.

3. 놀이는 장소와 지속 시간 면에서 "일상"의 삶과 구별된다.

4. 놀이는 질서를 만들고, 질서 그 자체이다. 놀이는 절대적이고 최고의 질서를 요구한다.

5. 놀이는 물질적인 관심과 관련이 없으며,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없다.[9]

하위징아는 의식 춤에서 한 사람이 캥거루가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양 사상이 이 개념을 표현하는 방식과 "원시적인" 종교가 이것을 바라보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종교 학자들은 서양 용어를 사용하여 비서양 개념을 설명한다. "그는 캥거루의 "본질"을 취했다. 야만인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그가 캥거루 놀이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야만인은 "존재"와 "놀이" 사이의 개념적 구별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 그는 "정체성", "이미지" 또는 "상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10] 이런 식으로 하위징아는 놀이라는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개념이 이 현상을 설명하기에 두 사회 모두에 더 적합하다고 제안한다.

판사의 가발은 단순한 시대착오적인 전문 복장의 유물이 아니다. 기능적으로는 야만족의 춤추는 가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것은 착용자를 또 다른 "존재"로 변모시킨다. 그리고 그것은 영국인에게 특유한 강한 전통 의식이 법에 보존된 유일한 아주 오래된 특징이 결코 아니다. 영국 법률 실무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는 스포츠적 요소와 유머는 고대 사회의 법의 기본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3. 2. 언어 속의 놀이 개념

호이징아는 다양한 언어에서 놀이를 나타내는 단어를 분석하여 놀이 개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탐구한다. 그는 특히 라틴어에서 놀이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인 ludusla가 로망스어에서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라졌다는 점에 주목한다.[12]

호이징아는 여러 자연 언어에서 놀이를 표현하는 단어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언어단어설명
그리스어[14]παιδιάgrc아이들의 놀이와 관련됨
ἄθυρμαgrc사소하고 하찮은 아이디어와 관련됨
ἀγώνgrc시합과 경기를 위해 사용됨
산스크리트어[15]krīdati동물, 어린이, 어른의 놀이를 나타냄
divyati도박, 주사위 놀이, 농담, 놀림 등을 나타냄
vilāsa빛남, 갑작스러운 등장, 놀이와 직업 추구 등을 나타냄
līlayati가볍고 사소하며 중요하지 않은 놀이의 측면을 나타냄
중국어[16] (wán)어린이의 놀이를 포함하는 가장 중요한 단어이며, 더 넓은 의미를 포괄함
(zhēng)경기에 관한 모든 것을 나타내며, 그리스어의 agon에 해당함
(sài)상을 위한 조직적인 경기를 나타냄
블랙풋어[17]koani모든 어린이의 놀이와 "애무"의 에로틱한 의미를 포함함
kachtsi조직적인 놀이를 나타냄
일본어[18]遊ぶ일본어 (asobu)놀이 기능을 위한 단일하고 매우 명확한 단어
셈어파 언어la’ab (어근, la’at와 동족어)놀이, 웃음, 조롱을 나타냄
la’iba (아랍어)일반적으로 놀이, 조롱, 놀리기를 나타냄[19]
la’ab (아람어)웃음과 조롱을 나타냄
sahaq (히브리어)웃음과 놀이를 나타냄
라틴어[20]luduslaluderela에서 파생되었으며, 놀이의 전체 영역을 포괄함


4. 놀이와 문화의 관계

요한 하위징아는 놀이가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는 놀이의 경쟁적 속성이 문명화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며, 고대 중국 씨족 사회의 축제와 콰키우틀족포틀래치 관행을 예시로 들었다.[22][23] 경쟁은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명예와 덕을 얻을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자기 가치, 즉 덕(ἀρετή)을 설득하는 방법이 된다.[26]

하위징아는 법, 전쟁, 철학, 예술, 시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놀이의 요소를 발견했다. 소송 절차에서는 우연의 게임, 경쟁, 언어 싸움과 같은 놀이 형태가 나타나며,[28] 전쟁은 신성한 유효성을 결정하거나 정의를 실현하는 놀이로 간주될 수 있다.[30][31] 그는 "놀이 정신이 없으면 문명은 불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33]

철학에서는 소피스트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들을 예언자, 시인 등의 연장선에 있는 존재로 보았다.[40] 예술 분야에서는 유파 간 경쟁을 놀이의 한 형태로 보았으며,[40] 시(poetry)는 마음의 놀이터 안에서 진행되는 놀이의 기능이라고 설명했다.[36] 그는 놀이와 시, 음악의 불가분한 관계를 언급하며, 특히 놀이와 음악의 관계는 더 높은 수준이라고 인정했다.[41]

4. 1. 놀이와 경쟁

하위징아는 놀이의 경쟁적 속성이 문명화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마르셀 그라네의 연구를 인용하며 고대 중국 씨족의 축제 관행을 예시로 드는데, 이들은 축하와 의식에 다양한 경연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경연은 씨족을 ''phratriai''라는 내부 집단으로 나누었고, 이는 사회적 위계가 되어 더 복잡한 문명의 기반을 마련했다.[22]

하위징아는 콰키우틀족 부족에서 발견되는 포틀래치 관행도 언급한다. 포틀래치는 두 집단 중 하나가 상대방에게 자신의 우월성을 과시하기 위해 대규모 선물을 하는 축제이다.[23] 이는 사치스럽고 낭비적이며, 심지어 파괴적인 경쟁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관행은 전 세계와 역사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마르셀 모스마하바라타를 거대한 포틀래치 이야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24]

하위징아는 포틀래치를 순수한 의미의 경쟁적 본능이자, 인간의 싸움의 필요에 대한 격렬한 표현으로 보았다. 그는 이를 "심각한 놀이, 운명적이고 치명적인 놀이, 피비린내 나는 놀이, 신성한 놀이"라고 묘사하며, 고대 사회에서 개인 또는 집단적 개성을 더 높은 힘으로 끌어올리는 놀이로 간주했다.[25]

하위징아는 경쟁이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찬사, 존경, 명예를 얻을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 즉 덕(ἀρετή)을 스스로 설득할 수 있게 해준다고 보았다. 그는 "덕, 명예, 고귀함, 영광은 처음부터 놀이의 영역인 경쟁의 영역에 속한다"고 결론짓는다.[26] 이러한 덕(ἀρετή)과 놀이의 연결은 하위징아에게 놀이를 문명과 연결하는 고리를 제공한다. 그는 귀족적인 삶을 위한 훈련이 국가를 위한 훈련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으며, 여기서 덕(ἀρετή)은 "폴리스"에서 시민이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적합성"을 의미하며, 경쟁을 통한 훈련이라는 개념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26]

4. 2. 놀이와 법

하위징아는 소송 절차에서 우연의 게임, 경쟁, 언어의 싸움이라는 세 가지 놀이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8] 이는 현대 법률 실무뿐만 아니라 고대 사회의 법적 절차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28]

4. 3. 놀이와 전쟁

하위징아는 전쟁이 신성한 유효성을 결정하거나 정의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무력 충돌을 점이나 법적 절차와 같은 정의의 한 방식으로 보았으며, 전쟁 자체를 일종의 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0][31] 그는 "그러한 게임이 모든 문명의 살아있는 원리임을 명심한다면 사회를 형식적 의미에서 게임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언급하며,[32] "놀이 정신이 없으면 문명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33]

4. 4. 놀이와 철학, 예술, 시

하위징아는 철학에서 소피스트의 역할을 강조하는데, 소피스트는 예언자, 의술사, 예언자, 요술가, 시인의 연장선에 있는 존재로 여겨진다.[40] 그는 소피스트를 고대 문화 생활의 중심 인물이었던 바테스와 연결 짓는다.

예술 분야에서는 유파 간 경쟁을 놀이의 한 형태로 보았다. 그는 "-ism"으로 끝나는 유행어가 있는 곳에는 항상 놀이 공동체의 흔적이 있다고 주장한다.[40]

시(poetry)와 관련하여, 하위징아는 ''포이에시스''(poiesis)가 놀이의 기능이라고 말한다. 시는 마음의 놀이터 안에서, 마음이 창조한 세계 안에서 진행되며, 그곳에서 사물들은 논리와 인과관계가 아닌 다른 유대 관계에 묶여 있다고 설명한다.[36] 그는 고대 시인의 진정한 호칭은 신에게 사로잡힌 자를 의미하는 ''바테스''라고 말한다.[37] 또한, 신화 창조(mythopoiesis)를 언급하며, 무형의 것과 무생물을 인격체로 표현하는 것은 모든 신화 창조와 거의 모든 시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39]

하위징아는 놀이와 시, 그리고 놀이와 음악의 불가분한 관계를 언급한다. 특히 놀이와 음악의 관계는 훨씬 더 높은 수준이라고 인정한다.[41] 그러나 "시, 음악, 춤에서 조형 예술로" 시선을 돌릴 때, 그는 "놀이와의 연결이 덜 명확해지는 것을 발견한다".[42] 하지만,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에서 사회 환경에서 그것들이 받아들여지는 방식으로 시선을 돌린다면, 새로운 "-ism"이 낡은 "-ism"에 대항하는 투쟁이 놀이의 특징을 나타낸다고 보았다.[44]

5. 현대 사회와 호모 루덴스

사생활 존중주의가 횡행하는 현대 사회에서 레저를 추구하고 노는 것 자체를 추구하는 향락인, 또는 여가 중심형의 인간을 많이 볼 수 있다. 호이징가는 이러한 가치관에 입각해서 인생의 의의를 소비, 레저, 놀이, 향락에서 찾으며, 그것을 자기목적화해 추구하는 인간을 호모 루덴스라고 불렀다. 원래 인간은 지혜와 이성과 지식을 갖춘 호모 사피엔스(지식인)였으며, 생산과 노동에 정통한 호모 파베르(공작인)였다. 그런데 생산 또는 노동의 마당에서 소외된 인간성을 소비 또는 여가 가운데서 찾아보려고 하여 근검절약을 앞세우는 노동 윤리를 부정하고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을 적극적으로 쾌적하게 소비하려는 여가 윤리가 우세해짐에 따라 일시적인 기분풀이라든가 열광적인 광란 속에서 인생의 보람과 스릴을 느끼며 인간의 실존을 확증해 보려고 애쓰는 인간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8]

5. 1. 현대 문명 속 놀이 요소

호이징아는 현대 정치, 특히 미국의 선거 운동에서 나타나는 놀이 요소를 지적한다. 그는 미국의 선거 운동이 양당제로 축소되기 훨씬 전부터 일종의 전국적인 스포츠로 발전해왔다고 보았다.[46]

5. 2. 한국 사회와 호모 루덴스

한국 사회에서도 여가와 소비 문화가 확산되면서 호모 루덴스적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들은 노동 윤리를 부정하고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려는 여가 윤리가 우세해짐에 따라 일시적인 기분 풀이나 열광적인 광란 속에서 인생의 보람과 스릴을 느끼며 인간의 실존을 확인하려 한다.[8] 쾌락주의적 또는 향락주의적인 가치관은 직업, 계층, 성별, 연령을 떠나 점차 널리 퍼지고 있다.[8]

6. 비판과 한계

(빈 문서)

참조

[1] 서적 World War II: the Encyclopedia of the War Years, 1941–1945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2-08-15
[2] 서적 Homo Ludens as a Comic Character in Selected American Fil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0-25
[3] 웹사이트 Homo Ludens http://art.yale.edu/[...] Routledge 2014-03-17
[4] 서적 The Architecture of Use: Aesthetics and Function in Architectural Desig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03
[5] 웹사이트 JM Latin English Dictionary {{!}} Free Latin Dictionary http://www.latin-dic[...] 2016-09-19
[6] 문서 Huizinga 1955, p. 1.
[7] 문서 Huizinga 1955, p. 3.
[8] 문서 Huizinga 1955, p. 8–10.
[9] 문서 Huizinga 1955, p. 13.
[10] 문서 Huizinga 1955, p. 25.
[11] 문서 Huizinga 1955, p.28
[12] 문서 Huizinga 1955, p. 36.
[13] 문서 Starting from his remark on Professor Buytendijk's use of the word "love-play", Huizinga remarks that in his own opinion "it is not the act as such that the spirit of language tends to conceive as play; rather the road thereto, the preparation for and introduction to 'love', which is often made enticing by all sorts of playing.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one of the sexes has to rouse or win the other over to copulating". Today one uses the word [[foreplay]] to describe this "love-play". Huizinga, 1955, p. 43.
[14] 문서 Huizinga 1955, p. 30.
[15] 문서 Huizinga 1955, p. 30–31.
[16] 웹인용 The information on the Blackfoot language used by Huizinga comes from [[:nl:C.C. Uhlenbeck|Professor Christianus Cornelis Uhlenbeck]]. Huizinga 1955, p. 33. See the book ''Montana 1911: A Professor and his Wife among the Blackfeet'' for further details behind this contribution of the Blackfoot Indian language to Homo Ludens. https://web.archive.[...] 2009-02-18
[17] 문서 The information on the Blackfoot language used by Huizinga comes from [[:nl:C.C. Uhlenbeck|Professor Christianus Cornelis Uhlenbeck]]. Huizinga 1955, p. 33. See the book ''Montana 1911: A Professor and his Wife among the Blackfeet'' for further details behind this contribution of the Blackfoot Indian language to Homo Ludens.
[18] 문서 Huizinga acknowledges the assistance of Professor [[Johannes Rahder]], Huizinga 1955, p.34. Having identified a single word, Huizinga then goes on to explain that the matter is more complicated, Specifically, he mentions ''bushido'' (which was enacted in play-forms) and later ''asobase-kotoba'' (literally play-language — for polite speech, the mode of address used in conversation with persons of higher rank).
[19] 문서 Huizinga makes a point of noting that this Arabic word is used for the "playing" of a musical instrument, as in some modern European languages. Huizinga 1955, p. 35.
[20] 문서 Huizinga then makes a point of noting that ''jocus'', ''jocari'' does not mean play proper in classical Latin. Huizinga 1955, p. 35. The primary reason for making this point here is that later he shall note the disappearance of ''ludus'' to be supplanted by ''jocus'' in the emergence of the Romance languages.
[21] 문서 Huizinga 1955, p. 46.
[22] 서적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Routledge & Kegan Paul Ltd.
[23] 서적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Routledge & Kegan Paul Ltd. 1949
[24] 서적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Routledge & Kegan Paul Ltd. 1949
[25] 서적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Routledge & Kegan Paul Ltd. 1949
[26] 서적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Routledge & Kegan Paul Ltd. 1949
[27] 문서 Huizinga 1995, p. 77.
[28] 문서 Huizinga 1955, p. 84.
[29] 문서 Huizinga 1955, p. 90.
[30] 문서 Huizinga 1955, p. 91.
[31] 문서 Note from the translator: "Huizinga's own English MS. replaces this third factor by 'the cessation of normal social conditions'." Huizinga 1955, p. 91.
[32] 문서 Huizinga 1955, p. 100–101.
[33] 문서 Huizinga 1955, p. 101.
[34] 문서 Huizinga 1955, p. 105.
[35] 웹인용 Huizinga 1955, p. 109. Details of the contest are not easy to come by. Just after the fall of Troy, Mopsos meets Chalcas. Chalcas points to a fig tree and asks him: How many figs are there on that fig tree over there? Mopsos answers 9; Chalcas say 8. Chalcas is wrong and drops dead on the spot. [http://www.au-grand-jardin.info/augrandjardin/b/banian/symboles.htm Symboles, mythes et légendes]. https://web.archive.[...] 2015-06-29
[36] 서적 Huizinga 1955
[37] 서적 Huizinga 1955
[38] 서적 Huizinga
[39] 서적 Huizinga 1955
[40] 서적 Huizinga 1955
[41] 서적 Huizinga 1955
[42] 서적 Huizinga 1955
[43] 서적 Huizinga 1955
[44] 서적 Huizinga 1955
[45] 서적 Huizinga 1955
[46] 서적 Huizinga 1955
[47] 웹사이트 Homo Ludens https://web.archive.[...] Routledge 1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