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피스트는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한 유랑 지식인으로, 다양한 삶의 기술, 특히 수사학 및 대중 연설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그들은 수사학과 변론술을 통해 사람들을 설득하는 방법을 가르쳤으며, 아테네 민주주의 발전과 법률 및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등이 대표적이며,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소피스트의 상대주의적 태도와 돈을 받고 가르치는 행위를 비판했다. 소피스트는 현대 사회에서 '궤변가'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제2 소피스트 운동을 통해 로마 제국 시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교육자 - 파나이티오스
파나이티오스는 기원전 185년경 로도스 섬에서 태어나 스토아 학파의 중추적인 인물로,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등과 교류하며 스토아 철학을 전파하고 윤리학에서 독자적인 사상을 전개했으며, 저서 『의무론』은 키케로에게 영향을 주었다. - 고대 그리스의 교육자 - 크세노크라테스
크세노크라테스는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철학자이자 플라톤의 제자이며 아카데미의 제3대 학장으로, 플라톤 사상을 계승 및 발전시키고 형이상학과 윤리학에서 독자적인 이론을 전개했으며 수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 철학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철학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소피스트 | |
---|---|
개요 | |
구분 |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지식 옹호자 |
주요 활동 | 변론술 교육, 철학적 논쟁, 정치적 자문 |
대표 인물 |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히피아스 트라시마코스 |
배경 | |
시대적 배경 |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의 혼란, 민주정의 발전 |
사회적 요구 | 정치적 성공을 위한 변론술 능력의 중요성 증대 |
사상적 특징 | |
상대주의 | 진리는 주관적이며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 |
실용주의 | 이론적 탐구보다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 |
회의주의 | 보편적인 진리의 존재에 대한 의문 제기 |
인간 중심주의 | 인간의 감각과 경험을 지식의 근원으로 강조 |
교육 방법 | |
변론술 교육 | 설득력 있는 주장과 반론을 펼치는 기술 훈련 |
다양한 지식 교육 | 철학, 정치, 윤리,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 전달 |
토론과 논쟁 |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과 논리적 추론 능력 향상 |
비판 | |
소크라테스의 비판 | 진리 추구보다는 승리에만 집착하는 태도 비판 |
플라톤의 비판 | 상대주의적 인식론과 도덕적 회의주의 비판 |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 변론술을 악용하여 대중을 현혹하는 행위 비판 |
영향 | |
수사학 발전 | 변론술의 이론과 기술 발전 |
윤리학 발전 | 도덕적 상대주의 논쟁 촉발 |
인식론 발전 | 지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심화 |
정치 사상 발전 |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시민 교육 중요성 강조 |
기타 | |
어원 | 그리스어 "소피스테스(σοφιστής)"에서 유래 |
의미 | 지혜로운 사람, 현자, 지식 옹호자 |
2. 어원
그리스어 단어 σοφός|sophos|현명한 사람el는 명사 σοφία|소피아|지혜el와 관련이 있다. 호메로스 시대부터 전문 분야 또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마차 운전사, 조각가 또는 군사 전문가가 각자의 직업에서 sophoiel로 불릴 수 있었다. 이 단어는 점차 일반적인 지혜, 특히 정치, 윤리 및 가계 관리와 같은 인간사에 대한 지혜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것은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의 그리스 7현인 (예: 솔론과 탈레스)에게 부여된 의미였으며, 헤로도토스의 역사에도 나타나는 의미였다.[1]
소피스트의 출현은 소피스트 이전 철학자들의 한계와 아테네 사회의 변화라는 두 가지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σοφόςel라는 단어에서 동사 σοφίζω|sophizo|가르치다/배우게 하다el가 파생되었으며, 이 동사의 수동태는 "현명해지다" 또는 "영리하거나 숙련되다"를 의미한다. 이 동사에서 "장인의 달인"에서 나중에는 "신중한 사람" 또는 "현명한 사람"을 의미하는 명사 σοφιστής|sophistesel가 파생되었다. 여러 언어에서 "소피스트"를 나타내는 단어는 sophistesel에서 유래했다.
"소피스트"라는 단어는 다른 그리스어 단어와 결합되어 합성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로는 대략 "천체의 현상에 대한 전문가"로 번역되는 ''meteorosophist'', "짐노소피스트"(또는 "벌거벗은 소피스트", 인도 철학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 ''deipnosophist'' 또는 "저녁 식사 소피스트"(아테나이오스의 Deipnosophistaeel의 제목과 같이), 그리고 후기 로마 시대의 의사 유형인 ''iatrosophist''가 있다.
3. 소피스트의 출현 배경
소피스트 이전 철학자들은 우주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각자의 주장만 고집하여, 인간 이성의 능력에 대한 회의주의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철학은 인간 지식의 문제에 집중하는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0~480)에서 아테네가 승리한 후, 아테네는 부와 권력을 가진 민주주의 사회를 이루었다. 이러한 변화는 대중을 설득하는 능력이 중요해지는 환경을 만들었고, 소피스트들은 떠돌이 교사나 외교관으로서 아테네에 와서 수사학과 변론술을 가르치며 아테네의 관습과 문화를 바꾸는 데 기여했다. 이들은 여러 과목을 가르치고, 언어와 문화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사학을 활용하는 유랑 지식인들이었다.[2] 소피스트들은 아테네가 번성했기 때문에 가르치기 위해 아테네로 갔고, 토론에 능숙한 이들에게 좋은 일자리였으며, 초기 소피스트들의 전문 분야였으며, 그들은 추구하던 명성과 부를 얻었다. 프로타고라스는 이러한 전문 소피스트의 시초로 여겨진다.[3]
3. 1. 자연 철학의 한계와 회의주의 대두
소피스트 이전의 철학자들은 우주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제시했지만, 일관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 여러 학파는 각자의 주장만을 고집했고, 자연 철학자들은 알맞은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은 자연의 진리를 발견할 수 있는 인간 이성의 능력에 대한 회의주의적 분위기를 초래했고, 철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 인간 지식의 문제에 집중하게 되었다.
3. 2. 아테네 민주주의의 발전과 사회 변화
기원전 490년부터 기원전 480년까지 벌어진 페르시아 전쟁에서 아테네가 승리하면서 아테네 사회는 부와 권력을 가지게 되었고, 민주주의가 발전했다.[2] 기원전 594년 솔론의 입법, 기원전 507년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을 거치면서 아테네에는 민주주의가 형성되었다.[3] 이는 기존의 유력하고 부유한 씨족에 의한 독재를 방지하고, 선거와 추첨을 통해 국민(여성, 미성년, 노예 제외)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사회 변화는 정치적 성공을 위해 대중에게 자신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능력이 중요해지는 환경을 조성했다. 당시에는 대중 매체, 인쇄기, 텍스트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주로 연설에 의존해야 했다.[2] 아테네인들은 배심원, 포럼, 상원에서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대화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했고, 사람들을 납득시키고 지지를 얻는 기술, 즉 화술 습득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수사학과 변론술을 가르치는 소피스트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아테네 출신이 아닌 타 지역 출신의 소피스트들은 아테네의 관습과 문화를 새롭게 바라보고, 이에 대한 탐구적인 질문을 제기할 수 있었다.
4. 활동
기원전 5세기 후반, 특히 아테네에서 "소피스트"는 여러 과목을 가르치고, 언어와 문화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사학을 활용하는, 대개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거나 납득시키는 부류의 유랑 지식인들을 지칭하게 되었다.[2] 이들은 그리스 전역을 여행하며 수사학, 변론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쳤다. 주로 부유한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했으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적 성공을 위한 설득 기술을 강조했다. 당시 아테네는 비(非)노예 시민들의 언론 자유와 풍부한 자원으로 인해 소피스트들의 활동 중심지가 되었다. 소피스트들은 토론에 능숙한 이들에게 좋은 일자리였던 아테네에서 가르치며 명성과 부를 얻었다.[2]
솔론의 입법(기원전 594년)과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기원전 507년)을 거쳐 아테네에 민주주의가 형성되었다. 세계사에 처음 등장하는 민주주의는 기존의 유력하고 부유한 씨족에 의한 독재를 방지하고, 선거와 추첨을 통해 국민(여성, 미성년, 노예 제외)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펠로폰네소스 전쟁 무렵부터 평의회는 설득력 있는 웅변으로 언론을 지배하는 데마고그(선동적 민중 지도자)가 나타나 기능을 잃었다.
이러한 사회 상황에서 정치적 성공을 원하는 사람들은 대중에게 자신의 주장을 설득시키는 능력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자신감 넘치게 말함으로써 사람들을 납득시키고 지지를 얻는 기술, 즉 화술 습득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웅변 기술을 배우려는 사람들과 소피스트의 관계가 성립하게 되었다.
4. 1. 프로타고라스의 상대주의와 교육
프로타고라스는 지식이 개인을 중심으로 상대성과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귀족적인 덕 대신, 민중이 배워야 할 폴리스의 덕으로 수치심을 아는 것, 정의, 우애를 가르쳤다.[2] 프로타고라스는 아레테(탁월함 또는 덕)가 출생이 아닌 훈련의 결과라고 주장했다.[3]4. 2. 고르기아스의 회의주의와 언어의 힘
고르기아스는 존재에 대해 불가지론적이고 회의주의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언어가 감정에 미치는 극적인 효과를 중요하게 생각했다.[2] 고르기아스는 기만과 설득을 통해 사람들을 적절한 때에 맞는 행동으로 이끌어 가는 데 힘썼다. 그의 유명한 연설 중 하나인 "헬레네 찬가"는 수사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연설에서 고르기아스는 이미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헬레네를 정당화하는,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시도했다. 그는 이중 반대, 반복되는 긍정적 자질의 연결, 통찰력 있고 일관된 주장을 통해 점차 한 여성의 불명예를 씻어냈다. 훗날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르기아스의 연설에서 사용된 방법을 "고르기아스 형상"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모든 표현은 연설의 유형과 청중에 따라 달라졌으며, 청중이 제시된 주장에 가장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냈다.4. 3. 프로디코스의 언어와 문명 발전
프로디코스는 자연에서 출발하여 언어와 지식을 전달하는 문명의 인위적인 발전을 강조했다. 특히 '헤라클레스의 선택'이라는 덕론(德論)이 유명하다.[2]4. 4. 히피아스의 백과전서적 지식과 교육
히피아스는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추구했으며, 웅변가와 정치가 교육은 전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2] 그는 자연의 법과 인위적인 법의 대립을 조정하려 했으며, 수학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했다.[2]4. 5. 기타 소피스트들의 활동
트라시마코스는 '힘이 곧 정의'라는 논법을 펼쳤고, 칼리클레스는 기회주의적이고 배덕적인 사상을 주장했다.[2] 안티폰은 자연법과 인위법의 대립을 주장했다. 크리티아스에 대한 내용은 원문에 언급되지 않았다.5. 주요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 트라시마코스, 고르기아스, 프로디코스, 히피아스, 안티폰, 크리티아스는 대표적인 소피스트들이다.[2] 이들은 기원전 5세기 후반, 특히 아테네에서 활동하며 여러 과목을 가르치고, 언어와 문화의 본질을 탐구했으며, 수사학을 활용하여 사람들을 설득하는 유랑 지식인들이었다.[2]
소피스트들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발달과 함께 등장했다. 당시 아테네인들은 토론에 능숙한 인재를 필요로 했고, 소피스트들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명성과 부를 얻었다.[2] 이들은 주로 수사학과 대중 연설을 가르쳤는데, 이는 개인의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술이었다.[2]
대부분의 소피스트들은 자신의 일뿐만 아니라 도시 운영에도 필요한 "아레테"(탁월함 또는 덕)를 가르친다고 주장했다. 프로타고라스는 아레테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훈련으로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3]
소피스트에 대한 평가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반대자들의 저술에 크게 의존하여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2] 고르기아스처럼 일부 원본 작품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단편적인 인용 형태로만 전해진다.
5. 1. 프로타고라스
프로타고라스는 당대에 가장 유명하고 성공적인 소피스트 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4]와 같은 일부 후대 철학자들은 그를 소피스트라기보다는 철학의 창시자로 보기도 한다. 프로타고라스는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삶, 특히 정치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가르쳤다. 그는 진실이 논쟁의 한쪽에만 국한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제자들에게 양쪽 관점에서 모두 논증하는 훈련을 시켰다. 그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으며, 특히 인식론에서 여러 철학적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파편으로 남아있다. 그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으며, 이 말은 그의 저서 ''진리''의 첫 문장이다.[5]5. 2. 고르기아스
고르기아스는 회의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수사학의 대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9] 그는 반직관적이고 인기가 없는 입장을 더 강력하게 보이게 하는 저술을 남겼다. 특히,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소실된 작품 ''무에 관하여''를 저술하여, 생각과 존재는 다르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설득하려 했다.[9] 또한, 헬레네가 트로이 전쟁을 일으킨 것에 대해 비난받을 수 있는 모든 이유를 제시하고 각각을 반박하는 ''헬레네 찬가''를 저술하기도 했다.5. 3. 트라시마코스
트라시마코스는 기원전 5세기 소피스트로,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여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4. 프로디코스
케오스 출신의 소피스트 프로디코스는 언어의 정확한 사용을 강조했으며, '헤라클레스의 선택'이라는 우화로 유명하다.[2] 그는 단어의 올바른 사용과 동의어 구분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5. 5. 히피아스
히피아스는 다방면에 박식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자연법과 인위법의 조화를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 그는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은 지식을 가진 것으로 유명했다.5. 6. 안티폰
안티폰은 소피스트 중 한 명으로, 자연법 사상을 주장했다. 그는 꿈 해몽에 관한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2]5. 7. 크리티아스
플라톤의 친척이자 소크라테스의 제자였으며, 아테네 과두정 시기에 활동했다.[2]6. 비판과 논란
소피스트는 돈을 받고 지식을 가르치고, 전통적 가치관에 도전하는 상대주의적 주장을 펼쳤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다.[2] 기원전 5세기 아테네는 민주주의 실험과 함께 연설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소피스트들이 설득 기술을 가르치며 인기를 얻었다.[2] 그러나 소피스트라는 이름은 당시부터 부정적인 의미로 통용되기도 했다. 이들은 금전과 교환하여 덕을 가르치고, 논리의 힘으로 상대를 꺾는 궤변을 가르친다는 소문으로 대중의 반발을 샀다.[2]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를 상대를 설득하는 수완에 뛰어난 자로 정의하고 철학자와 구별하면서, 변증법을 "무지의 자각"과 진리 탐구에 사용하여 소피스트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소피스트가 "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면서 "덕을 가르친다"고 주장하며 돈을 받고 자신의 사상 등을 가르친 점이 비판받았다.[2]
6. 1. 아리스토파네스의 풍자
아리스토파네스는 자신의 희극 작품 《구름》에서 소크라테스를 소피스트의 대표적인 인물로 묘사하며, 이들을 교묘한 말솜씨와 궤변으로 빚을 갚지 않으려는 인물들로 풍자했다.[16] 아리스토파네스는 소피스트와 철학자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고, 돈만 주면 어떤 주장이든 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비판했다.[16]6. 2. 플라톤의 비판
플라톤은 자신의 대화편에서 소피스트들을 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돈과 명성을 좇는 자들로 묘사했다.[22] 그는 소피스트를 젊고 부유한 사람들을 노리는 돈을 받는 사냥꾼, 지식의 상인 등으로 묘사하며, 철학자와 소피스트를 구별하려 했다.[22] 플라톤은 소피스트가 진정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물에 대한 의견만을 제시한다고 보았으며, 그들을 진실의 그림자로 묘사했다.[22]플라톤은 소피스트를 철학자와 구별하면서, 소피스트는 속임수로 생계를 유지하는 반면 철학자는 진리를 추구하는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철학자에게 더 큰 신뢰를 부여하기 위해 소피스트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22]
플라톤의 여러 대화편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소피스트를 반박하는 모습이 묘사된다. 이러한 텍스트들은 종종 소피스트를 좋지 않게 묘사하며, 플라톤의 묘사가 얼마나 정확하고 공정한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로타고라스와 프로디코스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묘사된다.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인간이 스스로 무엇을 믿을지 결정한다는 의미이다.[23]
소크라테스는 변증법을 "무지의 자각"을 위해 사용하고, 진리 (플라톤에서는 이데아)의 탐구로 향하게 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와의 대비를 통해 소피스트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소피스트가 "덕을 가르친다"고 말하면서 "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면서, 그것을 가르칠 수 있다고 칭하고 돈을 받았던 것이 비판받았다.
6. 3. 소크라테스와의 관계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들과 마찬가지로 대화와 질문을 통해 진리를 탐구했지만, 소피스트들과는 달리 가르침에 대해 돈을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17]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가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발명했다고 기록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자기 비하적이고 질문하는 태도를 보였다.[18][19]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에 대해 완전히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한 대화에서 소크라테스는 심지어 소피스트가 자신보다 더 나은 교육자라고 말했으며,[20] 이는 그의 제자 중 한 명을 소피스트 밑에서 배우도록 보냄으로써 입증했다.[21] W. K. C. 거스리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 철학사》에서 소크라테스를 소피스트로 분류했다.[21]소피스트는 "덕을 가르친다"고 말하면서 "덕"이 무엇인지 문제 삼지 않고, "덕과 같은 것"으로 자신의 사상 등을 가르치며 돈을 받은 것이 비판받았다. 소피스트는 상대를 설득하는 수완에 뛰어난 자로 정의되고 철학자와 구별되는데, 소크라테스는 변증법 (dialektikē)을 "무지의 자각"을 위해 사용하고 진리 (플라톤에서는 이데아) 탐구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소피스트와 대비된다.
7. 현대적 의의 및 영향
소피스트에 관한 초기 저작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초기 소피스트들은 교육과 지혜를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받았고, 이는 플라톤, 크세노폰,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비판받았다.[25]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가정교사였던 아리스토텔레스도 소피스트로 비난받을 수 있었는데, 그는 필리포스 2세에게 돈 대신 파괴된 고향 스타게이로스의 재건을 요구했고, 필리포스 2세는 이를 수락했다. 키케로는 플라톤이 고르기아스에서 소피스트를 공격하며 지혜와 웅변을 분리했다고 비난했다.[25] 이러한 저술들로 인해 소피스트는 "겉만 번지르르한" 또는 "기만적인"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하타노 세이이치는 소피스트들이 사회와 괴리되던 고대 그리스 학문을 사회생활과 연결하고 지식을 보급한 것은 "불멸의 대업적"이라고 평가했다.[39] 소피스트들은 변설로 타인의 마음을 움직여야 하는 필요성에 직면하여 인간 심리를 고찰했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학설을 검토하며 인식론에서 회의론을 주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에게는 진지한 학문이었던 회의론이 현실에 응용되면서 "어떤 설이든 사람을 설득하면 좋다"는 악한 회의론으로 전락하여 사회 질서를 흔들었다는 평가도 있다.[40]
7. 1.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
기원전 5세기 후반, 아테네는 민주주의를 실험하고 있었고, 소피스트들은 이러한 아테네의 정치 체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소피스트들은 수사학, 대중 연설 등 다양한 삶의 기술을 가르쳤는데, 이는 당시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부를 얻는 데 중요한 자질이었다. 특히 아테네는 비노예 시민들의 언론 자유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소피스트들의 활동 중심지가 되었다.[26]소피스트들은 공공 토론에 대한 전문성을 옹호하여 새로운 민주주의에 기여했다. 이는 의사 결정의 기초가 되었고, 다른 사람의 신념에 대한 관용을 허용하고 요구했다. 이러한 자유로운 태도는 소피스트들이 점점 더 영향력 있는 의뢰인을 확보하면서 아테네 민회에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27] 지속적인 수사 훈련은 아테네 시민들에게 "설득력 있는 연설을 통해 공동체의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부여했다.[28] 이는 민주주의에 중요했는데, 아테네 민회에서 서로 다른, 때로는 표면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은 견해가 들릴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소피스트들은 세계 최초의 변호사로서 법의 초기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변호사로서 그들의 지위는 논쟁에 대한 고도로 발달된 기술의 결과였다.[29] 하타노 세이이치는 사회생활과 괴리되는 경향을 보이던 고대 그리스의 학문을 사회생활과 연결하고, 그 지식을 보급한 것이 "소피스트가 이룩한 학술 문화사상의 불멸의 대업적"이라고 언급했다.[39]
7. 2. 법률 및 교육 분야 영향
소피스트는 서구 세계에서 최초로 말하기와 글쓰기 기술을 가르친 공식적인 교사였다. 시머스 맥 수빈은 소피스트의 일반적인 교육, 특히 의학 교육에 미친 영향을 설명했다.[30] 수잔 자렛은 소피스트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인식론적 분야와는 완전히 다른 분야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소피스트에게 웅변술은 돈을 버는 수단이었다. 그들은 학생들에게 설득의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변증법과 수사학이라는 두 가지 기술에 집중했다. 소피스트는 학생들에게 소피즘과 모순(반대[31]) 사용법이라는 두 가지 주요 기술을 가르쳤다. 훌륭한 수사가는 자신의 의견과 정반대의 의견을 모두 옹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모순은 소피스트에게 중요했다. 소피스트의 주요 목적은 단어 사용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해 논쟁에서 승리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진실은 없고, 중요성은 같지만 서로 다른 의견만 있을 뿐이며, "진실"은 수사가가 가장 설득력 있게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확신했다.
소피스트는 자신이 아는 주제에 대해서만 연설하지 않았다. 그들에게는 논쟁할 수 없는 주제가 없었는데, 그들의 기술이 그런 수준에 도달하여 완전히 알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면서 청중과 상대방에게 깊은 인상을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주요 목적은 청중에게 접근하고, 그들을 기쁘게 하고, 연설을 그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었다. 플라톤의 접근 방식과는 달리, 소피스트 수사가는 진실을 밝히는 데 집중하지 않고,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고르기아스는 연설이 정교한 접근 방식의 완벽한 예가 되는 첫 번째 소피스트이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연설 중 하나는 "헬레네 찬가"인데, 이것은 수사학 예술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 연설에서 고르기아스는 거의 불가능한 일, 즉 이미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헬레네를 정당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르기아스의 연설에서 사용된 수단을 "고르기아스 형상"이라고 묘사했다.
하타노 세이이치는 사회생활과 괴리되는 경향을 보이던 고대 그리스의 학문을 사회생활과 연결하고, 그 지식을 보급한 것이 "소피스트가 이룩한 학술 문화사상의 불멸의 대업적"이라고 언급했다[39]。 고대 그리스의 학문은 형이상학과 자연학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변설로 타인의 마음을 움직여야 할 필요성에 직면한 소피스트는 인간의 심리 고찰을 스스로 해야만 했다. 소피스트는 인식론에서 회의론을 주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소피스트의 학문적 공적이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에 있어서는 진지한 학문이었던 회의론도 현실 생활에 응용되는 순간 악한 회의론으로 전락하여 "어떤 설이든 사람을 설득하면 그것으로 좋다"는 생각을 낳게 되었다. 그 결과, 고대 그리스의 사회 질서가 크게 흔들렸다는 것이 하타노의 소피스트 평가이다[40]。
소피스트들은 법의 초기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그들은 세계 최초의 변호사였기 때문이다. 변호사로서의 그들의 지위는 논쟁에 대한 고도로 발달된 기술의 결과였다.[29] 소피스트가 수행한 사회적 역할은 아테네 정치 체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소피스트는 공공 토론에 대한 전문성을 옹호함으로써 새로운 민주주의에 기여했는데, 이는 의사 결정의 기초가 되었고, 다른 사람의 신념에 대한 관용을 허용하고, 어쩌면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유로운 태도는 소피스트가 점점 더 영향력 있는 의뢰인을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아테네 민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27] 지속적인 수사 훈련은 아테네 시민들에게 "설득력 있는 연설을 통해 공동체의 가능성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부여했다.[28]
7. 3. 철학적 논쟁 유발
소피스트들은 기원전 5세기 후반, 아테네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여러 과목을 가르치고, 언어와 문화의 본질을 탐구하며, 수사학을 활용해 사람들을 설득하는 유랑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청중을 사로잡는 능력이 뛰어났으며,[2] 토론에 능숙한 이들에게 유리한 환경이었던 아테네에서 명성과 부를 얻었다. 프로타고라스는 최초의 전문 소피스트로 여겨지며, 고르기아스, 프로디코스, 히피아스, 트라시마코스 등도 유명한 소피스트였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반대자들의 저술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2]당시 그리스는 민주주의를 실험하며 대중 연설의 중요성이 커졌고, 소피스트들은 법원과 상원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가르치며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철학자이자 교사로서 그리스를 여행하며 수사학과 대중 연설 등 다양한 삶의 기술을 가르쳤는데, 이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부를 얻는 데 중요한 자질이었다. 아테네는 언론의 자유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소피스트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피스트들은 정해진 가르침 없이 의미론, 수사학, 존재론, 인식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대부분 "아레테"('탁월함' 또는 '덕')를 가르친다고 주장했다. 프로타고라스는 아레테가 출생이 아닌 훈련의 결과라고 주장했다.[3]
초기 소피스트들은 교육의 대가로 돈을 받았기 때문에 부유층에게 고용되었고, 이는 플라톤, 크세노폰,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비판받았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가정교사였던 아리스토텔레스도 소피스트로 비난받을 수 있었는데, 그는 필리포스 2세에게 돈 대신 파괴된 고향 스타게이로스의 재건을 요구했고, 필리포스 2세는 이를 수락했다. 키케로는 플라톤이 고르기아스에서 소피스트를 공격하며 지혜와 웅변을 분리했다고 비난했다.[25] 이러한 저술들로 인해 소피스트는 "겉만 번지르르한" 또는 "기만적인"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하타노 세이이치는 소피스트들이 사회와 괴리되던 고대 그리스 학문을 사회생활과 연결하고 지식을 보급한 것은 "불멸의 대업적"이라고 평가했다.[39] 소피스트들은 변설로 타인의 마음을 움직여야 하는 필요성에 직면하여 인간 심리를 고찰했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학설을 검토하며 인식론에서 회의론을 주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에게는 진지한 학문이었던 회의론이 현실에 응용되면서 "어떤 설이든 사람을 설득하면 좋다"는 악한 회의론으로 전락하여 사회 질서를 흔들었다는 평가도 있다.[40]
7. 4. 제2 소피스트 운동
로마 제국 시대인 3세기의 필로스트라토스는 저서 『소피스트 열전』[41]에서 고전 시대의 소피스트를 재정의했다. 이 책 등에서 로마 제국 시대의 그리스어 변론가도 소피스트로 불렸는데, 이들을 "제2 소피스트"라고 한다.제2 소피스트는 1세기 후반부터 지적 생활의 주요 표현이었다. "제2 소피스트"라는 용어는 필로스트라토스에서 유래했으며, 그는 "새로운 소피스트"라는 용어를 거부하고 기원전 4세기의 웅변가 아이스키네스를 이 운동의 시작점으로 추적했다. 그러나 그 초기 대표자는 1세기 후반의 스미르나의 니케테스였다. 기원전 5세기의 원래 소피스트 운동과 달리 제2 소피스트는 정치에 거의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그레코로만 사회의 일상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고 실질적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고등 교육을 지배하고 여러 형태의 문학에 흔적을 남겼다.[33]
제2 소피스트 시대 동안 그리스 수사학은 로마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라틴 수사학 연구는 그리스 수사학 연구의 선례 때문에 금지되었다. 또한 그리스 역사는 로마 엘리트의 교육에서 로마 역사보다 선호되었다.[34]
참조
[1]
서적
A Lexicon Abridged from Liddell and Scott's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2]
서적
Plato protagor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Sophists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4]
서적
Outlines of Pyrrhonism
[5]
서적
Markets and measurements in nineteenth-century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7]
서적
Adv. Math.
[8]
서적
Pyrrh. Hyp.
[9]
서적
Philosophy & Rhetoric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The Sophists
Basil Blackwell
[13]
서적
[14]
서적
[15]
문서
Aristophanes' "clouds"; Aeschines 1.173; Diels & Kranz,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80 A 21
[16]
서적
Socrates and the Political Community: An Ancient Debat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7]
학술지
Socratics versus Sophists on Payment for Teaching
[18]
서적
Rereading the Sophists: Classical Rhetoric Refigure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Older Sophists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
서적
History of Greek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History of Greek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서적
Protagoras and Logo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3]
학술지
Protagoras' Man-Measure Fragment
[24]
학술지
Protagoras and the Challenge of Relativism: Plato's Subtlest Enemy
[25]
서적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An Introduction
Allyn and Bacon
[26]
웹사이트
Demos: Classical Athenian Democracy
http://www.stoa.org/[...]
2003-02-28
[27]
서적
The Older Sophists
Hacker Publishing Company
[28]
서적
Rereading the Sophists: Classical Rhetoric Refigure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9]
서적
Seven Sages as Performers of Wisdom
Oxford University Press
[30]
학술지
Sophists, sophistry, and modern medical education
[31]
백과사전
Hegel's Thesis-Antithesis-Synthesis Model
Springer
[32]
학술지
Roman Education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33]
서적
Peregrinus
[34]
학술지
Cicero at School
[35]
백과사전
Sophism
http://dictionary.re[...]
[36]
백과사전
Sophism
https://www.merriam-[...]
[37]
백과사전
Sophists
http://www.iep.utm.e[...]
[38]
백과사전
The Sophists
http://plato.stanfor[...]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哲学者・ソフィスト列伝
京都大学学術出版会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