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틴어는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로마에서 사용되었으며 로망스어군의 모체 언어이다.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 북부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6-5세기경 한 부족의 언어로 자리 잡았고, 기원전 3세기 무렵 문자로 발전했다.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속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근현대 라틴어 등 여러 시기를 거치며 유럽의 학술, 외교,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에도 바티칸 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며, 생물학, 법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 용어로 활용된다. 또한, 영어 등 여러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모토와 상호, 고유 명사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티칸 시국의 언어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바티칸 시국의 언어 - 교회 라틴어
교회 라틴어는 4세기 말 서방 교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가톨릭 교회의 공용어 및 로마 전례어로 사용되며, 교황청 문서 작성, 전례, 신학 연구 등에 활용된다. - 구라티움 문화 - 알바 롱가
알바 롱가는 고대 이탈리아의 도시로, 로마 신화에 따르면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건국 이전 라틴족의 중심 도시였으나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과 베스타 신앙의 중심지였다. - 구라티움 문화 - 라틴족
라틴족은 기원전 1000년경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계 민족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라티알 문화를 형성하고 도시국가를 건설, 공동 종교 의례를 통해 동족 의식을 유지했고, 로마 건국 신화의 기원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 팽창과 함께 라틴어는 로망스어군의 기반이 되었다. - 라틴어 - 고전 라틴어
고전 라틴어는 후기 로마 공화정부터 초기-중기 로마 제국 시대 라틴 문학의 표준어로, 특정 작가들의 모범적인 언어로 간주되며 황금기와 은세기로 나뉘고 문체와 발음 변화를 겪으며 후대 로망스어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라틴어 - 중세 라틴어
중세 라틴어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르네상스 시대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한 형태로, 고전 라틴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회 공용어,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서유럽의 언어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라틴어 | |
---|---|
지도 정보 | |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라틴어 |
로마자 표기 | lingua Latina |
발음(IPA) | /ˈlɪŋɡʷa ɫaˈtiːna/ |
고유어 이름 | Latinum |
발음(IPA) | ɫaˈtiːnʊ̃ |
사용 지역 | 라티움 고대 로마 |
민족 | 라틴인 로마인 |
사용 시기 | 기원전 7세기부터 서기 700년경까지 (모국어로서)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라틴-팔리스키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
문자 | 라틴 문자 |
공용 기관 | 교황청 라틴어 학술원 |
ISO 639-1 | la |
ISO 639-2 | lat |
ISO 639-3 | lat |
Glottolog(임페리얼 라틴) | impe1234 |
Glottolog(라틴어) | lati1261 |
Lingua | 51-AAB-aa, -ab, -ac |
![]() | |
관련 정보 | |
참고 | 라틴어 표기법 브리태니커 - 라틴어는 왜 사어가 되었는가? |
2. 역사
라틴어는 여러 단계로 구분되는데, 각 단계는 어휘, 용법, 철자, 구문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학자에 따라 강조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단정적인 분류 기준은 없으며, 단계 구분과 명칭에 변형이 존재한다.[85] 교회 라틴어는 고대 후기부터 로마 가톨릭교회 저술가들과 프로테스탄트 학자들이 사용한 문체를 가리킨다.
라틴어는 원래 이탈리아반도 중부 라티움 지방(로마를 중심으로 한 지역, 현재 이탈리아 라치오주)에서 라틴족이 사용한 언어였다. 고대 로마, 로마 공화정, 로마 제국에서 공용어가 됨에 따라 로마 제국의 광대한 영토(유럽 대륙 서부와 남부, 아프리카 대륙 북부, 아시아 일부)로 전파되었다.[85]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라틴어는 로마 문화권의 고전 문학을 전승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력을 확장하는 기독교회를 통해 가톨릭교회의 공용어로서 유럽 각지에 퍼지고, 의례 언어(祭祀宗敎用語)로 사용되면서 중세 라틴어로 발전했다. 르네상스를 맞이하면서 자연과학, 인문과학, 철학을 위한 지식 계급의 언어가 되었으며, 문헌 언어 및 학술 용어로서 근세 유럽까지 발전·유지되었다.[85]
현재도 라틴어는 바티칸의 공용어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각종 학회, 의학, 자연과학, 수학, 철학, 공업 기술 등 각 전문 지식 분야에서는 세계 공통의 학명으로 라틴어 명칭을 붙여 발표하는 전통이 있으며, 새로운 발견을 라틴어 학술 논문으로 발표하는 등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85] 스위스에서는 여러 공용어가 있어 기재 공간이 부족한 경우 라틴어 표기를 공공기관이 허용하고 있다. 오전·오후를 나타내는 a.m.(ante meridiem)·p.m.(post meridiem)과 같은 약어나 바이러스(virus), 데이터(data)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어 중에도 어원이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85]
2. 1. 발생과 계통
라틴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 로망스어족 언어들의 모태가 되었다. 문법적으로 언어의 계통을 보면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79]이탈리아반도 북동쪽, 오늘날 아드리아 해안의 발칸반도 북부지역에 퍼져 살던 사람들이 라틴 부족의 선조였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라틴 부족이 언제 어디서 이탈리아 반도로 들어와 살게 되었는지는 오늘날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역사, 고고학 및 문헌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원전 약 2000년을 전후로 이탈리아반도의 북동쪽에 살던 사람들이 라틴 부족의 선조였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라틴어가 한 부족의 언어로 틀을 잡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약 6-5세기로 여겨지며, 구어에서 문어로 발전된 것은 기원전 약 3세기를 전후로 추측된다. 라틴어가 고대 로마와 함께 로마와 그 주변 지역에서 뿌리를 내리기 전, 낱말이나 문법에서 서로 많은 차이가 있는 두 종류 이상의 언어가 라틴어와 공존하여 쓰인 것으로 보인다. 삼니움 지역의 오스키어와 움브리아 지역의 움브리어는 라틴어와 마찬가지로 지역 언어로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3세기 로마인의 세력 확장에 따라 점차 사라지거나 라틴어에 동화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1세기에 이르러서 완전히 자취를 감춘 것으로 여겨진다.
라틴어는 이탈리아어파 언어이므로, 어휘의 대부분 역시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상 언어인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밀접한 문화적 교류로 인해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 단어도 차용했다.[79] personala("가면"), histriola("배우") 등이 그 예시이다. 라틴어에는 또 다른 이탈리아어파 언어인 오스칸어에서 차용한 어휘도 포함되어 있다.
타란토 함락(기원전 272년) 이후 로마인들은 헬레니즘화, 즉 그리스 문화의 특징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camerala(천장이 둥근 지붕), sumbolumla(상징), balineumla(목욕탕)과 같은 그리스어 단어 차용이 포함된다.[79] 이러한 헬레니즘화는 그리스어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알파벳에 "Y"와 "Z"를 추가하게 되었다.[80]
로마 제국의 확장과 그에 따른 주변 유럽 부족들과의 무역으로 인해 로마인들은 게르만어 기원의 beberla(비버)와 켈트어 기원의 bracaela(바지)와 같은 북부 및 중부 유럽 단어들을 차용했다.[81] 몰락 이후 전 로마 제국의 라틴어 사용 지역에서의 라틴어 방언들은 각 지역의 특정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라틴어 방언들은 서로 다른 로망스어로 발전했다.
기독교가 로마 사회에 수용된 이후, 그리스어 또는 히브리어 차용어 또는 라틴어 신조어로 기독교 어휘가 언어의 일부가 되었다.[82] 중세 시대에도 라틴어는 고대 영어와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를 포함한 주변 언어에서 더 많은 단어를 통합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라틴어 사용 인구는 의미 있는 어절을 접사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형용사, 명사 및 동사를 만들어냈다.[83] 예를 들어, "전능한"을 뜻하는 합성 형용사 omnipotensla는 "모든"을 의미하는 형용사 omnisla와 "강력한"을 의미하는 potensla에서 omnisla의 마지막 ''s''를 제거하고 연결하여 만들어졌다.
고대 라틴어는 라틴어가 속한 이탈리아어파가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켄툼어파로 분류되며, 인도유럽조어의 및 는 라틴어에서도 K, G로 유지되었다. 이탈리아어파 사용자가 이탈리아 반도에 나타난 것은 기원전 2천년기 후반으로 여겨지며, 라틴어 사용자가 라티움 지방(현재 이탈리아, 라치오주)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8세기였다.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라틴어 비문은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시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까지의 라틴어는 후대의 라틴어와 구분되어 고대 라틴어로 불린다. 이 시대의 라틴어는 어휘 등의 면에서 인접했던 에트루리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고대 라틴어에서 사용된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C(Γ의 이체자)는 의 음을 나타냈다. I는 와 , V는 와 의 음가를 가졌다. 다섯 개의 모음 자(A, E, I, O, V)는 장단 모두를 나타냈지만, 문자 위에서 장단의 구별은 없었다.
기원전 3세기가 되면 C는 의 음도 나타내는 것이 일반화되고, K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특정 어휘에만 남았다. 또한, 의 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문자 G가 만들어져 사용되지 않던 Z[87]의 위치에 대체되었다.
고대 라틴어에는 고전 라틴어에 남는 주격, 호격, 속격(소유격), 여격(간접 목적격), 대격(직접 목적격), 탈격에 더해, 장소를 나타내는 소격(처격, 지격, 위격, 의격, 어격 등이라고도 함)이 있었다.
2. 2. 고대 라틴어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2세기)
가장 오래된 형태의 라틴어는 고대 라틴어(Old Latin) 또는 초기 라틴어라고도 불린다. 전통적으로 기원전 753년에 건국된 로마 왕국부터 로마 공화정 후기인 기원전 75년까지, 즉 고전 라틴어 시대 이전에 사용되었다.[4] 비문과 플라우투스(Plautus)와 테렌티우스(Terence)의 희극과 같은 가장 오래된 라틴어 문학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라틴 알파벳은 에트루리아 알파벳에서 유래하였다. 초기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방식 또는 역행서기[5][6] 방식이었지만, 결국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식으로 고정되었다.[7]
라틴어가 속한 이탈리아어파는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켄툼어파로 분류되며, 인도유럽조어의 및 는 라틴어에서도 K, G로 유지되었다. 이탈리아어파 사용자가 이탈리아 반도에 나타난 것은 기원전 2천년기 후반으로 여겨지며, 라틴어 사용자가 라티움 지방(현재 이탈리아, 라치오주)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8세기였다.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라틴어 비문은 기원전 7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시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까지의 라틴어는 후대의 라틴어와 구분되어 '''고대 라틴어'''로 불린다. 이 시대의 라틴어는 어휘 등의 면에서 인접했던 에트루리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고대 라틴어에서는 다음 21자의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하단에는 현재의 자형을 적고 있다. 이것은 서방 그리스 문자·초기의 에트루리아 문자·고이탈리아 문자의 알파벳을 거의 준수한 것이다:
C(Γ의 이체자)는 의 음을 나타냈다. I는 와 , V는 와 의 음가를 가졌다. 다섯 개의 모음 자(A, E, I, O, V)는 장단 모두를 나타냈지만, 문자 위에서 장단의 구별은 없었다.
기원전 3세기가 되면 C는 의 음도 나타내는 것이 일반화되고, K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특정 어휘에만 남았다. 또한, 의 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문자 G가 만들어져 사용되지 않던 Z의 문자[87]의 위치에 대체되었다.
고대 라틴어에는 고전 라틴어에 남는 주격, 호격, 속격(소유격), 여격(간접 목적격), 대격(직접 목적격), 탈격에 더해, 장소를 나타내는 소격(처격, 지격, 위격, 의격, 어격 등이라고도 함)이 있었다. 명사의 활용에서는, 제2변화 명사의 단수 여격 및 복수 주격이 -oīla였다. 고전 라틴어에서 제2변화 명사 단수 어미 -us, -umla는 이 시대 각각 -os, -omla이었다. 또한, 복수 속격 어미는 -ōsumla(제2활용)이었고, 이것은 나중에 -ōrumla이 되었다. 이와 같이 고대 라틴어 시대 말기에는 모음 사이의 s가 r이 되는 「로타시즘」이라는 변화가 일어났다.
2. 3. 고전 라틴어 (기원전 1세기 ~ 기원후 2세기)
기원전 75년경부터 서기 200년경까지, 공화정 말기부터 제정 초기에 걸쳐 교양 있는 사람들에 의해 고전 문학의 위대한 작품들이 탄생했다. 이는 의식적인 창작의 산물이었으며, 오늘날의 교습용 문법들은 학교들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이 학교들은 교육받은 언어를 유지하고 계승하는 데 전념하는 일종의 비공식적인 언어 아카데미 역할을 했다.[8][9]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저술한 갈리아 전기la(Commentarii de Bello Gallico)는 다음 구절로 시작한다.
> 갈리아는 전체가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그중 한 부분에는 벨가이족이, 다른 부분에는 아키타니족이, 세 번째 부분에는 그들의 언어로 켈트족이라 하고 우리는 갈리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언어, 관습, 법률이 서로 다르다. 갈리아인들을 아키타니인들과는 가론 강이, 벨가이인들과는 마르나 강과 센 강이 구분한다. 이들 중에서 가장 용감한 것은 벨가이인들이다. 그 이유는 그들이 로마 속주(프로빈키아)의 문명과 교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상인들이 자주 그곳에 드나들며 마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들을 가져오는 일이 가장 적으며, 라인 강 건너편에 사는 게르만족과 가까이 있고 그들과 끊임없이 전쟁을 치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헬베티이족도 다른 갈리아인들보다 용맹에서 앞서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거의 매일 게르만족과 싸우기 때문이다. 그들은 게르만족을 자기들의 영토에서 몰아내거나 게르만족의 영토에서 전쟁을 치르기 때문이다.
라틴어는 원래 이탈리아반도 중부 라티움 지방(로마를 중심으로 한 지역, 현재 이탈리아 라치오주)에서 라틴족이 사용한 언어였으나, 고대 로마, 로마 공화정, 로마 제국에서 공용어가 됨에 따라 로마 제국의 광대한 영토로 전파되었다. 라틴어는 전파 과정에서 그리스어로부터 많은 어휘를 받아들였고, 학문·사상 등의 활동에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라틴어가 지배적인 지역은 로마 제국의 서쪽에 한정되었고, 동쪽은 그리스어가 우세한 지역이었다.
기원전 1세기 이후 수세기에 걸쳐 사용된 라틴어는 '''고전 라틴어'''(고전기 라틴어)라고 불린다. 후대 중세, 그리고 현대에 사람들이 배우는 "라틴어"는 일반적으로 이 고전 라틴어를 가리킨다. 이 고전 라틴어는 문어이며 많은 문헌이 남아 있지만,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언어는 '''속라틴어'''(구어 라틴어)라고 불린다. 이 속어 라틴어가 현대의 로망스어로 변화해 갔다.
고대 라틴어와 마찬가지로, scriptio continuala(스크립티오 콘티누아, 잇닿아 쓰기)라고 하여, 단어끼리 띄어 쓰는 습관이 없었다(비문 등에서는 작은 가운뎃점과 같은 것으로 단어를 구분한 예도 있다). 알파벳도 키케로(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 시대까지는 X까지 21글자였다. 또한, 대문자만을 사용했다.
K는 KALENDAE 등의 다른 경우에는 고유 명사에 한정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C가 의 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단, 는 QV로 표기했다). C는 , G는 로 발음되었다.[88]
기원 초에 그리스어 기원의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Y와 Z[89]가 추가되어, 알파벳은 23글자가 되었다.
Y를 포함한 6개의 모음 글자는 장단 모두를 나타냈지만, 계속해서 표기상의 구별은 되지 않았다.
고전 라틴어의 억양은 현대 로망스어에 보이는 것과 같은 강세 억양이 아니라, 현대 한국어와 같은 피치 억양(고저 억양)이었다고 여겨진다(강세 억양이라고 하는 설도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고대 라틴어의 소격(처격, 지격, 위격, 의격, 어격 등이라고도 함)은 일부 지명 등을 제외하고는 소멸하고, 여섯 개의 격(주격, 호격, 속격, 여격, 목적격, 탈격)이 사용되었다. 또 이전 시대의 어미 -os, -omla는 고전기에는 -us, -umla이 되었다.
현재 고전 라틴어라고 불리는 것은 이 시대의 문어이다. 발음의 변화가 일어나 AE, OE가 , 로, BS, BT가 , 로 변화했다(철자는 변하지 않았다). 같은 자음이 연속되는 겹자음은 장음화되었다.[90]
이 시대의 말(속라틴어)에서는, 문장 끝의 -sla는 뒤에 모음이 이어지지 않는 한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 aula는 일상에서는 로 읽혔다. 이와 같이 고전기에는, 구어와 고풍스러운 특징을 남긴 문어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었다.
2. 3. 1. 황금기 라틴 문학 (기원전 1세기경)
기원전 1세기경 황금기 라틴 문학을 대표하는 주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Julius Caesar)
- 베르길리우스(Vergilius)
- 오비디우스(Ovidius)
2. 3. 2. 백은기 라틴 문학 (1세기경)
기원전 1세기경에는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베르길리우스, 오비디우스가 활동했다. 1세기경에는 세네카, 타키투스, 마르티알리스가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2. 4. 속라틴어 (2세기 ~ 8세기)
고전기가 끝나면서 사람들이 말하는 라틴어는 고전어에서부터 변화가 점차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시대에 대중이 사용했던 라틴어는 '''속라틴어'''('''구어 라틴어''')라고 불린다. 2세기 또는 3세기 무렵부터 속라틴어적인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시대가 내려갈수록 변화는 커졌고, 지역별 차이도 명확해졌다.고전 라틴어에는 Y를 제외하면 5개의 모음이 있었고, 장단을 구별하면 10개의 모음이 있었지만, 속라틴어가 되면서 이들은 다음과 같은 7개의 모음이 되었다.
: , , , , , ,
고전기의 장모음 는 로, 는 로 변화했다. 또 단모음 와 는 속라틴어에서는 각각 와 가 되었다. 고전기의 V는 자음으로서 로 발음되었지만, 속라틴어 시대에는 로 변화했다. 더 나아가 억양은 피치 악센트에서 현대 로망스어와 유사한 강세 악센트로 바뀌었다. 고전기의 와 도 변화를 겪었다. 이들은 전설모음(나 ) 앞에서는 연화되어 구개음화(경구개음화)하여 각각 , 의 소리가 되었다.
속라틴어에서는 동사 등의 활용에도 변화가 생겼다. 동사의 미래 시제에서는 고전기의 -bo 대신 habere(갖다)의 활용형을 어간 끝에 붙인 형태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지시어 ille은 형태가 변화하여 점차 관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명사의 굴절에서는 격변화가 단순화되어 주격과 목적격은 동일(특히 여성명사)하게 되었고, 소유격과 여격도 통합되었다. 단순화된 명사의 격을 대신하여 전치사가 발달했다. 예를 들어 소유격 대신 de가, 여격 대신 a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와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머지않아 명사의 격변화는 소멸되었고, 프랑스에서도 12세기 무렵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다키아에서 사용된 후의 루마니아어를 제외하고는 격변화는 사라졌다. 이러한 문법적 특징뿐만 아니라, 음운 면과 어휘에서도 지역별 차이를 크게 만들어낸 속라틴어는, 마침내 로망스어라고 불리는 어파를 형성했다.
2. 5. 중세 라틴어 (8세기 ~ 15세기)

중세 라틴어는 고전 시대 이후 라틴어와 대응하는 방언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서기 700년경~1500년경)에 사용된 라틴어 문어이다. 구어는 여러 로망스어로 발전했지만, 교육받은 계층과 공식적인 세계에서는 자연스러운 구어 기반 없이 라틴어가 계속 사용되었다. 이 라틴어는 게르만족과 슬라브족 국가들처럼 라틴어를 사용한 적이 없는 지역으로도 퍼져나갔으며, 신성 로마 제국 회원국들과 그 동맹국들 사이의 국제적 의사소통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로마 제국의 제도가 라틴어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상실하면서, 중세 라틴어는 언어적 결합력 면에서 더 자유로워졌다. 예를 들어 고전 라틴어에서는 완료 및 과거완료 수동태(복합 시제)에 보조동사로 sumla과 eramla을 사용했지만, 중세 라틴어에서는 와 을 대신 사용할 수 있었다.[18] 많은 단어의 의미가 바뀌었고, 종종 방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단어들이 도입되었다. 고전 라틴어 문법에 맞지 않는 독특한 개인적인 스타일도 두드러진다.[18]
2. 6. 근현대 라틴어 (17세기 이후)
라틴어는 19세기 말까지 학술 언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강의와 기록은 라틴어로 이루어졌으며, 장 칼뱅은 《기독교 강요》를 프랑스어로 쓴 후 라틴어로 번역했다.[98] 그리스어는 고대 문헌 연구나 번역에 주로 사용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는 라틴어 전례로 미사를 집전했다.[99] 성공회에서도 라틴어 전례 용어를 사용한다. 생물학에서는 린네의 분류법에 따라 생물종을 라틴어로 표기하며, 다른 학술 명칭에도 라틴어가 많이 사용된다.라틴어 | 루마니아어 | 이탈리아어 | 프랑스어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 | 아로마니아어 | 로만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 사르데냐어 | 시칠리아어 | 코르시카어 | 롬바르디아어 | 리구리아어 | 피에몬테어 | 아스투리아스어 | 아라곤어 | 갈리시아어 |
---|---|---|---|---|---|---|---|---|---|---|---|---|---|---|---|---|---|---|
amare (아마레) | aimer | amare | aimer | amar | amar | a ama | aimàr | amare | amâ | amare | amari | amassi | amar | amâ | amà | amar | amar. aimer | amar |
amicus (아미쿠스) | amic | amico | ami | amigo | amigo | amicu | ami, amitg | amic | amì | amare | amicu | amacu | amis | amigo | amis | amigu | amigo | amigo |
bonus (보누스) | bun | buono | bon | bueno | bom | bunu | bun | bon | bon | bonu, boni | bonu | bonu | bon | bon | bon | bonu | bono, buen | bo |
brevis (브레위스) | bref | breve | bref/brève | breve | breve | breu | brev | brev | breve | brebe | breve | breve | breu | brêve | brèf | breve | breu | breve |
cantare (칸타레) | cănter | cantare | chanter | cantar | cantar | cãntu | chantar, cantar | cianter | cjantâ | cantare | cantari | cantà | cantar | cantâ | canté | cantar | cantar | cantar |
causa (카우사) | coisa | cosa | chose | cosa | coisa | coisa | chaussa, caussa, tgossa, chosa | cossa | cjosse, čhosse | cosa | cosa | causa | còssa | causa | còsa, còssa | cousa, cosa | cosa | cousa |
familia (파밀리아) | familie | famiglia | famille | familia | familia | fumealje | fumegl, famagl, fameglia | familià | famee | famìgghia | famigghia | famiglia, famidda, famighja | fameja | famìggia | famija | familia | familha | familia |
fortis (포르티스) | foarte | forte | fort | fuerte | forte | forta | fort | forc | fuart | folte, forte, forti | forti | forte | fort | fòrte | fort, forz | fuerte | fuerte | forte |
homo (호모) | om | uomo | homme | hombre | homem | om | um | uòm | omp, om | omine | omu, òminu | omu | òmm, òmen | òmmo | òm, òmon | home | ombre | home |
littera (리테라) | literă | lettera | lettre | letra | letra | literã | letra | littera | letare, lètare | lítara, lítera | littra, lìttira | littera | letra | lettia | leta | lletra | letra | letra |
Mars (마르스) | Marte | Marte | Mars | Marte | Marte | Marte | Mar | Marz | Mart | Marti, Martzu | Marti | Marte | Marte | Marte | Mar | Marzu | Marte | Marte |
nomen (노멘) | nume | nome | nom | nombre | nome | numã | num, nom | inom, inuem | non | nòmini | nomu, nomi | nomu | nómme | nómme | nòm | nome, ñome, nom | nombre | nome |
porta (포르타) | poartă | porta | porte | puerta | porta | poartã | porta | port | puarte | polta, porta, pota | porta | porta | pòrta | pòrta | porta, port | puerta | portada | porta |
sal (살) | sare | sale | sel | sal | sal | sari, sare | sal, sel | sel | sâl | sale | sali | sale | saa | sâ | sal | sal | sal | sal |
terra (테라) | sară | terra | terre | tierra | terra | tsarã | tiara, terra | tera, tiera | tiere | tèrra | terra | terra, tarra | tera | tæra | tèra | tierra | tierra | terra |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지어 미사를 허용했지만, 로마 전례의 언어는 여전히 라틴어이다. 트리엔트 미사는 라틴어로 거행되며, 바오로 6세 미사는 현지어로 거행되지만 라틴어로도 가능하다. 교황청의 공식 언어는 라틴어이며, 공보인 Acta Apostolicae Sedisla와 로마 로타의 업무 언어이다. 바티칸 시국에는 라틴어 현금자동입출금기가 있다.[28] 교황청립 대학교의 교회법 대학원 과정은 라틴어로 진행된다.
서구의 많은 기관, 정부, 학교는 라틴어를 모토로 사용한다.[30] 캐나다의 모토는 A mari usque ad marela이며, 대부분의 주 모토도 라틴어이다. 캐나다 빅토리아 십자훈장은 라틴어 Pro Valorela를 사용한다. 스페인의 모토 Plus ultrala도 라틴어에서 유래했다.[31]
미국의 비공식 국가 모토는 ''E pluribus unum''이었으며, 여러 주에서 라틴어 모토를 사용한다. 군사 조직(예: 미국 해안 경비대 Semper Paratusla, 미국 해병대 Semper Fidelisla)과 대학(예: 하버드 대학교 Veritasla)도 라틴어 모토를 사용한다.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자들은 고전 라틴어를 복원하려 했고, 근대에도 라틴어는 지식인들의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토마스 모어(『유토피아』), 에라스무스, 데카르트(Cogito, ergo sumla), 뉴턴(프린키피아) 등이 라틴어로 저술했다.
학문 세계에서 라틴어는 여전히 권위 있는 언어이며, 학술 용어에 사용된다. 생물의 학명은 라틴어나 그리스어 단어를 라틴어풍으로 표기한다.
국가나 단체의 모토, 기념비 등에 라틴어가 사용되는 것은 교양과 품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중등 교육에서 라틴어가 필수였으나, 현재는 선택 과목이다.
현대에는 라틴어 대화가 거의 없지만, 라틴어 위키피디어(Vicipaediala) 등 라틴어 관련 활동이 존재한다. 핀란드 국영 방송은 라틴어 뉴스를 방송한다.
바티칸 시국은 라틴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지만, 콘클라베 선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 등 예식에 주로 사용되며, 일상에서는 이탈리아어가 사용된다. 베네딕토 16세의 퇴위는 라틴어 문서 낭독으로 이루어졌다.
3. 문자
라틴어는 에트루리아 문자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V, X)로 쓰여졌으며, 에트루리아 문자는 다시 그리스 문자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하였다.[73] 이 문자는 여러 세기에 걸쳐 로망스어, 켈트어, 게르만어, 발트어, 핀우그리아어 및 많은 슬라브어 (폴란드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체코어)의 문자로 사용되어 왔으며, 베트남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많은 튀르크어족, 그리고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대부분의 언어를 포함한 전 세계 많은 언어에서 채택되어, 단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 체계가 되었다.
라틴 문자의 자음 수는 다양했다. 에트루리아 문자에서 처음 유래했을 때는 21자만 포함되어 있었다.[74] 나중에, 이전에는 'C'로 표기되었던 를 나타내기 위해 'G'가 추가되었고, 당시 언어에는 유성 치경 마찰음이 없었기 때문에 'Z'는 문자에서 제외되었다.[75] 'K', 'Y', 'Z'는 나중에 그리스어 차용어에서 각각 그리스 문자 카파, 웁실론, 제타를 나타내기 위해 추가되었다.[75]
'W'는 11세기에 일부 지역에서는 'VV'에서, 다른 지역에서는 'uu'에서 만들어졌다. 이것은 라틴어가 아닌 게르만어에서 를 나타내었고, 라틴어는 여전히 이 목적으로 'V'를 사용한다. 'J'는 중세 후기에 원래의 'I'와 구별되었고, 'U'도 'V'와 구별되었다.[75] 일부 라틴어 사전에서 'J'를 사용하지만, 고전 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라틴어 텍스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다른 많은 언어에서는 사용된다.
고전 라틴어에는 문장 구두점, 대소문자[76] 또는 단어 사이의 띄어쓰기가 없었지만, 모음의 길이를 구분하기 위해 첨자가 사용되기도 했고,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 중간 점이 사용되기도 했다.
카툴루스 3장("슬퍼하라, 오 비너스들이여 그리고 큐피드들이여")의 첫 번째 줄은 원래 다음과 같이 쓰였다.간략하게 LVGETEOVENERESCVPIDINESQVE 긴 I를 사용하여 LVGETEOVENERESCVPIDINESQVE 중간 점을 사용하여 LVGETE·O·VENERES·CVPIDINESQVE
현대판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간략하게 Lugete, o Veneres Cupidinesquela 장음 기호를 사용하여 Lūgēte, ō Venerēs Cupīdinēsquela 첨자를 사용하여 Lúgéte, ó Venerés Cupídinésquela
로마 필기체는 요새와 같은 유적지에서 발굴된 많은 납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하드리아누스 장벽의 브리튼에 있는 빈돌란다에서 발견된 광범위한 자료가 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대부분의 빈돌란다 판은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를 보여주지만, 당시의 기념비적인 비문에서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라틴어는 때때로 다른 문자로 쓰이기도 했다.
4. 문법
라틴어는 인도-유럽 어족에 속하는 굴절어로, 고대 그리스어, 고대 페르시아어, 산스크리트어 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특히 고대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아 문법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어의 절대 속격에 대응하는 라틴어의 절대 탈격이 있다.
라틴어 명사는 단수와 복수, 남성, 여성, 중성의 성을 가지며, 슬라브어와 달리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별은 없다.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호격의 6격 변화를 하며, 어미 변화에 따라 다른 곡용 형태를 가진다. 형용사는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굴절하며, 문법적 일치 체계를 갖는다.
라틴어 동사는 인칭(1, 2, 3인칭), 수(단수, 복수), 시제(과거, 현재, 미래), 상(완료, 미완료), 태(능동태, 수동태)에 따라 굴절한다.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의 3가지 서법이 있으며, 서법 조동사는 없다.[100] 동사에서 파생되는 문법 요소로는 원형동사, 분사(Participium), 동명사(Gerundium), 동형사(Gerundivum), 목적분사(Supinum) 등이 있다.[101] 동형사는 당위나 필연(~해야만 하는)의 뜻을 가진 동사적 형용사이며,[102] 목적분사는 목적(~하기 위하여)의 뜻을 가진 동사적 명사이다.
라틴어 문장은 간결함을 추구하며, 전치사, 부사, 접속사, 간투사 등을 사용하여 의미를 명확히 한다. 이들은 불변화사이며, 전치사는 명사가 특정 격을 취하게 하는 격지배 성질을 가진다. 부사는 형용사로부터 규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라틴어 어순은 기본적으로 SOV(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주어가 인칭대명사일 경우 생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03] 주어와 목적어는 격 표지를 받으므로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어순이 매우 자유롭다.[104]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루마니아어 등 로망스어는 라틴어에서 파생되었다. 영어와 알바니아어에도 많은 라틴어 차용어가 있으며,[39]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에도 소수 존재한다.[40] 바티칸 시국에서는 여전히 라틴어가 사용된다.
라틴어는 종합어이자 융합어이다. 라틴어 단어는 의미 요소와 문법적 용법을 나타내는 표지(주로 접미사)를 포함한다. 형용사, 명사, 대명사는 성, 수, 격을, 동사는 인칭, 수, 시제, 태, 법, 상을 나타낸다. 부사, 전치사, 감탄사는 불변화어이다.
라틴어 어미 활용은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she/it will love"(그/그녀/그것이 사랑할 것이다)를 의미하는 amābitla는 미래 시제 형태소 amā-la, -bi-la와 3인칭 단수 형태소 -tla로 구성되는데, -tla는 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문맥 분석을 통해 모호성을 명확히 해야 한다. 라틴어 어순은 어미 활용 덕분에 비교적 자유롭지만, 어순에 따라 의미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4. 1. 명사
라틴어의 명사는 어미 변화 형태에 따라 다섯 가지 주요 변격으로 나뉜다. 각 변격은 명사의 소유격 단수 형태를 통해 구분된다.- 제1변격: 주로 'a'로 끝나며, 소유격 단수는 '-ae'이다.
- 제2변격: 주로 'us'로 끝나며, 소유격 단수는 '-i'이다.
- 제3변격: 주로 'i'로 끝나며, 소유격 단수는 '-is'이다.
- 제4변격: 주로 'u'로 끝나며, 소유격 단수는 '-ūs'이다.
- 제5변격: 주로 'e'로 끝나며, 소유격 단수는 '-ei'이다.
라틴어 명사는 일곱 가지 격을 가지며, 이는 형용사와 대명사에도 적용된다. 어미 변화는 문장에서 명사의 통사적 역할을 나타내며, 라틴어의 어순은 영어와 달리 어미 변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다.
각 격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격 | 기능 | 예시 |
---|---|---|
주격 | 주어 또는 술어 보어 | 소녀가 달렸다: puella cucurrit,la 또는 cucurrit puellala |
소유격 | 소유, 관련, 분주격(재료 수량화) | "그 남자의 말", "사람들의 집단"; 잔이 포도주로 가득 차 있다. (Poculum plēnum vīnī est.la), 노예의 주인이 그를 때렸다. (Dominus servī eum verberāverat.la) |
여격 | 간접 목적어, 특정 전치사와 함께 사용, 대리인, 참조, 소유자 | 상인이 여자에게 스톨라를 건넨다. (Mercātor fēminae stolam trādit.la) |
목적격 | 직접 목적어, 목적지, 시간 지속 | 그 남자가 그 소년을 죽였다. (Vir puerum necāvit.la) |
탈격 | 출처, 원인, 작용자, 도구, 특정 전치사와 함께 사용, 특정 시간 장소 | 너는 그 소년과 함께 걸었다. (Cum puerō ambulāvistī.la) |
호격 | 직접 호칭 | "주인님!" 노예가 소리쳤다. ("Domine!" clāmāvit servus.la) (-usla로 끝나는 제2변격 명사는 호격 단수에서 -ela가 됨. -iusla로 끝나는 경우 -īla) |
곳격 | 위치 (영어의 "in" 또는 "at") | 도시, 작은 마을, 섬, domusla(집), humusla(땅), rusla(시골) 등에 사용. 제1, 2변격 단수에서는 소유격과 형태 동일(Romala는 Romaela, "로마에서"). 복수 및 다른 변격 단수에서는 탈격과 동일(Athēnaela는 Athēnīsla, "아테네에서"). domusla의 곳격은 domīla("집에서") |
라틴어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없으므로, puer curritla는 "그 소년이 달리고 있다" 또는 "소년이 달리고 있다"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4. 2. 형용사
라틴어의 규칙 형용사에는 제1, 2 격변화 형용사와 제3 격변화 형용사 두 종류가 있다. 이 형용사들은 각각 제1, 2 격변화 명사 및 제3 격변화 명사와 형태가 유사하거나 동일하여 이렇게 불린다. 라틴어 형용사는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도 가지며, 다수의 라틴어 분사도 존재한다.'''제1, 2 격변화 형용사'''는 여성형에서 제1 격변화 명사처럼, 남성형과 중성형에서 제2 격변화 명사처럼 격변화한다. 예를 들어, mortuus, mortua, mortuumla(죽은)에서 mortuala는 규칙적인 제1 격변화 명사(puellala(소녀) 등)처럼, mortuusla는 규칙적인 제2 격변화 남성 명사(dominusla(주인, 지배자) 등)처럼, mortuumla은 규칙적인 제2 격변화 중성 명사(auxiliumla(도움) 등)처럼 격변화한다.
'''제3 격변화 형용사'''는 대부분 일반적인 제3 격변화 명사처럼 격변화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 주격 중성 어미는 ''-ia''이다(omniala(모든, 모든 것)). 제3 격변화 명사의 복수 주격 중성 어미는 ''-a'' 또는 ''-ia''이다(capitala(머리들), animaliala(동물들)). 남성, 여성, 중성 단수 주격에는 하나, 둘 또는 세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4. 3. 동사
라틴어의 동사는 1, 2, 3인칭과 단수, 복수의 형식에 따라 6가지, 과거, 현재, 미래의 3개 시점과 각각의 완료, 미완료의 구분에 따라 6가지, 또한 능동태와 수동태의 2개 태가 있어서 이에 따라 2가지로 굴절한다.[100] 또한 직설법(기본형), 접속법, 명령법의 3개 서법이 있으며 모두 굴절의 형식이고 이에 따른 서법 조동사는 없다.[100] 명사의 경우와 유사하게 특징적인 어미의 변화에 대한 활용의 형태가 존재한다.라틴어에서 동사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다른 문법요소로는 원형동사, 분사(Participium), 동명사(Gerundium), 동형사(Gerundivum), 목적분사(Supinum) 등이 있다.[101] 원형동사는 동사적인 명사인데, 시제와, 상, 태에 따라 몇 가지 이형태(異形態)가 존재한다.[101] 분사는 동사적인 형용사로서, 역시 시제, 상, 태에 따라 몇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동명사는 원형동사로부터 유도되는 동사의 명사형으로, 곡용된 것이어서 주격이 없다. 동형사[102]는 당위(~해야만 하는)나 필연의 뜻이 포함된 동사적인 형용사이다. 목적분사는 목적(~하기 위하여)의 뜻이 포함된 동사적인 명사이며 능동형과 수동형이 있다.
라틴어의 정규 동사는 네 가지 주요 활용 중 하나에 속한다. 활용은 "유사한 어미 형태를 가진 동사의 종류"이다.[77] 활용은 동사의 현재 어간의 마지막 글자로 구분된다. 현재 어간은 현재 부정사 형태에서 -re|-rela(rī|-rīla는 수동태 동사에서) 어미를 제거하여 찾을 수 있다. 1활용의 부정사는 ā-re|아-레la 또는 ā-ri|아-리la(각각 능동태와 수동태)로 끝난다: amāre|아마레la, "사랑하다", hortārī|호르타리la, "권하다"; 2활용은 ē-re|에-레la 또는 ē-rī|에-리la로 끝난다: monēre|모네레la, "경고하다", verērī|베레리la, "두려워하다"; 3활용은 ere|에레la, ī|이la로 끝난다: dūcere|두케레la, "이끌다", ūtī|우티la, "사용하다"; 4활용은 ī-re|이-레la, ī-rī|이-리la로 끝난다: audīre|아우디레la, "듣다", experīrī|엑스페리리la, "시도하다".[78] 어간의 범주는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하며 따라서 다른 인도유럽어의 유사한 활용과 비교할 수 있다.
불규칙 동사는 어미 형태를 형성할 때 규칙적인 활용을 따르지 않는 동사이다. 라틴어의 불규칙 동사에는 ''esse'', "이다"; ''velle'', "원하다"; ''ferre'', "나르다"; ''edere'', "먹다"; ''dare'', "주다"; ''ire'', "가다"; ''posse'', "할 수 있다"; ''fieri'', "일어나다"; 그리고 그들의 합성어가 있다.[78]
라틴어에는 여섯 가지의 기본 시제(현재, 미완료, 미래, 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세 가지 법(직설법, 명령법, 접속법, 부정사, 분사, 동명사, 동명사구, supine 추가),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두 가지 수(단수, 복수), 두 가지 목소리(능동태와 수동태) 그리고 두 가지 양상(완료상과 미완료상)이 있다. 동사는 네 가지 주요 부분으로 설명된다.
# 첫 번째 주요 부분은 동사의 1인칭 단수 현재 시제 능동태 지시법 형태이다. 동사가 비인칭 동사인 경우, 첫 번째 주요 부분은 3인칭 단수가 된다.
# 두 번째 주요 부분은 현재 능동태 부정사이다.
# 세 번째 주요 부분은 1인칭 단수 완료 능동태 지시법 형태이다. 첫 번째 주요 부분과 마찬가지로, 동사가 비인칭 동사인 경우, 세 번째 주요 부분은 3인칭 단수가 된다.
# 네 번째 주요 부분은 supine 형태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동사의 완료 수동태 분사의 주격 단수 형태이다. 네 번째 주요 부분은 분사의 성 중 하나 또는 세 가지 성 모두(-''us''는 남성, -''a''는 여성, -''um''은 중성)을 주격 단수로 보여줄 수 있다. 동사를 수동태로 만들 수 없는 경우, 네 번째 주요 부분은 미래 분사가 된다. 대부분의 현대 라틴어 사전은 성을 하나만 표시하는 경우 남성을 표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많은 오래된 사전은 supine과 일치하기 때문에 중성을 표시한다. 네 번째 주요 부분은 자동사의 경우 생략되는 경우가 있지만, 엄밀히 말해 라틴어에서 비인칭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동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러한 동사에 대해 supine이 존재한다.
여섯 가지 기본 라틴어 시제는 두 가지 시스템으로 나뉜다. 현재 시스템은 현재, 미완료, 미래 형태로 구성되고, 완료 시스템은 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형태로 구성된다. 각 기본 시제는 주어의 인칭, 수, 목소리에 해당하는 어미 집합을 가지고 있다. 주어(주격) 대명사는 강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1인칭(''나, 우리'')과 2인칭(''너'')에 대해 생략된다.
아래 표는 능동태 지시법에서 여섯 가지 시제 모두에 대한 일반적인 어미 변화를 보여준다. 미래 시제의 경우, 첫 번째로 나열된 어미는 1, 2 활용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로 나열된 어미는 3, 4 활용에 대한 것이다.
시제 | 단수 | 복수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현재 | -ō/m | -s | -t | -mus | -tis | -nt |
미래 | -bō, -am | -bis, -ēs | -bit, -et | -bimus, -ēmus | -bitis, -ētis | -bunt, -ent |
미완료 | -bam | -bās | -bat | -bāmus | -bātis | -bant |
완료 | -ī | -istī | -it | -imus | -istis | -ērunt |
미래완료 | -erō | -eris/erīs | -erit | -erimus/-erīmus | -eritis/-erītis | -erint |
과거완료 | -eram | -erās | -erat | -erāmus | -erātis | -erant |
일부 라틴어 동사는 수동형 동사로, 그 형태는 수동태이지만 능동적인 의미를 유지한다: ''hortor, hortārī, hortātus sum'' (촉구하다).
5. 라틴어의 영향
라틴어는 고대와 중세를 거치며 유럽의 대표 언어로 자리 잡았다. 유럽의 학술, 외교, 종교에서 기본 언어는 라틴어였으며, 지식인이란 라틴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의미했다.
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서유럽에서는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라틴어가 오랫동안 문어의 지위를 유지했다. 중세 시대에는 공식 문서나 학술 관련 서적 대부분이 라틴어로 기록되었으며, 이 관습은 현재까지도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생물의 학명은 라틴어를 사용하며, 원소의 이름도 대부분 라틴어이다. 법학에서도 많은 로마법 관련 용어가 라틴어로 남아 있다.
영어의 경우, 어휘의 60~70%가 라틴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라틴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영어에 라틴어 어휘가 유입된 시기는 로마와의 전쟁기, 기독교 전파기, 노르망디 왕조기, 산업혁명 이후 시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대 의학에서도 해부학 용어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해부학 용어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라틴어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어에서도 「바이러스 (virus|비루스la)」 등 일부 어휘에서 라틴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고전 라틴어의 관용구는 현대 서구 언어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그중 일부는 일본어에도 들어와 있다.
5. 1. 로망스어군
로마 제국이 서방에서 물러간 이후 민중 라틴어는 9세기경 여러 방언으로 갈라져 로망스어를 이루게 된다. 수백 년간 이들 언어는 오직 구어로만 쓰였지만, 라틴어만은 여전히 문서에도 쓰였다.예를 들어 1296년에 대체될 때까지 포르투갈에서는 라틴어가 공식 언어였다. 라틴어에서 파생된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 오크어, 피에몬테어, 리구리아어, 롬바르디아어, 에밀리아로마냐어, 프리울리어, 라딘어, 로만슈어, 루마니아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번성하여 더 확대되고 공식화된다.
로망스어 가운데 이탈리아어는 어휘 면에서 가장 보수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 사르데냐어는 음운상 가장 보수적이었다.
고전 라틴어와 로망스어의 몇몇 차이점은 민중 라틴어를 재현하는 데 쓰이기도 했다. 가령 로망스어에는 특정 모음에 고유한 강세가 붙는데, 라틴어는 이뿐만 아니라 모음의 길이에도 장단의 차이를 두었다. 이탈리아어와 사르도 로구도레세(사르데냐어 방언)에서는 강세와 더불어 자음에서도 장단 차이가 있었다. 프랑스어(언어 중 거의 대부분의 경우)는 장단과 강세에 차이를 따로 두지 않는다. 로망스어와 라틴어의 가장 주요한 차이 중 하나는 루마니아어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명사의 격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로망스어족(동로망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서로망스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은 속라틴어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5. 2. 기타 언어
로마 제국이 서방에서 물러간 후, 민중 라틴어는 9세기경 여러 방언으로 갈라져 로망스어를 이루게 되었다. 수백 년 동안 이들 언어는 구어로만 쓰였지만, 라틴어는 여전히 문서에도 쓰였다. 예를 들어, 1296년에 대체될 때까지 포르투갈에서는 라틴어가 공식 언어였다. 라틴어에서 파생된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 오크어, 피에몬테어, 리구리아어, 롬바르디아어, 에밀리아로마냐어, 프리울리어, 라딘어, 로만슈어, 루마니아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번성하여 더 확대되고 공식화되었다.로망스어 가운데 이탈리아어는 어휘 면에서 가장 보수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 사르데냐어는 음운상 가장 보수적이었다.
고전 라틴어와 로망스어의 몇몇 차이점은 민중 라틴어를 재현하는 데 쓰이기도 했다. 가령 로망스어에는 특정 모음에 고유한 강세가 붙는데, 라틴어는 이뿐만 아니라 모음의 길이에도 장단의 차이를 두었다. 이탈리아어와 사르도 로구도레세(사르데냐어 방언)에서는 강세와 더불어 자음에서도 장단 차이가 있었다. 프랑스어 (언 중 거의 대부분의 경우) 장단과 강세에 차이를 따로 두지 않는다. 로망스어와 라틴어의 가장 주요한 차이 중 하나는 루마니아어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로망스어에서 명사의 격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영어에서도 라틴어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중세 시대에 캔터베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쓴 교회 언어 사용이나 혹은 노르만 정복 이후 앵글로-노르만 언어를 통해 수많은 라틴어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영어로 글을 쓰는 사람들은 라틴어나 그리스어로 새로운 낱말을 많이 만들었다. 이런 낱말을 잉크통 용어(Inkhorn terms)라고 한다. 이런 낱말 상당수는 낱말을 지어낸 본인만 쓰다 잊혀졌지만, 어떤 낱말은 아직까지 살아남아 쓰인다. ''imbibe''나 ''extrapolate''는 라틴어에서 만들어낸 잉크통 언어이다. 영어에서 다음절(polysyllabic) 낱말 중 많은 것들이 라틴어에서 바로 차용한 것들이며, 상당수가 고대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것들을 다시 받아들인 것이다.
많은 단체에서 모토를 라틴어로 쓴다.
영어는 인도유럽어 중 게르만어군에 속하지만 그 어휘의 60~70%가 라틴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에 라틴어 어휘가 유입된 시기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시기 | 내용 | 유입된 라틴어 어휘 예시 |
---|---|---|
로마와의 전쟁기 (B.C.1C ~ A.D. 4C)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영국 및 프랑스 지역 정벌, 로마 군대 주둔 | mile, camp, wine, cook |
기독교 전파기 (6C~7C) | 로마 교회의 선교사 파견, 라틴어 성경 및 종교 서적 전파 | school, pope, apostle, minister, pastor |
노르망디 왕조기 (11C~14C) | 노르망디 가문의 영국 지배, 로망스어 계열 언어 사용 | 약 1만여 개의 라틴어 어휘 유입 |
산업혁명 이후 시기 (17C~현재) | 새로운 기계 발명, 과학 발전으로 인한 신조어 필요 | data, molecule, experiment, formula |
라틴어는 전파되는 과정에서 그리스어로부터 많은 어휘를 받아들였고, 학문·사상 등의 활동에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라틴어가 지배적인 지역은 로마 제국의 서쪽에 한정되었고, 동쪽은 그리스어가 우세한 지역이었다.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고,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으로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서유럽 사회가 크게 변동함에 따라 라틴어는 각 지역에서 변형되어 갔고, 결국 각 지역의 일상 언어는 라틴어라고 부를 수 없게 되었으며, 라틴어의 영향을 받은 로망스어족이 각지에 형성되었다. 원래 그리스어가 우세했던 동로마 제국에서도 7세기에 공용어는 그리스어로 바뀌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오늘날 서유럽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는 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로마 가톨릭 교회의 공용어가 되어 오랫동안 문어의 지위를 유지했다. 현재도 바티칸 시국의 공용어는 라틴어이다. 예를 들어, 전례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라틴어로 행해졌다. 오늘날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전례문에 곡을 붙였으며, 클래식 음악에서는 주요한 가창 언어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실제 사용은 공문서나 미사 등에 한정되며,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바티칸에서 사용되는 라틴어는 고전적인 것과는 다른 변칙적인 라틴어이다. 다민족·다언어 국가인 스위스에서는 라틴어 명칭 Confoederatio Helveticala(헬베티아 연방)의 두문자어를 자국 명칭의 약칭(CH)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럽회사(Societas Europaea|소키에타스 에우로파이아la, SE)처럼 유럽 공통 용어에 라틴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중세에는 공식 문서나 학술 관련 서적의 대부분이 라틴어(중세 라틴어, 교회 라틴어)로 기록되었고, 이 관습은 현재에도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생물의 학명은 라틴어를 사용하는 규칙이 있으며, 원소의 이름도 대부분 라틴어이다. 또한 법학에서도 많은 로마법의 속담과 법률 용어가 남아 있다. 19세기까지 유럽 각국의 대학교에서는 학위 논문을 라틴어로 쓰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오늘날의 로망스어족(동로망스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서로망스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은 속라틴어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또한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의 게르만어파에도 문법과 어휘 면에서 큰 영향을 주었다.
현대 의학에서도 해부학 용어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이다. 이것은 한때 누구나 자유롭게 신조어를 만들어 사용했던 해부학 어휘를 BNA(바젤 해부학 용어), PNA(파리 해부학 용어) 등에서 통일한 역사적 경위와 관련이 있다. 즉, 용어의 통일에 라틴어가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일본 해부학회에서 간행하는 『해부학 용어』도 기본적으로 라틴어이다(라틴어 일어주의). 하지만 임상의 현장에서는 의사가 환자에게 모국어로 병상 설명을 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각국 모두 라틴어 외에 모국어의 해부학 전문 용어가 존재한다(라틴어·모국어의 이어주의). 최근에는 의학계 학회 및 학술지의 최고봉이 영어권에 집중되면서 영어 해부학 용어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일본에서는 라틴어·영어·일본어의 3개 언어 병기를 하는 해부학 서적이 주류가 되었다(라틴어·영어·모국어의 삼어주의).
「바이러스 (virus|비루스la)」 등, 일본어에서도 일부 어휘에 사용된다(단, 원래의 모음의 장단의 구별은 거의 의식되지 않는다[86]). 참고로, 모리 오가이의 소설 『비타 섹슈알리스』는 라틴어 vita sexualis|비타 섹수알리스la(성생활)을 뜻한다.
고전 라틴어의 관용구는 현대 서구 언어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그중 일부는 일본어에도 들어와 있다. 라틴어 기원의 영어 등의 단어가 일본어에서도 사용되는 예는 물론 많다.
- ad hoc|아드 호크la: 잠정적인, 임시적인(애드혹)
- ad lib.|아드 리브la(ad libitum|아드 리비툼la의 약어): 즉흥(애드리브)
- alius ibi (alibi)|알리우스 이비la: “다른 곳에서”라는 뜻(알리바이)
- anno Domini|안노 도미니la: “주(예수 그리스도)의 해”, 즉 “서기”라는 뜻. A.D.로 약칭된다.
- a priori|아 프리오리la: 선험적으로, (철학) 선험적으로 (단 고전 라틴어 법칙은 아님)(아프리오리)
- aqua|아쿠아la: 물
- corona|코로나la: 왕관
- cum|쿰la (): 함께, 영어의 with영어
- de facto|데 팩토la: 사실상의 (반의어는 de jure|데 유레la(법적으로)), defact는 잘못된 표기(데 팩토)
- exempli gratia (e.g.)|이그젬플리 그라티아la: 예를 들어
- et alii (et al.)|에트 알리이la: 다른 사람들(논문의 저자 이름 생략 등에서 자주 사용됨)
- et cetera (etc.)|에트 케테라la: 기타(에트세테라)
- ego|에고la: 나, 자아
- facsimile|팍시밀레la: 닮게 만들다(팩시밀리)
- fossa magna|포사 마그나la: 큰 도랑(대지구대)
- gloria|글로리아la: 영광
- id est (i.e.)|이드 에스트la: 즉
- in situ|인 시투la: 제자리에
- in vitro|인 비트로la: 시험관 안에서
- in vivo|인 비보la: 생체 내에서
- Pacta sunt servanda|팍타 순트 세르반다la: 계약은 지켜져야 한다(팍타 순트 세르반다)
- persona non grata|페르소나 논 그라타la: 외교적으로 달갑지 않은 인물
- Pro bono|프로 보노la: 공공의 이익을 위해 (프로보노)
- Quod Erat Demonstrandum (Q.E.D.)|쿼드 에라트 데몬스트란둠la: 증명 끝(직역은 “증명되려고 했던 것”)
- sine|시네la (): ~없이, 영어의 without영어
- virus|비루스la: 독
- missile|미실레la: 던지는 것(미사일)
- Requiescat in Pace|레퀴에스카트 인 파케la: “평화롭게 잠들다”. 묘비에 새겨지는 글자.
- Memento mori|메멘토 모리la: 죽음을 기억하라(메멘토 모리)
- Carpe diem|카르페 디엠la: 그날을 잡아라. 현재를 살아라(호라티우스)
- Amor Vincit Omnia|아모르 빈키트 옴니아la: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사랑의 승리(베르길리우스)
- Veritas Vincit|베리타스 빈키트la: 진실은 승리한다(얀 후스)
- Justitia Omnibus|유스티티아 옴니부스la: 모든 것에 정의를(미국 워싱턴 D.C.의 모토)
- Plus Ultra|플루스 울트라la: 플러스 울트라 (모토), 더 나아가라(스페인의 모토)
- Sic transit gloria mundi|시크 트란시트 글로리아 문디la: “이렇게 세상의 영광은 사라진다”(착석한 교황이 촛불을 끄면서 이 말을 하는 관습이 있었다).
- Fiat justitia ruat caelum|피아트 유스티티아 루아트 카일룸la: 정의가 실현되도록 하라, 비록 하늘이 무너진다 해도
- Quidquid latine dictum sit, altum videtur|퀴드퀴드 라티네 딕툼 시트, 알툼 비데투르la: 라틴어로 말하면 무엇이든 훌륭하게 들린다(라틴어에 대한 속담)
- primus inter pares|프리무스 인테르 파레스la: “Primus inter pares”. 일본 제국 헌법 하의 내각총리대신의 위치 또는 스위스의 연방 대통령의 위치를 나타내는 말. 원래는 중세 독일에서 왕과 제후들의 동등한 위치를 나타냈다(하인리히 1세 참조).
라틴어에서 유래한 상호 또는 고유 명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달의 바다: 이름은 라틴어로 표기된다.
- 별자리 이름 또한 라틴어로 표기된다. 특히 황도 12궁은 점성술에서 사용될 때 유럽 여러 언어로 번역되지 않는다. 또한, 센타우루스자 알파별을 Alpha Centauri|알파 켄타우리la라고 부르는 것처럼, 별자리 이름의 라틴어 소유격이 사용된다.
- 아우디(Audi)(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audi|아우디la는 "들어라"라는 뜻이다. 창업자 호르히(Horch, 들어라)에서 유래했다.
- 볼보(Volvo)(스웨덴 자동차 제조업체): volvo|볼보la는 "나는 굴러간다"라는 의미이다. SKF의 베어링 브랜드 "볼보 베어링"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 * 볼보 그룹(볼보 자동차와 같은 볼보라는 이름을 가진 스웨덴 기업 그룹)
- 아식스(ASICS)(일본 스포츠 용품 제조업체): 회사 이름의 유래는 Mens Sana in Corpore Sano|멘스 사나 인 코르포레 사노la("건전한 정신은 건전한 신체에 깃든다")의 Mens|멘스la(정신)를 Anima|아니마la(생명)으로 바꾼 것이다.
- 아쿠아리우스: aquarius|아쿠아리우스la는 "물병자리"를 의미한다. "아쿠아리우스"는 그것을 영어로 읽은 것이다.
- * 상표명 등은 해당 문서를 참조.
- 『AERA』( 아사히 신문사의 잡지): æra|아이-라la는 "시대"를 의미한다. 영어의 era영어
- 에르가(이스즈의 대형 시내버스 차량): erga|에르가la는 "~를 향하여"라는 의미이다.
- * 에르가미오(이스즈의 중형 시내버스 차량)
- 레지우스(토요타의 미니밴): regius|레기우스la는 "화려한, 훌륭한"이라는 의미이다.
- * 토요타 레지우스에이스
- 슈프라(토요타 자동차의 스포츠카): supra|수프라la는 "위로, ~을 넘어서, 최고"라는 의미이다.
- 『SAPIO』( 쇼가쿠칸의 잡지): sapio|사피오la는 "나는 생각한다"는 의미이다(현재분사는 sapiens|사피엔스la).
- 『테르마에 로마에』( 야마자키 마리 원작 만화 제목): thermae romae|테르마이 로마이la는 "로마의 목욕탕"이라는 의미이다.
- 니베아: nivea|니베아la는 "눈" 또는 "눈처럼 하얀"이라는 의미이다.
- 프리우스(토요타 프리우스 및 히타치 제작소의 퍼스널 컴퓨터, Prius): prius|프리우스la는 "~에 앞서, 선구자"라는 의미이다.
- 플레너스(핫토 뫄또 운영 기업): plenus|플레누스la는 "충족된, 풍부한"이라는 의미이다.
- 프로페: prope|프로페la는 가까이, 근처에의 의미
- 베네세 홀딩스: bene|베네la + esse|에세la는 "잘 존재하는 것"이라는 의미의 합성어이다.
- 리소나 홀딩스·리소나 은행(다이와 은행과 아사히 은행이 합병하여 만들어진 금융기관과 그 금융 지주회사): resona|레소나la[96]는 "공명하라, 울려 퍼져라(명령형, 단수)"라는 의미이다.
- 유벤투스: 이탈리아의 유명한 축구 클럽. juventus|유벤투스la는 "청춘, 청년"이라는 의미이다.
- 벤투스: 한국타이어의 스포츠 타이어와 프리미엄 타이어의 이름. ventus|벤투스la는 "바람"이라는 의미이다.
- 쇼난 벨마레: 쇼난을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클럽. bellum|벨룸la(아름다운) + mare|마레la(바다)로 Bellmare|벨마레la
5. 3. 학술 용어
장 칼뱅은 신학 문서인 《기독교 강요》를 프랑스어로 저술한 뒤 라틴어로 다시 번역했다. 생물학에서 생물종을 분류할 때 린네의 분류법에 따라 라틴어로 표기하고 있으며, 그 밖에 학술 명칭들 중에도 라틴어로 표기하는 것들이 많다.[99]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영어로 글을 쓰는 사람들은 라틴어나 그리스어로 새로운 낱말을 많이 만들었는데, 이런 낱말을 잉크통 용어(Inkhorn terms)라고 한다. 이런 낱말 상당수는 낱말을 지어낸 본인만 쓰다 잊혀졌지만, ''imbibe''나 ''extrapolate''처럼 라틴어에서 만들어져 아직까지 살아남아 쓰이는 낱말도 있다. 영어에서 다음절(polysyllabic) 낱말 중 많은 것들이 라틴어에서 바로 차용한 것들이며, 상당수가 고대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것들을 다시 받아들인 것이다.
산업혁명을 통한 새로운 기계의 발명과,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개념, 이론, 물질 등의 발견은 많은 신조어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 같은 신조어(newly coined words)를 조합해 내는데 있어 기존의 라틴어, 그리스어 어휘들이 접미사, 접두사 또는 어근(roots)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들로 data, molecule, experiment, formula 등이 있다.

현대 의학에서도 해부학 용어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이다. 이것은 한때 누구나 자유롭게 신조어를 만들어 사용했던 해부학 어휘를 BNA(바젤 해부학 용어), PNA(파리 해부학 용어) 등에서 통일한 역사적 경위와 관련이 있다. 즉, 용어의 통일에 라틴어가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일본 해부학회에서 간행하는 『해부학 용어』도 기본적으로 라틴어이다(라틴어 일어주의).
「바이러스 (virusla)」 등, 일본어에서도 일부 어휘에 사용된다(단, 원래의 모음의 장단의 구별은 거의 의식되지 않는다[86]).
5. 4. 종교
라틴어는 고대와 중세를 거치며 유럽의 대표 언어로 자리 잡았다. 유럽의 학술, 외교, 종교에서 기본 언어는 라틴어였으며, 지식인이란 라틴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의미했다.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라틴어는 전례와 성경에 사용되었다. 종교개혁 이전에도 성경은 여러 토착어로 번역되었으나, 잉글랜드에서는 15세기에 교회 전통에 맞선 롤러드파의 번역본이 금지되기도 했다.[98]장 칼뱅은 신학 문서인 《기독교 강요》를 프랑스어로 쓴 후 라틴어로 다시 번역했다. 그리스어는 고대 언어 연구나 그리스어 문헌 번역에만 사용되었다.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1545년)의 결정에 따라 라틴어 전례로 미사를 집전했다. 예외적으로 1615년 이후 중국의 가톨릭 교회는 중국어로 미사를 집전했다.[99] 성공회에서도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거룩하시다(Sanctus).' 등의 라틴어 전례 용어를 사용한다.
6. 현대의 라틴어 쓰임
서구 사회에서 중등학교나 대학교의 라틴어 수업은 주로 라틴어 텍스트를 현대어로 번역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현대의 여러 개념(예: 기술 관련 용어)에 맞는 고대어 표현이 부족하고, 새로운 단어를 받아들이는 공식 기관이 없기 때문에 라틴어 회화는 거의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라틴어 학습에서는 읽기와 쓰기가 중시되며, 듣기와 말하기는 거의 무시된다.
그러나 생활 라틴어 운동처럼 현대어를 가르치는 방식, 즉 대화나 글을 이용한 의사소통으로 라틴어를 가르치려는 시도도 있다.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1989년 9월부터 'Nuntii Latini'라는 라틴어 뉴스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고대 작가들이 라틴어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라틴 시나 문학의 양식은 단어의 소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생활 라틴어 교육은 바티칸이나 미국의 켄터키 대학 등 일부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고전 연맹이 이 운동을 장려하며, '미니무스(Minimus)'라는 쥐 캐릭터의 모험을 묘사한 라틴어 책도 출판되었다. 미국에서는 국립 청소년 고전 연맹[105]에서 고등학생들에게 라틴어 공부를 권장하며, 국립 대학생 고전 연맹에서도 대학생들이 라틴어 공부를 계속하도록 장려한다.
인테르링구아를 비롯한 여러 국제 보조어가 라틴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인테르링구아는 간소화된 현대식 라틴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20세기 초에 인기를 끌었던 무굴절 라틴어는 라틴어에서 활용을 제거한 언어이다.
위니 더 푸, 아스테릭스, 해리 포터, 어린 왕자 등 현대 문학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라틴어 학습에 흥미를 높이려는 시도도 있다.
오늘날 라틴어로 된 전문 용어는 철학, 의학, 생물학, 법 분야에서 널리 쓰이며, 원어나 약어로 쓰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subpoena duces tecum''subpoena duces tecum|지정한 증거물을 가지고 출두 증언하라는 법원의 명령la
- ''q.i.d''(quater in die)q.i.d|하루에 네 번씩la
- ''inter alia''inter alia|다른 것들 중에서la
기술 용어처럼 라틴어 용어가 따로 쓰이기도 한다.
오늘날 공식 석상에서 여전히 라틴어를 쓰는 최대 조직은 로마 가톨릭교회이다. (특히 라틴어 전례에서) 교황 바오로 6세 이래 미사는 보통 각 지역의 제 나라 언어로 집전하지만, 라틴어로 하기도 하며 특히 바티칸에서 그렇다. 라틴어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식 언어이기도 하다. 성공회에서도 라틴어 전례 용어들이 쓰이는데, 하느님의 어린양 등이 그것이다. 물론 라틴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속지주의에 따라 성공회 교회가 속한 지역의 언어를 사용한다. 개혁 교회 신학자 카를 바르트 목사도 신약성서 로마서를 주석한 로마서(1922년)에서 라틴어 문장인 "하나님이 말씀하신다"(Deus Dixit)를 사용했고, 각주에서도 루터와 칼뱅이 라틴어로 쓴 글을 인용했다.
언어적 중립성이 필요한 분야, 특히 생물체의 학명처럼 라틴어가 많이 쓰인다.
《세바스티아네》(1976)이나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2004)처럼 고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서 현실성을 살리고자 라틴어로 대사를 만들기도 했다.
미국 해안경비대(Semper Paratus|Semper Paratus|항상 준비la)와 미국 해병대(Semper Fidelis|Semper Fidelis|항상 충실하게la)를 비롯한 많은 단체에서 라틴어 모토를 쓴다. 미국의 몇몇 주에서도 라틴어 모토가 있는데,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모토는 Montani Semper Liberi|Montani Semper Liberi|산 사람은 언제나 자유롭다la이며,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는 Esse Quam Videri|Esse Quam Videri|겉으로 보이는 것 이상으로la가 모토이다. 대한민국의 서울대학교의 모토는 Veritas Lux Mea|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la이며, 서강대학교의 모토는 Obedire Veritati|Obedire Veritati|진리에 순종하라la이며, 광운대학교의 모토는 Veritas et Lux|Veritas et Lux|참·빛la이다.
6. 1. 공식 언어
현재, 라틴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바티칸 시국뿐이다.[28] 이것은 현재에도 라틴어가 가톨릭교회의 공식 공용어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이지만, 바티칸 시국에서도 라틴어가 사용되는 것은 회칙 등의 공문서, 콘클라베의 선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 등의 예식문 등에 한정된다. 2013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퇴위 시에는 퇴위 의사 표명과 이유는 교황 자신이 작성한 라틴어 문서 낭독으로 이루어졌다. 일상생활에서는 이탈리아어가 사용된다(바티칸은 로마 시내에 있다).6. 2. 모토
오늘날 많은 단체에서 라틴어 모토를 사용한다. 미국 해안경비대는 "Semper Paratus"(Semper Paratus|셈페르 파라투스|항상 준비la)를, 미국 해병대는 "Semper fidelis"(Semper fidelis|셈페르 피델리스|항상 충실하게la)를 모토로 사용한다. 미국의 몇몇 주에서도 라틴어 모토가 있는데,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모토는 "Montani Semper Liberi"(Montani Semper Liberi|몬타니 셈페르 리베리|산 사람은 언제나 자유롭다la)이며,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는 "Esse Quam Videri"(Esse Quam Videri|에세 쿠암 비데리|겉으로 보이는 것 이상으로la)가 모토이다. 대한민국의 서울대학교 모토는 "Veritas Lux Mea"(Veritas Lux Mea|베리타스 룩스 메아|진리는 나의 빛la)이며, 서강대학교 모토는 "Obedire Veritati"(Obedire Veritati|오베디레 베리타티|진리에 순종하라la)이며, 광운대학교 모토는 "Veritas et Lux"(Veritas et Lux|베리타스 에트 룩스|참·빛la)이다.6. 3. 기타
오늘날 라틴어로 된 전문 용어는 철학, 의학, 생물학, 법 분야에서 널리 쓰이며, 원어나 약어로 쓰는 경우도 많다.[105]
- ''subpoena duces tecum''subpoena duces tecum|지정한 증거물을 가지고 출두 증언하라는 법원의 명령la
- ''q.i.d''(quater in die)q.i.d|하루에 네 번씩la
- ''inter alia''inter alia|다른 것들 중에서la
기술 용어처럼 라틴어 용어가 따로 쓰이기도 한다.
오늘날 공식 석상에서 여전히 라틴어를 쓰는 최대 조직은 로마 가톨릭교회이다. (특히 라틴어 전례에서) 교황 바오로 6세 이래 미사는 보통 각 지역의 제 나라 언어로 집전하지만, 라틴어로 하기도 하며 특히 바티칸에서 그렇다. 라틴어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식 언어이기도 하다. 성공회에서도 라틴어 전례 용어들이 쓰이는데,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등이 그것이다. 물론 라틴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속지주의에 따라 성공회 교회가 속한 지역의 언어를 사용한다. 개혁교회 신학자 칼 바르트 목사도 신약성서 로마서를 주석한 로마서(1922년)에서 라틴어 문장인 "하나님이 말씀하신다"(Deus Dixit)를 사용했고, 각주에서도 루터와 칼뱅이 라틴어로 쓴 글을 인용했다.
언어적 중립성이 필요한 분야, 특히 생물체의 학명처럼 라틴어가 많이 쓰인다.
《세바스티아네》(1976)이나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2004)처럼 고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서 현실성을 살리고자 라틴어로 대사를 만들기도 했다.
오늘날 많은 단체에서 라틴어 모토를 쓰는데, 미국 해안경비대에서는 Semper Paratus|Semper Paratus|항상 준비la를, 미국 해병대에서는 Semper Fidelis|Semper Fidelis|항상 충실하게la를 모토로 사용한다. 미국의 몇몇 주에서도 라틴어 모토가 있는데,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모토는 Montani Semper Liberi|Montani Semper Liberi|산 사람은 언제나 자유롭다la이며,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Esse Quam Videri|Esse Quam Videri|겉으로 보이는 것 이상으로la를 모토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의 서울대학교의 모토는 Veritas Lux Mea|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la이며, 서강대학교의 모토는 Obedire Veritati|Obedire Veritati|진리에 순종하라la이며, 광운대학교의 모토는 Veritas et Lux|Veritas et Lux|참·빛la이다.
서구 세계에서는 많은 기관, 정부 및 학교들이 형식, 전통 및 서구 문화의 근원과의 연관성 때문에 모토로 라틴어를 사용한다.[30]
캐나다의 모토는 A mari usque ad mare|A mari usque ad mare|바다에서 바다까지la이며, 대부분의 주 모토도 라틴어이다. 캐나다 빅토리아 십자훈장은 "용감함을 위해"라는 문구가 새겨진 영국의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본떠 만들어졌다.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이중언어 국가이기 때문에, 캐나다 훈장은 영어 문구를 라틴어 Pro Valore|Pro Valore|la로 대체했다.
스페인의 모토 Plus ultra|Plus ultra|더 멀리la는 라틴어 기원이다.[31] 이것은 카를 5세(스페인 국왕 카를 1세)의 개인 모토에서 따온 것으로, 원래 문구 Non terrae plus ultra|Non terrae plus ultra|더 이상 땅이 없다la의 반전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문구는 헤르쿨레스의 기둥(지중해 세계의 알려진 서쪽 끝에 있는 지브롤터 해협 양쪽의 바위)에 경고로 새겨졌는데, 신세계 발견 이후 카를 5세가 이 모토를 채택했다.
미국에서는 1956년까지 비공식적인 국가 모토는 ''E pluribus unum''("하나에서 많은 것, 하나")였다. 이 모토는 대조장에 계속해서 등장한다. 또한 미 의회 양원의 깃발과 인장, 미시간주, 노스다코타주, 뉴욕주, 위스콘신주의 깃발에도 나타난다. 모토의 13개의 문자는 영국 왕관으로부터 반란을 일으킨 최초의 13개 식민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이 모토는 현재 주조되는 모든 화폐에 등장하며, 국가 역사를 통틀어 대부분의 화폐에 등장해 왔다.
미국의 여러 주는 라틴어 모토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애리조나주의 Ditat deus|Ditat deus|하나님이 풍요롭게 하시다la
- 코네티컷주의 Qui transtulit sustinet|Qui transtulit sustinet|옮긴 자가 유지하다la
- 캔자스주의 Ad astra per aspera|Ad astra per aspera|고난을 통해 별에 이르다la
- 콜로라도주의 Nil sine numine|Nil sine numine|신의 섭리 없이는 아무것도 없다la
- 미시간주의 Si quaeris peninsulam amoenam, circumspice|Si quaeris peninsulam amoenam, circumspice|만약 당신이 즐거운 반도를 찾는다면, 주위를 둘러보시오la는 세인트 폴 대성당의 크리스토퍼 렌 경의 모토를 기반으로 한다.
- 미주리주의 Salus populi suprema lex esto|Salus populi suprema lex esto|국민의 건강이 최고의 법이어야 한다la
- 뉴욕주의 Excelsior|Excelsior|항상 위로la
- 노스캐롤라이나주의 Esse Quam Videri|Esse Quam Videri|보이는 것보다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la
-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Dum spiro spero|Dum spiro spero|숨 쉬는 동안 희망한다la
- 버지니아주의 Sic semper tyrannis|Sic semper tyrannis|항상 폭군들에게 이렇게la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Montani Semper Liberi|Montani Semper Liberi|산악인들은 항상 자유롭다la
오늘날 많은 군사 조직들이 라틴어 모토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Semper Paratus|Semper Paratus|항상 준비la, 미국 해안 경비대의 모토
- Semper Fidelis|Semper Fidelis|항상 충실la, 미국 해병대의 모토
- Semper Supra|Semper Supra|항상 위에la, 미국 우주군의 모토
- Per ardua ad astra|Per ardua ad astra|역경을 극복하여 별에 이르다la, 영국 왕립 공군(RAF)의 모토
- Vigilamus pro te|Vigilamus pro te|우리는 당신을 위해 경계합니다la, 캐나다군의 모토.
필리핀의 일부 법률 기관은 라틴어 모토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Justitiae Pax Opus|Justitiae Pax Opus|정의의 사업은 평화이다la, 필리핀 법무부의 모토.
일부 대학들은 라틴어 모토를 채택했다. 예를 들어 하버드 대학교의 모토는 Veritas|Veritas|진실la이다. 베리타스는 토성의 딸이자 미덕의 어머니인 진리의 여신이었다.
유럽에서는 라틴어가 오랫동안 교회와 학문 세계 모두에서 표준 언어로 사용되어 왔지만, 르네상스와 함께 고전 고대 문화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면서 고전기의 문법과 어휘를 모범으로 삼아 라틴어를 사용하려는 운동이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 강해졌다. 이로 인해 중세보다 오히려 "올바른" 라틴어가 교육과 서술에 사용되게 되었다. 공통화가 진행된 라틴어는 근대에도 유럽 지식인들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 근대 라틴어로 저술한 주요 사상가로는 토마스 모어(『유토피아』), 에라스무스와 같은 인문주의자뿐만 아니라, 데카르트, 스피노자 등 근대 철학의 거장도 포함된다. 데카르트의 유명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말은 『방법서설』 프랑스어판에 처음 등장하지만, 후에 라틴어 번역본 Cogito, ergo sum.|Cogito, ergo sum.|코기토, 에르고 숨la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자연과학에서는 뉴턴의 프린키피아가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계몽 사상가들과 독일의 칸트 이후에는 모국어로 저술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학문 세계에서는 라틴어가 여전히 권위 있는 언어이며 세계적으로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 현재에도 학술 용어에 라틴어가 사용되는 것은 학술용 어휘가 정비되어 있고, 사어이기 때문에 문법 등의 면에서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실제로 중세와 근세를 거치면서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혹은 하나의 근대어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일 수 있다는 면도 간과할 수 없다. 물론 이것은 다른 고전어에도 마찬가지이지만, 라틴어가 선택된 것은 근현대의 그러한 학문이, 좋고 나쁨을 떠나 유럽 중심적이었던 것이 반영된 것이다. 현재에도 사용되는 예로, 생물의 학명은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 단어를 라틴어풍 철자로 바꾼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에도 라틴어 지식은 일정한 교양과 품격을 나타내는 것이며, 국가(예: 미국, 스페인, 스위스, 캐나다 및 캐나다 각 주 등)나 단체(미국 해병대, 영국 해병대 등)의 모토에 라틴어를 사용하는 예, 1985년 살라망카 대학교가 일본 황태자 부부의 방문 기념 비문을 스페인어가 아닌 라틴어로 새긴 것,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가 1992년을 두고 Annus Horribilis|Annus Horribilis|아누스 호리빌리스, 끔찍한 해la라고 라틴어(발음은 영어식)를 사용한 것도 그러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도 고등학교 야구 초대 우승기에는 VICTORIBUS PALMAE|VICTORIBUS PALMAE|빅토리부스 팔마에, "승리자에게 영광을"la라고 수놓아져 있었다. 하지만 라틴어가 오늘날 유럽에서 중시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유럽 각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는 중등 교육 과정에서 라틴어가 필수 과목인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일본의 "고전" "한문"과 같은 과목으로 존재하는 정도이다.
일상 대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현대에는 라틴어로의 대화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어에 가까운 언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지만, 라틴어는 지금도 유럽과 미국 지식인층 일부에는 뿌리 깊은 인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이용 확대로 라틴어에 관심 있는 개인들이 연대를 강화하고 있으며, 라틴어 위키피디어도 존재한다(Vicipaedia|Vicipaedia|la) 외에 라틴어 신문과 SNS, 메일링 리스트, 블로그도 존재한다. 더 나아가 핀란드의 국영 방송은 정기적으로 라틴어 뉴스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현재, 라틴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바티칸 시국뿐이다. 이것은 현재에도 라틴어가 가톨릭교회의 공식 공용어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이지만, 바티칸 시국에서도 라틴어가 사용되는 것은 회칙 등의 공문서, 콘클라베의 선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 등의 예식문 등에 한정되며, 2013년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퇴위 시에는 퇴위 의사 표명과 이유는 교황 자신이 작성한 라틴어 문서 낭독으로 이루어졌다. 일상 생활에서는 이탈리아어가 사용된다(바티칸은 로마 시내에 있다).
참조
[1]
서적
A companion to Lati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harvnb
[3]
웹사이트
Why is Latin a dead languag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05
[4]
백과사전
Archaic Latin
[5]
harvnb
[6]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With Bibliography and Index
https://books.google[...]
Collier
1958-01-01
[7]
서적
Language Visible: Unraveling the Mystery of the Alphabet from A to Z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8]
서적
From Latin to modern French with especial consideration of Anglo-Norman; phonology and morpholog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
서적
Source book of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the Greek and Roman period
Macmillan & Co.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 Barbarian migrations and invasions
https://www.britanni[...]
2021-02-06
[14]
서적
The story of Latin and the Romance languages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5]
웹사이트
History of Latin
https://www.ruf.rice[...]
2019-12-03
[16]
웹사이트
Romance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9-08-01
[17]
harvnb
[18]
서적
Documents in medieval Lati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
웹사이트
Incunabula Short Title Catalogue
https://www.bl.uk/ca[...]
British Library
2011-03-02
[20]
harvnb
[21]
웹사이트
What is Neo-Latin?
http://www.mml.cam.a[...]
2016-10-09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학술지
The Roles of Latin in Early Modern Europe
https://journals.ope[...]
2012-04-01
[27]
harvnb
[28]
뉴스
Pope's Latinist pronounces death of a language
https://www.telegrap[...]
2007-01-28
[29]
웹사이트
University Sermons
https://www.universi[...]
2023-03-25
[30]
웹사이트
"Does Anybody Know What 'Veritas' Is?" Gene Fant
https://www.firstthi[...]
2011-08
[31]
웹사이트
La Moncloa. Símbolos del Estado
https://www.lamonclo[...]
2019-09-30
[32]
뉴스
Finnish broadcaster ends Latin news bulletins
https://www.rte.ie/n[...]
RTÉ News
2019-06-24
[33]
웹사이트
Latein: Nuntii Latini mensis lunii 2010: Lateinischer Monats rückblick
https://www.radiobre[...]
Radio Bremen
[34]
뉴스
Finland makes Latin the King
https://news.bbc.co.[...]
2006-10-24
[35]
웹사이트
Nuntii Latini
https://www.yle.fi/r[...]
YLE Radio 1
[36]
웹사이트
About us (English)
https://web.archive.[...]
2015-09-13
[37]
웹사이트
Active Latin at Jesus College – Oxford Latinitas Project
https://oxfordlatini[...]
2021-06-29
[38]
웹사이트
Graduate Certificate in Latin Studies – Institute for Latin Studies {{!}} Modern & Classical Languages, Literatures & Cultures
https://mcl.as.uky.e[...]
2021-06-29
[39]
간행물
A Crossroad Between West, East and Orient–The Case of Albanian Culture
https://ispan.waw.pl[...]
Instytut Slawistyki Polskiej Akademii Nauk
2013
[40]
웹사이트
List of words of Latin origin
https://www.ezglot.c[...]
[41]
서적
Ordered Profusion; studies in dictionaries and the English lexicon
C. Winter
[42]
간행물
German Academy for Language and Literature's Jahrbuch [Yearbook] 2007
Wallstein Verlag
[43]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https://pure.knaw.nl[...]
Walter de Gruyter
2017-02-09
[44]
서적
Story of Language
Lippincott
[45]
서적
The American Colonial Mind and the Classical Tradition
[46]
서적
American Education: The Colonial Experience, 1607–1783 and Curriculum: A History of the American Undergraduate Course of Study Since 1636
[47]
서적
Id. at 104
[48]
웹사이트
The Official Wheelock's Latin Series Website
https://www.wheelock[...]
The Official Wheelock's Latin Series Website
2011-02-17
[49]
뉴스
Latin is now fourth most-taught language in primary schools
https://www.thetimes[...]
2023-06-29
[50]
뉴스
Why Latin should not become extinct in school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3-07-27
[51]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mbridge School Classics Project – Latin Course
https://www3.cambrid[...]
Cambridgescp.com
2014-04-23
[52]
웹사이트
Open University Undergraduate Course – Reading classical Latin
https://www3.open.ac[...]
.open.ac.uk
2014-04-23
[53]
웹사이트
The Latin Programme – Via Facilis
https://www.thelatin[...]
Thelatinprogramme.co.uk
2014-04-23
[54]
웹사이트
Does Latin "train the brain"?
https://web.archive.[...]
2006-07-10
[55]
잡지
The Day of the Hungarian Language
https://www.hungaria[...]
BL Nonprofit Ltd
2023-11-13
[56]
뉴스
Croatian declared official language 174 years ago
https://www.croatiaw[...]
2021-11-23
[57]
웹사이트
Coins
https://web.archive.[...]
2016-09-30
[58]
서적
Who only knows Latin can go across the whole Poland from one side to the other one just like he was at his own home, just like he was born there. So great happiness! I wish a traveler in England could travel without knowing any other language than Latin!
[59]
서적
The Baltic Revolution: Estonia, Latvia, Lithuania and the Path to Independence
Yale University Press
[60]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the Baltic States
Greenwood Press
[61]
서적
The Other Prussia: Royal Prussia, Poland and Liberty, 1569–177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63]
서적
New Comparative Grammar of Greek and Lat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Wheelock's Latin
HarperCollins
2011-06-07
[67]
서적
[68]
서적
[69]
웹사이트
On the Evolution of Short High Vowels of Latin into Romance
https://web.archive.[...]
2003
[70]
서적
[71]
논문
The Diphthong -ui in Latin
1910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백과사전
Conjugation
Houghton Mifflin
[78]
서적
Wheelock's Latin
CollinsReference
2011
[79]
서적
[80]
서적
Language Visible: Unraveling the Mystery of the Alphabet from A to Z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81]
서적
[82]
서적
Manuel pratique de latin médiéval
University of Michigan
2015-05-20
[83]
서적
[84]
서적
[85]
논문
第4回「第18回国際植物学会議(メルボルン)で変更された発表の要件:電子発表の意味するところ(Changes to publication requirements made at the XVIII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in Melbourne: What does e-publication mean for you. Knapp, S., McNeill, J. & Turland, N.J. Taxon 60: 1498-1501, 2011)」 の紹介と日本語訳
http://www.jsmrs.jp/[...]
日本微生物資源学会
2011-12
[86]
기타
[87]
기타
[88]
기타
[89]
기타
[90]
기타
[91]
기타
[92]
기타
[93]
기타
[94]
기타
[95]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Tenth Edition
[96]
기타
[97]
기타
[98]
서적
종교개혁
[99]
서적
예수회 역사
[100]
기타
[101]
기타
[102]
기타
[103]
기타
[104]
기타
[10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