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조 소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만도코로 칙사를 역임한 명문 이세 가문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다. 본명은 이세 신쿠로 모리토키로, 빗추국 출신이다. 교토에서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를 섬기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분쟁 조정에 참여하여 스루가로 내려갔다. 이후 이즈 국을 평정하고 오다와라 성을 탈취하여 간토 남부를 지배하며 고호조 가문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1519년 니라야마성에서 사망했으며, 아들 호조 우지쓰나가 가문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조 소운 - 호조 우지쓰나
    호조 우지쓰나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와라성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간토 지방의 패권을 다졌으며, 토지 검사 실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재건 사업을 주도하다가 사망했다.
호조 소운
기본 정보
호조 소운 초상화
호조 소운의 초상화
본명이세 소즈이 (伊勢 宗瑞)
이명호조 소운 (北条 早雲)
출생1432년 또는 1456년
출생지다카코시 성, 이바라
사망1519년 9월 8일
사망지니라야마 성, 이즈 국
별칭신쿠로 (新九郎) 또는 하치로 (八郎)
법명소운안 소즈이 (早雲庵宗瑞)
계명조운지덴 덴가쿠 소즈이코 다이젠죠몬 (早雲寺殿天岳宗瑞公大禅定門)
묘소금강봉사 (와카야마 현 이토 군 고야 정)
소운지 (가나가와 현 아시가라시모 군 하코네 정)
호센지 (오카야마 현 이바라 시)
가명이세 모리토키 (伊勢盛時)
호조 소운 (北条早雲)
나가우지 (長氏), 우지시게 (氏茂), 우지모리 (氏盛), 나가시게 (長茂), 사다후지 (貞藤), 사다타쓰 (貞辰)
관위좌경대부 설이 있음
종속[[파일:Japanese crest Imagawa Akadori.svg|15px]] 이마가와 씨
[[파일:Mitsuuroko.svg|20px]] 후 호조 씨
복무 기간불명
계급영주 (다이묘)
아버지이세 모리사다 (伊勢 盛定)
어머니이세 사다쿠니 (伊勢 貞国)의 딸
양아버지호조 유키나가
이세 사다미치
형제이세 사다오키 (貞興)
기타가와도노 (北川殿) (이마가와 요시타다의 아내)
이세 야지로 (伊勢弥二郎)
배우자정실: 난요인도노 (南陽院殿) (오가사와라 마사키요의 딸)
측실: 가즈라야마 씨, 젠슈지도노
자녀호조 우지쓰나
호조 우지토키
가즈라야마 우지히로
호조 겐안
나가마쓰인도노 (미우라 우지카즈의 아내)
다카하시 다카타네의 아내
주요 거점고코쿠지 성, 니라야마 성
주요 전투이즈 공략전 (1491-1493)
아라이 성 공방전 (1516)
정치 및 군사 경력
직위후 호조 씨 당주
재임 시작1493년
재임 종료1519년
선임자없음
후임자호조 우지쓰나
섬긴 주군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히사
아시카가 요시타네
아시카가 요시즈미
아시카가 마사토모
이마가와 우지치카
막부무로마치 막부 신쓰추
봉공중

2. 생애

호조 소운은 흔히 떠돌이 무사(로닌)로 알려졌지만, 사실 아시카가 막부에 직접 고용된 명문 가문 출신이었다.[1] 그는 오카야마현 다카코시 성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누이는 유력한 다이묘 이마가와 요시타다와 결혼했다.[1]

1475년경, 이세 신쿠로라는 이름으로 스루가 국의 이마가와 가문을 위해 일했고, 많은 무사들이 그에게 합류했다. 1476년 이마가와 요시타다가 전투에서 사망하자, 신쿠로는 이마가와 가문의 가신이 되어 그의 아들 이마가와 우지치카를 지지하는 세력과 요시타다의 사촌 오시카 노리미쓰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계승 분쟁을 중재했다. 이후 노리미쓰가 다시 이마가와 가문의 지배권을 장악하려 하자, 소운은 우지치카를 도와 노리미츠를 죽이고 고코쿠지 성을 상으로 받았다.[1]

1491년, 간토 구보 아시카가 마사토모 사후 호리고에를 점령하여 이즈 국을 장악했다. 이후 호조(Hōjō)라는 성과 소운(Sōun)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493년 이즈 국을 장악, 아시카가 막부를 장악했던 아시카가 가문 구성원의 잘못을 갚으면서, 대부분의 역사가들에게 첫 번째 "센고쿠 다이묘"로 여겨진다.

니라야마 성에 거점을 구축한 후, 1494년 오다와라 성을 확보, 약 1세기 동안 호조 가문 영토의 중심이 되었다.[2] 그는 음모를 꾸며 성주가 사냥을 나간 사이 살해하고 성을 장악했다.[2] 1516년 아라이 공방전에서 성을 포위 공격,[3] 사실상 사가미 국 전체를 장악했다.[2]

소운사(Sōun-ji Temple)에 있는 호조 소운의 묘


1519년, 소운은 니라야마 성에서 사망했고, 아들 호조 우지쓰나가 호조 가문을 물려받았다.[4] 우지쓰나는 가문의 이름을 이세에서 호조로 바꾸고 아버지의 시호를 호조 소운으로 올렸다. 1521년 우지쓰나는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소운사를 건립했다.

에도 시대 초기까지 고호조 가문은 명문 이세 가문 출신임을 알았지만, 에도 중기 이후 타이코키의 영향으로 센고쿠 시대는 신분이 미천한 자가 실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하극상의 시대라는 사관이 민중들의 소망과 맞아떨어져 메이지 시대까지 정착되었다. 태평양 전쟁 이후에도 호조 소운, 사이토 도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하극상을 대표하는 인물로 거론되었고, 소운은 신분이 미천한 낭인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운은 쇼군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명문 가문 출신으로, 막부의 명을 받아 스루가로 향했고, 중앙 정치와 연계되어 간토에서 활약하여 간토를 평정한 고호조 가문의 시조라는 이미지가 부각되고 있다.

시바 료타로의 하코네의 언덕(1984년)에서는 소운을 빗추 이세 가문 출신으로, 난바라 미키오의 모장 호조 소운(2002년)에서는 향년 64세설을 채용하고 기타카와도노를 누나로 그리는 등, 소설과 미디어에서도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반영되고 있다.

2. 1. 출신

무로마치 막부만도코로(정소) 칙사를 역임한 명문 이세씨 출신으로 밝혀졌다. 소운은 일개 낭인 출신이라는 통설과는 달리, 이세 가문 중에서도 빗추국에 영지를 가진 지류 출신으로, 빗추 국 시쓰키 군 에하라노쇼 (현재 오카야마현 이바라시)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유력하다.[11] 소운의 아버지 이세 모리사다는 막부의 마도코로 칙사 이세 사다치카와 함께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모시쓰기슈[121]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소운은 모리사다와 교토 이세 가문의 당주이자 마도코로 칙사였던 이세 사다쿠니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운은 젊은 시절 아버지의 영지인 빗추 에하라노쇼에서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에하라노쇼에는 1471년에 소운(당시 이름은 다이라노 모리토키)의 서명이 있는 금제가 남아 있다.[16]

2. 2. 막부의 가신 시절

소운은 교토에서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동생 요시미를 섬겼다.[122]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운의 출생년도를 1456년으로 볼 때, 아시카가 요시미가 쇼군 후계자로 거론되던 1464년 ~ 1467년 무렵에는 소운의 나이가 10세 전후로 너무 어려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481년부터 문헌에 '이세 신쿠로 모리토키'라는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한다.[28] 1483년에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히사의 모시쓰기슈로 근무했고,[122] 1487년에는 호코슈가 되었다.[122]

교토에서 근무하는 동안 소운은 겐닌지와 다이도쿠지에서 선불교를 배웠다.[32]

1487년, 소운은 호코슈가 되었고, 같은 해에 장남 호조 우지쓰나를 낳았다. 또한, 이 시기에 소운은 빚 문제로 1481년에 쇼겐 스케의 가신에게 돈을 빌렸으나, 이듬해 소송으로 이어졌다는 기록이 있다.[30] 이 문제가 소운의 스루가 및 동국 하향의 원인 중 하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1]

2. 3. 스루가 이마가와 가문과의 관계

분메이 8년 (1476년) 이마가와 요시타다가 시오마이사카 전투에서 전사하자, 이마가와 가문 내에서 가독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요시타다의 적자 다쓰오마루(후의 이마가와 우지치카)는 아직 어렸기 때문에, 이마가와 가신들은 요시타다의 사촌인 오시카 노리미쓰를 옹립하려 했다. 소운은 다쓰오마루의 외삼촌으로서 스루가로 내려가 분쟁 조정을 담당했다. 그 결과 다쓰오마루가 성인이 될 때까지 오시카 노리미쓰가 가독을 대행하는 것으로 합의를 이끌어냈다.[24]

조쿄 원년 (1487년), 소운은 다시 스루가로 내려가 다쓰오마루를 보좌하며 거병, 이마가와야카타를 습격하여 오시카 노리미쓰를 죽였다. 이후 다쓰오마루는 이마가와 우지치카로 개명하고 정식으로 이마가와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소운은 이즈 국 경계에 있는 고코쿠지 성과 소령을 받고,[111] 스루가에 머물면서 이마가와 가문의 가신이 되었다. 이후 우지치카를 보좌하며 스루가 슈고다이의 지위에 올랐다고 추정된다.[36]

2. 4. 이즈 평정

1491년, 호리고에 구보 아시카가 마사토모가 죽자, 그의 아들 자차마루가 어머니와 동생을 살해하고 가독을 계승했다.[37] 1493년, 간레 호소카와 마사모토메이오 정변을 일으켜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를 추방하고, 아시카가 요시즈미(마사토모의 다른 아들)를 옹립했다.[41] 요시즈미는 어머니와 동생의 원수를 갚기 위해 소운에게 자차마루 토벌을 명했다고 한다.[41]

이에 따라 같은 해 여름이나 가을 무렵, 소운은 이즈 호리고에 어소의 자차마루를 공격했다. 이 사건을 '이즈 토벌'이라고 하며, 이 시기에 동국 센고쿠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42] 소운은 니라야마 성을 새로운 거성으로 삼고 이즈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선정을 베풀고 조세를 경감하여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다.

자차마루는 도망쳐 소운에게 저항했으나, 1498년 소운은 이즈 남부의 후카네 성에서 자차마루를 사로잡아 살해하여 5년에 걸쳐 이즈 국을 완전히 평정했다.

2. 5. 오다와라 성 탈취와 사가미 평정

오다와라성


메이오 3년(1494년) 간토에서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과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 사이에 조쿄의 난이 재연되었다.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사다마사는 소운에게 원군을 요청했고, 이들은 아라카와강에서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아키사다의 군과 대치했지만, 우에스기 사다마사가 낙마하여 죽자 소운은 병력을 철수시켰다.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은 사가미국의 미우라 가문과 오모리 가문이 기둥이었지만, 이 해 당주인 우에스기 사다마사, 미우라 도키타카, 오모리 우지요리 3명이 모두 사망했다.

소운은 가이국으로 공격 방향을 돌려 가이 슈고 다케다 노부쓰나와 싸웠다. 같은 해 9월 사가미 국 오다와라의 오모리 후지요리의 오다와라 성을 탈취했다.

오다 노부히데의 나고야 성 탈취, 아마고 쓰네히사의 갓산토다 성 탈취와 유사하게, 호조키에 따르면, 소운은 오모리 후지요리에게 계속 선물을 보내 환심을 샀다. 어느 날, 하코네 산에서 사슴 사냥을 하기 위해 몰이꾼과 함께 들어가는 것을 허락받았다. 소운은 강병을 몰이꾼으로 하코네 산에 들여보내고, 그날 밤 소 천 마리의 뿔에 송진을 발라 불을 붙인 소운의 병사와 소가 오다와라 성을 압박했다. 몰이꾼으로 위장해 하코네 산에 매복해 있던 병사들이 괴성을 지르며 횃불을 들었고, 수만의 병사가 공격해온다고 착각한 오다와라 성의 병사와 성안 사람들은 혼란에 빠졌다. 오모리 후지요리는 목숨을 걸고 탈출했고, 소운은 쉽게 성을 탈취했다.

이 오다와라성 탈취는 메이오 4년 (1495년) 9월이라고 하지만, 사료에서는 해와 달이 다르다. 구로다 모토키는 메이오 5년 (1496년)에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이 오다와라 성으로 추정되는 요충지를 공격했고,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의 수비측 이름에 오모리 후지요리와 소운의 동생 야지로의 이름이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아키사다의 서찰에 나와있어, 오다와라 성 탈취는 그 이후일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메이오 10년 3월 28일 (분키 원년/1501년)에 소운이 오다와라 성 밑에 있는 이즈산 신사의 소유지를 자신의 영지인 1개 마을과 교환했다는 문서가 남아있어, 이 시점에서 소운이 오다와라 성을 이미 소유한 것으로 보인다.

오다와라성은 후에 고호조 가문의 본성이 되었지만, 소운은 죽을 때까지 니라야마 산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소운의 오다와라성 탈취 등 일련의 행동은 아시카가 요시즈미=호소카와 마사모토=이마가와 우지치카=호조 소운의 라인과 아시카가 요시타네=오우치 마사히로=아시카가 자차마루=다케다 노부토라의 라인, 즉 메이오 정변에 따른 대립구도 안에서 군사행동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오다와라 성 탈취도 오모리 후지요리가 아시카가 요시타네 라인의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가문으로 자리를 옮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소운은 사가미 방면으로 군사를 돌려 간토 남부를 제압하기 시작했다. 간토 진출에 큰 전환점이 된 것은 에이쇼 원년 (1504년) 8월 무사시 국 다치가와라 전투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도모요시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인 소운은 이마가와 우지치가와 함께 출진하여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아키사다를 격파하였다.

에이쇼 6년 (1509년) 이후 소운은 사가미 진출에 집중했다.

미우라 가문은 사가미의 귀족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거병에 동참하여 가마쿠라 막부 창립의 공신으로써 큰 세력을 가졌지만, 종가는 호조 가문과의 싸움인 호지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문되었고, 서류는 사가미의 호족으로 살아남아 사가미에서 큰 힘을 가지고 있었다.

이 무렵 미우라 가문은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문에 소속되어, 같은 가문 출신인 미우라 요시아쓰가 사가미 중앙부의 오카자키 성을 본거지로, 미우라 반도의 미사키 성(군기물에서는 아라이 성)은 그의 아들 미우라 요시오키가 지키고 있었다. 사가미 평정을 위해 미우라 가문을 멸문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소운은 에이쇼 9년 (1512년) 8월 오카자키 성을 공략하였고, 곧 스미요시 성도 함락하였다. 미우라 요시아쓰는 동생이 지키고 있는 미사키 성으로 도피했고, 소운은 가마쿠라로 개선하여 사가미의 지배권을 대부분 장악하였다.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도모오키가 에도 성에서 구원을 왔지만, 소운은 이를 격파했다. 더욱이 미우라 가문을 공략하기 위해, 같은 해 10월 가마쿠라에 다마나와 성을 축성했다.

미우라 요시아쓰는 병력을 모아 소운과 일전을 벌였지만, 점점 미우라 반도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다.

에이쇼 13년 (1516년) 7월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도모오키가 미우라 가문 구원을 위해 다마나와 성을 공격했지만, 소운은 이것을 격파하고, 미우라 요시아쓰, 요시오키 부자가 농성하고 있는 미사키 성을 공략했다. 격전 끝에 미우라 부자는 전사했고, 사가미는 평정되었다.

그 후, 소운은 가즈사국의 오유미 구보 아시카가 요시아키와 가즈사 다케다 가문을 지원해 보소반도까지 전투를 계속하였다.

2. 6. 죽음과 후계

1519년, 宗瑞|소운일본어는 니라야마 성(Nirayama Castle)에서 사망했고, 새로 건설된 호조 영토를 그의 아들 호조 우지쓰나(Hōjō Ujitsuna)에게 물려주었다.[4] 우지쓰나는 이후 가문의 이름을 원래의 이세(Ise)에서 호조(Hōjō)로 바꾸고 아버지의 시호를 北条早雲|호조 소운일본어으로 올렸다. 1521년 우지쓰나는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소운사(Sōun-ji)를 건립했다.

3. 이름과 출신 논쟁

에도 시대 전기까지 고호조 가문은 명문 이세 가문 출신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에도 중기 이후 타이코키의 영향으로 신분이 미천한 자가 실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시대라는 [하극상의 시대]라는 사관이 민중의 소망과 맞아떨어져 메이지 시대에 정착되었고, 태평양 전쟁 후까지도 이어졌다. 이러한 하극상을 대표하는 인물로 호조 소운, 사이토 도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거론되었고, 소운은 신분이 미천한 낭인으로 묘사되는 것이 통설이었다.[1]

하지만 전통적으로 호조 소운은 간토 지방에서 거의 하룻밤 사이에 권력을 잡은 낭인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아시카가 막부에 직접 고용된 명문 가문 출신이었으며 중요한 가족적 연줄을 가지고 있었다. 소운은 오카야마현의 다카코시 성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그의 누이는 명문 아시카가 가문의 분가 출신인 유력한 다이묘 이마가와 요시타다와 결혼했다.

소운은 1475년경 이세 신쿠로라는 이름으로 스루가 국의 수령인 이마가와 가문을 위해 일했고, 결국 많은 무사들이 그에게 합류하면서 "독립적인 지도자"가 되었다. 1476년 요시타다가 전투에서 사망하자, 요시타다의 아들 이마가와 우지치카를 지지하는 세력과 요시타다의 사촌인 오시카 노리미츠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계승 분쟁을 중재했다. 노리미츠가 다시 이마가와 씨의 지배권을 장악하려고 시도하자, 소운은 우지치카를 돕기 위해 노리미츠를 죽였다. 소운은 우지치카로부터 고코쿠지 성을 상으로 받았다.

1491년, 소운은 칸토 쿠보 아시카가 마사토모 사후 호리 고예를 점령하여 이즈 국을 장악했다. 그 후 그는 호조라는 성을 사용하고 소운 또는 소즈이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1493년 이즈 국을 장악하여 아시카가 막부를 장악했던 아시카가 가문 구성원의 잘못을 갚았다. 이즈 국 침략에서 성공함으로써 그는 대부분의 역사가들에게 첫 번째 "센고쿠 다이묘"로 여겨진다.

이후 소운은 이즈 국 니라야마 성(이즈노쿠니 시)을 새로운 거점으로 삼아 이즈 국 통치를 시작했다. 구로다 모토키에 따르면, 소운의 이즈 영토화는 의징의 어머니와 동생의 원수인 차차마루를 토벌한 공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한다. 소운은 이즈 통치에 있어 고사카를 세워 자기편에 참여하면 본래 영지를 안도하겠다고 약속하고, 참여하지 않으면 농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주거를 파괴하겠다고 선포했다. 또한 군사의 난폭한 행위를 엄중히 금지하고 환자를 간호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기에, 차차마루의 폭정에 시달리던 이즈의 소영주와 백성들은 곧바로 복종했다.

군기물 등에 따르면 이즈 토치이리 시에 전사하거나 자결했다고 전해지는 차차마루는 사서에는 도망쳤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세키토 씨, 카리노 씨, 도히 씨 등 이즈의 여러 세력, 심지어는 카이의 다케다 씨 등에게 옹호되어 수 년에 걸쳐 이세 씨에 저항했다. 소운은 이즈의 쿠니진을 자기편으로 만들면서 차차마루 세력을 점차 몰아붙여 명응 7년(1498년) 8월에 남이즈에 있던 후카네 성(시모다 시)을 함락시켜 5년 만에 이즈를 평정했다.

이즈를 평정하는 한편, 소운은 이미가와 씨의 무장으로서 명응 3년(1494년)경부터 이미가와 씨의 군대를 지휘하여 토토미에 침공하여 중원까지 제압했다. 소운은 우지치카와 연계하여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3. 1. 이름

北条 早雲|호조 소운일본어은 생전에 '호조 소운'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적이 없으며, 문서에는 '伊勢 宗瑞|이세 소즈이일본어' 또는 '伊勢 新九郎|이세 신쿠로일본어' 등으로 서명했다.[1] '北条|호조일본어'라는 성은 소운 사후, 아들 우지쓰나 시대부터 사용되었다.[4] 소운의 이름은 오랫동안 불확실했으며, '長氏|나가우지일본어', '氏茂|우지시게일본어', '氏盛|우지모리일본어' 등으로 전해져 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盛時|모리토키일본어'가 가장 유력한 이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는 '伊勢 新九郎 盛時|이세 신쿠로 모리토키일본어'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소운의 아들, 가신들의 이름에 사용된 글자를 통해 소운의 이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인물관계이름에 사용된 글자추정되는 소운의 이름
우지쓰나장남氏|우지일본어長氏|나가우지일본어, 氏茂|우지시게일본어, 氏盛|우지모리일본어
北条氏時|호조 우지토키일본어차남時|토키일본어盛時|모리토키일본어
葛山氏広|가쓰라야마 우지히로일본어삼남氏|우지일본어長氏|나가우지일본어, 氏茂|우지시게일본어, 氏盛|우지모리일본어
北条長綱|호조 나가쓰나일본어사남長|나가일본어長氏|나가우지일본어
大道寺盛昌|다이도지 모리마사일본어가신
(소운의 사촌의 아들)
盛|모리일본어盛時|모리토키일본어 또는 氏盛|우지모리일본어
松田盛秀|마쓰다 모리히데일본어가신盛|모리일본어盛時|모리토키일본어 또는 氏盛|우지모리일본어



위 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소운은 적어도 '盛時|모리토키일본어', '長氏|나가우지일본어', '氏盛|우지모리일본어' 중 하나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모리"자를 받은 인물이 두 명이나 있는 것으로 보아, "모리토키"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며, 이것이 현재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만, 도중에 이름을 바꾸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이 중 하나뿐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3. 2. 출신 논쟁

소운의 출신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여러 설이 분분했다. 야마토 아리와라 설, 야마시로 우지 설, 이세 설, 교토 설, 빗추 설 등이 거론되었다.[96]

설 이름주장내용비고
야마토 아리와라 설, 야마시로 우지 설고호조고다이키에 이설로 소개됨유력하게 여겨지지 않음[97]
이세 설1901년 후지이 케이헤이, 다나카 요시나리호조키와 소슈 병란기에 기록, 소운이 시나노 슈고 오가사와라 사다모토에게 보낸 서찰에서 "이세의 세키 가문의 일족"이라고 쓴 것을 근거로 주장
교토 설와타나베 요스케간세조슈쇼카후 등에 있는 막부 마도코로 칙사의 교토 이세 가문 출신으로 이세 사다치카의 동생 이세 사다후지 또는 그의 자식이라고 주장



이러한 설들 속에서, 이세 설이 일반적으로 정착되어 '이세 낭인'이라는 소운의 이미지가 생겼고,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교토 설이 유력하게 여겨졌다.[100]

하지만, 빗추 설이 이마가와키 및 다이코키에 기록되어 있었고,[101] 오카야마현 이바라시 호센지의 고문서를 조사한 후지이 슌이 1956년 소운을 빗추 이세 가문 출신으로 쇼군 아시카가 요시히사의 측근이었던 '이세 신쿠로 모리토키'와 동일인물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01] 1980년 전후, 오쿠노 다카히로, 이마타니 아키라, 오와다 데쓰오가 사료 조사 결과 '이세 신쿠로 모리토키'가 훗날의 호조 소운이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후 유력한 반론 없이 연구가 계속되어 대부분 정설로 받아들여졌다.[102] 이는 에도 시대 초기에 출간된 이마가와키의 내용으로 돌아간 것이기에 '혼케가에리'[124]라고 불린다. 결국 소운은 낭인이 아니라 쇼군을 직접 모시는 명문가 출신이었던 것이다.

3. 3. 생년 논쟁

호조 소운의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에도 시대 이후에는 향년 88세(1432년생) 설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이 설에 따르면 소운은 56세에 스루가로 내려가 고코쿠지 성주가 되었고, 62세에 이즈를 공격했다. 그러나 이 설은 소운의 누나 기타카와도노가 이마가와 요시타다와 결혼한 1467년에 소운이 36세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누나가 당시 여성으로서는 매우 늦은 나이에 결혼했다는 문제가 생긴다.[104]

소설가와 평론가들은 소운을 대기만성형 인물로 묘사해왔다.[23] 그러나 소운이 50세 무렵에 역사에 등장하고, 60세가 넘어서 본격적으로 활동하며, 80세가 넘어서도 군대를 이끌었다는 점은 의문을 갖게 한다.[105]

최근에는 구로다 모토키가 향년 88세 설은 에도 시대 중기 이후의 가계도에서 나온 것이며, 에도 시대 초기 사료에는 없다는 것을 밝혔다.[106][107] 1432년생이라면 이세 모리토키의 아버지 모리사다의 활동 시기, 이세 사다치카의 조카라는 계보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105] 또한, 구로다는 호조 우지테루의 옛 신하 다카하시 가문의 기록에서 소운을 이세 모리사다의 아들 신쿠로 모리토키로 보고 향년 64세로 기록한 것을 확인했다. 이는 신뢰성이 높은 고야산 고슈쓰인의 "호조 씨 계도"와 비교했을 때 내용이 일치하여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했다.[108]

구로다는 이를 오랫동안 소운으로 여겨졌던 이세 사다후지의 생년과 혼동한 결과라고 보았다. 에도 시대 초기 군기물에 "쥐띠"로 기록된 점, 누나 기타카와도노의 결혼 시기를 고려하여 24년 뒤인 1456년생이라고 주장했다.[109] 이 설을 따르면 기타카와도노의 결혼 시기에 소운은 11세, 스루가로 내려갔을 때 32세, 사망 당시 64세가 되어 당시 사람의 활동으로 타당하다는 이유로 이 설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이 나타났다.[110]

그러나 이 설은 아직 검토 단계이며, 향년 88세 설을 채택하는 연구자도 있다.[111][112] 소운의 넷째 아들 호조 겐안은 향년 97세(혹은 89세)였다고 전해지지만, 이 역시 군기와 당대 사료의 모순이 지적되고 있다.

4. 평가 및 영향

호조 소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초기에는 주로 신분이 낮은 낭인 출신으로 하극상을 통해 성공한 인물로 그려졌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명문가 출신의 유능한 정치가이자 센고쿠 다이묘의 선구자로 재평가되고 있다.

에도 시대 전기까지는 고호조 가문이 명문 이세 가문 출신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에도 중기 이후에는 타이코키(太閤記)의 영향으로 센고쿠 시대가 신분이 낮은 자가 실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는 하극상의 시대라는 사관이 민중들의 소망과 맞아 떨어져 널리 퍼졌다.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이러한 인식은 정착되었고, 태평양 전쟁 이후까지도 계속되었다. 이러한 하극상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호조 소운, 사이토 도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거론되었고, 소운은 신분이 미천한 일개 낭인으로 그려지는 것이 통설이었다.[94]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운은 아시카가 막부에 직접 고용된 명문 가문 출신으로, 중요한 가족적 연줄을 누렸던 인물이었다. 그는 스루가 국의 수령인 이마가와 가문을 위해 일하며 세력을 키웠고, 이마가와 가문 내의 분쟁을 중재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고코쿠지 성(Kōkokuji Castle)을 상으로 받고, 이즈 국을 장악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다.

이러한 새로운 연구 결과는 소설과 미디어에도 반영되기 시작했다. 시바 료타로의 하코네의 언덕(1984년)에서는 소운을 빗추 이세 가문 출신으로 설정하면서도, 대중 소설로서 신분이 낮은 낭인의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말안장을 만드는 장인으로 묘사했다. 난바라 미키오의 모장 호조 소운(2002년)에서는 최근 연구를 반영하여 향년 64세설을 채용하고 기타카와도노를 누나로 그렸다. 2005년 방영된 '그 때 역사가 움직였다: 전국 시대를 연 남자~호조 소운 56세의 도전'에서는 소운을 막부의 고급관료로 그리면서도, 향년 88세설을 채용하여 대기만성형으로 묘사했다.

1980년대 이전의 소설과 일반 서적에서는 소운을 장수한 '대기만성', '맨손으로 일구어낸 낭인'으로 묘사한 서적이 많았지만, 최근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이미지는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다.

4. 1. 센고쿠 다이묘의 선구자

호조 소운은 센고쿠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서, 독자적인 영토 지배 체제를 확립하고 후대 고호조 씨 번영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검지 실시, 가법 제정, 호랑이 인장 사용 등 선진적인 정책을 시행하여 민생 안정과 농업 생산력 증대에 기여했다. 그의 통치 방식은 후대의 다른 센고쿠 다이묘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 인물로 평가받는다.[1]

소운은 1493년 이즈 국을 장악하면서 아시카가 막부의 권위에 도전했고,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통해 소운을 최초의 센고쿠 다이묘로 간주한다.[2] 그는 아시카가 가문이 저지른 잘못을 바로잡는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이후 오다와라 성을 점령하고 사가미 국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급속도로 성장하여 센고쿠 다이묘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다.

4. 2. 한국과의 관계 (한국의 관점)

호조 소운은 임진왜란 이전 일본의 유력 다이묘 가문인 고호조 씨의 시조로서, 조선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운의 통치 방식과 정책은 당시 조선의 정치, 사회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가문은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소운의 등장과 고호조 씨의 성장은 당시 동아시아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조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에도 시대 전기까지 후호조 씨는 집권 호조 가문의 직계 후예 또는 명문 이세 씨 출신으로 여겨졌으나,[93] 에도 시대 중기 이후 태합기의 영향으로 센고쿠 시대를 신분이 낮은 자가 실력으로 몸을 일으키는 하극상의 시대로 보는 인식이 메이지 시대에 정착되어 전후까지 이어졌다.[94]

5. 관련 작품


  • 시바 료타로의 소설 《하코네의 언덕》에서는 호조 소운을 빗추 이세 가문 출신으로 설정하고, 이세 사다치카의 저택에 머물면서 교토에서 아시카가 요시미를 모시는 가신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소운을 이세 가문의 후예로 말안장을 만드는 장인으로 그리고 있으며, 당시 통설인 향년 88세설을 채용하여 대기만성형 인물로 그리고 있다. 또한, 기타가와도노는 피를 나누지 않은 동생으로 묘사하고 있다.[113]

  • 난바라 미키오의 소설 《모장 호조 소운》(2002년)에서는 최근 연구를 반영하여 향년 64세설을 채용하고 기타가와도노를 누나로 그리고 있다.

  • 2005년에 방영된 NHK 프로그램 '그 때 역사가 움직였다: 전국 시대를 연 남자~호조 소운 56세의 도전'에서는 소운을 막부의 고급 관료로 그리고 있지만, 향년 88세설을 채용하여 대기만성형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117]

  • 유키 마사미의 만화 《신쿠로, 달리다!》(2018년 ~)는 최근 연구를 반영하여 이세씨 지류인 비추 이세씨 출신으로 막부 신지슈 이세 모리사다의 차남인 '''이세 신쿠로 모리토키'''로 묘사하고 있다. 고쇼 2년(1456년)생 향년 64세설을 채택하고 있으며, 출신 및 성장에 관해서는 여러 학설을 절충하는 형태로 통합하고 있다.

  • 미야시타 히데키의 만화 《센고쿠》에서는 주인공과의 관계가 깊은 오다와라 정벌을 그리는 과정에서 젊은 막신으로 묘사되고 있다.

  • 호조 오다이 관광 추진 협의회에서는 그 출신을 비추 이세씨의 막신으로 하고, 출생에 대해서는 향년 88세설과 향년 64세설을 병기하고 있다.[118]


; 동상

:*오다와라역과 소운의 마을 에바라역에 이세 소운(호조 소운)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 소설

:*오자키 시로 『이세 신쿠로』, 『북조 소운』

:*도바시 하루시게 『북조 소운 ― 이야기와 역사적 유적을 찾아서』

:*하야토메 미츠구 『북조 소운』(전 5권) ※TV 드라마 '젊은 시절의 북조 소운' 원작.

:*시바 료타로 『하코네의 언덕』

:*오구리 단고 『대도 난세를 달리다 ― 소설·북조 소운』

:*나카무라 아키라 『북조 소운 ― 이상향을 꿈꾼 풍운아』

:*하마노 타쿠야 『의의 깃발 바람 ― 소설 북조 소운』

:*타카노 스미 『북조 소운』

:*난바라 미키오 『모략장 북조 소운』

:*마에다 노리오 『전국시대의 선구자 ― 북조 소운』

:*이토 준 『빠른 구름처럼〜소운과 전국 샛별 시대의 남자들〜』, 『샛별에 일어서다』

:*히사카 마사시・이토 준 『북조 오대』

:*카이도 류이치로 『소운 입지전』

:*토가시 린타로 『북조 소운』, 『소운의 군배자』

:*하다 마사토 『바늘도 쌓고 구슬도 깨뜨린다』

; 텔레비전 드라마

:*『젊은 시절의 북조 소운』(1980년, TV 아사히) 이세 신쿠로: 키타노오지 킨야

:*『전국 난세의 날뛰는 녀석 사이토 도산 격랑의 천하 쟁탈』(1991년, TV 아사히) 북조 소운: 후지타 마코토

:*『츠카하라 부덴』(2011년, NHK) 이세 소운: 나카오 아키라

; 만화

:*나가이 고, 다이내믹 프로 『북조 소운』

:*나카지마 켄지 『만화판 일본의 역사 전국 인물전 북조 소운』(원작: 시즈카 카오루)

:*유키 마사미 『신쿠로, 달리다!』

:*소니시 켄지 『네코네코 일본사』

;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네코네코 일본사』 북조 소운: 코바야시 유우

; 게임

:*『전국대전 -1477 파부, 육십육주 조각으로-』(2014년, 세가 인터랙티브) 이세 신쿠로: 미우라 쇼로, 북조 소운: 스기타 토모카즈

참조

[1] 서적 Sengoku Hōjō shi to Kassen 戒光祥出版社 2018
[2]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4] 웹사이트 北条早雲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07-25
[5] 서적 黒田(2005)
[6] 서적 黒田(1997)
[7] 서적 尊卑文脈 https://dl.ndl.go.jp[...] 吉川弘文館
[8] 서적 家永(2005);桑田(1990)
[9] 서적 黒田(2019)
[10] 서적 下山(1999)
[11] 서적 市村(2009);家永(2005)
[12] 서적 小和田(1989)
[13] 서적 家永(2005)
[14] 서적 下山(1999)
[15] 문서 伊勢氏
[16] 서적 杉山(1974)
[17] 서적 下山(1999)
[18] 웹사이트 高越城址:歴史・文化:史跡・名勝:観光情報 http://www.ibarakank[...] 井原市観光協会 2012-07-15
[19] 서적 下山(1999)
[20] 서적 黒田(2005)
[21] 서적 小和田(1983)
[22] 서적 家永(黒田2013)
[23] 서적 相模国盗り物語(2008)
[24] 서적 家永(2005)
[25] 서적 家永(2005)
[26] 서적 市村(2009);家永(2005);下山(1999)
[27] 서적 黒田(2005)
[28] 서적 下山(1999)
[29] 간행물 大日本史料
[30] 서적 室町幕府引付史料集成(1980)
[31] 서적 古野(2008)
[32] 서적 小和田(1989)
[33] 서적 小和田(1983)
[34] 서적 黒田(2005)
[35] 서적 黒田(2013)
[36] 서적 小和田(1989)
[37] 논문 伊勢盛時と足利政知 2016
[38] 서적 下山(1999)
[39] 서적 家永(2005)
[40] 서적 黒田(2005)
[41] 서적 市村(2009)
[42] 서적 市村(2009)
[43] 서적 市村(2009)
[44] 서적 桑田(1990)
[45] 서적 市村(2009), 黒田(2005)
[46] 서적 家永(黒田2013)
[47] 서적 桑田(1990)
[48] 서적 家永(2005)
[49] 서적 家永(黒田2013), 黒田(2013)
[50] 서적 杉山(1974)
[51] 문서 甲斐における武田氏の内紛
[52]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53] 뉴스 落城伝説と津波11津波と牛と早雲 http://www.sengoku-s[...] 伊豆新聞, 熱海新聞, 伊豆日日新聞 2011-11-27
[54] 문서 小田原城攻めに関する矛盾点
[55] 서적 黒田(2005)
[56] 서적 黒田(2005)
[57] 서적 市村(2009), 黒田(2005)
[58]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59] 서적 家永(2005)
[60] 서적 家永(2005)
[61] 논문 今川氏親の新研究 戎光祥出版 2019-04
[62]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63]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64] 서적 黒田(2005)
[65] 서적 黒田(2019)
[66] 서적 黒田 2012-01
[67] 서적 市村(2009)
[68] 서적 黒田(2005), 下山(1999)
[69]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70] 서적 黒田(2005)
[71]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72] 웹사이트 早雲寺-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7-17
[73]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74] 웹사이트 早雲寺殿廿一箇条-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2-07-16
[75] 서적 黒田(2005)
[75]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76] 서적 黒田(2005)
[77] 서적 家永(2005)
[78] 서적 クロニック戦国全史(1995)
[79] 논문 戦国大名今川氏の三河侵攻 戎光祥出版 2019-04
[80] 서적 黒田(2019)
[81] 서적 黒田(2005)
[82] 서적 佐藤(2001)
[83] 서적 海音寺(1975)
[84] 서적 黒田(2007)
[85] 서적 黒田(2005)
[86] 문서 後者論文で黒田が紹介した高橋家過去帳には「(伊豆)狩野氏女」と記されている。
[87] 서적 黒田(2007)
[88] 문서 金竜院位牌
[89] 서적 黒田(2007)
[90] 서적 黒田(2007)
[91] 서적 黒田(2005)
[92] 서적 黒田(2005)
[93] 문서 『寛永諸家系図伝』の狭山藩北条家の届け出た家系図では北条行長の実子としており、逆に幕臣伊勢家の系図では「伊勢貞親の二男貞藤が伊勢宗瑞」としていた。
[94] 서적 家永(2005)
[95] 서적 家永(2005)
[96] 서적 家永(2005)
[96] 서적 杉山(1974)
[96] 서적 佐藤(2001)
[97] 서적 杉山(1974)
[98] 서적 相模国盗り物語(2008)
[98] 서적 家永(2005)
[98] 서적 杉山(1974)
[98] 서적 海音寺(1975)
[99] 서적 杉山(1974)
[100] 서적 家永(2005)
[101] 서적 家永(2005)
[102] 서적 家永(2005)
[103] 서적 家永(2005)
[104] 서적 黒田(2005)
[105] 서적 黒田(2005)
[105] 서적 下山(1999)
[106] 논문 北条早雲の事績に関する諸問題 おだわら-歴史と文化
[107] 논문 黒田(2005)
[108] 논문 黒田(2013)
[109] 논문 黒田(2005)
[110] 논문 家永(2005)
[111] 웹사이트 北条早雲-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杉山博『北条早雲』(1976・名著出版)収録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23-03-01
[112] 웹사이트 小田原城奪取 https://www.city.oda[...] 広報おだわら第655号 1995 小田原市 2023-03-01
[113] 논문 海音寺(1975)
[114] 논문 桑田(1990)
[115] 논문 海音寺(1975)
[116] 논문 井沢(2008)
[117] 웹사이트 時々歴史が動いた#2005年 5月分 放映リスト(Internet Archive)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12-07-14
[118] 웹사이트 北条氏五代100年の歴史 https://www.city.oda[...] 北条五代観光推進協議会(小田原市公式サイト内) 2012-07-16
[119] 웹사이트 法泉寺文書[二十一通] 附 伊勢盛時禁制札[一面] https://www.pref.oka[...] 2020-06-15
[120] 문서 무로마치 막부의 재정과 영지에 관한 소송을 담당하는 직책
[121] 문서 쇼군의 명령이나 서찰을 출납하는 직
[122] 문서 무로마치 막부의 관직의 하나로 쇼군 직속부대를 다루는 현재의 근위대장 정도로 생각된다.
[123] 문서 그 해 수확량에서 4할은 영주에게 납입하고 6할은 농민이 가지는 것을 말한다.
[124] 문서 간지가 돌아 다시 그 간지로 오는 것=환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