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소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소반도는 동쪽과 남쪽은 태평양, 서쪽은 도쿄만, 북쪽은 에도강과 도네강에 둘러싸인 반도이다. 반도 남부에는 구릉성 지형인 보소반도 구릉이 있으며, 최고 지점은 아타고산이다. 지바현 북부의 시모사고원, 게이요 공업지대, 도쿄만 아쿠아라인 등이 위치해 있다. 북동쪽에는 수이고쓰쿠바 준국립공원, 동해안에는 미나미보소 준국립공원이 있으며, 최동단은 이누보자키, 최남단은 노지마자키이다. 보소반도는 우치보와 소토보로 나뉘며, 구릉, 고원, 평야 지형을 보인다. 1958년 미나미보소 국정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수도권의 일부로 도시화와 공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교통망이 발달되어 있으며, 철도, 도로, 버스, 항만, 해상 교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바현의 지형 - 간토평야
간토 평야는 일본 혼슈 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현과 도에 걸쳐 있는 넓은 평야로, 온대 기후에서 벼농사, 밭농사, 축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고 공업 시설과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 지바현의 지형 - 사가미 해곡
사가미 해곡은 사가미만에서 보소반도 남동쪽 해역에 걸쳐 있는 해곡으로, 지각 변동과 판 경계 단층의 관점에서 사가미 섭입대에 해당하며, 사가미 메가스러스트는 간토 대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의 원인이 되는 필리핀해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이다. - 보소반도 - 구주쿠리 해변
지바현의 아사히시 교부미 곶에서 이즈미시 다이토 곶까지 66km에 걸쳐 펼쳐진 구주쿠리 해변은 과거 수상 교통 요충지이자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현재는 서핑 명소, 해수욕장, 그리고 지바현립 구주쿠리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보소반도 - 지바현 제3구
지바현 제3구는 지바시 미도리구와 이치하라시를 관할하는 중의원 선거구로, 1996년 설치 이후 오카지마 부자와 마츠노 히로카즈가 번갈아 당선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마츠노 히로카즈가 당선되고 있다. - 일본의 반도 - 이토시마반도
후쿠오카현 서부에 위치한 이토시마 반도는 겐카이나다에 접한 아름다운 해안선과 역사적 유적, 다양한 산업, 그리고 후쿠오카 도시권과의 근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이다. - 일본의 반도 - 시모키타반도
시모키타반도는 아오모리현 북동부에 위치하며, 태평양, 쓰가루 해협, 무쓰만에 접하고, 오소레 산 산지, 사루가모리 사구 등의 지형을 가지며, 시모키타 반도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관광지이자, 핵연료 주기 기지 등 에너지 산업 시설이 있는 곳이다.
보소반도 | |
---|---|
지리 정보 | |
![]() | |
위치 | 간토 지방, 지바현, 일본 |
좌표 | 좌표 정보 없음 (위키 문서에 좌표 템플릿만 존재) |
면적 | 5034 km² |
최고점 | 아타고산 (미나미보소시) |
최고점 해발고도 | 408.2 m |
강 | 도네강 에도강 오비쓰강 요로강 고이토강 |
일반 정보 | |
이름 | 보소 반도 (房総半島) |
위치 정보 | 일본 혼슈 지바현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반도 |
2. 지리
일본 열도 중앙부, 혼슈가 북동에서 남서쪽으로 활처럼 휘어지는 곳에 보소반도가 있으며, 그 전역이 지바현에 해당한다. 고대부터 중세까지는 가스미가우라, 기타우라, 인바누마, 테가누마 등의 호소를 중심으로 가토리 바다(고 키누만)라고 불린 하나의 내만이 존재했고, 북서쪽의 도쿄만(고 도쿄만)이 현재보다 내륙으로 들어와 있었으며, 아카호리가와·사카이가와가 개척된 약간 높은 지대에서 혼슈와 연결되어 있었지만, 사방이 바다나 하천과 같은 수역으로 둘러싸인 섬과 같은 환경에 있었다.[18]
최동단은 도네강(리네가와) 하구 부근의 이누보자키(조시시)이며, 홋카이도의 소야미사키, 규슈의 사다미사키로부터 모두 약 1,100km의 등거리에 위치하여 일본 열도의 중심에 해당한다.[11] 최남단은 노지마자키(미나미보소시)이다.[12] 겐로쿠 지진으로 인해 부근이 융기하여 이전에는 섬이었던 노지마(野島)가 육지와 연결되어 노지마자키가 되었으며, 노지마자키 등대보다 더 남쪽의 암초가 최남단이다. 도쿄만 쪽은 우치보, 태평양 쪽은 소토보라 불리며, 스자키가 그 경계로 여겨진다. 최고 해발고도는 408.2m (아타고산)이다.
도쿄만 아쿠아라인은 도쿄만을 가로지르는 교량과 터널로 기사라즈시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연결한다. 보소반도의 북동쪽에는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에 걸쳐 있는 스이고쓰쿠바 준국립공원이 있으며, 반도 동해안의 대부분은 미나미보소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2]
보소반도는 그 자연 조건과 경관이 특징적이다. 북부에는 시모사 대지가 펼쳐져 있으며, 반도 동쪽에는 구주쿠리 해변이 이어지고 해안 평야가 줄지어 있다. 남부의 보소 구릉은 세이쇼잔 산맥에 의해 조소 구릉과 안보 구릉으로 나뉜다.[16]
한편, 후쓰미사키에서 북쪽 도쿄만 북동부 해안은 1940년(쇼와 15년)부터 시작된 매립에 의한 인공 해안이 이어져 게이요 공업 지대를 이루고 있다.[16]
이처럼 보소반도 동부와 중부 이남에는 풍부한 자연이 남아 있으며, 관광지가 되고 있다. 한편, 도쿄 대도시권에 포함되어 도쿄 도심부에서 도시부가 연속되어 있는 북서부에 비해 경제·인구 격차가 열리는 “남북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14][15]
2. 1. 주요 지형
보소반도는 동쪽과 남쪽으로 태평양, 서쪽으로는 도쿄만, 북쪽으로는 에도강(江戸川)과 도네강(利根川)에 둘러싸여 있다.[1] 반도 남부에는 보소 구릉(房総丘陵)이 뻗어 있으며, 대부분 구릉성 지형이다.[3] 미나미보소시(南房総市)와 가모가와시(鴨川市)에 있는 아타고산(愛宕山)은 해발 408.2m로 보소반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4] 보소 구릉은 북쪽으로 이어져 시모사 고원(下総台地)으로 연결되며, 이 고원은 지바현 북부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도네강 주변 저지대에서 끝난다.[1]


보소반도의 북부와 서부는 고도로 도시화되어 있다. 시모사 고원과 해안 저지대, 내륙 하천 유역은 주로 벼농사에 이용된다. 반도 서해안에는 게이요 공업지대(京葉工業地域)가 있으며, 도쿄와의 경계에 있는 우라야스시(浦安市)에서 남쪽의 후츠시(富津市)까지 이어진다.[2]
지형적으로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3단계로 낮아지며, 저산성의 구릉, 고원, 평야 지역으로 구분된다. 남부에서 중부에 걸쳐서는 해발 300미터 전후의 보소반도 구릉 등으로 이루어진 구릉지·고원이며, 평야 지역은 도네강의 충적평야, 구주쿠리 평야, 도쿄만 연안의 삼각주 평야 등이다. 남부 해안에는 해안단구, 해식애가 발달하여, 출입이 풍부한 해안선이 많다.[13]
구주쿠리 해변 평야인 구주쿠리 평야는 북동쪽으로 약 60킬로미터에 걸쳐 있다. 조시시(銚子市) 방면의 병풍가우라와 반도 남부의 스자키에서 노지마자키를 거쳐 다이토 곶(이즈미시)에 이르는 외방(태평양 쪽) 해안, 그리고 후츠시미나토가와하구에서 오부사키에 이르는 내방(도쿄만 쪽) 해안은 사빈뿐만 아니라 암초와 해식애 등이 형성되어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준다.[16]
2. 2. 수계
보소반도는 동쪽과 남쪽으로 태평양, 서쪽으로는 도쿄만, 북쪽으로는 에도강(江戸川)과 도네강(利根川)에 둘러싸여 있다.[1] 반도 남부에는 보소구릉(房総丘陵)이 솟아 있으며, 대부분 구릉성 지형이다.[3] 미나미보소시(南房総市)와 가모가와시(鴨川市)에 있는 아타고산(愛宕山)은 해발 408.2m로 보소반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4] 보소 구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다가 시모사고원(下総台地)으로 연결되며, 이 고원은 지바현 북부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도네강 주변 저지대에서 끝난다.[1]근세 초, 에도 막부에 의해 실시된 도네가와 동천 사업으로 하천의 퇴적 기능이 커져 점차 매립되어 육지화가 진행되었다.[9][10]
3. 자연
보소반도는 동쪽과 남쪽으로 태평양, 서쪽으로는 도쿄만, 북쪽으로는 에도강(江戸川)과 도네강(利根川)에 둘러싸여 있다.[1] 반도 남부에는 보소구릉(房総丘陵)이 솟아 있으며, 대부분 구릉성 지형이다.[3] 미나미보소시(南房総市)와 가모가와시(鴨川市)에 있는 아타고산(愛宕山)은 해발 408.2m로 보소반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4] 보소 구릉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다가 시모사고원(下総台地)으로 연결되며, 이 고원은 지바현 북부 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도네강 주변 저지대에서 끝난다.[1]
보소반도의 북부와 서부는 고도로 도시화되어 있다. 시모사 고원과 해안 저지대, 내륙 하천 유역은 주로 벼농사에 이용된다. 반도 서해안에는 게이요 공업지대(京葉工業地域)가 있으며, 도쿄도와의 경계에 있는 우라야스시(浦安市)에서 남쪽의 후츠시(富津市)까지 이어진다.[2] 도쿄만 아쿠아라인(東京湾アクアライン)은 도쿄만을 가로지르는 교량과 터널로 기사라즈시(木更津市)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川崎市)를 연결한다.
3. 1. 기후
쿠로시오 해류는 보소반도 앞바다에서 동쪽으로 흐름을 바꾸며, 북동쪽에서 오는 쿠릴 해류와 해류 경계를 형성한다. 내륙부(보소구릉)는 관동 평야 중앙부의 내륙성 기후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온난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남단부에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무상지대가 있으며, 강수량이 많은 점을 포함하여 남부의 해양성 기후는 내륙부와는 명확한 차이가 있다.[16] 보소반도는 일반적으로 온난한 기후로 알려져 있다. 높은 산지는 없지만,[17] 해안 기후, 곶 기후, 하안 기후 등 다양한 기후가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18] 연평균 기온 16도 이상으로 겨울에도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 온난한 지역인 보소반도 남부의 다테야마시(館山市)·가쓰우라시(勝浦市)는 한여름 폭염일수도 적은 피서지이기도 하다. 따라서 여름에는 피서지로, 겨울에는 피한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3. 2. 자연공원
보소반도 북동쪽에는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에 걸쳐 있는 수이고쓰쿠바 준국립공원이 있으며, 반도 동해안 대부분은 미나미보소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2] 보소반도 동부와 중부 이남에는 풍부한 자연이 남아 관광지가 되고 있다.[14][15]조시시 방면의 병풍가우라와 반도 남부 주자키에서 노지마자키를 거쳐 다이토미사키에 이르는 외방(태평양 쪽) 해안, 그리고 후츠시미나토가와하구에서 오오부사키에 이르는 내방(도쿄만 쪽) 해안은 사빈뿐만 아니라 암초와 해식애 등이 형성되어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준다.[16]
4. 역사
이 반도는 과거 이곳에 위치했던 구(舊) 행정구역)인 아와(安房), 가즈사(上総), 시모사(下総)에서 이름과 한자를 따왔다. 일본 기상청은 이 반도의 서쪽과 동쪽 해안을 각각 '우치보(内房)'와 '소토보(外房)'로 부른다.[4]
4. 1. 명칭 유래
이 반도는 과거 이곳에 위치했던 구(舊) 행정구역인 아와(安房), 가즈사(上総), 시모사(下総)에서 이름과 한자를 따왔다. 일본 기상청은 이 반도의 서쪽과 동쪽 해안을 각각 '우치보(内房)'와 '소토보(外房)'로 부른다.5. 인문 환경
보소반도는 지바현에 위치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인문 환경을 보인다.
북부와 서부는 고도로 도시화되어 있다. 시모사고원과 해안 저지대, 내륙 하천 유역은 주로 벼농사에 이용된다. 반도 서해안에는 게이요 공업지대가 발달해 있으며, 도쿄와의 경계에 있는 우라야스시에서 남쪽의 후츠시까지 이어진다.[2] 도쿄만 아쿠아라인은 도쿄만을 가로질러 기사라즈시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연결한다.[2] 1940년부터 후츠미사키 북쪽 도쿄만 북동부 해안은 매립으로 만들어진 인공 해안이며, 게이요 공업 지대의 일부이다.[16]
도쿄 대도시권에 속하는 북서부는 도쿄 도심부와 연결되어 발전했지만, 그 외 지역은 경제·인구 격차가 커지는 "남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4][15]
교통망으로는 도쿄 도심과 연결되는 철도와 버스 노선이 발달해 있다. 특히 도쿄만 아쿠아라인과 다테야마 자동차도를 경유하는 고속버스는 보소반도 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 기사라즈 항을 비롯한 여러 항구가 있으며, 도쿄만 페리와 동해汽船 등의 해상 교통도 발달해 있다.
5. 1. 도시화와 산업화
보소반도 북부와 서부는 고도로 도시화되어 있다. 시모사고원과 해안 저지대, 내륙 하천 유역은 주로 벼농사에 이용된다. 반도 서해안에는 게이요 공업지대가 있으며, 도쿄와의 경계에 있는 우라야스시에서 남쪽의 후츠시까지 이어진다.[2] 도쿄만 아쿠아라인은 도쿄만을 가로지르는 교량과 터널로 기사라즈시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연결한다. 후츠미사키에서 북쪽 도쿄만 북동부 해안은 1940년(쇼와 15년)부터 시작된 매립에 의한 인공 해안이 이어져 게이요 공업 지대를 이루고 있다.[16]한편, 도쿄 대도시권에 포함되어 도쿄 도심부에서 도시부가 연속되어 있는 북서부에 비해 경제·인구 격차가 열리는 “남북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14][15]
5. 2. 관광
보소반도는 경기도 지역에 위치하며, 독특한 자연 조건과 경관을 자랑한다. 북쪽에는 시모사 대지가 펼쳐져 있고, 동쪽에는 구주구리 해변과 해안 평야가 이어진다. 남쪽의 보소 구릉은 세이쇼잔 산맥을 기준으로 조소 구릉과 안보 구릉으로 나뉜다.[16]구주구리 해변 평야, 즉 구주구리 평야는 북동쪽으로 약 60km 뻗어 있다. 조시시 근처의 병풍가우라와 반도 남쪽의 주자키에서 노지마자키를 지나 다이토미사키까지 이어지는 외방(태평양 쪽) 해안, 그리고 후츠시미나토가와하구에서 오오부사키까지 이어지는 내방(도쿄만 쪽) 해안은 사빈뿐만 아니라 암초와 해식애 등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한다. 반면, 후츠미사키 북쪽 도쿄만 북동부 해안은 1940년부터 시작된 매립으로 만들어진 인공 해안이 이어져 게이요 공업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16]
이처럼 보소반도 동부와 중부 이남 지역은 풍부한 자연이 보존되어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도쿄 대도시권에 속하며 도쿄 도심부에서 도시가 이어지는 북서부에 비해 경제 및 인구 격차가 커지는 "남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14][15]
5. 3. 교통
보소반도는 교통망이 발달되어 있다. 보소반도 북부에서는 도쿄 도심과 연결되는 총부본선, 나리타선, 게이세이 전철 등 다수의 철도와 노선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보소반도 남부 지역은 버스가 주요 교통 수단이며, 도쿄만 아쿠아라인과 다테야마 자동차도를 경유하여 도쿄 도심과 보소반도 남부 각지를 연결하는 고속버스가 중요한 교통 기관이다.도쿄만 아쿠아라인은 도쿄만을 가로지르는 교량과 터널로, 기사라즈시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를 연결한다.[2]
5. 3. 1. 철도
- 환승역
- * 소가역, 오아미역, 오하라역, 안방가마가와역, 고이역, 키사라즈역, 카미소우나카노역
-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
- * 소토보선
- ** 지바역 - 소가역 - 오아미역 - 카미소우이치노미야역 - 오하라역 - 안방가마가와역
- * 도우가네선
- ** 오아미역 - 도우가네역 - 나리토역
- * 우치보선
- ** 소가역 - 고이역 - 키사라즈역 - 키미츠역 - 타테야마역 - 안방가마가와역
- * 구루리선
- ** 키사라즈역 - 카미소우가메야마역
- 고미네철도
- * 고미네철도선
- ** 고이역 - 카미소우나카노역
- 이스미철도
- * 이스미선
- ** 오하라역 - 카미소우나카노역
- 기요스미 로프웨이
- * 기요스미 산록역 - 기요스미 산정역
- 게이요린카이 철도
- * 본선(화물 전용 노선)
5. 3. 2. 도로
- 首都高速道路|수도고속도로일본어・東日本高速道路|동일본고속도로일본어
- * 수도고속 고마츠가와 선 - 게이요도로
- * 다테야마 자동차도
- * 후쓰-다테야마 도로
- * 도쿄만 아쿠아라인
- * 도쿄만 아쿠아라인 연락도로
- * 수도권 중앙연락자동차도
- * 지바 도킨 도로
- 지바현 도로공사
- * 지바 외방 유료도로
- * 구주쿠리 유료도로
- 국도 제16호선 (요코하마시 - 후쓰시)
- 국도 제127호선 (다테야마시 - 기사라즈시)
- 국도 제128호선 (다테야마시 - 도가네시)
- 국도 제297호선 (다테야마시 - 이치하라시)
- 국도 제409호선 (가와사키시 - 나리타시)
- 국도 제410호선 (다테야마시 - 기사라즈시)
- 국도 제465호선 (모바라시 - 후쓰시)
5. 3. 3. 버스
- 경성그룹
- * 치바 플라워 버스
- * 지바추오 버스
- * 코미나토 철도 버스
- * 구주쿠리 철도 버스
- 닛토교통
- JR동일본 그룹
- * JR 버스 간토
5. 3. 4. 항만
- 특정항
- * 기사라즈 항(중요항만, 중점항만)
- 지방항만
- * 가즈사미나토 항
- * 하마카나야 항
- * 다테야마 항
- * 오키쓰 항
- 제2종 어항
- * 후토미하마 어항
- 제3종 어항
- * 가쓰우라 어항
- * 오하라 어항
- 제4종 어항
- * 오토하마 어항
- * 가타카이 어항
- 기타 제1종 어항, 제2종 어항 다수
5. 3. 5. 해상 교통
- 도쿄만 페리
- 동해汽船
참조
[1]
백과사전
Bōsō-hantō
https://web.archive.[...]
Shogakukan
2012-05-19
[2]
백과사전
Bōsō Peninsula
https://web.archive.[...]
Shogakukan
2012-05-19
[3]
백과사전
Bōsō-hantō
https://web.archive.[...]
Shogakukan
2012-02-28
[4]
백과사전
Atago-yama
https://web.archive.[...]
Shogakukan
2012-05-19
[5]
웹사이트
千葉県勢要覧 令和4年版
https://www.pref.chi[...]
[6]
서적
세계대백과사전
[7]
문서
방총반도에 대한 설명
[8]
문서
방총반도의 범위에 대한 다른 의견
[9]
서적
千葉県の歴史
[10]
뉴스
昔、千葉県は島だった!? 海岸線の変化と香取海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21-09-03
[11]
서적
図説 千葉県の歴史
[12]
뉴스
水に囲まれた地を象徴 千葉県の東西南北端は【千葉地理学会連載 おもしろ半島ちばの地理再発見】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19-02-13
[13]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14]
간행물
千葉県の将来⼈⼝と変化を踏まえた今後の地⽅創⽣のあり⽅〜⼈⼝変動を⾒据えたブロック毎のあるべき地⽅創⽣の姿〜
https://www.crinet.c[...]
千葉銀行
2019-02-13
[15]
법률
반도진흥법
[16]
서적
千葉県の地名(日本歴史地名大系 12)
[17]
문서
애타고산에 대한 설명
[18]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千葉県)
[19]
웹사이트
館山 平年値(年・月ごとの値) 主な要素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6-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