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첨은 만주족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옹정제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1738년 과공군왕에 봉해졌으며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다. 관직 생활을 하던 중 빚 때문에 인삼을 팔도록 요청한 사실이 발각되어 군왕에서 강등되었으나, 병세가 악화되자 다시 군왕 작위를 회복했다. 1765년에 사망하여 과공군왕으로 추존되었고, 친왕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으며, 드라마 견환전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정제의 황자 - 홍휘
- 옹정제의 황자 - 건륭제
건륭제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로 옹정제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영토 확장, 문화 사업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부정부패와 과도한 재정 지출로 청나라 쇠퇴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 청나라의 외교관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외교관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청나라의 시인 - 추근
추근은 청나라 시대의 여성 혁명가, 시인, 교육자로, 일본 유학을 통해 혁명 사상에 심취하여 여성 해방 운동과 청나라 타도를 위한 활동을 펼치다 무장봉기 실패 후 처형되었으나, 사후 중국 혁명운동의 정신적 지주로 추앙받으며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청나라의 시인 - 석달개
석달개는 광서성 출신의 객가인으로, 태평천국 운동의 주요 지도자로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성광왕' 칭호를 받았으나, 톈징 사변 이후 독자적인 원정을 감행하다 청군에 포위되어 능지처참을 당했고, 그의 영웅적인 면모는 후대에 영향을 미쳐 객가인들에게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홍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아이신 교로 홍염 (愛新覺羅 弘曕) |
| 휘 | 홍염 (弘曕) |
| 아명 | 아이신 교로 홍첨 (愛新覺羅 弘瞻) |
| 시호 | 과공군왕 (果恭郡王) |
| 작위 | 다라 과군왕 (多羅果郡王), 과군왕 (果郡王) |
| 출생일 | 1733년 5월 9일 |
| 출생지 | 원명원, 베이징 |
| 사망일 | 1765년 4월 27일 |
| 사망지 | 베이징 |
| 묻힌 곳 | 서청 동릉 |
| 아버지 | 옹정제 |
| 어머니 | 겸비 유씨 |
| 배우자 | 방기야 (芳 Kitty) |
| 자녀 | 용투, 과근친왕 용찬, 1등 장군 3남 |
| 가문 | 아이신 교로 |
| 작위 계승 | |
| 과친왕 가문 수장 | 1738년 – 1765년 |
| 이전 | 윤례 |
| 다음 | 용투 |
| 기타 정보 | |
| 만주어 | Hongyan |
| 가족 관계 | 강희제(조부) 염친왕 윤쓰(이복 숙부) 혁군왕 인탕(이복 숙부) 단친왕 훙후이(이복 형) 건륭제(이복 형) 푸이(이복 형) |
2. 생애
홍첨은 만주족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1733년 옹정제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어머니는 청나라 황실 조정의 관리였던 류만(劉滿)의 딸인 류기야 씨족의 건비였다. 옹정제가 사망했을 때 홍첨은 불과 6세였으며, 건륭제가 홍첨의 교육 책임을 맡았다.[1] 홍첨은 원명원을 매우 사랑하여 별명이 원명원 왕자였다.[2]
1738년 2월, 과공군왕(果恭郡王)에 봉해졌다.[2] 건륭제는 그를 총애하여 많은 중요한 업무를 그에게 맡겼다.[2][3] 1759년 양백기의 도통(都統)을 지냈고,[4] 1761년에는 한군 양람기의 지휘관을 지냈다.[4]
1763년, 홍첨은 소금 상인 장계희에게 진 빚 때문에 고형에게 인삼을 팔도록 요청한 사실이 발각되었다.[4] 황제가 이를 알게 되자 홍첨은 군왕(郡王)으로 강등되었고 관직에서 물러났다.[4]
1765년 2월, 홍첨은 심각한 병에 걸렸고, 건륭제는 그에게 군왕의 작위를 회복시켜 주었다.[5]
1765년 4월 27일, 홍첨은 사망했고 사후 과공군왕으로 추존되었으며[6][5] 친왕(親王)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건륭제는 직접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고, 그의 아들 중 한 명에게 상복을 입도록 했다.[5]
2. 1. 초기 생애
홍첨은 만주족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1733년 옹정제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1] 그의 어머니는 청나라 황실 조정의 관리였던 류만(劉滿)의 딸인 류기야 씨족의 건비였다. 옹정제가 사망했을 때 홍첨은 불과 6세였으며, 건륭제가 홍첨의 교육 책임을 맡았다.[1] 홍첨은 원명원을 매우 사랑하여 별명이 원명원 왕자였다.[2]2. 2. 관직 생활
홍첨은 옹정제의 여섯 번째 아들로 어머니는 류기야 씨족의 건비였다.[1] 옹정제 사망 당시 6세에 불과하여 건륭제가 교육을 책임졌다.[1] 1738년 2월, 과공군왕(果恭郡王)에 봉해졌다.[2] 건륭제는 그를 총애하여 많은 중요한 업무를 그에게 맡겼다.[2][3] 1759년 양백기의 도통(都統)을 지냈고,[4] 1761년에는 한군 양람기의 지휘관을 지냈다.[4]2. 3. 강등과 복권
1763년, 홍첨은 소금 상인 장계희에게 진 빚 때문에 고형에게 인삼을 팔도록 요청한 사실이 발각되었다.[4] 황제가 이를 알게 되자 홍첨은 군왕(郡王)으로 강등되었고 관직에서 물러났다.[4]1765년 2월, 홍첨은 심각한 병에 걸렸고, 건륭제는 그에게 군왕의 작위를 회복시켜 주었다.[5]
2. 4. 사망
1765년 4월 27일, 홍옌은 사망했고 사후 과공군왕으로 추존되었으며[6][5] 친왕(親王)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건륭제는 직접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고, 그의 아들 중 한 명에게 상복을 입도록 했다.[5] 1765년 2월, 홍옌은 심각한 병에 걸렸고 건륭제는 그에게 ''군왕''의 작위를 하사했다.[5]3. 가족 관계
정실 부인
- 정실 부인, 파응가 씨(范佳氏)
- * 과간군왕 영투(果簡郡王 永瑹; 1752년 7월 20일 – 1789년 9월 10일), 과간군왕, 첫째 아들
- * 진국장군 영찬(鎮國將軍 永璨; 1753년 9월 9일 – 1811년 1월 2일), 세습 1급 장군, 둘째 아들
측실 부인
- 측실 부인, 장가 씨(張佳氏)
첩
- 첩, 류가 씨(庶福晉 劉佳氏중국어)
- * ''영나''(永на; 1762년 12월 7일 – 1767년 12월 1일), 셋째 아들
3. 1. 정실 부인
홍첨의 정실 부인은 파응가 씨(范佳氏)이다.3. 2. 측실 부인
측실 부인 장가 씨(張佳氏)이다.3. 3. 첩
첩은 류가 씨(庶福晉 劉佳氏중국어)이다. 셋째 아들 영나(永на; 1762년 12월 7일 – 1767년 12월 1일)를 낳았다.4. 가계도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
| 1. 홍첨 (1733–1765) | 2. 옹정제 (1678–1735) | 3. 건륭제 (1614–1767) | 4. 강희제 (1654–1722) | 5. 효공인황후 (1660–1723) |
| 10. 웨이우 | ||||
| 11. 사이허리 부인 | ||||
| 8. 순치제 (1638–1661) | 9. 효강장황후 (1638–1663) | |||
| 18. 투라이 (1606–1658) | 19. 걸뤄 부인 | |||
| 16. 홍타이지 (1592–1643) | 17. 효장문태후 (1613–1688) | 20. 에센 |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2011년 드라마 견환전에서 돤샤오난이 홍첨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논문
乾隆帝革去弘瞻親王爵位始末探析
2019
[2]
서적
Eunuch and Emperor in the Great Age of Qing Ru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문서
《清高宗实录》卷五,雍正十三年十月癸未条
[4]
논문
河北易縣嶺東村果恭郡王弘瞻園寢寶頂主人考
中国河北省石家莊市
2013
[5]
서적
The Last Emperors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6]
서적
乾隆朝满文寄信档译编
岳麓书社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