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기준 원가계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활동기준 원가계산(ABC)은 1980년대 로버트 S. 캐플란에 의해 제창된 원가 계산 방법으로, 간접비 증가에 대응하고 원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전통적인 원가 계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활동별로 원가를 배분하고 제품별 활동 소모량에 따라 원가를 계산한다. ABC는 기업의 자금 조달, 원가 계산, 회계 전반에 적용 가능하며, 활동기준관리(ABM)의 기반이 된다. ABC는 비효율적인 활동을 식별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데이터 수집 비용이 높고 고정비를 변동비처럼 취급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리회계 - 고정비
고정비는 생산량 변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 경제학에서는 자본 관련 비용, 회계학에서는 매출원가 외 비용을 의미하며, 약정 고정비와 재량적 고정비로 구분되고, 자동화 및 인건비 고정비화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관리회계 - 손익분기점
손익분기점은 총수입과 총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이 나뉘며 기업의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활동기준 원가계산 | |
|---|---|
| 활동 기준 원가 계산 (ABC) | |
| 정의 | 활동을 기준으로 원가를 계산하는 원가 회계 방법 |
| 목표 | 간접비의 정확한 배분 및 원가 계산 |
| 활용 분야 | 제품 원가 계산, 서비스 원가 계산, 고객 수익성 분석, 프로세스 개선 등 |
| 주요 개념 | |
| 활동 (Activity) | 원가를 발생시키는 업무 단위 (예: 주문 처리, 기계 설정, 품질 검사) |
| 원가 동인 (Cost Driver) | 활동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 주문 건수, 설정 시간, 검사 횟수) |
| 원가 집합 (Cost Pool) | 유사한 활동들의 원가를 모아 놓은 그룹 |
| 원가 계산 단계 | |
| 1단계 | 활동 식별 및 활동별 원가 집계 |
| 2단계 | 원가 동인 식별 |
| 3단계 | 활동별 원가 동인 비율 계산 |
| 4단계 | 제품 또는 서비스별 원가 배분 |
| 장점 | |
| 간접비 배분의 정확성 | 활동과 원가 동인을 기반으로 원가를 배분하여 정확성을 높임 |
| 의사 결정 지원 | 정확한 원가 정보를 통해 가격 결정, 제품 믹스 결정 등에 도움을 줌 |
| 프로세스 개선 | 비효율적인 활동을 식별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 |
| 단점 | |
| 복잡성 | 활동 및 원가 동인 식별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임 |
|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 | 활동별 원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집하기 어려울 수 있음 |
| 높은 도입 비용 | ABC 시스템 구축 및 유지에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음 |
| 관련 개념 | |
| 전통적 원가 계산 | 직접 노동 시간 또는 기계 가동 시간 등을 기준으로 간접비를 배분하는 방법 |
| 활동 기준 경영 (ABM) | ABC 정보를 활용하여 경영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법 |
2. 역사적 배경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인 로버트 S. 캐플란이 1980년대에 제창했다. 제조업에서 간접비는 원가 전체 비용에서 보면 미미했다. 따라서 전통적인 원가 계산에서는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직접비 관리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업종이 다양해짐에 따라, 간접비가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되는 업종이 늘어났다. 또한, 제조업에서도 사업 규모의 확대에 따라 원가의 항목 구성이 예전과는 크게 달라졌다. 즉, 직접비 파악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원가 계산으로는 막대한 간접비 관리에 대응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팽창하는 간접비를 다면적으로 관리하고, 그 낭비를 찾아 줄임으로써, 크게는 원가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수법이 활동기준 원가 계산이다.
초기 도입이 강력했음에도 불구하고, ABC는 1990년대에 균형성과표와 경제적 부가가치와 같은 대안적 지표에 비해 입지가 좁아졌다. 2008년의 독립적인 보고서에 따르면, 수동으로 수행되는 ABC는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이라고 결론 내렸다. 즉, 적은 이득을 위해 구현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어려우며, 가치가 낮아 대안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4] 다른 보고서들은 ABC 방법론으로 다루는 광범위한 범위를 보여준다.[5]
하지만 활동 기준 기록의 적용은 어떠한 ''원가 계산'' 모델의 대체가 아닌 '''활동 기준 회계'''에 대한 추가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동시 공정 회계를 보다 진정한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2. 1. 개념의 등장 (1970년대 ~ 1980년대)
전통적으로 원가 회계사들은 임의로 광범위한 비율의 분석을 간접 원가에 추가해 왔다. 그러나 간접비 또는 간접 원가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접 원가는 모든 제품에 의해 동일하게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점점 더 부정확해졌다. 예를 들어, 여러 제품이 공통 비용을 공유할 경우, 한 제품이 다른 제품을 보조할 위험이 있었다.ABC의 개념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미국 제조업에서 개발되었다. 이 기간 동안 ''컨소시엄 포 어드밴스드 매니지먼트-인터내셔널''(CAM-I)은 활동 기준 원가 계산 원리를 연구하고 공식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균형 성과표의 지지자인 로빈 쿠퍼(Robin Cooper)와 로버트 S. 카플란은 1988년부터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게재된 여러 기사에서 이러한 개념에 주목했다. 쿠퍼와 카플란은 ABC를 전통적인 원가 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원가 계산 시스템은 종종 생산 요소의 실제 원가와 관련 서비스의 원가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어, 관리자는 부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ABC는 원가를 배분하기 위해 광범위한 임의의 비율을 사용하는 대신, 인과 관계를 식별하여 객관적으로 원가를 할당한다. 활동의 원가가 식별되면, 각 활동의 원가는 해당 제품이 해당 활동을 사용하는 범위 내에서 각 제품에 귀속된다.
활동 기준 원가 계산은 1987년 로버트 S. 카플란과 W. 브런스에 의해 그들의 저서 ''회계 및 관리: 현장 연구 관점''의 한 장에서 처음 명확하게 정의되었다.[8] 그들은 처음에 기술 발전과 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노동 및 재료의 직접 원가의 상대적 비율이 감소했지만 간접 원가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한 제조업에 집중했다. 예를 들어, 자동화 증가는 직접 원가인 노동을 감소시켰지만 간접 원가인 감가상각비를 증가시켰다.
금융 기관은 다양한 제품과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제품 간, 고객 간 보조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건비는 금융 기관의 비이자 비용에서 가장 큰 단일 구성 요소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비용도 제품 및 고객에게 더 정확하게 귀속되어야 한다. 원래 제조업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활동 기준 원가 계산은 이를 수행하는 데 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9][10]
활동 기준 원가 계산은 1999년 피터 F. 드러커가 저서 ''21세기 경영의 과제''에서 설명했다.[11] 그는 활동 기준 원가 계산은 전통적인 원가 회계가 하지 않는 원가를 기록한다고 언급했다.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ABC에 의해 체계화된 관행은 1911년 프레데릭 W. 테일러에 의해 "과학적 관리의 원리"에서 처음 시연되었다. 그것들은 나중에 월터 슈하트(월터 A. 슈하트)와 W. 에드워즈 데밍(W. 에드워즈 데밍)의 연구에 앞서 있던 유명한 시간 및 동작 연구(시간 및 동작 연구)의 기초였다. 카플란의 연구는 이전 연구를 현대 회계 관행과 연결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인 로버트 S. 캐플란이 1980년대에 제창했다. 제조업에서 간접비는 원가 전체 비용에서 보면 미미했다. 따라서 전통적인 원가 계산에서는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직접비 관리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업종이 다양해짐에 따라, 간접비가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되는 업종이 늘어났다. 또한, 제조업에서도 사업 규모의 확대에 따라 원가의 항목 구성이 예전과는 크게 달라졌다. 즉, 직접비 파악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원가 계산으로는 막대한 간접비 관리에 대응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팽창하는 간접비를 다면적으로 관리하고, 그 낭비를 찾아 줄임으로써, 크게는 원가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수법이 활동기준 원가 계산이다.
2. 2. 로빈 쿠퍼와 로버트 카플란의 공헌 (1980년대 후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인 로버트 S. 캐플란은 1980년대에 활동기준 원가계산(ABC)을 제창했다. 전통적인 원가 계산에서는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직접비 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업종 다양화와 사업 규모 확대로 간접비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간접비를 다면적으로 관리하고 낭비를 줄여 원가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동기준 원가계산이 등장하였다.2. 3. 피터 드러커의 언급 (1999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인 로버트 S. 캐플란이 1980년대에 활동기준 원가계산을 제창했다. 제조업에서 간접비는 원가 전체 비용에서 보면 미미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원가 계산에서는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직접비 관리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업종이 다양해짐에 따라 간접비가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되는 업종이 늘어났고, 제조업에서도 사업 규모 확대에 따라 원가 항목 구성이 예전과 크게 달라졌다. 즉, 직접비 파악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원가 계산으로는 막대한 간접비 관리에 대응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래서 팽창하는 간접비를 다면적으로 관리하고, 그 낭비를 찾아 줄임으로써, 크게는 원가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활동기준 원가 계산이 탄생했다.2. 4. 대한민국 도입 및 발전 (1990년대 후반 ~ 현재)
로버트 S. 캐플란이 1980년대에 활동기준 원가계산을 제창했다. 제조업에서 간접비는 원가 전체 비용에서 보면 미미했기에, 전통적인 원가 계산에서는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의 직접비 관리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그러나, 업종이 다양해지고 사업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간접비가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직접비 파악에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원가 계산으로는 막대한 간접비 관리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팽창하는 간접비를 다면적으로 관리하고 낭비를 줄여 원가 전체를 관리하기 위해 활동기준 원가계산이 탄생했다.3. 전통적 방식의 문제점
기존의 전통적 원가계산 방식은 제조간접비 등의 개별 제품 원가 배부에 있어서 노동시간 또는 기계시간 등 한 가지 요인을 정하고, 그 요인을 기준으로 제조간접비를 배부하였다. 이로 인해 원가평준화 현상이 나타나고, 기존의 원가계산 방식을 소위 피넛-버터 원가계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가 과소 또는 과대 배부되어 신뢰성 있는 원가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통적인 제조 간접비 배부 방법에서는 부문비를 제조 부문과 보조 부문으로 나누어, 보조 부문의 간접비를 제조 부문에 배부하고, 제조 부문은 제품 생산 작업 시간 등으로 이를 제품에 배부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량 생산 제품의 원가가 높게, 소량 생산 제품의 원가가 낮게 추정되는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조 간접비를 먼저 코스트 풀(cost pool)이라고 불리는 활동에 할당하고, 코스트 풀에 집계된 원가를 제품에 할당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원가 차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4. 활동기준원가계산 (ABC)의 도입
로빈 쿠퍼와 로버트 카플란은 제조간접비의 배부기준을 보다 정교화하기 위해 활동이란 개념을 도입하였다. 즉 제조간접비를 각 활동에 따라 배분하고, 제품별로 활동 소모량에 따라 배부하는 방식을 통해 좀 더 정교한 원가계산을 가능하게 하였다.[13]
활동기준 원가계산(ABC) 방법론은 운영 관리에서 원가 배분에 중점을 둔다. ABC는 고정비, 변동비, 간접비를 분류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분류가 이루어지면, 원가 분할을 통해 원가 동인을 식별할 수 있다. 직접 노동력과 자재는 제품에 직접 추적하기가 비교적 쉽지만, 간접비를 제품에 직접 배분하는 것은 더 어렵다. 제품이 공통 자원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 원가 배분 과정에서 일종의 가중치가 필요하다. ''원가 동인''은 활동의 원가를 발생시키거나 유발하는 요인이다. 예를 들어, 은행 창구 직원의 활동 원가는 각 제품의 거래(원가 동인)가 창구에서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를 측정하고, 각 유형의 거래 수를 측정하여 각 제품에 할당할 수 있다. 기계 가동 활동의 경우, 동인은 기계 가동 시간일 가능성이 높으며, 기계 활동 기간 동안의 노동, 유지 보수 및 전력 원가를 살펴보게 된다.[14]
ABC는 학술적인 논의를 넘어 그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ABC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기업의 자금 조달, 원가 계산 및 회계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 전체 범위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관점에도 적용 가능한 모델링 프로세스이다.
- 비효율적인 제품, 부서 및 활동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수익성이 높은 제품, 부서 및 활동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제품별 수준 및 부서별 수준에서 원가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제거할 수 있는 불필요한 원가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 원하는 분석적 해상도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ABC를 구현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13]
- 더 나은 관리
- 예산 편성, 성과 측정
- 원가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
- 제품/고객 수익성 보장
- 신기술 투자 평가 및 정당화
- 더 나은 제품 및 프로세스 설계를 통해 제품 품질 개선
- 경쟁력 증가 또는 더 많은 경쟁 대처
- 관리
- 원가 관리
- 직원들 사이에 원가 의식을 만들어 행동 인센티브 제공
- 간접비 증가에 대응
- 규제 기관의 압력 증가에 대응
- TQM 및 JIT 시스템과 같은 기타 관리 혁신 지원
ABC는 회계로 확장될 수 있으며, 부서 또는 제품 제조를 따라 전체적인 원가 발생 범위를 확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은 원가 관리에 있어서 원가 증가를 방지하는 정도의 자동 데이터 캡처를 필요로 한다.
Manivannan Senthil Velmurugan에 따르면, 활동기준 원가계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되어야 한다:[14]
# ABC(활동기준 원가계산)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평가 - 조직 내에서 ABC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한다.
# 교육 요구 사항 - 모든 직원을 위한 기본 교육과 고위 관리자를 위한 워크숍 세션.
# 프로젝트 범위 정의 - 프로젝트의 사명과 목표를 평가한다.
# 활동과 동인 식별 - 어떤 활동이 무엇을 유발하는지 결정한다.
# 원가 및 운영 흐름도 작성 – 자원과 활동이 제품 및 서비스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나타낸다.
# 데이터 수집 – 다이어그램에서 운영 관계를 보여주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 소프트웨어 모델 구축, 검증 및 조정.
# 결과를 해석하고 경영 보고서를 준비한다.
# 데이터 수집 및 보고를 통합한다.
최근 Mocciaro Li Destri, Picone & Minà (2012)는[20] 경제적 부가가치(EVA) 기준과 프로세스 기반 원가계산(PBC)을 통합하는 성과 및 원가 측정 시스템을 제안했다.
최고 경영자의 급여와 같이 일부 간접비는 제품 및 고객에게 배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비용은 '사업 유지' 비용으로 불리며, 의미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제품 및 고객에게 배정되지 않는다. 이 할당되지 않은 간접비 덩어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제품의 기여에 의해 충당되어야 하지만, ABC를 사용하기 전의 간접비보다 크지는 않다.
활동기준 원가계산(ABC)을 수행할 때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원하는 ABC 모델로 이어지는 회계 확장을 통해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이벤트 기반 회계에 대한 알려진 접근 방식은 단순히 자동화 방법을 보여준다. 현재 프로세스를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전환하는 것은 관련 이벤트로 감지될 수 있다. 짝을 이룬 이벤트는 쉽게 해당 활동을 형성한다.
IETF 표준 RADIUS에서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사용하는 최첨단 접근 방식은 모든 작업 위치 기반 활동을 회계 처리하는 쉬운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는 간단히 ''인증 및 권한 부여''(AA) 개념을 보다 발전된 ''AA 및 회계''(AAA)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을 정의한다. AAA에 대한 해당 접근 방식은 스마트폰을 지능형 에이전트 또는 회계 데이터 자동 수집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 등으로 사용할 때 모바일 서비스의 맥락에서 정의되고 구현된다.
4. 1. 원가 계층 (Cost Hierarchy)
ABC시스템에서는 활동원가집합의 원가에 대한 원가동인으로서 원가배부기준을 식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4분류의 원가계층을 사용한다.- 조업도단위수준원가
- 배치수준원가
- 제품유지원가(또는 서비스유지원가)
- 설비유지원가
5. ABC의 목적 및 대상
ABC를 통해 기업은 전체 제품, 활동 및 서비스의 원가 요소를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수익성이 없는 제품 및 서비스를 식별하고 제거하거나, 가격이 과도하게 높은 제품의 가격을 낮추는 등의 결정(제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 목표)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비효율적인 생산 또는 서비스 프로세스를 식별하고 제거하며, 더 나은 수율로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처리 개념을 할당하는 것(프로세스 재설계 목표)도 가능하다.
사업 조직에서 ABC 방법론은 조직의 자원 원가를 활동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 및 서비스에 할당한다. ABC는 일반적으로 생산 또는 수행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품 및 고객 원가 및 수익성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ABC는 주로 가격 책정, 아웃소싱, 프로세스 개선 계획의 식별 및 측정과 같은 전략적 결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
비용을 수반하는 특정 활동이 여러 가지인 경우, 이 활동에 대한 비용 효과를 정량화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비용 운용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은 간접비의 관리, 나아가 원가의 관리였지만, 그 응용은 재고 관리·매출 관리를 시작으로, 다방면에 걸쳐 있다.
6. 활동기준관리 (ABM)
활동기준관리(ABM)는 활동기준원가계산(ABC)을 기반으로 활동별로 파악된 원가 정보 등을 활용하여 비용 측면에서 활동을 관리하는 경영 관리 기법이다.[13] 활동 분석을 통해 프로세스의 낭비인 비부가가치 활동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기업 조직의 리엔지니어링을 추진할 때 유용한 방법으로 여겨진다.[13] 이는 업무 효율성에 관한 업무 개선 지표이며, 다양한 업계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13]
ABC는 기업의 자금 조달, 원가 계산 및 회계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13] 전체 범위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관점에도 적용 가능한 모델링 프로세스이다.[13] ABC는 비효율적인 제품, 부서 및 활동을 식별하고, 수익성이 높은 곳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데 도움이 된다.[13] 또한 제품별, 부서별 수준에서 원가를 관리하고 불필요한 원가를 찾아 제거하는 데 활용된다.[13] 원하는 분석적 해상도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3]
ABC 구현 이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13]
7. ABC와 다른 분석 기법의 관계
ABC 분석과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ABC)은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전혀 다른 것이다.
"ABC 분석"의 ABC는 3단계의 등급 매김을 의미하며, 복수의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나타나는 빈도 및 가격에 따라 A군·B군·C군으로 분류하여 관리 효율을 높이려는 분석 기법이며, 원가 계산 기법은 아니다. 활동기준원가계산은 원가 계산 기법인 Activity Based Costing의 약어이다.
7. 1. ABC 분석과의 차이점
ABC 분석과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ABC)은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전혀 다른 것이다."ABC 분석"의 ABC는 3단계의 등급 매김을 의미하며, 복수의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나타나는 빈도 및 가격에 따라 A군·B군·C군으로 분류하여 관리 효율을 높이려는 분석 기법이며, 원가 계산 기법은 아니다. 활동기준원가계산은 원가 계산 기법인 Activity Based Costing의 약어이다.
7. 2. 린 회계 및 제약 이론 (TOC)과의 관계
최근 몇 년 동안 수동으로 처리되는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 없이 관련성 있고 철저한 회계, 관리 및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린 회계 방법이 개발되었다.[12]린 회계는 주로 린 생산에서 사용된다. 이 접근 방식은 의료, 건설, 금융 서비스, 정부 및 기타 산업을 포함한 많은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유용함을 입증했다.[12]
제약 이론(TOC) 적용은 한 연구에서 TOC와 활동기준 원가계산의 생산적인 공존의 흥미로운 측면을 보여주며 분석된다. 활동기준 원가계산에서 원가 동인을 식별하는 것은 TOC에서 병목 현상을 식별하는 것과 어느 정도 동일하다고 설명된다.[12] 그러나 검사된 프로세스에 대한 원가 구성에 대한 보다 철저한 통찰력은 연구 결과를 정당화한다. 즉, 활동기준 원가계산은 복잡한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더 나은 구조화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상세한 활동기준 원가계산 보고에 필요한 노력에 비추어볼 때 놀라운 일이 아니다.[12]
8. ABC의 한계 및 문제점
활동기준원가계산(ABC)의 적용 가능성은 필요한 데이터 수집 비용에 달려 있다.[1] 이는 업무당 소요되는 직원의 시간이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서비스 및 행정 분야에서 느린 프로세스의 만연을 야기한다. 따라서 생산 작업에 대한 보고된 적용은 선호되는 시나리오로 보이지 않는다.
ABC의 잠재적인 문제는, 다른 원가 배분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고정비를 변동비처럼 취급한다는 것이다. 이는 적절한 이해 없이 일부 사람들에게 부정확한 이해를 심어줄 수 있으며, 이는 잘못된 의사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 자산을 개별 제품에 배분하면, 배분 후 수익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제품을 단종시킬 수 있다. 심지어 실제로 해당 제품의 단종이 최종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라도 말이다.
과거 실적을 바탕으로 한 분석이므로 현재의 원가 분석에는 유효하다. 그러나 이를 통해 효율적인 개선이나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이론적으로 우수한 원가 계산 기법으로 여겨지지만, 실제 기업의 도입률은 낮다. 그 주된 요인으로는 도입 비용과 운영 비용의 높이 등을 들 수 있다.
9. 대한민국 공공 부문에서의 활용
대한민국 공공 행정 분야에서 활동기준 원가계산(ABC)이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보고된 연구에서는 이 방법론이 예산 편성 관행과 기존의 서비스 관리 및 전략을 정당화하는 것 이상의 성공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해병대에서는 1999년부터 ABC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5][16][17][18]
영국 경찰은 2003-04 영국 회계 연도부터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국가 경찰 계획, 특히 경찰 성과 평가 프레임워크의 일부로 ABC 사용을 의무화했다.[19]
참조
[1]
서적
CIMA official Terminology, 2005
http://www.cimagloba[...]
[2]
웹사이트
(pdf) Pg: 231
https://icmai.in/upl[...]
[3]
서적
Bangladesh Cost Accounting Standards-14: Activity Based Costing
http://icmab.org.bd/[...]
[4]
간행물
The Review of Policing Final Report by Sir Ronnie Flanagan February 2008
http://webarchive.na[...]
[5]
문서
Activity-based costing: A Case study
http://www.slideshar[...]
[6]
서적
Activity Costing and Input-Output Accounting
Richard D. Irwin, Inc.
1971
[7]
웹사이트
Consortium for Advanced Manufacturing-International
http://www.cam-i.org
[8]
서적
Accounting and Management: A Field Study Perspectiv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87
[9]
논문
Article title?
1990
[10]
논문
Article title?
1991
[11]
서적
Management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Harper Business
1999
[12]
웹사이트
Who Wins in a Dynamic World: Theory of Constraints Vs. Activity-Based Costing?
https://ssrn.com/abs[...]
[13]
웹사이트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ctivity Based Costing (ABC): a South African survey
http://www.meditari.[...]
[14]
논문
The Success And Failure of Activity-Based Costing Systems
2010
[15]
웹사이트
MARINE CORPS ACTIVITY BASED COSTING (ABC)
http://www.marines.m[...]
[16]
웹사이트
Activity-Based Costing (ABC)
http://www.cfonet.co[...]
2011-05-31
[17]
웹사이트
SAS helps Marine Corps budgets get lean
http://goliath.ecnex[...]
[18]
웹사이트
Energizing cost accounting: Marine Corps financial managers conduct a thorough analysis
http://www.thefreeli[...]
[19]
간행물
Police Service National ABC Model Manual of Guidance Version 2.3 June 2007
http://webarchive.na[...]
[20]
논문
Bringing Strategy Back into Financial System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tegrating EVA and PBC
https://ssrn.com/abs[...]
2012
[21]
논문
「原価モデルにおけるコスト・ドライバー概念の検討 : ABC/Mと構造行列」
https://cir.nii.ac.j[...]
1999-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